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로왕의 생애에 대해 궁금합니다 .. - Daum 팁
김수로왕의 생애에 대해 궁금합니다 ..
---
[^-^* 알지¿내마음─。]| 2010.06.06 22:50 수정됨 |조회 11,159|신고나도궁금답변하기
---
답변
김수로왕
?∼199. 가락국(또는 金官伽倻)의 시조. 재위 42∼199. 수릉(首陵)이라고도 한다. 김해김씨의 시조이다. 탄생과 치적에 관해서는 ≪삼국유사≫에 실린 〈가락국기〉에 전하는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아직 나라가 없던 시절에 가락 지역에서는 주민들이 각 촌락별로 나뉘어 생활하고 있었는데, 3월 어느 날 하늘의 명을 받아 9간(九干 : 族長) 이하 수백 명이 구지봉(龜旨峰)에 올라갔다. 그 곳에서 하늘에 제사 지내고 춤추고 노래하자 하늘에서 붉은 보자기로 싼 금빛 그릇이 내려왔는데, 그 속에는 태양처럼 둥근 황금색 알이 6개 있었다.
12일이 지난 뒤 이 알에서 남아가 차례로 태어났는데, 그 중 제일 먼저 나왔기 때문에 이름을 수로라 하였다. 주민들은 수로를 가락국의 왕으로 모셨고, 다른 남아들은 각각 5가야의 왕이 되었다. 이 때가 42년(후한 건무 18)이었다고 한다.
수로는 즉위 후 관직을 정비하고 도읍을 정해 국가의 기틀을 확립하였다. 그리고 천신의 명을 받아 배를 타고 바다를 건너온 아유타국(阿踰厄國)의 왕녀 허황옥(許黃玉)을 왕비로 맞이하였다. 157년을 재위하다가 죽었는데, 아들이 그 뒤를 이어 거등왕이 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신화적 내용이어서 사실로 보기는 어렵다. 그런데 이 신화는 구조상으로 볼 때, 신성한 왕권의 내력을 풀이한 천강난생(天降卵生) 신화로서 한국 고대 국가 성립기에 흔히 보이는 건국 시조 신화와 궤를 같이하고 있다.
이에 대해 학자들은 황금빛 천강 등으로 상징되는 북방으로부터 이주해 온 유이민 집단이 낙동강 하구 유역의 토착 선주민들과 결합해 초기 국가를 형성했던 사실을 반영하는 것으로 풀이하기도 한다. 아울러 수로가 6개의 알 중에서 제일 먼저 나왔다는 표현은 가락국(금관가야)을 중심으로 가야 제국을 통합하려는 의식을 반영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이 신화에서 3월에 목욕 재계하고 잡스러움을 떨쳐 버리는 발계(量擧) 의식을 거행한 뒤, 구지봉과 같은 성스러운 곳에 모여 하늘에 제사하고 춤과 노래로 의식을 베풀어 한 해의 풍요와 안녕을 기원하며, 그 곳에서 집단의 수장(首長)을 선출하고, 이 때 뽑힌 수장은 하늘로부터 권위를 부여받는 것으로 여겼던, 국가체 형성 이전 단계의 소박한 사회 풍속과 정치 운영의 일면을 찾아볼 수 있다.
수로왕이란, 곧 이러한 단계에서 김해 지역에 존재했음직한 수장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수로왕은 금관가야가 신라에 합병된 후에도 가야의 시조로서 계속 봉사(奉祀)되었다. 문무왕은 수로왕릉의 위전(位田)을 설치해 후손에게 능묘의 제례를 계속하게 했으며, 그것은 고려시대에 와서도 계속되었다. 최치원의 〈석이정전 釋利貞傳〉에서는 금관가야의 시조를 뇌질청예(惱窒靑裔)라고 해 서로 비교가 된다.
1. 김수로왕 신화
구지가(龜旨歌)
거북아 거북아
머리를 내밀어라
내밀지 않으면
구워서 먹을 테다
龜何龜何 首其現也 (구하구하 수기 현야)
若不現也 燔灼而喫也 (약불현야 번작이끽야)
<구지가>는 가장 오래된 우리 옛 노래 3편 중 하나이다.
