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8-26

Park Yuha 하나가 아닌 징용피해자유족들

(16) Facebook

하나가 아닌 징용피해자유족들
도쿄신문 기자가 쓴 이 기사에 따르면, 징용피해자 가족 중엔 유골반환을 위한 한일간 시급한 대화를 원하는 분들이 있다. 유명한 우키시마호 사건으로 작고한 분들의 유족 경우다.
2008년-2010년 사이에 한일정부가 협의해 423명분 유골이 4회에 걸쳐 반환된 적이 있다. 그런데 우키시마호의 희생자들은 함께 돌아오지 못하고 일본땅에 남게 된 것. 십년전부터 한일관계가 악화되면서 교류가 끊긴 결과다.
유족들이 원하는 건 안치/추모 가능한 공간을 한국에 마련하고 유골반환이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정부관계부처에 물어도 “지금은 일본과의 교섭이 없다”는 대답만 돌아온다고.
이 기사에서 특히 주목해야 할 건 10여년전엔 징용문제를 둘러싸고 한일간 밀접한 ‘대화’와 유골반환과 주한일본대사관대사의 추모식 참가등 ‘행동’이 있었다는 점이다. 모두가 잊어 버리고 있지만.
그리고 유족들의 ‘감사’와, 더 빨리 행하지 못한데 대한 일본정부 관계자의 ‘반성’이 오가는 공간이 존재했다는 사실.
실은 나도 이번 책에서 같은 얘기를 했었다. 판결이니 일본기업자산현금화니 하는 상황만 주목받고 있지만, 우선 이런 과거를 되살려 지금 할 수 있는 일부터 하면서 대화를 쌓아가면 접점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그런 전개를 기대하면서, 일본인들이 징용피해자의 고통을 이해할 수 있는 자료를 많이 사용하기도 했다. 기업이 ‘피고’가 되어 있지만, 징용은 사실 국가가 주도한 동원이었으니 일본정부가 나서야 한다는 이야기도.
기사를 보내 준 기자에게 그 얘길 했더니, 곧바로 연재당시 내 글이 계기가 되어 쓴 글이라는 답이 왔다. 내가 던진 공을 제대로 받아 준 또하나의 케이스. 책을 쓴 보람을 느끼는 순간이다.
판결에만 주목하느라 거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실은 소송을 주도해 온 관계자들조차 양국정부가 나서서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달리 말하면 판결은 그저 정부를 움직이게 하려는 ‘무기’가 되고 있는 측면이 있다.
모두가 그저 판결에 전전긍긍하고 있는 판국이지만, 양국정부가, 피해자들의 바람이 꼭 일치하는 건 아니라는 너무나 당연한 사실부터 인지하고, 할 수 있는 일부터 하기를 바란다.
정부간 대화와 함께 한일공동협의체를 만들어 문제를 점검하고, 양국국민들이 문제를 제대로 이해하게 되면 해결은 가능하다. 이미 한국정부가 두번 보상했으니 모자랐던 부분을 보충하고,더 중요한 치유와 “기억”을 위해 필요한 일부터 할 수 있기를. 
재판을 통한 강제적 배상은, 피해자들의 진짜 치유에도 일본인들의 ‘기억’형성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

도쿄의 절에 자는 아버지, 한국으로 돌아가는 날은… 종전 직후에 수송선 침몰 아직 반환 실현하지 않는 275명의 유골
2022년 8월 21일 06:00
망향의 유골 우키시마마루와 한일㊤

도쿄도 메구로구의 유텐지 = 나카자와 히로 촬영

 종전 직후인 1945년 8월 24일 한반도에 귀향하는 노동자들 수천 명을 태운 수송선 우키시마마루가 교토부 마이즈루 앞바다에서 폭발, 침몰했다. 목숨을 잃은 한반도 출신자 중 275명의 유골이 도쿄도 메구로구의 유텐지에 남아 있다. 전후 77년을 거쳐도 한국의 유족이 원하는 유골 반환은 실현되지 않았다. (서울·키노시타 대자)


 우키시마 마루 사건 한반도에서 징용 등으로 동원되어 귀환하려는 조선인 등 수천명을 태워 아오모리현 오미나토항에서 현재의 한국·부산으로 향하고 있던 일본 해군의 수송선 우키시마마루(4730톤) 가 1945년 8월 24일, 교토부의 마이즈루 만 내에서 폭발, 침몰했다. 당시 일본측 발표에서는 조선인 524명과 승무원 25명이 사망했다.

