이종혁 기자
입력 : 2022-09-06
사진 확대[사진 제공 = 연합뉴스]
현재 만 65세로 고정된 한국의 노인연령을 장기적으로 74세로 올리면 세계 최고 수준인 한국의 노년층 부양 부담이 주요 선진국과 비슷한 정도로 떨어질 수 있다는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제언이 나왔다. 이태석 KDI 연구위원은 6일 발간된 'KDI 포커스-노인연령 상향 조정의 가능성과 기대효과' 보고서에서 이 같이 밝혔다. 이 연구위원은 "노인연령을 현재와 같이 65세로 유지하면 2054년 이후 한국의 노인인구 부양부담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최고치"라며 "저출생 고령화 효과가 본격화하는 2025년께부터 10년에 1세 정도로 노인연령을 지속 상향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고 했다.
이번 보고서에 나온 노인부양률은 노년부양비와 같은 의미다. 생산연령(만 15~64세) 인구 100명당 노령 인구 수를 뜻한다. 통계청에 따르면 한국의 노년부양비는 2022년 24.6명에서 2040년 60.5명, 2070년 100.6명으로 OECD는 물론 세계 최고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사진 확대
이번 보고서에 나온 노인부양률은 노년부양비와 같은 의미다. 생산연령(만 15~64세) 인구 100명당 노령 인구 수를 뜻한다. 통계청에 따르면 한국의 노년부양비는 2022년 24.6명에서 2040년 60.5명, 2070년 100.6명으로 OECD는 물론 세계 최고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사진 확대
이 연구위원은 기대수명에서 은퇴시기나 연금·노인복지 수급 개시시기를 뺀 기대여명이 15~20년에 이르는 수준에서 노인 연령이 결정되는게 바람직하다고 진단했다.
2000년 이후 OECD 회원국의 평균 실효은퇴연령은 기대여명이 20~24년(남성 20년, 여성 24년) 이하에서 결정이 돼 왔다. 기대수명이 점점 늘어나는데 노인연령은 그대로 멈춘다면 노동력 손실은 물론 연금과 노인복지 수급 기간도 길어져 국가 재정에 큰 부담이 된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한국은 국민연금을 도입한 1988년만 하더라도 연금 수급 개시연령인 60세 인구의 기대 여명이 18년이었으나 올해 기준 연금 수급개시연령인 62세 인구의 기대여명은 24년으로 6년이 증가했다. 이 연구위원에 따르면 기대여명을 15년으로 잡는다면 2022년 기준 '노인'으로 봐야 할 연령은 73세이며, 이후 평균 10년에 1세 정도 속도로 증가해 2100년이면 80세에 이른다.
이 연구위원은 이번 보고서에서 노인 연령을 2025년부터 10년에 1세씩 상향해 2100년 기준 만 74세로 높이면 노인부양률이 약 60%로 현재 기준 대비 36%포인트 낮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2070년 기준 독일의 노년부양비가 58.8명, 일본이 76.7명에 이르는 점을 감안하면 주요 선진국 수준으로 노인인구 부양 부담을 낮출 수 있다는 얘기다. 이 연구위원은 "은퇴 기간과 국내 노동시장의 소득 특성을 감안해 기대여명을 20년으로 산정하면 2100년에 만 74세를 노인연령의 시작으로 보는 게 타당하다"고 말했다.
[이종혁 기자]
이 연구위원은 이번 보고서에서 노인 연령을 2025년부터 10년에 1세씩 상향해 2100년 기준 만 74세로 높이면 노인부양률이 약 60%로 현재 기준 대비 36%포인트 낮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2070년 기준 독일의 노년부양비가 58.8명, 일본이 76.7명에 이르는 점을 감안하면 주요 선진국 수준으로 노인인구 부양 부담을 낮출 수 있다는 얘기다. 이 연구위원은 "은퇴 기간과 국내 노동시장의 소득 특성을 감안해 기대여명을 20년으로 산정하면 2100년에 만 74세를 노인연령의 시작으로 보는 게 타당하다"고 말했다.
[이종혁 기자]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