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0-29

창녕 가야 무덤서 금동유물 ‘와르르’…신라 귀족여인 판박이 - 중앙일보

창녕 가야 무덤서 금동유물 ‘와르르’…신라 귀족여인 판박이 - 중앙일보


창녕 가야 무덤서 금동유물 ‘와르르’…신라 귀족여인 판박이
[중앙일보] 입력 2020.10.28 09:30 수정 2020.10.28 10:33
인쇄기사 보관함(스크랩)글자 작게글자 크게
기자강혜란 기자
SNS 공유 및 댓글SNS 클릭 수27카카오톡페이스북트위터카카오스토리SNS 공유 더보기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가 지금까지 한 번도 도굴되지 않았던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사적 제514호) 63호분에서 금동관 등 다량의 장신구가 피장자에 부착됐던 상태대로 발견됐다고 28일 밝혔다. 사진은 금동관과 관모 추정 직물. [사진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도굴꾼의 손을 타지 않은 희귀한 가야 무덤으로 관심을 모았던 경남 창녕 교동·송현동 63호분에서 금동관‧은반지‧은허리띠 등 1500년 전 유물이 와르르 쏟아졌다. 비화가야 최고지배층이었을 무덤 주인의 생전 화려한 차림새 그대로다. 지난 9월 ‘호화 황천길’ 차림으로 큰 화제가 됐던 경북 경주 황남동 신라 고분 발굴에 이어 고고학계의 단비 같은 성과다.




도굴꾼 손 안 댄 ‘0.1% 확률’의 가야 무덤
금동관·은허리띠 등 지배층 차림 원형 출토
“키 155㎝ 여성 가능성” 순장자 2명 흔적도
문화재청 “비화가야 성격 풀어줄 것” 기대
문화재청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소장 김지연)는 28일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사적 제514호)’ 교동 Ⅱ군 63호분에 대한 발굴조사 결과 비화가야 지배자의 꾸밈유물인 금동관을 비롯한 장신구 일체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가야 고분 구조상 도굴꾼의 손을 타지 않을 확률은 “0.1%에 불과”(정인태 연구사)한데 이처럼 피장자의 꾸밈유물 일체가 온전히 확인된 것은 창녕 일대 비화가야 고분에선 처음이다.




창녕 교동과 송현동 63호분에서 발굴된 비화가야 지배층의 착장 유물(왼쪽)과 지난 9월 경주 황남동의 신라 돌무지덧널무덤 120-2호분에서 나온 장신구 유물은 형태나 구성이 거의 같다. 비교 이해를 돕기 위해 문화재청 제공 사진을 나란히 합성했다. [중앙포토]유물은 높이 약 21.5㎝의 금동관, 관에 드리운 금동 드리개, 금동 막대장식, 굵은고리귀걸이 한 쌍, 유리구슬 목걸이, 은반지, 은허리띠 등을 아우른다. 은장 손칼도 두 개 나왔다. 지난 9월 경주 황남동의 신라 돌무지덧널무덤(積石木槨墓, 적석목곽묘) 120-2호분에서 나온 장신구 유물과 형태나 구성이 거의 같다. 금동신발이 발견되지 않았을 뿐이다. 황남동 고분의 주인은 유물 착장에 근거해 키 170㎝ 내외의 장신 귀족 여인으로 추정됐다. 이번 발굴조사를 담당한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의 양숙자 연구관은 “부장품을 더 조사해봐야겠지만 남자 무덤의 특징인 대도(큰 칼)가 출토되지 않은 점 등을 고려할 때 이번에도 여성의 무덤으로 보인다”면서 “키는 155㎝ 정도로 아담한 편”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금동관·금귀걸이…호화 무덤 주인은 키 170㎝ '신라 여인'
지름 21m의 창녕 교동 63호분은 후대에 축조된 39호분(지름 27.5m)에 가려 도굴 피해를 보지 않은 흔치 않은 가야 무덤이다. 맨 위 뚜껑돌만 비집고 들어가면 유물을 훔칠 수 있는 구조라 창녕 고분은 일제시대 발굴된 이래 숱한 도굴꾼의 표적이었다. 문화재청은 2014년부터 비화가야 최고 지배층 묘역 가운데 미정비지역(경남 창녕군 창녕읍 교리 산5 일원)을 조사해오다 63호분을 발견했다. 지난해 11월 석실을 덮은 대형 뚜껑돌을 크레인으로 들어올리면서 1500여년 전 조성된 피장자의 사후 공간이 원형 그대로 드러났다.



관련기사


3t 돌 뚜껑이 몰래 품고 있었다…1500년 가야 무덤 미스터리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사적 제514호) 63호분 및 주변 고분. [사진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전체 석곽은 길이 640㎝, 너비 130㎝, 깊이 190㎝ 규모로 피장자의 머리는 남쪽으로 뒀다. 무덤 내부는 세 부분으로 나뉜다. 피장자의 머리 위쪽에 토기 등 부장품이 쌓여 있고 발치 아래엔 40㎝ 가량 낮게 조성된 순장자의 공간이 자리했다. 이번 조사에선 순장자 2명의 것으로 추정되는 치아 일부와 다리뼈 일부도 나왔다. 양 연구관은 “순장 공간 곳곳에서 관에 쓰이는 꺽쇠가 다수 나온 걸로 봐서 순장자도 목관에 안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면서 이 같은 사례가 이례적이라고 덧붙였다.




63호분 석곽 내부는 부장 공간, 피장자 공간, 순장자 공간으로 세 부분으로 나뉘어 있다. [사진 가야문화재연구소]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사적 제514호) 63호분에서 발견된 유물 중 금귀걸이. [사진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황남동 고분은 신라가 세력을 뻗어가던 6세기 전반에 조성됐고 이번 교동 고분은 그보다 이른 5세기 후반 축조된 것으로 보인다. 두 무덤의 부장품이 비슷한 것은 이 시기 지배층 사이에 유행하던 양식이라고 볼 수 있다. 양 연구관은 “창녕 고분은 축조 양식이 신라와 다르고 이른바 창녕식 토기라고 일컬어지는 굽다리 접시 등 특징적인 부장품이 있는데, 이번 꾸밈유물에서 보듯 위세품(지위를 알려주는 물건들)은 신라 양식을 그대로 따랐다”고 말했다. 삼국시대 장신구 전문가인 이한상 대전대 교수(역사문화학)는 “장식 유물만 보면 신라와 판박이”라면서 “창녕 일대 지배층이 신라 영향권에 있거나 그러한 관계를 과시하려 했을 수 있다”고 말했다.

문화재청은 이번 발굴이 “가야와 신라의 접경지역에 위치해 복잡‧다양한 문화가 나타나는 비화가야의 성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했다.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는 다음달 5일 유튜브를 통해 이번 발굴조사에 참여한 단원들이 실시간 댓글로 답변하는 온라인 발굴조사 설명회를 연다.



추천영상 더보기강혜란 기자 theother@joongang.co.kr


[출처: 중앙일보] 창녕 가야 무덤서 금동유물 ‘와르르’…신라 귀족여인 판박이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