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근대 한국과 일본의 공공성 구상 1
근대 한국과 일본의 공공성 구상 1 | 문명과 가치 총서 5
박광수 (지은이)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정신문화연구원)2015-10-20
정가
20,000원
판매가
238쪽
188*257mm (B5)
452g
책소개
세계 인류문명 발전의 시각에서 한국 전통문화의 고유 가치를 발견하고 탐구하고자 기획한 ‘문명과 가치 총서’ 시리즈 5권이다. 한국의 실학사상과 근대 일본의 유학, 그리고 한국 근대사 격동기에 동학을 필두로 하여 등장한 신종교 운동과 메이지유신과 천황제 강화라는 변혁기를 맞이한 일본 신종교 운동의 비교 연구를 통해서 ‘공공성’이라는 주제가 종교사상이라는 맥락과 시대 상황 속에서 어떻게 정의되고 논의되는지 살펴본다.
목차
*총론
1부. 실학사상의 공공성
· 한국의 실학사상과 민족종교의 공공성 (박광수)
· 성호 이익의 경세관과 공공성에 관한 고찰 (신현승)
· <목민심서>의 공공성 확보 방안 연구 (유성선)
2부. 동학과 민족종교운동의 공공성
· 19세기 한국의 공개념 재구성 (장원석)
· 공공철학 체계와 실천윤리 (김용환)
· ‘공공하는 철학’에서 본 동학의 공공성 (박맹수)
· 동학과 교토학파의 공공 논리 (이찬수)
3부. 일본 근대 신종교의 공공성
· 일본 근대 신종교의 사조와 공공성 (기타지마 기신)
· 메이지 후기 일본 사회에서의 국가와 종교의 공공성(이시이 쓰요시)
저자 및 역자소개
박광수 (지은이)
원광대학교 원불교학과 졸업, 미국 아이오와 대학 비교종교학 문학석사
위스콘신 매디슨대학 불교학 철학박사. 웨스트버지니아 대학 조교수 역임
원광대학교 원불교학과 교수·종교문제연구소 소장
-주요업적
『한국 신종교의 사상과 종교문화』(2012) (2013년대한민국학술원우수도서)
『근대 한국과 일본의 공공성』1, 2(2015, 공저)
『한국신종교 지형과 문화: 종교운동의 역사적 전개와 사상의 시대적 변화』(2015, 공저)
The Won Buddhism (Wonbulgyo) of Sot'aesan: A Twentieth-Ce... 더보기
최근작 : <동아시아의 대동사상과 평화공동체>,<조선총독부 공문서 : 사사종교 1911>,<한국 신종교의 사회운동사적 조명> … 총 12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이 책은 세계 인류문명 발전의 시각에서 한국 전통문화의 고유 가치를 발견하고 탐구하고자 기획한 ‘문명과 가치 총서’의 제5~6권이다.
한국의 실학사상과 근대 일본의 유학, 그리고 한국 근대사 격동기에 동학을 필두로 하여 등장한 신종교 운동과 메이지유신과 천황제 강화라는 변혁기를 맞이한 일본 신종교 운동의 비교 연구를 통해서 ‘공공성’이라는 주제가 종교사상이라는 맥락과 시대 상황 속에서 어떻게 정의되고 논의되는지 살펴본다.
[지은이 소개]
박광수_원광대학교 원불교학과 교수
신현승_상지대학교 교양과 조교수
유성선_강원대학교 철학과 교수
장원석_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원
김용환_충북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박맹수_원광대학교 원불교학과 교수
이찬수_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HK연구교수
기타지마 기신(北道義信)_요카이치대학 명예교수
이시이 쓰요시(石井剛)_도쿄대학 총합문롸연구과 준교수
-----------
책소개
세계 인류문명 발전의 시각에서 한국 전통문화의 고유 가치를 발견하고 탐구하고자 기획한 ‘문명과 가치 총서’ 시리즈 6권이다. 한국의 실학사상과 근대 일본의 유학, 그리고 한국 근대사 격동기에 동학을 필두로 하여 등장한 신종교 운동과 메이지유신과 천황제 강화라는 변혁기를 맞이한 일본 신종교 운동의 비교 연구를 통해서 ‘공공성’이라는 주제가 종교사상이라는 맥락과 시대 상황 속에서 어떻게 정의되고 논의되는지 살펴본다.
