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12-10

학도병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학도병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학도병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6·25 전쟁 시 학도병의 모습
학도병(學徒兵, student soldier) 또는 학도 의용군(學徒義勇軍)은 학생의 신분으로 전쟁에 참가한 병사이다. 여기에서의 학생은 고등학생과 그 이하의 소년들을 나타낸다. 학병(學兵)이라는 말에는 일제강점기에 제 2차 세계대전 중 일본군에 강제 징집된 한국의 젊은 학생을 일컫는 의미도 있다.[1]

일제강점기 학도병[편집]

학병(學兵) 또는 학도병은 일제강점기 당시 일본군에 의해 강제 또는 자발적으로 징집되어 태평양 전쟁 또는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하게된 한국과 타이완 등 일본 제국 식민지의 학생들이다.

배경[2][편집]

일제강점기 시대 학도병은 일본에 의해 강제로 징집된 학도병이 있다. 1941년 일본은 많은 국가를 식민지로 삼으려 하나 서양 열강의 반대로 태평양 전쟁을 일으킨다. 이미 1937년부터 중일 전쟁을 하는 중이기도 했다. 이들은 전투에 투입할 병력이 부족한 상황에 이르렀고, 1943년 10월 대한민국 남학생들 중 입대를 미뤘던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선인 학도지원병 제도'를 도입하게 된다.
당시 만 20세 이상의 남성은 군 복무를 해야했지만, 학업을 마친 후 입대를 하기 위해 이를 연기한 학생들이 많았고, 이를 이용하여 일본은 언제든지 군사력을 보충할 수 있는 조선인 학도지원병 제도를 만든 것이다.

학병권유문의 조작에 대한 내용 관련 기사

신문에 쓰인 학병권유문

시행[편집]

명칭은 조선인 학도'지원병' 제도였으나 강제로 학생을 동원하는 경우가 많았다. 학도병의 대상이 되는 학생의 집에 찾아가 가족들을 협박하기도 하며, 전문학교 이상의 학교에 학도병 지원수를 지정해주어 이를 채울 것을 강요하기도 했다. 그들의 학도병 지원을 유도하기 위해 학도병의 훌륭함에 관한 기사를 신문에 강제로 싣게 하는 모습도 있었다.
6203명의 대상자 가운데 4385명이 1943년에 해당 제도를 실시하여 1944년에 전선에 배치되었다고 추정한다. 일본, 중국, 한반도 등 각지로 흩어졌으며, 이들 중 "일본을 위해 싸우지 않겠다."라며 반대한 학생들은 탄광이나 시멘트 공장 등으로 끌려갔다.
그들은 전문적인 군이 아닌 학도병이었기 때문에 제대로 된 군사훈련을 받지 못한 채 전선에 투입되곤 했다. 목숨을 잃기도 쉬운 상황이었고, 시기상 '조선인'이라는 이유로 차별받기도 했다.

결과[편집]

많은 수의 학생들이 일본에 의해 학도병이 되었으나, 준비되지 않은 그들에게 전쟁은 정신적, 신체적 충격이 되었고 사회로 돌아간 후에도 학교를 다니지 못하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학도병 생활을 버티지 못하고 군부대에서 탈출한 학도병들도 있었으며 중국 쉬저우에 있던 한 학도병은 부대를 빠져나가 충칭에 있는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찾아 광복군으로 들어가기도 했다. 약 43명의 학도병이 일본군 부대에서 탈출하여 광복군에 들어갔다고 한다.

6·25전쟁[3] 학도병[편집]

학도의용군은 1950년 6·25전쟁 당시 북한의 침공을 막기 위해 학업을 중단하고 자진 참전하거나 강제징집당한 대한민국의 학생들이다. 주요 전투로는 화개전투 장사 상륙 작전 및 포항 전투가 있다.

포항지역 학도병 사진
학생들은 1950년 6·25 전쟁이 발발한 후 인민군의 10개 보병사단, 1개 기갑사단, 1개 기계화부대 등 198,380명의 병력과 150여대의 탱크, 200여 대의 항공기를 가지고 오는 상황에서 '책 대신 총을 달라'며 자원입대하였다.

