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1-20

해국도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해국도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해국도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aiguotuzhi.jpg

해국도지》(海國圖志)는 중국 청대 후기의 학자인 위원(魏源)의 저서이다. 1842년에 50권본으로서 간행되었다가 1847년에 60권본, 1852년에 100권본으로 확충되었다. 본서(本書)는 19세기 전반까지의 세계 정세를 논술한 지리서(地理書)로서 임칙서(林則徐)가 광둥 재임중에 편찬한 세계지리 역서(譯書)인 <사주지(四洲志)>를 근본으로 하여 내외(內外)의 지리자료를 참조하면서 내용을 증보한 것이다. 내용은 도(圖)와 지(志)로 나누어 꾸며졌는데, 아편전쟁의 경험에 의거한 해방론(海防論)과 세계의 지리, 각국의 연혁을 기술하고 있다. 위원은 아편전쟁을 계기로 민족적 위기를 자각하고, 서양의 장점을 취하여 서양에 대항하는 도(道)를 강구하기 위하여 본서를 만든 것이다. 본서는 중국인의 세계 인식에 획기적 역할을 수행하였다.

Heckert GNU white.svgCc.logo.circle.svg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해국도지"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Illustrated Treatise on the Maritime Kingdoms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Illustrated Treatise on the Maritime Kingdoms
Haiguotuzhi.jpg
Title page written using seal script
AuthorWei Yuan and others
Original title海國圖志
Hǎiguó Túzhì
CountryChina
Published1843

The Illustrated Treatise on the Maritime Kingdoms, or Haiguo Tuzhi, is a 19th-century Chinese gazetteer compiled by scholar-official Wei Yuan and others, based on initial translations ordered by Special Imperial Commissioner Lin Zexu. The Treatise is regarded as the first significant Chinese work on the West[1] and one of China's initial responses to the Anglo-Chinese First Opium War (1839–1842).[2] Eventually stretching to one hundred juan, or scrolls, the treatise contains numerous maps and much geographical detail covering both the western and eastern hemispheres. Wei's book also garnered significant interest in Japan and helped mould the country's foreign policy with respect to the West.

Background[edit]

During his term in Canton (now Guangzhou) as Special Imperial Commissioner, Lin Zexu observed the might of British naval power and the inadequacies of the Chinese coastal defence system at first hand. Along with other intellectuals of the time, Lin's objective was "to determine the source and nature of Western power in Asia and to discover Western objectives in East Asia."[3] The commissioner hired four Chinese translators who had been trained by missionaries to assist with the task of obtaining and translating appropriate western texts. One of them, Liang Jinde (梁進得), an assistant to missionary Elijah Coleman Bridgman, provided copies of The Chinese Repository and other works.[4] Lin also purchased a copy of the 1834 Encyclopedia of Geography by Hugh Murray from the American Board of Commissioners for Foreign Missions, which Liang translated to become the draft for Lin's own Geography of the Four Continents (四洲志). However, before the book could be published, the First Opium War broke out in 1839 and the project was shelved. When the war ended in 1842, Lin's exile to the remote northwestern city of Yili meant that he passed his draft manuscript to Wei Yuan with a request that he complete it. Lin's contributions to the treatise proved so important that Karl Gützlaff mistakenly attributed the work to him in his September 1847 review for the Chinese Repository.[5]

Content[edit]

As well as mapping various countries, Wei's objective was to provide as complete a picture as possible of the advantages they possessed in shipbuilding techniques and weapons production so that these "might be turned to use for subduing them."[1] Wei completed his investigations of western penetration into East Asia in 1841,[6] and in the Treatise proposed the construction of a shipyard and arsenal at Canton and the employment of foreign engineers to teach marine navigation and weapons operation –"pioneer ideas in the military history of modern China".[7]

Structure and editions[edit]

[It] divides the whole into eighteen parts, which are set forth in classical and somewhat obscure language. The 1st section enjoins the necessity of taking advantage of barbarian power and inventions, to resist the barbarians and to be on a proper footing with them. This may be said to be the grand object of the book, which then proceeds to give a geographical and historical account of all the nations in Europe, Asia, Africa and America. The closing chapters direct attention to the superiority of barbarians in their method of circulating news, ship-building, and gunnery; and are filled with woodcuts representing things and processes &c. Amongst barbarians, the English occupy a prominent place.