◆아버지의 이름이 적힌 상자
 한국 남서부주 전체정주에 살다콴 청리에정승열씨(80)는 2006년에 유텐지를 방문해 아버지의 이름이 적힌 상자에 들어간 유골과 대면했다. 안쪽 주머니를 열고 딱딱한 뼈의 감촉도 확인했다. “일본에 데려간 아버지를 고향에 묻고 싶다”는 생각이 쏟아졌다.


2006년 도쿄도 메구로구의 유텐지에서 아버지의 이름이 적힌 유골상자를 안고 있는 전승열씨. 유골은 지금도 동사에 있다 = 본인 제공

 전주에서 주조회사를 운영하던 아버지는 전시 중에 동원되어 아오모리현 오미나토의 해군시설에서 일하셨다. 종전에서 귀향하려고 우키시마마루를 타고 사건에 휘말렸다.
 그러나 전씨가 대면한 유골은 아버지의 것이 아닐 가능성이 있다. 우키시마마루 침몰 후, 바다 속에서 일부 시신을 끌어올려 정리해 화장했기 때문이다. 유골은 누구인지 확인되지 않은 채 상자로 나뉘어졌다. 폭발 원인에 대해서도 미군이 부설한 기뢰에 접촉한 설 등이 있지만, 한국에서는 생존자의 증언 등으로 일본 측이 고의로 폭파한 것으로 보인다.
 일본에 대한 강한 불신감을 배경으로 한국의 유족은 오랫동안 일본 정부의 재조사나 사과가 없으면 개별 유골의 반환은 받아들이지 않는다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때의 흐름과 함께 고령화된 유족에게 감정의 변화가 보인다.

◆「사과를 원했다」하지만…
 전 씨는 아버지의 얼굴을 모른다. 아버지는 전시중, 1살 정도였던 전씨를 안은 아내에게 「확실히 키워 줘」라고 말해, 일본인 경찰관에게 데려갔다. 일본을 위해 일했고 다시 향토로 돌아갈 수 없었다.


한국·전주에서 7월 29일, 유텐지를 방문했을 때의 사진을 본다 전승열씨=키노시타 대자 촬영
 "일본 정부의 사과를 원했다". 그렇게 말하는 전 씨 등 유족은 1992년 일본 정부의 사과나 손해배상 등을 찾아 교토지법에 제소했다. 일심은 일본 정부에 배상을 명령했지만, 오사카 고재는 원고의 요구를 모두 물리치고, 대법원도 고재 판결을 지지해 확정하고 있다.
 고재판결 당시 신문은 전 씨가 회견으로 일본에 대한 격렬한 분노를 쏟아내는 모습을 전했다. 그러나 전씨는 “지금이 되어서는, 그 때의 분노의 감정을 표현할 수 없다”고 말한다.
 우키시마 마루 사건의 유족 단체 대표한용롱한영연씨(78)=경상남도경상남도주창코창=도 “유족들은 고령이 됐다. 부모에게 얼굴을 돌릴 수 있도록 죽기 전에 유골을 조국으로 맞이하고 싶다”는 의향을 말한다.
 일본 측이 524명으로 하는 조선인 사자수는 한국에서는 수천명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유텐지에 있는 유골상자에 부모의 이름이 없는 유족도 있다. 한 씨에게는 마이즈루 앞바다의 해저에 남아 있을 시체를 찾아 DNA 감정으로 유골의 신원을 밝혀달라고 하는 생각은 지금도 있다. 그러나 우선은 반환을 우선시키고 싶다는 생각에 기울인다.