김해(金海)에 있는 구지봉(龜旨峰)은 가야 사람들에게는 성스러운 땅[聖地]이다. 매년 3월이면 온 나라사람들이 여기에 모여 하늘에 제사를 지냈다. 아직 임금이 없이 아홉 명의 부족장이 백성을 다스리고 있던 후한 건무 18년 3월에 추장들은 국민들을 구지봉에 모이게 한 후 <구지가>를 합창시켰다.
이것은 “우리에게 임금을 달라.”는 뜻의 위압적이고 명령적인 노래이다. 주술적인 노래일수록 고대에는 강요와 협박의 성격을 띠었다. 300여명의 민중이 미친 듯이 춤을 추며 이 노래를 불러댈 때, 하느님이 얼마나 지겨웠을까?
드디어 하늘로부터 자색의 끈이 구지봉 위에까지 드리웠다. 끈에는 붉은 천에 쌓인 황금의 상자가 달려 있었다. 그 상자를 열어 보니 황금알 6개가 둥근 해처럼 가지런히 담겨 있었다. 민중들은 모두 놀랐으나 즐거웠다. 환성이 온 가락국에 울리었다. 그들은 하늘에서 내려온 기적의 알에 경배하였다. 부족장들은 민중을 해산시키고 금상자를 높은 자리에 모셔두었다.
며칠 후에 그 알에서 한결같이 귀여운 옥동자가 깨어났다. 그 중에 제일 큰 아이가 수로왕이요, 나머지 다섯 명도 각각 왕이 되었으니 이 분들이 6가야의 시조들이다. ‘수로왕(首露王)이란 “머리를 내놓았다”는 뜻이라고 일연스님은 <삼국유사>에서 설명하고 있다.
수로왕의 신화는 여기에서 머무르지 않고 그의 결혼까지 이어진다. 왕비는 인도의 아유타(阿踰陁) 왕국의 공주 허황옥(許黃玉)이다. 수로왕은 고국을 떠나 이국에 온 공주의 외로움을 위로해주기 위해 둘째 왕자에게 어머니의 성인 허씨를 물려주었다. 그래서 지금도 김해김씨와 김해허씨는 혼인을 안 한다고 한다.
이 노래는 제정 일치 시대의 신을 맞이하는 의례에서 사용된 무가(巫歌)일 것이 분명하다. 하지만 흙을 쥐고 발을 구르며 불렀다는 기록으로 보아 현실적으로는 노동 가요일 가능성도 있다. 또한 수로부인(水路夫人)의 전설에 나오는 <해가(海歌)>와 비슷한데, 이 같은 스타일의 노래가 우리나라 남해안으로부터 동해안까지 널리 퍼져 있었던 것 같다.
이 노래도 여러 가지로 해석이 가능하다. 어떤 학자는 거북은 “검” 곧 “신(神)”이라고 풀이했다. 그렇게 되면 “”거북아, 거북아. 머리를 내어라.“는 “신이여, 신이여 우리에게 머리(우두머리, 즉 왕)를 주세요.”라는 뜻이 된다는 것이다. 재미있는 해석으로는 거북을 남성의 성기를 상징하는 것으로 보는 학자도 있다. 이 노래는 남성을 유혹하는 여성의 노래, 즉 원시사회에서 지신족(地神族)이 천신족(天神族에) 대해 동맹을 요청하는 것을 여자가 남자에게 구애하는 것으로 비유한 것이다.
2. 김수로왕 신화의 의미
첫째. 가야 김수로왕 건국신화가 담겨있는 가락국기가 편찬된 고려시대부터 6가야라는 의식이 자리잡혔다는 것입니다. 본래 가야는 변한지역으로 12개 또는 13개 국가가 존재했고, 가야라는 연맹체들이 자리 잡았을 때에도 6개 이상의 세력들이 존재했지만, 후대에 들어와서는 6가야가 있었다는 관념이 자리잡혔음을 알 수 있습니다.