비상학도대[편집]

비상학도대는 1950년 6월 28일 수원에서 '조국을 사랑하는 학도여! 조국의 운명은 여러분 손에 달려있다'고 외치며 비상학도대를 발족시키고 3개 소대로 편성하여 활동했다. 이들은 한강방아선 노량진지역에서 전투에 참가하여 학도의용군의 모태가 되었다.

대한학도의용대[편집]

1950년 7월 1일 대전에서 학생 700여 명이 의용학도대를 조직했다. 비상학도대는 7월 19일 대구로 내려가 다음 날 5,000명의 학생이 애국학도 총궐기대회를 갖고 의용학도대와 통합하여 대한학도의용대가 되었다.
대한학도의용대는 군 업무에 적극적인 참여를 이루었다. 학도의용군을 모집하고 피난 학생을 규합하는 등의 임무를 하며 2,000여 명을 신병교육대 제25연대로 연결해주기도 한다. 학도의용군 개개인은 하사관 교육을 받기도, 간부후보생으이 되기도, 유엔군에 편입되기도 했다. 그들은 일본에서 훈련을 받은 후 공수대원이 된 경우도 있었고, 인천상륙작전에 참가하기도 했다.
[학도의용군 대원수 통계자료][4]
출신지인원출신지인원
서울특별시6,700전라남도23,800
경기도23,500경상북도65,000
충청남도42,000경상남도56,000
충청북도21,500강원도6,500
전라북도27,000제주도3,000
합계 275,200
위의 표와 같이 휴전에 이르기까지 275,200여 명의 학생이 대한학도의용대에 자원하여 참전하고, 치안을 위해 힘쓰며 선전하는 등의 활동을 했다.

참전 학도의용군[3][편집]

  1. 제3사단 학도병 - 대구에서 지원한 1차 47명, 2차 40명 도합 87명의 학도병은 수도사단을 거쳐 입대한 16명을 제외하고 71명의 학도명은 포항으로 가게 된다. 1950년 9월 11일 03시경 인민군이 포항여중 전방에 침입했고 전투는 15시까지 4차례나 벌어졌다. 탄약 부족 사태가 발생하여 육탄전도 벌어졌지만 결국 포항여중을 내주었고, 학도병 47명이 전사했고 13명이 포로가 되었다. 이후 113명의 학도병이 보충되어 제3사단 학도중대가 되었다.
  2. 서울학도포병대 - 제7사단 제18포병대대가 군사력이 부족하여 신형 포를 군인을 모집하는데, 이 때 학생들이 나이를 속이면서 지원하여 용산중 100명, 덕수상업중 30명, 경동중 25명, 한양공업중 20명, 서울중 11명 등등 성루 지역 30여 학교에서 재학생 341명이 선발된다. 하지만 1950년 11월 26일 평안남도 덕천군 일대에서 중공군과 사투를 벌이던 중 130여 명이 전사했다.
  3. 제1유격대대 - 1950년 8월부터 대구역 광장에서 모병 활동을 통해 학도병 560여 명으로 육본 직할 독립 제1유격대대를 만들었다. 그들은 9월 11일까지 유격훈련을 실시한 후 9우러 14일 경북 영덕군 장사동에서 상륙작전을 펼쳤으며 장사동 상륙에 성공한 후 적의 200고지를 점령했다. 인민군 제5사단과 치열하게 전투하는 동안 270여 명의 적을 사살하는 결과를 내지만, 139명이 전사하거나 실종되었다.
  4. 소년학도병 - 15~17세의 어린 병사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1951년 3월 16일 '종군학생 복교령' 조치에도 불구하고 학교로 돌아가지 못하고 전쟁이 끝난 후까지도 군에 남아있는 경우가 많았다. 소년병은 약 25,000여명이 있었으며 확인된 전사자 2,464명, 전상자 3,000명이 있다. 이들 중 국립현충원에 안장된 사람은 347명이며, 위패로 봉안된 영현은 1,188명, 유해, 위패도 없는 전사자가 929명이다.
  5. 춘천사범학교 - 1050년 6월 26일 학생 209명이 포병 제16대대에 입대하여 춘천, 인제 지역에서 참전 후 15명이 전사했다.
  6. 군산중학교 - 1950년 7월 14일 240명이 제7학도병간부교육대에 입대하여 다부동 전투에 참전했고 63명이 전사했다.
  7. 경주중학교 - 1950년 7월 15일 200여 명이 제7학교병간부교육대에 입대하여 다부동 전투에 참전했고 48명이 전사했다.
  8. 경주문화·공업중학교 - 1950년 7월 15일 200여 명이 제7학도병간부교육대에 입대하여 다부동전투에 참전했다.
  9. 전주북중학교 - 1950년 7월 학생 400여 명과 교사 10명이 포항지역 전투에 참전했고, 학생 38명과 교사 10명이 전사했다.
  10. 군산사범학교 - 1950년 7월 90여 명이 안강전투에 참전했고, 29명이 전사했다.
  11. 군산영명중학교 - 1950년 7월 포항지역과 하동지역 전투에 참전했고, 25명이 전사했다.
  12. 대구지역 - 1950년 7월 15일 대구지역에서 학생 700여 명이 제6사단에 배속되어 영천과 신령전투에 참전했다.
  13. 대구상업중학교 - 1950년 7월 초순 야구선수단 20여 명이 학도의용군에 지원하여 출전했다.
  14. 경북중학교 - 1950년 7월 경북중학교 학생들이 각개로 제7학도병간부교육대에 입대하여 안강과 다부동 전투에 참전했고, 53명이 전사했다.
  15. 대구의과대학 - 1950년 7월 45명이 제7사단에 배속되어 영천전투에 참전했다.
  16. 여수·순천 지역 - 1950년 7월 여수와 순천 지역 7개 중학교 학생 180여 명이 제5사단 제15연대에 입대하여 7월 25일 화개전투에 참전했고, 70여 명이 전사했다.
  17. 순창 지역 - 1950년 7월 순창 지역 학생 200여 명이 제7사단 제8연대에 입대하여 영천전투에 참전했다.
  18. 웅동중학교 - 1950년 7월 23일 학생 46명과 교사 1명이 지원하였고, 18명이 전사했다.
  19. 서귀포농업중학교 - 1950년 7월 25일 124명이 지원하였고, 45명이 전사했다.
  20. 태백중학교 - 1951년 1월 14일 학생 126명과 교사 1명이 제3사단 제23연대에 입대하여 현리전투가칠봉전투 등에 참전했고, 18명이 전사했다.