◆한일관계가 식은 10년

 일본 정부는 국내에서 수집한 한반도 출신의 군인·군속들의 유골을 유텐지에 위탁해 보관해 왔다. 2008~10년에는 한일 정부 간 협의 끝에 유텐지에 있던 423명의 유골이 4회에 걸쳐 한국으로 반환됐다. 전후 77년의 지금도 남는 것은, 일본과 국교가 없는 현재의 북한 출신자 425명분과, 우키시마마루 관계의 유골만이 되었다.

 한일관계가 식은 지난 10년간 반환을 둘러싼 협의는 멈추고 있다. 유족들의 초조감은 강하다. 지난해 4월에는 한국 청와대와 주한일본대사관에 유골을 안치해 추도할 수 있는 공원을 한국 내에 정비한 뒤 유골 반환을 실현해 달라고 요청했다.
 전씨는 “모두 유골을 맞이하는 장소가 있다면 유족은 부모의 유골 조각에서도 들어가 있다는 마음으로 찾아올 것”이라고 의의를 호소한다. 한씨도 “한일의 사이가 나쁘더라도 양 정부는 유골문제에 인도적 차원에서 임해달라”고 말한다.
===

「지금은 일본과의 협상이 없으니까」 한일의 격차에 휘말린 유족 유골 반환, 진상규명의 소원은 언제 도착한다
2022년 8월 22일 06:00
망향의 유골 우키시마마루와 한일㊦

 "아버지의 유골에 대해 살아있는 동안 좋은 소식을 듣고 싶다." 작년 4월에 서울의 일본 대사관에 유골 반환을 요망한 우키시마마루 사건의 유족,황금색김영채씨(78)=서울 거주=는 한국 정부의 관계 부국에 문의를 계속한다. 하지만 담당자는 “지금은 일본과의 협상이 없으니까” 라고 말할 수 없다.

 우키시마 마루 사건 한반도에서 징용 등으로 동원되어 귀환하려는 조선인 등 수천명을 태워 아오모리현 오미나토항에서 현재의 한국·부산으로 향하고 있던 일본 해군의 수송선 우키시마마루(4730톤) 가 1945년 8월 24일, 교토부의 마이즈루 만 내에서 폭발, 침몰했다. 당시 일본측 발표에서는 조선인 524명과 승무원 25명이 사망했다.


서울에서 취재에 답하는 김영채씨. 손에 들고 있는 것은, 우키시마마루 사건으로 사망한 아버지를 포함한 전몰자명이 실린 1971년의 한국지의 카피=키노시타 대자 촬영

 아버지는 1944년에충청남도충천남도 예산예산부터 아오모리현오미나토오미나토에 동원되었다. 71년 한국 정부의 통보로 아버지가 우키시마 마루 사건으로 목숨을 잃었다는 것을 알았다. 그러나 도쿄도 메구로구의 유텐지에 있는 275명분의 유골상자에는 아버지의 이름이 없다.
 사망자 수 등 사건의 진상을 둘러싼 한일의 격차는 크다. 김씨의 눈에는 일본 측의 대응이 "계속 냉담했다"고 비친다. 「아버지의 기억은 없고, 유골도 찾을 수 없는 것은 힘들다. 같은 인간으로서 생각해 주었으면 한다」

◆한일이 다가온 과거도

 과거를 되돌아보면 유골반환 실현을 위해 한일 양 정부가 의사소통을 거듭한 시기도 있었다. 한국에서는 2004년에노무현놈현정권이 설치한 ‘강제동원 피해 진상규명위원회’가 피해자나 유족과의 연락역을 맡았고, 2006년에는 양 정부가 유골문제 협의조직을 발족시켰다.