둘째로는 고려시대에 기록될 무렵에는 변형되었지만, 고려 이전부터 전해지던 이야기가 있었을 겁니다. 물론 가야가 존속했을 때 부터일 겁니다. 그런데 김수로왕 한명이 내려온게 아니라 6명이 내려왔다는 것에서 금관국이 그 지역을 통괄하는 강력한 세력이 되지 못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셋째는 김수로왕과 허왕후의 혼인 기사를 통해 외부에서 온 두 집단의 결속이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9간이 김수로왕에게 자신들의 여식(여자 자손)에서 한명을 골라 혼인할 것을 간청하지만 김수로왕은 이를 거부하고 신이 점지해 줄 여인을 기다립니다. 그리고 허왕후가 와서 두 사람은 혼인하게 됩니다. 이는 김수로왕의 세력이 김해 지역으로 들어왔을 때 토착세력인 9간 세력이 김수로왕의 세력과의 결합을 시도했지만, 김수로왕의 세력은 이를 거부하고 허왕후 세력과 결합하여 토착세력인 9간 세력을 통치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허왕후 세력이 계속 왕후족으로 등장하고, 어느 왕이 허씨가 아닌 다른 여인과 혼인을 했다가 왕위에서 폐위될 위기에 처하는 다른 기록을 통해 증명됩니다.
넷째로는 김수로왕과 석탈해의 왕위 쟁탈전의 기사를 통해 김해 지역에 김수로왕 세력과 허왕후 세력외에 또다른 외부 세력이 진입을 시도했다가 실패하고 다른 곳(김수로왕 건국신화에서는 신라 방면)으로 쫒겨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3. 김수로왕 관련 전설
무척산에 대한 전설
가락왕을 장사지낼 때에 물이 자꾸만 고이므로 신보라는 신하가 ‘고을 높은 산에 못을 파면 이 능 자리에 물이 없어지게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한다. 그의 말대로 무척산 위에 못을 파니 물이 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 때 판 연못이 지금의 천지다. 무척산 중턱의 거대한 암벽 아래의 기암괴봉 사이에 어머니의 은혜라는 뜻의 모은암이 있다
물고기에 대한 전설
인류학자 김병모(金秉模) 선생이 쓴 <김수로 왕비 허황옥: 쌍어의 비밀>이라는 책에서 밝힌 바에 의하면, '가라'는 '물고기, 물'이라는 뜻이라 한다. 김 선생은 김해 김씨와 김해 허씨의 조상인 김수로왕과 허황옥이 어디에서 왔는지를 찾기 위하여 전설상의 아유타국을 찾아 세계 지도를 뒤져 '아유타, 아유다, 아요디아, 어유타, 어유다' 등으로 표기된 곳들을 탐사했는데, 놀랍게도 '아유타'라는 지역마다 두 마리의 물고기 무늬를 발견하였다고 한다.
