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8-25

15 우범선의 묘 / 길윤형 책 <제국의 위안부>의 "동지적 관계"라는 개념에 대하여

 


15 우범선의 묘 / 길윤형 : 칼럼 : 사설.칼럼 : 뉴스 : 한겨레

등록 :2015-12-10

몇달 전인가, 도쿄에 거주하는 자이니치(일본에 사는 한반도 출신자) 연구자가 팸플릿을 내밀며 의견을 물었다. 일본 도치기현 사노시에 있는 사노시향토박물관이란 곳에 가보면 어떻겠느냐는 제안이었다.

“사노요? 그런 시골에 뭐가 있나요?”

“혹시 스나가란 인물을 아시는지?”

일본의 한적한 시골 마을이 한반도와 인연을 맺게 된 것은 스나가 하지메(1868~1942)라는 수수께끼 같은 인물 때문이다. 그는 일본의 힘을 빌려 조선을 근대화하려 했던 갑신정변(1884년)의 주역들인 김옥균·박영효 등과 교류했던 일본인으로, 일본에 의한 조선 병합으로 귀결되고 마는 구한말 한-일 교류사 속에서 독특한 존재감을 남기고 있다.

사노의 부농이었던 스나가는 19살께 후쿠자와 유키치의 게이오기주쿠대학에 입학하면서 조선을 포함한 동아시아 정세에 관심을 갖게 된 것으로 보인다. 그런 그에게 갑신정변에 실패한 뒤 오가사와라제도에 유폐 중인 김옥균은 마음속으로 존경할 수 있는 ‘애국지사’의 전범이었다. 이 무렵 김옥균과 서한 교류를 시작한 스나가는 5년 뒤인 1889년 9월 홋카이도의 유폐 생활을 마치고 도쿄로 상경한 김옥균과 우에노역에서 첫 상봉을 하게 된다. 그때 스나가는 스물둘, 김옥균은 세상의 온갖 평지풍파를 겪은 서른아홉의 장년이었다. 이후 스나가는 ‘마음속의 스승’인 김옥균이 1894년 상하이에서 암살당할 때까지 사노의 저택에 그를 모시며 여러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이런 인연으로 박영효 등 갑신정변의 주역들은 스나가의 거점인 사노를 방문해 여러 자취와 기록을 남겼다. 이런 기록들은 ‘스나가 문고’라는 방대한 분량의 문서로 사노향토사박물관에 남아 있다. 지난 5일 야마구치 아키요시 관장의 호의로 조선 3대 명필로 꼽히는 김정희의 글씨 두 점, 오세창·황철 등의 글과 그림 20여점을 감상할 수 있었다.

스나가와 인연을 이어간 인물 가운데는 훈련대 제2대대장으로 을미사변에 가담한 조선인 우범선(1857~1903)이 있다. 사변 뒤 일본으로 망명한 우범선은 기타노 잇페이라는 이름으로 일본 정부로부터 생활비를 보조받고 살았다.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박유하 세종대 교수가 <제국의 위안부>에서 언급한 ‘동지적 관계’란 표현은 일본군과 조선인 위안부가 아니라, 을미사변을 묵인한 일본과 우범선의 관계를 지칭할 때 쓰여야 한다. 우범선의 아들이 ‘한국 농업의 아버지’ 우장춘 박사라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인데, 우 박사는 자식들에게 아버지와 관련된 얘길 단 한번도 입 밖에 내지 않았다 한다.

박물관 관람을 마친 뒤 우범선의 묘가 남아 있는 묘현사란 절을 찾았다. 절의 본당 뒤에 빼곡히 늘어선 묘비석 가운데서 어렵지 않게 우범선의 묘를 찾을 수 있었다. 우범선이 히로시마 구레에서 조선인 자객 고영근에게 암살당한 뒤 도쿄 아오야마에 안치돼 있던 묘비를 스나가가 1년쯤 뒤에 사노로 이전한 것이라고 했다. 아무도 찾지 않을 것 같은 버려진 묘비였다. 너무 어처구니가 없어 살짝 눈물이 났다.

저만치 해가 지고, 저녁 어스름이 내려앉기 시작했다. 우범선은 조선을 근대화하기 위해선 일본의 힘을 빌려 와야 하고, 이를 위해선 명성왕후가 제거되어야 한다고 판단했을 것이다. 그게 우범선 나름의 애국이었을지 모르겠으나, 역사의 평가란 얼마나 냉정한 것인가. 

한 사람의 인간이 태어나 말하고, 글을 쓰고, 행동하려면 많은 것들을 생각해야 한다. 

사노에 잠들어 있는 우범선에게도, <제국의 위안부>를 쓴 박유하 교수에게도, 이 글을 쓰는 내게도 해당되는 말이다.


길윤형 도쿄 특파원 charisma@hani.co.kr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721285.html#csidx237f13e8d0c47b582d7bef93eb935c5 -------------

=========






Sejin Pak
11 December 2015 · 


책 <제국의 위안부>의 "동지적 관계"라는 개념에 대하여
---
- 일본군 병정과 조선인 위안부와 의 관계를 "동지적 관계"라고 말한 곳에서는 나도 책을 처음에 읽을 때 조금 불편을 느꼈다. 그러나 책의 의도는 위안부가 한 가지 만의 타입이 아니라는 중요한 전제에 있으므로 일본군과 조선인 위안부의 관계가 모두다 똑같은 "동지적 관계"라는 의미는 아니라는 것으로 읽어 주여야 한다고 본다. 그러나 이등 국민이라도 일본 국민이었던 조선인들과 일본인들 사이에 같은 "제국의 국민"으로서 "동지적 관계"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밝히는 것은 중요한 시각이라고 본다.

