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10-21

식민지 근대의 심상지리와 {문장}과 기행문학의 조선표상

식민지 근대의 심상지리와 {문장}과 기행문학의 조선표상


식민지 근대의 심상지리와 {문장}과 기행문학의 조선표상
The Mental Geography of Colonial Modernity and the Choseonness represented in the Travel Literature of Munjang Group's

민족문학사연구
약어 : 문사연
2006, vol., no.31, pp. 64-93 (30 pages)
발행기관 : 민족문학사학회
연구분야 :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박진숙 /Park, Jin-sook 1
1충북대학교
KCI등재
초록close
일제의 동화정책의 궁극적인 목적은 식민지 조선인의 일본화에 있었다. 조선총독부는 고적조사보존사업을 통해 타율성론과 동조동근론을 강조하고자 했으나, 이 정책이 식민지 조선인에게 수용되는 양상은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낳기도 했다. 특히 문장 파 문학의 대표라 일컬어지는 이병기, 정지용, 이태준의 기행문학을 보면 이 정책이 어떻게 수용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 고적조사보존사업 이후 경주, 부여, 평양 등이 관광명소가 되는 과정은 한국문학 속에서 기행이라는 장치로 시, 시조, 소설, 산문 속에 투영된다. 이병기의 기행문과 시조에서는 제국주의가 구축하고자 한 심상지리가 민족적인 것을 추구하는 공간으로 재영역화하고 있는 양상을 볼 수 있다. 정지용은 의식적으로 조선적인 것에 대한 추구를 보여주기보다는 무용가 조택원에 대한 감상을 통해 절제되면서도 강인한 아름다움 으로 조선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태준의 패강냉, 석양, 왕자호동은 평양, 경주를 배경으로 쓰여진 소설이다. 이 작품들을 통해 이태준은 식민지 근대의 심상지리, 즉 제국주의의 심상지리와 식민지인의 민족 심상지리가 어떻게 공존하는가를 잘 보여주고 있다.

The Mental Geography of Colonial Modernity and the JoseonessRepresented in the Travel Literature of Munjang Groups;

Park, Jin-Sook

The ultimate purpose of Japan’s assimilation policy in the colony Korea was Japanization of al Koreans.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tried to emphasize that Korean history was not autonomous and that the Koreans shared ancestors and origins with the Japanese by ‘Kojeokjosapojonsaeop(古蹟調査保存事業; the Research and Preservation Project of Korean Historic Spots)’, which brought about unexpected results. We can see the process how the Koreans adopted that preoject by reading the travel literature of Le, Pyeong-gi, Jeong, Ji-yong, Lee, Tae-jon, who were called the representative writers of a literary magazine Munjang(文章, the Sentence). After the project, a few cities like Kyeongju, Puyeo, Pyeongyang which had once ben the capitals of Korean old dynasties were transformedto tourist attractions. These changes were reflected by such branches of Korean literature aspoems, three-verse Korean poems, novels, esays in the form of travelogue. We can notify in the travel sketches and 92t h e t h r e - v e r s e K o r e a n  p o e m s o f L e , P y e o n g - g i  t h a t  h e r e - t e r itorialized the mental geography contstructed by imperialist Japan into the Korean national space. Jeong, rather than pursue ‘the Joseonness’ consciously, preferred to represent Korea with a tenacious and tempered beauty, as was achieved in the review essay about the male dancer Jo, Taek-won. Such novels like Paegang-laeng(浿江冷; Coldnes of Daedong-river), Seokyang(夕陽; the Setting Sun), Wangja Hodong(王子好童 : the Prince Hodong) were written after Lee, Tae-Joon had traveled Pyeongyang and Kyeongju or had Pyeongyang as a background. These novels demonstrated wel enough how the mental geography of colonial modernity, or synthesis of imperialist mental geography and colonized people’s one was being made and maintained.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