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
- 선사·고대 1권
- 선사·고대 2권
- 선사·고대 3권
- 선사·고대 4권
- 선사·고대 5권
선사·고대 5권
====
제1편. 백제의 해체와 부흥전쟁의 진원
제1장. 백제의 붕괴와 부흥전쟁의 전개
1. 흥망성쇠의 기로에서
2. 백제 부흥세력과 사비 탈환 노력
3. 나·당군의 반격과 부흥운동의 확산
4. 부흥세력의 중심지와 주류성
5. 부흥운동과 ‘전라도’
제2장. 백제-왜와 신라-당의 동아시아 국제전
1. 왜의 참전과 백제-왜 연합군 결성
2. 백강구 해전과 주류성 전투
제3장. 백제유민의 ‘왜국’으로의 집단이주와 ‘일본’의 탄생
1. 왜국 내 백제·고구려유민의 존재
2. 동아시아 정세의 전환
3. 백제유민의 집단이주와 오사카
4. 백제유민의 집단이주와 오미, 도고쿠
5. 백제유민과 일본의 탄생
제2편. 고구려 부흥의 모색과 신라의 삼한일통
제1장. 고구려 부흥군과 신라의 연합, 당과의 전쟁
1. 고구려 부흥전쟁의 시기 구분
2. 고구려유민의 부흥전쟁 전개
3. 한성 고구려국 재건과 신라와의 연합
4. 고구려 부흥운동의 종식
제2장. 고구려 부흥군의 금마 이주와 보덕국
1. 백제후기 거점 금마저의 성격
2. 익산 보덕국 관련 공간 검토
3. 신라의 고구려 유민 보덕국 활용
4. 익산지역에 남겨진 고구려문화
제3장. 고구려 유민의 저항과 백제지역으로의 분산, 유민인식
제3편. 신라의 지방 편제와 대민 지배
제1장. 백제고지와 유민에 대한 신라의 편제와 운영
1. 신라의 백제고지 확보과정
2. 백제고지에 대한 신라의 편제와 운영
3. 백제유민에 대한 신라의 편제와 운영
제2장. 9주 5소경체제와 완산주, 무진주, 남원소경
1. 통일신라의 지방 9주 5소경 편제
2. 완산주의 편제
3. 무진주의 편제
4. 남원소경의 편제
제3장. 주치공간과 소경공간의 고고학적 특성
1. 무진주, 완산주의 구조에 대한 고고학적 검토
2. 남원소경의 구조에 대한 고고학적 검토
제4편. 장보고와 청해진의 해상 경영
제1장. 선사·고대 서남해 연안의 해상활동과 거점
1. 선사·고대 서남해 연안의 해상활동
2. 선사·고대 서남해 연안의 해상활동 거점
제2장. 장보고의 청해진과 해상경영
1. 재당 시절 장보고의 성취
2. 청해진의 설치와 그 성격
3. 청해진의 해양 경영
4. 장보고의 암살과 그 후
제3장. 동아시아 해상교역과 서·남해 연안의 해상세력
1. 해상교역의 기반
2. 교역의 여러 양상
3. 서·남해 연안의 해상세력
제5편. 고승들의 족적, 선종산문의 태동
제1장. 진표의 미륵, 지장점찰신앙과 신라의 화엄사
1. 진표의 생애와 구도
2. 진표의 미륵·지장·점찰신앙
3. 미륵점찰신앙과 왕실교화
4. 진표 제자의 활동과 신앙 중심지의 변화
5. 진표의 미륵신앙과 신라의 화엄사찰
제2장. 도당유학승과 선종의 수용
1. 입당유학 배경과 입당 방법
2. 화엄에서 선종으로 사상적 전회
3. 선종 수용을 통한 신라 불교계에 새로운 문화 보급
4. 남종선 수용의 의의
제3장. 전라도 지역 선종산문의 출현
1. 중국 선종의 흐름과 사자상승
2. 홍척과 실상산문의 성립
3. 혜철과 동리산문의 성립
4. 도의와 체징, 가지산문의 성립
5. 산문으로 기록되지 않은 사찰들
제6편. 차별과 저항, 새로운 동력의 중심
제1장. 신라 하대의 정치 사회적 혼란
1. 진골 귀족의 분열과 왕실 약화
2. 귀족의 대토지 소유와 농민 반발
3. 지방 통제력 약화와 호족 등장
제2장. 김헌창의 거병과 완산주, 무진주
1. 경주 중심 정국 운영과 반신라 기운 고조
2. 백제 정체성 표출과 새 왕조 건설 표방
3. 김헌창 거병의 실패와 의의
제3장. 흥덕왕 이후 정치사회와 전라도 지역민의 대응
1. 흥덕왕 이후 정치사회
2. 전라도 지역민의 대응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