 위원회는, 일본 국내에서의 유골의 수집 상황을 유족들에게 설명해, 수용의 의향을 확인. 반환 시에는 일본 측과 한국 측 양쪽에서 추도 행사가 정중하게 이뤄졌다. 위원회의 발족 이전에도 일본에서 많은 유골이 반환되었지만 유족에 대한 배려가 없어 공감을 얻지 못했다는 반성이 있었기 때문이다.
 위원회 관계자에 따르면 2008~10년 유텐지에 있던 423명 분의 유골이 반환되었을 때 한 유족은 일본 정부 직원의 손을 잡고 "고마워. 수고하셨다"고 감사를 말했다. 눈물을 흘리는 유족들의 모습을 앞두고 일본의 외교 관계자도 "왜 그동안 질질 끌었는가. 후회된다"고 밝혔다.


2008년 1월 일본에서 유골이 반환되어 한국·천안의 국립망향 언덕에서 운영된 추도식. 일본 정부 관계자도 참렬했다 = 관계자 제공

 반환된 유골은 한국중부의 천안조난에 있는 국립묘지 「망향의 언덕」에 안치되었다. 현지에서 열린 식전에는 주한일본대사들도 참렬해 추도사를 말했다.
 당시 일련의 움직임에 종사한 위원회의 담당자는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를 요구하는 유족은 많지만, 이러한 형태로의 유감 표명도 간접적인 사죄다. 실제로 유족들의 위로가 되었다 "라고 말한다.

◆「양국 관계의 돌파구에」 기대하는 목소리도
 하지만 12년, 당시의 이명박대통령이 다케시마(독도톡토)에 상륙해 한일관계는 급격히 식혀 일본 측은 유골반환을 향한 대화를 중단했다. 한국에서는 15년에 위원회가 해산해 유골문제 해결은 추진력을 잃는다.
 전출 담당자는 “(유골 반환은) 한국이 일본을 공격하는 문제는 아니다. 함께 해야 하는 공동의 과제”라고 반환 협상의 재개를 요구한다.
 "아시아 평화와 역사 연구소"이신철이신철소장도 유골 반환은 전 징용공 문제와 달리 한일의 대립점인 청구권 문제가 얽히지 않는다고 지적. 양 정부가 우키시마마루의 유골문제에 임하면 "관계 개선을 위한 대화의 의지를 보여줄 수 있다. 양국 관계의 돌파구가 된다"고 제기한다. (서울·키노시타 대자)



===

東京の寺に眠る父、韓国に帰る日は…終戦直後に輸送船沈没 いまだ返還実現しない275人の遺骨
2022年8月21日 06時00分
望郷の遺骨 浮島丸と日韓㊤



東京都目黒区の祐天寺=中沢穣撮影
 終戦直後の1945年8月24日、朝鮮半島に帰郷する労働者ら数千人を乗せた輸送船浮島丸が、京都府舞鶴沖で爆発、沈没した。命を落とした朝鮮半島出身者のうち275人の遺骨が、東京都目黒区の祐天寺に残されている。戦後77年を経ても、韓国の遺族が願う遺骨返還は実現していない。(ソウル・木下大資)


 浮島丸事件 朝鮮半島から徴用などで動員され、帰還しようとする朝鮮人ら数千人を乗せて青森県大湊港から現在の韓国・釜山へ向かっていた日本海軍の輸送船浮島丸(4730トン)が1945年8月24日、京都府の舞鶴湾内で爆発、沈没した。当時の日本側の発表では朝鮮人524人と乗組員25人が死亡した。

◆父の名が記された箱
 韓国南西部全州チョンジュに住む全承烈チョンスンヨルさん(80)は2006年に祐天寺を訪れ、父の名が記された箱に入った遺骨と対面した。内袋を開け、硬い骨の感触も確かめた。「日本に連れていかれた父を故郷に埋めてやりたい」との思いがこみあげた。