종군학생 복교령[편집]

① 모든 학도는 원래의 본분인 학업으로 돌아갈 것
② 군복무로 학업이 중단된 학도의 군복무 사실이 인정되면 학교 당국은 무조건 복교를 인정할 것
③ 군 및 각급 학교는 군복무로부터 복교하는 학도들에게 특별 배려를 해줄 것
④ 군복무중 학년 진급이 누락된 학도는 본인의 희망에 따라 학년 진급을 인정할 것
1951년 3월 국군과 유엔군이 전선의 균형과 안정을 회복하자, 피난을 떠났던 국민들도 생업을 되찾았으며, 이에 이승만 대통령은 청년학도들은 학교로 돌아가 학업을 계속하라는 담화를 발표하며 복교령을 내리게 된다.
이에 의해 학도의용군은 3월 16일 강원도 홍천에서 군복을 벗게 되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싸우기를 주장하는 학도들은 입대하여 계급과 군번을 받고 전투에 임하게 되었다.[5]

학도병 관련 물품 및 유적지[편집]

학도병 휘장[편집]

가로 7cm, 세로 9cm, 두께 0.3cm의 학도병 휘장이다. 6.25전쟁 당시 학도의용군이 가슴에는 대한민국만세(大韓民國萬歲)라 쓰여진 태극기를, 모자와 팔에는 학도의용군(學徒義勇軍)이라 적힌 천을 두르고 있었다고 한다. 휘장 중안에는 의용군(義勇軍)이라고 새겨져 있다.[6]

학도병충혼탑[편집]

장성동 태백중학교 교정에 우뚝하게 세워진 ‘학도병충혼탑’은 6.25 전란시 조국을 위해 장렬히 산화한 학도병의 영령을 모신 곳이다. 매년 6월 6일 현충일을 맞아 이들 18위의 영령을 위한 위령제를 거행하고 있으며 교정에서 자라는 이 지역 후배들에게 조국을 위해 몸바친 영령들의 고귀한 얼이 스며들게 한다.[7]

서울학도병참전기념비[편집]

