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라마츠 타케지
무라마츠 다케시 (무라마츠 타케시) | |
---|---|
탄생 | 1924년 7월 일본 제국 의 수도 |
사망 | 1993년 8월 28일 (만 69세몰) |
직업 | 시인 |
언어 | 일본어 |
국적 | 일본 [1] |
최종 학력 | 경성중학교 |
활동기간 | 1957년 -1988 년 |
장르 | 시 |
걸작 | 『조선해협 콜론의 비석』(1965년) 『조국을 가지는 것 없는 것』(1977년) [2] |
데뷔작 | 『무서운 님프들』(1957년) |
무라마츠 다케시 (무라마츠 타케시, 1924년 < 다이쇼 13년> 7월 - 1993년 < 2008 년> 8월 28일 )는 일본 의 시인 , 한센병 문제 운동가. 조선 · 경성부 (후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출신. 시인으로서의 생업에 더해, 한일 문제 , 한센병의 문제에 임한 인물 [2] .
인물력 [ 편집 ]
제2차 세계대전 중인 1944 년 ( 쇼와 19년)에 소집을 받아 경성부의 사단에 입영. 종전 후인 1945년 (쇼와 20년) 10월, 일가에서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시 로 끌어올렸다. 다음 1946년 (쇼와 21년)에 상경, 시인으로서의 활동을 시작했다. 메이지 이후 한센병 시인들과 진지하게 사귀는 최초의 시인인 오에 만웅 이나 아키야마 세이 , 쓰루미 슌스케 등 시인·문인 들 과도 교류했다 .
1964년 (쇼와 39년) 11월, 한센병 요양소인 국립 요양소 쿠리세이 라쿠센엔 ( 군마현 구사 쓰쵸)의 시인 단체·쿠리세시 화회에 있어서, 이데 노리오 의 후임의 선자로서 시인들의 지도를 실시한다 , 동회의 합동시집 『구마자사의 열매』 『골편문학』 등의 편집 해설도 맡았다. 1976년 5월에는 한센병문학의 서적 출판을 위해 이화서방을 설립. 1979년 (쇼와 54년)에는 『하늘한 고향 라이와 조선의 문학』을 간행했다. 1982년 (쇼와 57년), 한센병 원호 단체인 후지카다 협회의 30주년에 있어서 감사장을 받았다 [3] .
서울 출신자로서 일조 문제·한일 문제에도 임해, 1962년 (쇼와 37년)에는 잡지 “조선 연구”에 “조선 식민자”를 연재한 것 외, 1972년 (쇼와 47년)에는 평론집 '조선 식민자 한 메이지인의 생애'를 집필했다. 1983년 (쇼와 58년)에는 쿠리세이 낙천원의 한국인인 가야마 스에코 의 시집 『구사쓰 아리랑』의 해설을 집필했다 [3] . 이러한 노력은 시인의 모리타 진 에 의해 높이 평가되고 있다 [4] .
만년에는 쿠리세이 라쿠센원의 한센병 회복자의 시인· 사쿠라이 테츠오 의 3권째의 시집을 기획해, 병상에서 「반드시 내가 발행한다」라고 말하고 있었지만, 그 뜻을 완수하지 않고, 1993년 ( 헤세이 5년)에 사망했다. 몰 연령 69세. 구리시 시화회의 선수는, 전술의 모리타 진이 계승했다 [5] .
저작 [ 편집 ]
- 『무서운 님프들』동성사 , 1957년 2월. NCID BA90957611 .
- "시: 대한 해협" , 오야마 서점 , 1960년 5월. NCID BA64310001 .
- 『조선해협 콜론의 비』 동성사, 1965년 12월. NCID BA61107012 .
- 『조선 식민자 한 메이지인의 생애』삼성당〈Sanseido books〉, 1972년 3월. NCID BN02872525 .
- 『조국을 가지는 것 없는 것』 동성사, 1977년 5월. NCID BN07526587 .
- 『하늘한 고향 라이와 조선의 문학』 류세이샤, 1979년 3월. NCID BN01874059 .
- 『시집·1960년 출발』 쇼세이샤, 1988년 1월. NCID BB06620574 .
- 『증보 하루카 고향 라이와 조선의 문학』(사이토 마리코편) 료세이샤, 2019년 1월. NCID BB27627935 .
각주 [ 편집 ]
- ^ 사쿠라이 테츠오『무궁화초 사쿠라이 테츠오 시집』토요일 미술사 출판 판매 , 1994년 5월 31일, 55페이지. ISBN 978-4-8120-1335-9 .
- ^ a b 안노 광아「무라마츠 무사 한일과 한센병에 목숨을 건 시인」 「주간 아사히」 제117권 제54호, 아사히 신문사 , 2012년 11월 23일, 104페이지, NCID AN10051537 .