- 몇가지 다른 타입의 "동지적 관계"에 대하여 생각해 본다.

1] 일본군과 일본인 (위안부가 아닌) 정신대원의 관계:

- 이 관계는 우선 나라를 위해서 봉사를 하는 관계로서, 애국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다면 서로 "우리 편"이라는 뜻에서 "동지적"이라고 말 할 수 있다.

2] 일본군과 일본인 위안부의 관계:

- 일본인 위안부들은 대부분 매춘부 출신으로서 "돈을 벌러" 위안부가 된 것이지 나라를 위해서 간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일본군 병정도 징병이 되어 싸우러 간 것이라고 보고, 위안부도 처음에는 가난에서 창부가 된 것이고, 또 돈이 필요해서 위안소 업자와 같이 전쟁터 까지 같다고 보면, 구조적으로는 둘 다가 제국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에 있는 것 이고, 적군들과 싸우는 상황에서는 구조적인 면에서 "동지적 관계"에 있었다고 말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둘 사이에는 로만스까지 있을 수 있을 것이다. 일본군 병정도 계급이 낮을 수록 자신을 피해자로 의식하고 자기의 입장이 위안부보다 별로 (전혀) 낫지 않다고 생각하여, 같은 (비슷한) 신세에 있는 둘이 "동지적 관계"에 있는 것으로 생각할 만도 하다.

3] 일본인 일본군과 조선인 일본군의 관계:

- 기본적으로는 제국의 일등 국민과 이등 국민의 관계로서 조선인 병정들은 군인으로서 출세의 한계가 있었을 테고, 중요한 직에 가기는 힘들었을 것 이다. 나라에 대한 충성심으로 보자면, 일반적으로 조선인이 일본인 만큼 제국에 애국심을 가질리가 없다. 그들은 베트남 전에 참가한 한국군들 처럼 돈을 벌러 간 것이 제 일의 이유라고 볼 수 있다. 일본인 병정들 사이에도 이런 종류의 사람들이 있었다. 그들도 한 편으로는 징병제도 때문에 전쟁에 나갔지만, 또 한편으로는 일본에서의 가난한 환경을 탈출하려고 전쟁터로 가기도 한다. 전쟁터에서의 조선인 병정은 여전히 이등 국민의 위치에 있겠지만, 적군과의 관계에서는 일본인 이나 다름 없다. 적국의 국민이나 군인으로 부터 일본군으로 취급되므로 일본인 군인과는 "동지적 위치"에 놓여 있는 것이다. 때로는 "친구 관계"가 생길 수 도 있다. 이런 관계는 일본과 조선이 아닌 유럽의 식민지 출신 군인과 제국 본국의 군인 사이에도 얼마던지 있을 수 있는 관계였을 것 이다.

4] 일본인 위안부와 조선인 위안부의 관계:

이 두 타입의 위안부가 같은 위안소에 있었던 케이스가 얼마나 있었는지 확실히 모르겠지만 일본인 위안부에 대하여 읽을 때 조선인 위안부와의 관계에 대하여 읽은 적이 있다. 일본인 위안부는 역시 일등국민 이고, 일반적으로 장교 용으로 되었던 것 같으다. 조선인 위안부에 대하여 월등의식을 가졌을 수 있으나, 전쟁 말기에는 그들의 신세도 비참했다. 상태가 비참할 수록 조선인 위안부에 대한 의식이 "인간적"이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한다. "인간적 관계"에서 한거름 더 나가 일본인 병정과 조선인 병정의 관계처럼 점령국 주민이나 적국 군인은 일본인 위안부와 조선인 위안부를 구별하지 않았을 것 이다. 그런 의미에서 우선은 "동지적 관계"에 있었다고 말 할 수 있다.

5] 조선인 위안부와 일본인 군인이 관계:

- 여기까지 오면, 조선인 위안부와 일본인 군인 사이에 "동지적 관계"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은 더 설명을 하지 않아도, 위에서 다룬 여러가지 케이스들의 연장선에서 알 수 있다. 일본인 군인이 낮은 위치에 있으며 일등 국민의 특권 의식을 느끼지 않고 인간적인 사람일 수도 있다. 그는 점령국 주민에게도 인간적 일 가능성이 많지만, 점령국의 주민이나 군인이 보면 둘 다 적국의 인간이다. 조선인 위안부도 위안소에서 자유가 없다는 의미에서 "성노예"라고도 불리웠지만, 점령국의 주민이 보면 일본인이고 제국의 국민들 사이에는본인들이 인식을 하지 않더래도 구조적인 "동지적 관계"가 있다. 조선인 위안부와 일본인 군인 사이에 로만스도 있을 수 있다. 남녀간에 친국같은 "동지적 관계"이다. 그러나, 물론 그런 경우는 평균적인 것은 아니었을 것이다.

결론: 조선인 위안부와 일본군 병정의 관계는 평균적인 의미에서의 "동지적 관계"는 아니다. 그러나 성적 노예의 위치에 있어도 조선인 위안부는 일본군 군인과 "동지적 관계"에 있을 수도 있다. 일본인 위안부도 위안소에 있는 한 "성적 노예"였다 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위에선 본 관계들은 단순한 흑백관계가 아니고 여러 농도의 회색관계였던 것이다.
- 그런데 이런 종류의 문제를 논했다고 하여 친일파이거나 매국노이거나 한 것은 물론 아니다.
==========
위의 글은 2015년 12월 글
https://www.facebook.com/sejin.pak8/posts/10153772705402296?pnref=story
==========
2017년 12월에 부치는 말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