서울학도포병대의 참전과 '조국과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하기 위하여 참전한 학도 의용병들의 희생정신을 전하기 위해 참전 55주년을 기념하여 용산고등학교에 2005년 10월 20일에 서울학도포병동지회에서 건립하였다. 용산고등학교와 용산중학교 총동창회 주관으로 매년 6월과 10월에 학도의용병들의 정신을 기리는 기념식을 개최하고 있다.[8]

경주 학도병 서명문 태극기

경주 학도병 서명문 태극기[편집]

2008년 8월 12일 등록문화재 제391호로 지정된 경주 학도병 서명문 태극기는 6·25전쟁 당시 경주 지역에서 자원한 학도병 용사들의 서명이 적힌 태극기이다. [9]
흰 바탕에 인쇄되었으며 태극 문양과 4괘 등 오늘날의 태극기 모습을 갖추었다. 두 모서리에는 깃봉에 묶는 끈이 있었던 자리가 있으며 학도병들의 서명과 함께 전장으로 향하는 각자의 소감이 적혀있다.
가운데에 "남북통일"이라는 글자가 한자로 크게 씌어 있다 그 외에도 "우리의 죽음은 역사의 꽃이 되라", "17세 붉은 피 오직 조국에!", "서라벌의 용사여 잊으랴 화랑정신" 등 6·25전쟁 중 학도병들의 굳은 의지와 각오가 바탕에 가득 생생하게 표현되어 있다.[10]

재일 학도 의용군 참전 기념비[편집]


재일 학도 의용군 참전 기념비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숭의동 수봉 공원 내에 있는 기념구조물로 1950년 6·25 전쟁이 발발하자 북한의 남침으로부터 조국을 지키기 위해 일본 전역에 거주하던 재일 한인 청년 학생 총 642명이 스스로 재일 학도 의용군을 조직하여 1주일 정도의 훈련 후 참전하였고, 백마 고지 전투 등 주요 전장에서 공을 세우고 산화한 동료 전우들의 넋을 위로하기 위하여 재일 학도 의용군 동지회에서 1979년에 세운 기념비이다.[11]
다음 내용은 재일 학도 의용군 참전 기념비 주변에 위치한 비문의 추모글이다.
“동방에 거룩한 터전을 열고 유구한 역사의 명맥을 이어 온 배달겨레 슬기론 후예들 혈관 속에 조상의 전통 배어들어 바다 밖에 나가 살아도 내나라 향한 불타는 사랑 그 사랑만은 잊지 못하고 북한의 공산도당들 이리떼같이 몰려 내려와 국토와 겨레를 짓밟을 적에 젊은 학도들 현해탄건너 사자보다도 용감히 싸웠었네. 자유. 평화 정의를 생명보다 더 사랑하기에 물불 속에라도 뛰어들었고 총알 앞에라도 달겨들었네. 의기와 정렬의 사나이들 그 정신 역사에 새겨 민족행진에 횃불이 되고 조국의 제단에 피를 뿌려 청춘을 낙화처럼 바친 이들 겨레의 가슴마다 열매 맺아 조국과 함께 길이 살리라.”

같이 보기[편집]

관련 작품[편집]

국내[편집]

참고 자료[편집]

  1.  “학도병”. 2019년 12월 2일에 확인함.
  2.  kids.donga.com, 어린이동아, 동아이지에듀 (2018년 1월 24일). “일제강점기 학도병, 그들은 누구인가?”. 2019년 12월 2일에 확인함.
  3. ↑ 이동:  박양호 (2009). 《한국전쟁의 실상과 학도병 이야기》. 화남.
  4.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전사 제3호
  5.  “학도의용군”. 2019년 12월 3일에 확인함.
  6.  “학도병 휘장”. 2019년 12월 2일에 확인함.
  7.  “학도병충혼탑”. 2019년 12월 2일에 확인함.
  8.  “서울학도병참전기념비”. 2019년 12월 2일에 확인함.
  9.  “국가문화유산포탈 | 문화재 검색”. 2019년 12월 2일에 확인함.
  10.  “경주 학도병 서명문 태극기”. 2019년 12월 2일에 확인함.
  11.  “재일 학도 의용군 참전 기념비”. 2019년 12월 3일에 확인함.
  12.  노석태 (1992). 《단편소설:전쟁과 학도병》. 북한연구소. 216-225쪽.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