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한일관계의 명암
김영작 (지은이) | 백산서당 | 2006-11-30
---
책을 내면서
서장 내셔널리즘의 원리와 국내정치 및 국제정치상의 위상
1. 내셔널리즘의 개념파악에 관한 학설 비판
2. 루소의 정치이론에서 내셔널리즘의 원리와 역할 : 내셔널리즘 이념형의 모색
3. 맺음말 : 루소적 이념형의 한국 내셔널리즘 연구에의 적용
제1부 전사
제1장 한일관계 : 전근대의 유산
1. 머리글
2. 사명대사의 기요마사 영중 탐정과 대일 외교담판
3. 사명대사의 도일과 국교회복 외교
4. 맺음말에 대신하여 : 한일관계사에서 사명대사의 위상
제2부 근대 초 한국 내셔널리즘의 사상과 행동
제2장 초기개화파 내셔널리즘의 사상적 구조
1. 머리글
2. 서구의 도전과 위정척사사상의 고양 및 그 한계성
3. 정치적 리얼리즘의 생성 : 시좌의 전환과 가치관의 상대화
4. 개화적 내셔널리즘에서 문명론의 위상(1) : 독립의 도구로서 문명
5. 개화적 내셔널리즘에서 문명론의 위상(2) : 통합의 도구로서 문명
6. 초기 개화적 내셔널리즘에서 전통과 근대
7. 초기 개화사상에 나타난 정치적 집중과 정치적 확산
8. 사상과 현실의 괴리와 그 원인
9. 맺음말
제3장 갑신정변을 통해 본 한일 내셔널리즘의 상극
서언 : 문제의 소재
1. 개화운동 대두의 사회적 배경
2. 김옥균의 사상
3. 1882년까지 개화파와 일본
4. 임오군란기의 독립파와 일본
5. 갑신정변기의 김옥균과 일본
맺음말
제4장 한말기 서구수용과 전파양상에 관한 한일 비판연구
1. 머리글
2. 문명개화 의식의 전파양상
3. 자주독립 의식의 전파양상
4. 부국강병 의식의 전파양상
5. 맺음말에 대신하여 : 문명개화, 자주독립, 부국강병의 구조
제3부 일본의 정치사상과 한국관
제5장 메이지정권 성립을 위한 사상과 운동
1. 서론
2. 막말의 사회성과 천보개혁
3. 개국과 토막론의 등장
4. 존황양이, 공무합체의 전개, 존황토막에로의 회전
5. 토막세력의 연합과정과 대정봉환
6. 왕정복고 호령 및 유신정권의 성립 및 서남전쟁
제6장 일본 지식인들의 한국관
1. 문제의 소재
2. 매스컴의 여론조사에 나타난 '스테레오 타입'형의 한국관
3. 한국관의 여사적 전통(근대 이후)
4. 맺는말 - 한국관의 사회심리학적 특성과 그 문제점
제4부 한일 내셔널리즘의 사상적(현실적) 괴리
제7장 한일 양국의 서구수용에 관한 비교연구
1. 서론 : 문제의 소재와 접근방법
2. 해외 시찰, 유학기 유길준의 국제정치관과 대외인식 : 후쿠자와와의 대비를 중심으로
3. 갑신정변 이후부터 갑오개혁까지 유길준의 국제관과 대외인식 : 후쿠자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4. 갑오개혁, 청일전쟁 이후 망국 전야의 유길준의 국제정치관과 대일인식 : 호의적 해석 및 의리론과 '뒤늦은 현실주의'
5. 맺음말
제8장 후?i와 유키치, 내셔널리스트의 한국관
1. 첫머리에
2. 초기의 사회활동과 후쿠자와의 사상
3. 후쿠자와에 있어서의 내셔널리즘
4. 문명논지개략과 내셔널리즘
4. 문명논지개략 이후의 국제관의 전개, 동양정략론으로의 굴절
5. 결론에 대하여
제5부 에필로그 근대 초 한, 중, 일 관계의 파국
제9장 누가, 왜 김옥균을 죽였는가? : 흑막에 가려져 온 김옥균 암살의 진상
1. 서론
2. 망명에서 암살 이전까지의 김옥균의 한, 청, 일 삼국관계
3. 김옥균 암살사건과 박영효 암살 미수사건
4. 김옥균의 암살과 조선정부 및 민씨 척족
5. 김옥균 암살사건과 청국정부 : 그 의혹의 허와 실
6. 김옥균의 암살과 일본
7. 맺음말 : 일본정부의 김옥균 암살방치의 정치적 의도
===================
저자 : 김영작
최근작 : <변용하는 일본형 시스템 현장보고>,<한말 내셔널리즘>,<근대 한일관계의 명암> … 총 10종 (모두보기)
소개 :
1941년 서울에서 태어나 1964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외교학과를 졸업했다. 1972년 도쿄대학교 법학부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현대일본학회회장.한국정치외교사학회회장.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회장을 역임했다. 2008년 현재는 국민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명예교수이며 일본 호세이대학교 법학부 국제정치학과 객원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근대 한일관계의 明暗>, <일본형 시스템-위기와 변화>(공저), <일본은 한국에게 무엇인가>(공저), <글로벌화 시대의 일본.한국에의 함의>(공저), <21세기 동북아공동체 형성의 과정>(공저)...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