목차
*총론
1부. 한국과 일본 근대 철학사상의 공공성
· 최한기의 공론과 공공성에 대한 일고찰 (신현승)
· 최한기와 에도시대 일본의 유학 (야규 마코토)
· 전봉준과 다나카 쇼조의 공공적 삶 (박맹수)
· 메이지시대의 국가신도와 공공성 (이찬수)
2부. 한국 근대 신종교의 공공성
· 한국 근대 유교·불교 혁신운동에 나타난 공공성 연구 (박광수)
· 한국 근대에 있어서 신종교와 국가신도의 상극 (삿사 미츠아키)
3부. 일본 근대 신종교의 공공성
· 일본 민중종교의 종파 형성과 공공성 (기타지마 기신)
· 메이지 체제하의 공공성, 상상에서의 유교의 질곡 (이시이 쓰요시)
1부. 한국과 일본 근대 철학사상의 공공성
· 최한기의 공론과 공공성에 대한 일고찰 (신현승)
· 최한기와 에도시대 일본의 유학 (야규 마코토)
· 전봉준과 다나카 쇼조의 공공적 삶 (박맹수)
· 메이지시대의 국가신도와 공공성 (이찬수)
2부. 한국 근대 신종교의 공공성
· 한국 근대 유교·불교 혁신운동에 나타난 공공성 연구 (박광수)
· 한국 근대에 있어서 신종교와 국가신도의 상극 (삿사 미츠아키)
3부. 일본 근대 신종교의 공공성
· 일본 민중종교의 종파 형성과 공공성 (기타지마 기신)
· 메이지 체제하의 공공성, 상상에서의 유교의 질곡 (이시이 쓰요시)
출판사 제공 책소개
이 책은 세계 인류문명 발전의 시각에서 한국 전통문화의 고유 가치를 발견하고 탐구하고자 기획한 ‘문명과 가치 총서’의 제5~6권이다.
한국의 실학사상과 근대 일본의 유학, 그리고 한국 근대사 격동기에 동학을 필두로 하여 등장한 신종교 운동과 메이지유신과 천황제 강화라는 변혁기를 맞이한 일본 신종교 운동의 비교 연구를 통해서 ‘공공성’이라는 주제가 종교사상이라는 맥락과 시대 상황 속에서 어떻게 정의되고 논의되는지 살펴본다.
[지은이 소개]
박광수_원광대학교 원불교학과 교수
신현승_상지대학교 교양과 조교수
야규 마코토(柳生眞)_교토포럼 공공철학 공동연구소 특임연구원
박맹수_원광대학교 원불교학과 교수
이찬수_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HK연구교수
삿사 미츠아키(佐佐充昭)_리츠메이칸대학 교수
기타지마 기신(北道義信)_요카이치대학 명예교수
이시이 쓰요시(石井剛)_도쿄대학 총합문화연구과 준교수
한국의 실학사상과 근대 일본의 유학, 그리고 한국 근대사 격동기에 동학을 필두로 하여 등장한 신종교 운동과 메이지유신과 천황제 강화라는 변혁기를 맞이한 일본 신종교 운동의 비교 연구를 통해서 ‘공공성’이라는 주제가 종교사상이라는 맥락과 시대 상황 속에서 어떻게 정의되고 논의되는지 살펴본다.
[지은이 소개]
박광수_원광대학교 원불교학과 교수
신현승_상지대학교 교양과 조교수
야규 마코토(柳生眞)_교토포럼 공공철학 공동연구소 특임연구원
박맹수_원광대학교 원불교학과 교수
이찬수_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HK연구교수
삿사 미츠아키(佐佐充昭)_리츠메이칸대학 교수
기타지마 기신(北道義信)_요카이치대학 명예교수
이시이 쓰요시(石井剛)_도쿄대학 총합문화연구과 준교수
---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