— The Chinese Repository Volume XIX January–December, 1850; p. 135

The first edition of the Illustrated Treatise on the Maritime Kingdoms, comprising 50 juan or scrolls, was published on January 3 1843.[6] This was followed in 1847 with a reorganised and slightly longer version running to 60 juan, while the third and final edition of 100 juan appeared in 1852. As the editions progressed, each in turn featured new maps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regarding the West, using material that became available after the First Opium War.[6]

Impact[edit]

Map of England from the Hǎiguótúzhì

Although on publication the Treatise received scant attention in China,[A] in the longer term, Wei and his contemporaries helped change the Chinese view of the outside world not only through the dissemination of new material but also by starting to change the view that China was the "center of civilization" or "center of the world" ("Middle Kingdom").[8]

Wei's work was also to have a later impact on Japanese foreign policy. In 1862, samurai Takasugi Shinsaku, from the ruling Japanese Tokugawa shogunate, visited Shanghai on board the trade ship Senzaimaru.[9] Japan had been forced open by US Commodore Matthew C. Perry less than a decade earlier and the purpose of the mission was to establish how China had fared following the country's defeat in the Second Opium War (1856–1860). Takasugi was aware of the forward thinking exhibited by those such as Wei on the new threats posed by Western "barbarians"[10] and later recorded in his diary: "The philosophy of the Chinese people stands poles apart from the correct path for China's future development. They are infatuated with lofty words unrelated to reality."[11] Sinologist Joshua Fogel concludes that when Takasugi found out "that the writings of Wei Yuan were out of print in China and that the Chinese were not forcefully preparing to drive the foreigners out of their country, rather than derive from this a long analysis of the failures of the Chinese people, he extracted lessons for the future of Japan".[12] Similarly, after reading the Treatise, scholar and political reformer Yokoi Shōnan became convinced that Japan should embark on a "cautious, gradual and realistic opening of its borders to the Western world" and thereby avoid the mistake China had made in engaging in the First Opium War.[13] Takasugi would later emerge as a leader of the 1868 Meiji Restoration[14] which presaged the emergence of Japan as a modernised nation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Yoshida Shōin, influential Japanese intellectual and Meiji reformer, said Wei's Treatise had "made a big impact in our country".[15]

Notes[edit]

  1. ^ 
    In September 1847, the Chinese Repository observed: "We have never heard of this work in the bookshops of Canton and have only seen an advanced review copy. ... It should be distributed amongst officials in Beijing and all the provinces to aid their understanding when dealing with foreigners."

References[edit]

Citations[edit]

  1. Jump up to:a b Hao & Wang 1980, p. 148.
  2. ^ Leonard 1984, p. 93.
  3. ^ Leonard 1984, p. 97.
  4. ^ Lutz 2008, p. 202.
  5. ^ Lutz 2008, 203, citing the Chinese Repository Vol. XVI, September 1847 pp. 417–24.
  6. Jump up to:a b c Leonard 1984, p. 98.
  7. ^ Hao & Wang 1980, p. 149.
  8. ^ Hao & Wang 1980, p. 148 "...dissolve the Sinocentric view by showing that China was in reality not the 'Middle Kingdom'"
  9. ^ Masuda 2013, p. 21.
  10. ^ Fong, Qian & Zurndorfer 2004, p. 7.
  11. ^ "甲午战争中国战败 西方国家为何反而同情日本? [Why did western countries sympathise with Japan after their defeat of China in the First Sino-Japanese War?]". people.cn. 30 April 2012. Retrieved 7 April 2014. (in Chinese)
  12. ^ Fogel, Joshua A. "Chinese and Japanese Studies of Early Sino-Japanese Contacts in the Modern Era" (PDF). Sino-Japanese Studies. p. 6. Retrieved 7 April 2014.
  13. ^ Shogimen & Spencer 2014, Chapter 5: A Historical Reflection on Peace and Public Philosophy in Japanese Thought: Prince Shotoku, Ito Jinsai and Yokoi Shonan.
  14. ^ Satoshi 2009, p. 86.
  15. ^ Liu, Jianhui (2009). "Shifts in the "Informationally Advanced Nations""Sino-Japanese Studies16. p. 72, citing the Collected writings of Yoshida Shōin (Tokyo: Daiwa Shōbo, 1976), vol. 2.

Sources[edit]

External links[edit]

海國圖志  (in Chinese) – via Wikisource. Chinese.