2006年、東京都目黒区の祐天寺で、父の名が記された遺骨の箱を抱える全承烈さん。遺骨は今も同寺にある=本人提供
 全州で酒造会社を営んでいた父は戦時中に動員され、青森県大湊の海軍施設で働かされた。終戦で帰郷しようと浮島丸に乗り、事件に巻き込まれた。
 しかし全さんが対面した遺骨は、父のものではない可能性がある。浮島丸沈没後、海中から一部の遺体を引き揚げ、まとめて火葬したためだ。遺骨は誰のものか特定されないまま箱に分けられた。爆発原因についても、米軍が敷設した機雷に接触した説などがあるが、韓国では生存者の証言などから日本側が故意に爆破したとみられている。
 日本に対する強い不信感を背景に、韓国の遺族は長年、日本政府の再調査や謝罪がなければ、個別の遺骨の返還は受け入れないとの立場だった。しかし時の流れとともに、高齢化した遺族に感情の変化が見える。

◆「謝罪がほしかった」しかし…
 全さんは、父の顔を知らない。父は戦時中、1歳くらいだった全さんを抱いた妻に「しっかり育ててくれ」と告げ、日本人警察官に連れていかれた。日本のために働かされ、二度と郷里には戻れなかった。


韓国・全州で7月29日、祐天寺を訪問した際の写真を見る全承烈さん=木下大資撮影
 「日本政府の謝罪がほしかった」。そう語る全さんら遺族は1992年、日本政府の謝罪や損害賠償などを求めて京都地裁に提訴した。一審は日本政府に賠償を命じたが、大阪高裁は原告の要求をすべて退け、最高裁も高裁判決を支持して確定している。
 高裁判決当時の新聞は、全さんが会見で日本への激しい怒りをぶちまける様子を伝えた。しかし全さんは「今となっては、あの時の怒りの感情を表現することはできない」と話す。
 浮島丸事件の遺族団体代表の韓永龍ハンヨンヨンさん(78)=慶尚南道キョンサンナムド居昌コチャン=も「遺族たちは高齢になった。親に顔向けできるよう、死ぬ前に遺骨を祖国に迎えたい」との意向を語る。
 日本側が524人とする朝鮮人死者数は韓国では数千人と考えられており、祐天寺にある遺骨箱に親の名前がない遺族もいる。韓さんには、舞鶴沖の海底に残されているであろう遺体を捜し、DNA鑑定で遺骨の身元を突き止めてほしいという思いは今もある。しかしまずは返還を優先させたいという考えに傾く。

◆日韓関係が冷え込んだ10年
 日本政府は、国内で収集した朝鮮半島出身の軍人・軍属らの遺骨を祐天寺に委託して保管してきた。2008〜10年には日韓政府間の協議の末、祐天寺にあった423人の遺骨が4回にわけて韓国に返還された。戦後77年の今も残るのは、日本と国交のない現在の北朝鮮出身者425人分と、浮島丸関係の遺骨だけになった。
 日韓関係が冷え込んだこの10年間、返還をめぐる協議は止まっている。遺族らの焦燥感は強い。昨年4月には韓国大統領府や在韓日本大使館に対し、遺骨を安置して追悼できる公園を韓国内に整備した上で、遺骨の返還を実現してほしいと要請した。
 全さんは「ともに遺骨を迎える場があれば、遺族は親の遺骨のかけらでも入っているという気持ちで訪れるでしょう」と意義を訴える。韓さんも「日韓の仲が悪くても、両政府は遺骨問題に人道的次元で取り組んでほしい」と語る。

【関連記事】日本企業の資産現金化、回避模索か 元徴用工訴訟で韓国大統領 歴史問題も「より円満に早く解決」
【関連記事】信頼回復に動き出す日韓 支持率低下に焦る韓国 日本の保守層は強い不信も
【関連記事】日本統治時代の100年前の銭湯がカフェに 韓国・甘浦 「首都圏とは異なる価値観」と若者に人気



関連キーワード


==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