곧, 김해에 있는 김수로 왕의 능에는 두 마리 물고기가 조각되어 있고, 그 뒤 편 신어산의 '신어사(神魚寺)'에서도 두 마리의 물고기 무늬가 있으며, 허황옥이 왔다고 전하는 인도의 아유타, 태국의 아유타, 중국 양자강 유역의 '보주(普州: 지금의 사천성 안악현: 허 황후는 보주태후로 기록되어 있는데, 김 교수가 가보니, 이곳엔 지금도 허씨들이 집성촌을 이루어 살고 있다고 한다.)'에서도 두 마리의 물고기 무늬를 발견하였다고 한다. 이 책에서 김 선생은 언어학자 강길운(姜吉云) 교수의 "가야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I"이라는 논문에서 '가락(Karak)'은 옛 드라비다어로, 물고기를 뜻하는 것이고, '가야(Kaya)'는 지금의 드라비다어로 물고기라는 뜻을 알았다고 한다
“김수로왕 부인 인도인 가능성 매우 커”
대가야국 김수로왕의 부인인 허황후가 인도에서 건너왔다는 설화가 사실일 수 있다는 과학적 증거가 제시됐다.서울대 의대 서정선 교수와 한림대 의대 김종일 교수는 최근 강원 춘천시에서 열린 한국유전체학회에서 “약 2,000년 전 가야시대 왕족의 것으로 추정되는 유골을 분석한 결과 인도 등 남방계와 비슷한 유전정보를 갖고 있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우리 민족의 기원이 북방단일설이 아니라 북방·남방계가 합쳐진 이중기원설일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김교수는 학회 발표에서 “허황후의 후손으로 추정되는 김해 예안리 고분 등의 왕족 유골에서 미토콘드리아 DNA를 분석해보니 인도인의 DNA 염기서열과 가까워 이들이 남방 쪽에서 건너왔을 가능성이 높다”면서 “유골 4구 가운데 1구에서 이같은 결과를 얻었으며 나머지 3구의 유골을 더 연구하면 정확한 결과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토콘드리아는 모계로 유전되는 세포소기관으로 미토콘드리아 DNA는 가계도 조사와 진화 연구에 많이 활용된다. 한국인의 기원 연구 작업 중에 유골의 유전물질을 분석해 데이터를 낸 것은 처음이다.
서교수는 “유골에 있는 DNA가 문화인류학에서 규명하지 못했던 사실을 밝혀내는 유용한 연구수단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삼국유사에 의하면 허황후는 인도 아유타(阿踰陀)국의 공주로 48년(유리왕 25년) 배를 타고 대가야국에 와서 왕비가 됐으며 김해 허씨의 시조가 됐다고 전해 내려오고 있다.
가락국(또는 金官伽倻)의 시조. 재위 42∼199. 일명 ‘수릉(首陵)’이라고도 한다. 김해김씨(金海金氏)의 시조이다.
탄생과 치적에 관하여는 《삼국유사》에 실린 〈가락국기〉에 전해지고 있는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아직도 나라가 없던 시절에 가락지역에서는 주민들이 각 촌락별로 나뉘어 생활하고 있었는데, 3월 어느날 하늘의 명을 받아 9간(九干:族長) 이하 수백명이 구지봉(龜旨峰)에 올라갔다.
그곳에서 그들이 하늘에 제사지내고 춤추고 노래하자 하늘로부터 붉은 보자기에 싸여진 금빛그릇이 내려왔는데, 그 속에는 태양처럼 둥근 황금색의 알이 여섯개 있었다.
12일이 지난 뒤 이 알에서 남아가 차례로 태어났는데, 그 중 제일 먼저 나왔기 때문에 이름을 수로라 하였다고 한다. 주민들은 수로를 가락국의 왕으로 모셨고, 다른 남아들은 각각 5가야의 왕이 되었다.
이때가 42년(후한 건무 18)이었다고 한다. 수로는 즉위 후 관직을 정비하고 도읍을 정하여 국가의 기틀을 확립하였다. 그리고 천신의 명을 받아 배를 타고 바다를 건너온 아유타국(阿踰#타47國)의 왕녀인 허황옥(許黃玉)을 왕비로 맞이하였다. 수로왕은 157년을 재위하다가 죽었는데, 그 아들 거등왕이 뒤를 이었다.
그러나 이것은 신화적이어서 그대로 사실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그런데 이 신화는 그 구조상으로 볼 때, 신성한 왕권의 내력을 풀이한 천강난생신화(天降卵生神話)로서 한국고대국가 성립기에 흔히 보이는 건국시조신화와 궤를 같이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학자들은 황금빛 천강 등으로 상징되는 북방으로부터 이주해온 유이민집단이 낙동강 하구유역의 토착 선주민들과 결합하여 초기국가를 형성해나갔던 사실을 반영하는 것으로 풀이하기도 한다.