해국도지 海國圖志 1 - 권1~권2  | 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동양편 704
위원 (지은이),정지호,이민숙,고숙희,정민경 (옮긴이)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2021-08-25







양장본
256쪽
152*223mm (A5신)
461g
ISBN : 9791166840418

주제 분류
신간알리미 신청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사 일반


시리즈
해국도지 (총 4권 모두보기)


신간알리미 신청
전체선택
보관함 담기
장바구니 담기



해국도지 海國圖志 4 - 권5~권8
해국도지 海國圖志 2 - 권3
해국도지 海國圖志 3 - 권4
해국도지 海國圖志 1 - 권1~권2




책소개
전근대 중국의 세계관은 고도의 문명을 자랑하는 중국(華)을 중심으로 해서 그 주변에 아직 문명이 미치지 않은 오랑캐(夷)가 존재한다고 하는 일원적인 세계관을 전제로 했다. 이러한 화이사상에 근거한 중화 세계 질서는 아편전쟁 이후 서구 열강의 침략을 받게 되면서 서서히 무너져 가기 시작한다. 서구 열강을 중심으로 하는 국제 질서에 편입하게 됨에 따라 ‘중국’은 세계의 중심이 아니라 많은 나라 중의 하나에 불과하며, 세계는 서로 다른 문화를 가진 각 나라가 서로 경합하는 다원적인 공간이라고 하는 인식의 변화가 일어난 것이다.

이러한 인식의 변화는 당시 중국의 엘리트 지식인들에게는 일찍이 경험해 보지 못한 미증유의 세계였다. 위원은 “서양 오랑캐를 물리치려면 먼저 서양 오랑캐의 실정을 자세하게 파악하는 데서 시작해야 한다”라는 인식하에 1842년 마침내 『해국도지』 50권본을 편찬하게 되었다. 그 후 1847년에는 60권본으로 증보 개정했고, 1852년에는 방대한 분량의 100권 완간본을 출간했다. 『해국도지』는 그 서명에서도 알 수 있듯이 대륙 중심의 중국이 처음으로 해양을 통한 세계 여러 나라에 관심을 기울이게 된 기념비적인 서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해국도지』는 당시 중국 지식인들이 ‘천하’에서 ‘세계’로 세계상을 전환하면서 중화사상이라는 자기중심적 세계상에서 탈출하는 힘들고 어려운 여행길에 나설 수 있게 해 주었다.


목차


옮긴이의 말
일러두기
해국도지 원서
해국도지 후서

해국도지 권1
주해편 1 방어에 대해 논함 상
주해편 2 방어에 대해 논함 하

해국도지 권2
주해편 3 전쟁에 대해 논함
주해편 4 화친에 대해 논함

찾아보기


책속에서


P. 73 아편전쟁 이래로 정부에서 내놓은 대책이나 전장에서 운영했던 방안은 전쟁 아니면 화친, 화친 아니면 전쟁이었지, 전적으로 방어를 주장했던 사람이나 방어에 대해 진지하게 이야기한 사람은 없었다. 방어를 할 수 없는데, 어떻게 전쟁을 할 수 있겠는가? 방어를 할 수 없는데, 어떻게 화친할 수 있겠는가? _ 주해편 1 방어에 대해 논함 상 접기
영국 오랑캐가 광동을 칠 때 첩자 3천 명을 모집하고 각자에게 생계 유지비로 은 30원을 지불하고 매달 급료로 10원을 지급했다. 반면 호문을 지키는 아군은 매달 채 3냥을 받지도 못했기에 제독 관천배(關天培)가 아군의 궁핍함을 불쌍하게 여겨 직접 돈을 내서 군사마다 은 2원을 도와주자 [당시의] 논자들은 또한 수군이 제독을 협박해 상을 요구했다고 탄핵했으니, 이러고도 도리어 그들이 사력을 다해 싸울 것을 바라는가? _주해편 2 방어에 대해 논함 하 접기
오늘날 진실로 서양 군함을 가져다 쓰자고 주장하면 반드시 외국의 힘을 빌리는 것은 [중국의] 약점을 노출할 염려가 있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일단 몇 배의 약점을 노출하고 나면 달게 여기고 마다하지 않게 될 것이다. 가령 선박을 제조하는 기계를 설치하면서 외국의 장점을 배울 것을 주장하면 쓸모없는 낭비라고 할 것이다. 그러나 일단 이보다 10배를 낭비하고 나면 또한 편의상 위급한 상황을 구하기 위해서는 아까워하지 말라고 할 것이다. _주해편 3 전쟁에 대해 논함 접기
또한 외적이 변란(아편전쟁)을 일으킨 원인이 아편을 몰수했기 때문이라고 하는데, 과연 아편 몰수 때문인가? 왜 5월에 아편을 몰수했는데, 이후 반년 동안이나 주변을 맴돌면서 행동에 나서지 않았는가? 왜 선박 화물을 몰수하는 서약에 동의했는가? 왜 현상금을 내걸고 범죄를 고발하게 했는가? 왜 노만산 밖으로 쫓겨나서 다시 ??대청률??을 따르겠으니 마카오로 돌아가게 해 달라고 사정했는가? 이 격변은 절대로 아편을 몰수했기 때문이 아니라 무역을 정지했기 때문이라는 것이 명확하다. _주해편 4 화친에 대해 논함 접기



