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상세보기::
교수명 : 김명희
직위 : 통일인문학연구단 HK연구교수
세부전공 : 역사사회학
연구실 : 문과대학 강의동 301호
연락처 : 02-2049-6279이메일 : kcckmh@daum.net홈페이지 :
논문 / 저서
1. 저서
김명희(공저), 『통합적 인간과학의 가능성』, 한울아카데미, 2017.
김명희(공저), 『전통의 변주와 연대』(공저), 한국문화사, 2016.
김명희(공저), 『세월호 이후의 사회과학』, 그린비, 2016.
김명희(공저), 『트라우마로 읽는 대한민국: 한국전쟁에서 쌍용차까지』, 역사비평사, 2014.
김명희(공저), 『급진민주주의: 비판과 모색2』, 데모스미디어. 2013.
김명희(공저), 『연대성의 정치학』, 데모스미디어, 2011.
2. 논문
“Dilemma of Historical Reflection in East Asia and the Issue of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 Continuing Colonialism and Politics of Denial”, S/N Korean Humanities 3(1), The Institute of Humanities for Unification, 2017.
「사회연구에서 발견의 논리와 개념적 추상화」, 『사회연구』 통권 제3호, 한국사회조사연구회, 2016.
"Two Cultures' and the Possibility of Integrated Korean Studies: Via 'Critical Naturalism' of Marx and Durkheim", S/N Korean Humanities Vol. 2. No. 2.
「과학의 유기적 연대는 어떻게 가능한가: 과학과 도덕의 재통합」, 『한국사회학』제50집 제4호, 2016.
「동아시아 분단체제의 재구성 장치로서 친밀적 공공권(親密的 公共圈)의 가능성: 코리언 디아스포라 생활세계 비교연구를 위한 하나의 시론」, 『민주주의와 인권』 제16권 2호, 2016.
「한국 이행기 정의의 감정동학에 대한 사례연구-웹툰 <26년>을 통해 본 5.18부인(denial)의 감정생태계」, 『기억과 전망』 제34권 , 2016.
“The Possibility of Intimate Public Sphere: Political Familism of Divided Koreans”, S/N Korea Humanities 2(1), 2016.
「세월호 이후의 치유: 제프리 알렉산더의 '외상 과정'논의를 중심으로」, 문화와사회 제19권, 2015.
「뒤르케임의 사회과학철학: 반환원주의적 통섭의 가능성」, 『한국사회학』 제49집 5호, 2015.
「고통의 의료화: 세월호 트라우마 담론에 대한 실재론적 검토」, 『보건과사회과학』 제38집, 2015.
「맑스와 뒤르케임의 딜레마와 자연주의 사회과학의 가능성」, 『한국사회학』 제49집 1호, 2015.
「외상의 사회적 구성: 한국전쟁 유가족들의 ‘가족 트라우마’와 복합적 과거청산」, 『사회와역사』 통권101호, 2014.
「한국사회 자살현상과 『자살론』의 실재론적 해석: 숙명론적 자살(fatalistic suicide)을 중심으로」, 『경제와사회』 제96호, 2012.
「한국의 국민형성과 ‘가족주의’의 정치적 재생산: 한국전쟁 좌익 관련 유가족들의 생애체험 및 정치사회화 과정을 중심으로」, 『기억과 전망』 제21호, 2009.
논문 / 저서
1. 저서
김명희(공저), 『통합적 인간과학의 가능성』, 한울아카데미, 2017.
김명희(공저), 『전통의 변주와 연대』(공저), 한국문화사, 2016.
김명희(공저), 『세월호 이후의 사회과학』, 그린비, 2016.
김명희(공저), 『트라우마로 읽는 대한민국: 한국전쟁에서 쌍용차까지』, 역사비평사, 2014.
김명희(공저), 『급진민주주의: 비판과 모색2』, 데모스미디어. 2013.
김명희(공저), 『연대성의 정치학』, 데모스미디어, 2011.
2. 논문
“Dilemma of Historical Reflection in East Asia and the Issue of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 Continuing Colonialism and Politics of Denial”, S/N Korean Humanities 3(1), The Institute of Humanities for Unification, 2017.
「사회연구에서 발견의 논리와 개념적 추상화」, 『사회연구』 통권 제3호, 한국사회조사연구회, 2016.
"Two Cultures' and the Possibility of Integrated Korean Studies: Via 'Critical Naturalism' of Marx and Durkheim", S/N Korean Humanities Vol. 2. No. 2.
「과학의 유기적 연대는 어떻게 가능한가: 과학과 도덕의 재통합」, 『한국사회학』제50집 제4호, 2016.
「동아시아 분단체제의 재구성 장치로서 친밀적 공공권(親密的 公共圈)의 가능성: 코리언 디아스포라 생활세계 비교연구를 위한 하나의 시론」, 『민주주의와 인권』 제16권 2호, 2016.
「한국 이행기 정의의 감정동학에 대한 사례연구-웹툰 <26년>을 통해 본 5.18부인(denial)의 감정생태계」, 『기억과 전망』 제34권 , 2016.
“The Possibility of Intimate Public Sphere: Political Familism of Divided Koreans”, S/N Korea Humanities 2(1), 2016.
「세월호 이후의 치유: 제프리 알렉산더의 '외상 과정'논의를 중심으로」, 문화와사회 제19권, 2015.
「뒤르케임의 사회과학철학: 반환원주의적 통섭의 가능성」, 『한국사회학』 제49집 5호, 2015.
「고통의 의료화: 세월호 트라우마 담론에 대한 실재론적 검토」, 『보건과사회과학』 제38집, 2015.
「맑스와 뒤르케임의 딜레마와 자연주의 사회과학의 가능성」, 『한국사회학』 제49집 1호, 2015.
「외상의 사회적 구성: 한국전쟁 유가족들의 ‘가족 트라우마’와 복합적 과거청산」, 『사회와역사』 통권101호, 2014.
「한국사회 자살현상과 『자살론』의 실재론적 해석: 숙명론적 자살(fatalistic suicide)을 중심으로」, 『경제와사회』 제96호, 2012.
「한국의 국민형성과 ‘가족주의’의 정치적 재생산: 한국전쟁 좌익 관련 유가족들의 생애체험 및 정치사회화 과정을 중심으로」, 『기억과 전망』 제21호, 2009.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