- ↑ a b c 모리타 진「시와 한센병」토요일 미술사 출판 판매 <「신」시론·에세 문고>, 2003년 6월 30일, 63-65쪽. ISBN 978-4-8120-1399-1 .
- ↑ “신간 소개 “시와 한센병””. 오키나와 타임스 조간 (오키나와 타임스사): p. 19. (2003년 8월 9일)
- ↑ 사쿠라이 1994 , pp. 107-108.
村松武司
村松 武司 (むらまつ たけし) | |
---|---|
誕生 | 1924年7月 大日本帝国 京城府 |
死没 | 1993年8月28日(満69歳没) |
職業 | 詩人 |
言語 | 日本語 |
国籍 | 日本[1] |
最終学歴 | 京城中学校 |
活動期間 | 1957年 - 1988年 |
ジャンル | 詩 |
代表作 | 『朝鮮海峡 コロンの碑』(1965年) 『祖国を持つもの持たぬもの』(1977年)[2] |
デビュー作 | 『怖ろしいニンフたち』(1957年) |
村松 武司(むらまつ たけし、1924年〈大正13年〉7月 - 1993年〈平成5年〉8月28日)は、日本の詩人、ハンセン病問題運動家。朝鮮・京城府(後の大韓民国ソウル特別市)出身。詩人としての生業に加え、日韓問題、ハンセン病の問題に取り組んだ人物[2]。
人物歴[編集]
第二次世界大戦中の1944年(昭和19年)に召集を受けて、京城府の師団に入営。終戦後の1945年(昭和20年)10月、一家で山口県下関市へ引き上げた。翌1946年(昭和21年)に上京、詩人としての活動を始めた。明治以後にハンセン病詩人たちと真摯に付き合った最初の詩人である大江満雄や、秋山清、鶴見俊輔といった詩人・文人たちとも交流した[3]。
1964年(昭和39年)11月、ハンセン病療養所である国立療養所栗生楽泉園(群馬県草津町)の詩人団体・栗生詩話会において、井手則雄の後任の選者として詩人たちの指導を行ない、同会の合同詩集『くまざさの実』『骨片文学』などの編集解説も務めた。1976年5月にはハンセン病文学の書籍出版のため、梨花書房を設立。1979年(昭和54年)には『遥かなる故郷 ライと朝鮮の文学』を刊行した。1982年(昭和57年)、ハンセン病援護団体である藤楓協会の30周年にあたって感謝状を受けた[3]。
ソウル出身者として日朝問題・日韓問題にも取り組み、1962年(昭和37年)には雑誌『朝鮮研究』に「朝鮮植民者」を連載したほか、1972年(昭和47年)には評論集『朝鮮植民者 ある明治人の生涯』を執筆した。1983年(昭和58年)には栗生楽泉園の韓国人である香山末子の詩集『草津アリラン』の解説を執筆した[3]。これらの取り組みは詩人の森田進によって高く評価されている[4]。
晩年には栗生楽泉園のハンセン病回復者の詩人・桜井哲夫の3冊目の詩集を企画し、病床で「必ず私が発行する」と語っていたが、その志を果たせず、1993年(平成5年)に死去した。没年齢69歳。栗生詩話会の選者は、前述の森田進が引き継いだ[5]。
著作[編集]
- 『怖ろしいニンフたち』同成社、1957年2月。 NCID BA90957611。
- 『詩・朝鮮海峡』小山書店、1960年5月。 NCID BA64310001。
- 『朝鮮海峡 コロンの碑』同成社、1965年12月。 NCID BA61107012。
- 『朝鮮植民者 ある明治人の生涯』三省堂〈Sanseido books〉、1972年3月。 NCID BN02872525。
- 『祖国を持つもの持たぬもの』同成社、1977年5月。 NCID BN07526587。
- 『遥かなる故郷 ライと朝鮮の文学』皓星社、1979年3月。 NCID BN01874059。
- 『詩集・一九六〇年出発』晧星社、1988年1月。 NCID BB06620574。
- 『増補 遥かなる故郷 ライと朝鮮の文学』(斎藤真理子編)皓星社、2019年1月。NCID BB27627935。
脚注[編集]
- ^ 桜井哲夫 『無窮花抄 桜井哲夫詩集』土曜美術社出版販売、1994年5月31日、55頁。ISBN 978-4-8120-1335-9。
- ^ a b 安野光雅「村松武司 日韓とハンセン病に命をかけた詩人」『週刊朝日』第117巻第54号、朝日新聞社、2012年11月23日、 104頁、 NCID AN10051537。
- ^ a b c 森田進 『詩とハンセン病』土曜美術社出版販売〈「新」詩論・エッセー文庫〉、2003年6月30日、63-65頁。ISBN 978-4-8120-1399-1。
- ^ “新刊紹介「詩とハンセン病」”. 沖縄タイムス 朝刊 (沖縄タイムス社): p. 19. (2003年8月9日)
- ^ 桜井 1994, pp. 107–108.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