저자 및 역자소개
위원 (魏源)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청대 정치가, 계몽사상가이다. 호남성(湖南省) 소양(邵陽) 사람으로 도광 2년(1822) 향시(鄕試)에 합격했다. 1830년 임칙서 등과 함께 선남시사(宣南詩社)를 결성해서 황작자(黃爵滋), 공자진(龔自珍) 등 개혁적 성향을 지닌 인사들과 교류했다. 1840년 임칙서의 추천으로 양절총독 유겸(裕謙)의 막료로 들어가면서 서양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같은 해 임칙서에게서 『사주지』를 비롯해 서양 관련 자료를 전해 받고 『해국도지』를 편찬했다. 주요 저작으로는 『공양고미(公羊古微)』, 『춘추번로주(春秋繁露注)』, 『성무기(聖武記)』 등이 있다. 접기

최근작 : <해국도지 海國圖志 4>,<이언【易言】【언해본】. 해국도지【海國圖志】【籌海篇】>,<해국도지 海國圖志 2> … 총 7종 (모두보기)

정지호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도쿄대학 대학원 인문사회계 연구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경희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로 중국의 전통적 상업 관행인 합과(合夥) 경영 및 량치차오[梁啓超]의 국민국가론에 대해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현재는 귀주(貴州) 소수민족 사회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저서로는 『합과: 전통 중국 상공업의 기업 관행』, 『키워드로 읽는 중국의 역사』, 『진수의 《삼국지》 나관중의 《삼국연의》 읽기』, 『한중 역사인식의 공유』(공저)가 있으며, 역서로는 『애국주의의 형성』, 『중국근현대사 1: 청조와 근대 세계』, 『동북사강』 등이 있다. 접기

최근작 : <합과>,<네트워크 세계사>,<진수의 『삼국지』 나관중의 『삼국연의』 읽기> … 총 14종 (모두보기)

이민숙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중국고전소설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다. 고서적 읽는 것을 좋아해서 틈틈이 중국 전통 시대의 글을 번역해 출간하고 있다. 특히 필기문헌에 실려 있는 중국 전통문화를 이해하고 재구성하는 것에 관심이 많다. 저서로는 『한자 콘서트』(공저), 『중화미각』(공저), 『중화명승』(공저), 역서로는 『태평광기』(공역), 『우초신지』(공역), 『풍속통의』(공역), 『강남은 어디인가: 청나라 황제의 강남 지식인 길들이기』(공역), 『임진기록』(공역), 『녹색모자 좀 벗겨줘』(공역), 『열미초당필기』 등이 있다. 접기

최근작 : <중화명승>,<중화미각>,<어린이를 위한 헷갈리는 한자 100> … 총 22종 (모두보기)

고숙희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중문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중앙승가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다. 동서양 고전을 즐겨 읽으면서 동서양 소통을 주제로 한 대중적 글쓰기를 시도하고 있다. 특히 18세기 한중 사회의 다양한 문화에 대해 큰 관심을 가지고 소소한 글쓰기를 하고 있다. 최근에는 법의학과 전통 시대 동아시아 재판 서사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 중이다. 저서로는 『고대 중국의 문명과 역사』와 『중국 고전 산문 읽기』가 있고, 역서로는 『송원화 본』(공역), 『중국문화 17: 문학』 , 『백가공안』 , 『용도공안』 , 『열두 누각 이야기十二樓』 , 『新 36계』 등이 있다. 접기

