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12-28

2003년 불상에 절했다가 해직 뒤 복직한 강남대 이찬수 교수 - 중앙일보



2003년 불상에 절했다가 해직 뒤 복직한 강남대 이찬수 교수 - 중앙일보

2003년 불상에 절했다가 해직 뒤 복직한 강남대 이찬수 교수
[중앙일보] 입력 2011.04.07

기독교인이 불상에 절했다고 우상숭배인가
신을 욕망의 수단으로 삼는 게 우상숭배다

이찬수 교수는 “신은 밖에만 있지 않다. 우리보다 먼저 우리 안에 계신 분이다. 그 동안 밖을 향하는 외침만 컸다. 이젠 내 안의 신을 향해서도 외쳐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투사형일까, 아니면 구도자형일까. 강남대 이찬수(49·길벗예수교회 담임목사) 교수 얘기다. 그는 2003년 ‘똘레랑스’라는 제목의 EBS TV프로그램에 출연, “개신교가 배타적인 종교는 아니다.

종교간 조화와 관용이 무엇인지 몸소 보여줄 필요가 있다”며 불상에 절을 했다가 교수 재임용에서 탈락했다. 우상숭배를 했다는 이유였다. 이후 35개 사회·종교단체가 대책위를 꾸려 그를 지지했다. 결국 이 교수는 “학교 측의 재임용 거부는 부당하다”는 판결을 끌어냈다. 2010년 9월 강남대로 복직했다.

올 봄학기부터 강의를 시작했다. 최근에는 ‘제도권 밖의 인문학 운동’을 표방하는 서울 마포 대안연구공동체에서 강연도 맡았다. 강좌명은 ‘불교와 기독교가 만나는 자리’ (매주 월요일 오후 7시30분~9시30분, 02-777-0616). 다시 ‘기독교와 불교의 소통’을 주제로 내건 것이다. 5일 경기도 용인 강남대 교정에서 이 교수를 만났다.

 -당신은 크리스천인가.

 “그렇다. 할머니의 유언으로 어머니가 기독교인이 됐다. 저도 초등학생 때부터 교회를 다녔다. 고등학생 때도, 대학생 때도 교회에서 살다시피 했다. 진정한 그리스도인이 되기를 갈망한다.”

 -목사가 왜 불교를 가르치나.

 “저는 서강대 화학과 82학번이다. 전투경찰이 교내에 상주하던 시절이었다. ‘어떻게 살까?’를 고민하다 민중목회를 하는 목사가 되기로 했다. 2학년 때 부전공으로 종교학을 택했다. 신학을 공부하기 위해서였다. 그런데 충격을 받았다.”

 -어떤 충격인가.

 “종교학을 모른다면 신학이 ‘우물 안 개구리’가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인도 종교, 중국 종교 등도 신선했다. 불교가 준 충격이 가장 컸다. 화엄철학과 선(禪)불교를 공부하면서 ‘종교적 전환’을 경험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적지 않은 기독교인이 하나님이란 이름으로 자신의 틀 안에 신을 가두고 있었다. 저 역시 그런 오류를 범했다. 예수님께선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한다’고 하셨다. 불교가 자유로운 삶의 전형을 보여주었다. 불교의 가르침은 불변하는 실체를 전제하지 않고, 모든 세상을 관계적이고 상대적으로 보면서 집착의 근원을 제거했다. 그걸 통해 알게 됐다. 하나님이 정말 세상의 창조주이시고, 만물의 근원이시고, 세상의 모든 곳에 계시는 분임을 말이다. 또 역사적·문화적 상황에 따라 자신을 다양하게 드러내는 분이시라는 사실을 말이다.”

 이 교수는 석사 학위가 둘이다. 하나는 신학이고, 또 하나는 불교학이다. 박사 논문에서도 기독교와 불교를 비교했다.

 -기독교와 불교는 무엇이 통하나.

 “외형적 언어는 하늘과 땅 차이다. 그러나 지향하는 세계랄까, 구원론적 구조는 서로 통한다. 가령 예수는 율법으로부터 자유로운 이고, 석가모니 부처는 집착으로부터 자유로운 이다. 하나님 나라가 뭔가. 인간의 다스림, 황제의 다스림이 아니라 신의 다스림이다. 신의 다스림 자체는 집착으로부터 자유로운 상태다. 번뇌의 불꽃이 꺼진 상태다. 불교에선 그걸 ‘열반’이라고 부른다.”



 -차이점은 뭔가.



 “기독교는 일회적 역사관을 가지고 있다. 시작과 종말을 말한다. 불교에는 시작과 종말이 없다. 순환적 역사관이다. 그런 외형적 차이가 있다.”


 -그런 차이가 뭘 뜻하나.

 “정말 그 차이를 묻는다면 이렇게 답하고 싶다. 일회적 역사관과 순환적 역사관이 서로 만날 수 있다고 말이다. 그곳이 하나님의 세계라고 믿는다. 오늘 강의에서도 그런 내용을 다뤘다.”

 -학생들의 반응은.