아울러, 수로가 여섯개의 알 중에서 제일 먼저 나왔다는 표현은 가락국(금관가야)을 중심으로 가야제국을 통합하려는 의식을 반영한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또한, 이 신화에서 3월에 목욕재계하고 잡스러움을 떨쳐버리는 불계의식(#불15#계28儀式)을 거행한 뒤, 구지봉과 같은 성스러운 곳에 모여 하늘에 제사하고 춤과 노래로 의식을 베풀어 한해의 풍요와 안녕을 기원하였으며, 그리고 그곳에서 그들 집단의 수장(首長)을 선출하였고 이때 뽑힌 수장은 그 권위를 하늘로부터 부여받는 것으로 여겼던, 국가체 형성 이전 단계의 소박한 사회풍속과 정치운영의 일면을 찾아볼 수 있다.
수로왕이란, 곧 이러한 단계에서 김해지역에 존재했음직한 수장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수로왕은 금관가야가 신라에 병합된 후에도 가야의 시조로서 계속 봉사(奉祀)되었다.
문무왕은 수로왕릉의 위전(位田)을 설치하여 능묘의 제례를 후손에게 계속하게 하였으며, 그것은 고려시대에 들어와서도 계속되었다.최치원의 〈석이정전 釋利貞傳〉에서는 금관가야의 시조를 뇌질청예(惱窒靑裔)라고 하여 서로 비교가 된다.
닉네임ㅈㅈ
----
| 2012.08.27 수정됨 | 의견 쓰기 |신고
추천추천 11 추천자 목록
김수로왕(金首露王)
가락국의 시조왕 - 가야시대
김수로왕 영정↑
<생애>
김수로왕은 가락국의 시조. <삼국유사>에 전해지는 신화에 의하면 42년에 가락국의
북쪽 구지봉에 6개의 황금알이 하늘에서 떨어졌는데, 반나절 만에 이 알이 모두 사람으로
변하여 6가야국의 왕이 되었다고 한다.
수로는 그 가운데의 한 사람으로 키가 9척이나 되며, 제일 먼저 사람으로 변했기 때문에
수로라는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
그는 금관 가야국의 왕이 되어 관직을 정비하고 도읍을 정하여 국가의 기틀을 확립하였다.
인도 아유타 국의 공주인 허황옥을 왕비로 맞았다고 하며,
199년까지 158세를 사는 동안 그가 이룬 업적도 많았다고 한다.
김해 김씨의 시조이며 능은 경남 김해에 있다.
┗귀여운 ㉵기천㉴┓
----
| 2014.02.12 수정됨 | 의견 쓰기 |신고
가락국의 시조. 금관가야 9부족의 추장인 9간이 김해구지봉에 모였을 때 붉은 보자기에 싸여 하늘로부터 내려온 금합 안에서 해처럼 둥근 황금알 여섯 개를 얻었다. 반나절 만에 여섯 개의 알은 모두 사람으로 화하였는데 수로도 그 중의 한 사람이었다. 처음으로 사람으로 화했기 때문에 '수로'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
별칭 수릉
활동분야 정치
보라돌
----
| 2008.07.18 | 의견 쓰기 |신고
추천추천 3 추천자 목록
답변
이미지 내용
▶▷▶부활하라 고구려의 꿈 ※麗水친구★김지성▶위험물@열손회
A.A.12단계 다물친구인 여수( 麗水)친구 김지성 홈까페로 과거 여수 열손회 까페를 새롭게 개편 하였습니다. 여수(麗水) 친구 김지성은 1968년생으로 A.A. 12단계를 사랑하고 다물 정신으로 중무장하여 A.A의 평온함으로 고구려제국의 부활을 꿈꾸고 있습니다. 또한 중국 동북공정에 맞서며 잃어버린 고구려제국의 영토를 되 찾으려 합니다. 까페지기의 IT능력은 전문가 수준으로 IT강국 대한민국으로 개마군단 고구려제국의 부활을 함께 꿈꾸고 있습니다. 부활하라 고구려의 꿈 @열손회 까페지기 + 지 성 +
cafe.daum.net
이곳에서 역사드라마 재방송 많이 하던데요.
김수로 (남, 1세>13세>18세 이후~)주연:지성
철을 다스려 나라를 세운 운명의 주인
변한 12소국을 통합한 가야 최초의 왕! 북방 유목민족인 제천금인 족장 김융과 정견비의 아들.