 “기독교 교양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교회를 다니지 않는 학생은 기독교에 대한 오해를 풀고, 교회를 다니는 학생은 더 성숙한 기독교인이 되길 바라는 마음이다. ‘기독교가 생각했던 것만큼 편협하진 않구나’ ‘교회가 배타적이라서 싫었는데, 이제 다시 교회에 나갈 수 있게 됐다. 진짜 기독교는 배타적이지 않다는 걸 알게 됐다’ ‘교회는 특수한 사람들의 비일상적인 집단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그곳이 진리를 추구하고, 사람을 변화시키는 좋은 곳이란 걸 알게 됐다’ 등의 반응이 많다.”

 -불상에 절을 했다고 우상숭배 논란이 있었다. 우리 시대의 우상숭배란 뭔가.

 “하나님은 무소부재(無所不在·없는 곳이 없다) 하신 분이다. 특정한 형상이나 이념 안에 갇히지 않는 분이시다. 신을 특정한 형상이나 이념으로 제한시키는 행위가 우상숭배다. 오늘날에는 신을 자신의 욕망을 정당화시키는 수단으로 삼는다. 그것이 이 시대의 우상숭배다. 상당수 교회와 목회자가 교조화된 신념 체계에만 머무는 경향이 있다. 우리의 신앙은 질적 성장이 필요하다.”


용인=글·사진 백성호 기자

----------------------

전체댓글16


fflo**** 2011-04-13 09:39:58 신고하기

교회에 20년 넘게 다닌 강남대02학번으로서, 이찬수 교수님 강의를 들어보지 않고 댓글을 마구 다시는 분들이 계시는데, 기독교인이라면, 이찬수 교수님의 강의를 들어봐야 합니다. 편협하고, 배타적이고, 하나님의 이름으로 돈벌이에만 급급한 이땅의 기독교인들은 반성해야합니다.
답글달기찬성하기10반대하기0
heog**** 2011-04-08 07:06:11 신고하기

심판날에` 주의 이름으로 많은 의를 행한자에게 ...... 마7:23 그때에 내가 그들에게 밝히 말하되 내가 너희를 결코 알지 못하노라. 불법을 행하는 자들아 너희는 내게서 떠나라.답글달기찬성하기1반대하기1
ihdh**** 2011-04-07 21:09:32 신고하기

예수님은 하나님을 어린아이와 같이 믿으라고 하셨다. 하나님께서는 우상숭배를 몹시 싫어하신다. 배타성은 기독교의 본질적 요소다. 타종교와 섞이면 그것은 기독교가 아니다.
답글달기찬성하기3반대하기7
true**** 2011-04-07 19:56:14 신고하기

쉽게 한 마디로 말하면 될 것을 왜 이렇게 거창하고 늘어 놓는지? ....나는 "종교다원주의자"라고 말입니다. 그렇다면 종교인이 되지, 왜 기독교 목사가 되었는지?
답글달기찬성하기4반대하기8
kit0**** 2011-04-07 13:02:12 신고하기

이단이라고 개거품 무는 개신교 집단들 많겠구나 원래 모든 종교가 이단이야 멍청이들아 신의 뜻을 특정 종교라는 형식과 성경으로 규정하는 것이 신의 뜻을 왜곡하는 첫 시발이니깐 ㅋㅋㅋ 사막의 잡신으로 부터 시작해서 이만큼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은 하느님의 축복이 아니라 목사들의 자기희생때문이다. 현재 한국기독
답글달기찬성하기20반대하기13
cost**** 2011-04-07 12:41:20 신고하기

예수님의 메시지와 붓다의 가르침을 제대로 이해하고 계시는 목사님이시군요. 이런 성직자와 선지식들이 더 많아져서 종교 간의 벽이 허물어지는 날이 오기를 기원합니다.
답글달기찬성하기38반대하기13
lite**** 2011-04-07 11:43:07 신고하기

이런 분들이 많아져야 진정한 하느님의 나라가 올것 같습니다. 만분의 일이라도 예수님을 닮아보려고 애쓰는 사람으로서 좋은 말씀 듣고 갑니다. 아래 어떤분이 걱정했듯이 핍박을 받으실 것 같아 걱정도 되는 군요. 요즘 하느님 팔아 떵떵거리는 거물 목사(?)들이 많던데, 그런 분들이 이 글 읽고 뭔 짓 안할까요? 부디 건답
글달기찬성하기48반대하기10
lsb4**** 2011-04-07 11:10:09 신고하기

이건 미친인간이 맞네...목사라는 놈이 불상에 절하다니...그러고도 잘했다고 큰소리친다. 현재 기독교는 자신들의 조상 차례지내는 것도 못하게 막아왔다. 그런데 목사란 놈이 불상에 절해??? 지 멋대로 성경을 해석하고 교리를 만들어내는 놈이다...저런놈은 사이비교주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답글달기찬성하기27반대하기104
as**** 2011-04-07 10:31:26 신고하기

우리가 직접 보는 눈은 우리가 보고싶어하는 것만 보게 하는 것이다. 신은 문화적 환경적 요소마다 제각기 다른 모습으로 나타나며, 이것을 인간들이 자의적, 타의적 해석에 의해 변형화된 모습일 뿐이다. 신을 누구를 믿느냐가 중요한게 아니라 신이 알려준 도의적 가르침을 믿고 따라야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이다.
답글달기

[출처: 중앙일보] 2003년 불상에 절했다가 해직 뒤 복직한 강남대 이찬수 교수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