의협심 강하고 자유분방한 성격으로 불같이 뜨거운 혁명가적 기질과 적을 마음으로 승복시킬 줄 아는 온화한 카리스마를 겸비한 인물. 단야장의 조방의 아들로 성장, 신탁의 주인공으로 태어나 생모 정견비의 존재를 알지 못한 채 왕이 되기까지 갖은 시련을 겪는다.
평생의 라이벌 이진아시, 석탈해와의 경쟁 끝에 왕이 되고, 강력한 철기 기술을 앞세워 해상왕국의 꿈을 실현시켜 나간다.
---
김수로왕 신화[金首露王神話]
금관 가야의 시조이자 김해 김씨의 시조인 수로왕에 관한 신화.
[배경]
금관 가야의 건국 신화이며 김해 김씨의 시조 신화이다. 천강 난생 신화로 수로의 강림과 가락국의 건국을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다. 고대 국가 성립 시기에 나타나는 다른 시조 신화들과 유사하게 건국의 신성성과 수로의 정통성을 확인하며 북방 이주민 집단과 토착 민간의 결합 과정을 보여 주고 있다. 6개의 알 중에 제일 먼저 태어난 알이 수로왕이 되었다는 것은 금관가야를 중심으로 한 가야 지역의 통합을 염두에 둔 설정이라 할 것이다. 《삼국유사》 권2<가락국기>에 실려 있으며, 고려 제11대 문종 때에 김해 지방의 관리를 지낸 문인이 남긴 글을 일연이《삼국유사》에 옮겼다고 전해진다.
[줄거리]
나라가 없던 시절, 가락 지역에서는 주민들이 촌락별로 나뉘어 생활하고 있었다. 3월 어느 날 하늘의 명을 받아 족장인 구간들과 수백 명의 사람들이 구지봉에 올라 하늘에 제사 지내고 춤추고 노래하자 하늘로부터 붉은 보자기에 싸인 금빛 그릇이 내려왔다. 그 속에는 태양처럼 둥근 황금색의 알이 여섯 개 있었는데 12일이 지난 뒤 이 알에서 남아가 차례로 태어났다. 그 중 제일 먼저 나온 아기를 수로라 하였다. 주민들은 수로를 가락국의 왕으로 모셨고, 김해 김씨의 시조이자 금관가야의 건국자인 김수로왕이 되었다. 다른 남아들도 각각 5가야의 왕이 되었다. 수로는 즉위 후 관직을 정비하고 도읍을 정하여 국가의 기틀을 확립하였다. 그리고 천신의 명을 받아 배를 타고 바다를 건너온 아유타국의 왕녀인 허황옥을 왕비로 맞이하였다. 수로왕은 157년을 재위하다가 죽었는데, 그 후 그의 아들 거등왕이 뒤를 이었다.
[특색]
먼저, 하늘의 신이 아도간 · 여도간 등 9족장들이 부족을 다스리는 부족(9간) 연합 사회의 통치자로서 인간 사회에 내려왔다는 것이다. 두 번째로, 신화 내용이 직접 신으로부터 주어졌다는 것이다. 9간이 거느리고 있는 인간의 무리들이 춤추고 노래하며 왕을 맞는데, 하늘의 신이 시키는 대로 실행하여 신을 맞이한 부분은 김수로왕 신화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마지막으로, 인간 사회가 그를 환영의 극치인 춤과 노래로 스스럼없이 맞아들여 왕으로 삼은, 신맞이 신화라는 데 특색이 있다. 춤과 노래로 받든 신내림 부분은 이 신화가 우리 전통적인 굿과 이어지는 면을 보여 준다.
[의의]
신화 속에 삽입된 <구지가>는 4구체 향가와 비슷한 형식의 고대 가요로 수로를 맞이하기 위하여 부른 집단 주술 무요라 할 수 있다. <영신군가>라 불리기도 하고 땅을 파는 과정에서 부른 노래라 하여 노동요로 보기도 한다.
----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