최근작 : <중국고전산문읽기>,<고대 중국의 문명과 역사> … 총 22종 (모두보기)

정민경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중국사회과학원에서 중국문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제주대학교 중문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중국소설과 필기를 틈틈이 읽고 있으며 중국 지리와 외국과의 문화 교류에도 관심이 많다.
저서로는 『옛이야기와 에듀테인먼트 콘텐츠』(공저), 『중화미각』(공저), 『중화명승』(공저)이 있고, 역서로는 『태평광기』(공역), 『우초신지』(공역), 『풍속통의』(공역), 『명대여성작가총서』(공역), 『강남은 어디인가: 청나라 황제의 강남 지식인 길들이기』(공역), 『사치의 제국』(공역), 『(청 모종강본) 삼국지』(공역) 등이 있다.

최근작 : <중화미각> … 총 6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편집자의 말

대륙에서 해양으로, 중심에서 여럿 중 하나로

위원이 『해국도지』를 저술하던 시기, 중국 아니 아시아와 세계는 새롭게 등장한 질서로 요동치고 있었다. 대항해 시대 이후, 세계의 진출로가 대륙에서 해양으로 변화하면서 세계의 판도가 바뀐 결과였다. 대항해 시대의 막대한 부와 산업혁명은 서방 국가에 강력한 힘을 선물하였고, 그들은 그 부와 힘을 통해 세계 질서를 재편하였다. 자신이 세계의 중심이라고 믿어 오던 중국과, 중국이 세계의 질서라고 믿어 오던 아시아의 여러 나라의 세계는 그렇게 몰락을 맞이해야 했다. 그리고 서방 제국주의 중심의 새로운 질서가 동트고 있었다. 갑작스러운 질서의 변화에 지식계는 혼란에 빠졌다. “과연 갑자기 다가온 새로운 세계에 어떻게 대응해야 한단 말인가.” 이것은 당대 지식인이라면 답해야 할 의무가 있는 질문이었다. 위원 역시 지식인으로서 답할 의무가 있었다. 그리고 그의 대답이 『해국도지』였던 셈이다. 위원은 임칙서로부터 『사주지』와 서양 관련 자료들을 전해 받고 『해국도지』를 편찬하였다. 『해국도지』는 당대 지식인들을 그때껏 알지 못했던 새로운 세계로 인도해 주었다. 위원은 『해국도지』를 저술한 목적에 대하여 이렇게 말했다.

“이 책을 저술한 이유는 무엇인가?
서양의 힘을 빌려 서양을 공격하고(以夷攻夷),
서양의 힘을 빌려 서양과 화친하며(以夷款夷),
서양의 뛰어난 기술을 배워(爲師夷長技)
서양을 제압하기 위해서 저술한 것이다(以制夷而作).”

답은 언제나 이미 준비된 것으로서 존재한다.

“상대를 알고 자신을 알면 백 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知彼知己者, 百戰不殆).
상대는 알지 못하고 자신은 알면 한 번은 이기고 한 번은 진다(不知彼而知己, 一勝一負).
상대를 알지 못하고 자신도 알지 못하면 싸울 때마다 위태롭다(不知彼不知己, 每戰必殆).”

이는 동양 사회에서는 아주 익숙한 말이다. 『순자』는 동양에서 전법의 경전과도 같기 때문이다. 그러나 당시의 중국은 서양의 문물을 받아들이려 하지 않았기에 “상대를 알” 수 없었다. 중화사상에 갇혀 자신의 병폐를 돌아보지 않았기에 “자신을 알” 수조차 없었다. 반면 서양은 선교사와 상인들을 통해 중국에 대해 많은 것을 알고 있었다. 그러니 중국이 아편전쟁에서 패배했던 것은 어떻게 보면 당연한 귀결이었다. 따라서 위원의 답은 어떻게 보면 이미 정해져 있었다. 서양을 극복하기 위해선 무엇보다도 먼저 서양을 알아야 했다. 그런데, 서양을 아는 것만으로는 충분치 않았다. 중국은 결국 서양이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 대처법을 알기 위해서는 한 가지 질문에 더 답해야 했다. 그 질문은 도대체 왜 “필리핀과 자와는 일본과 같은 섬나라이지만, 한쪽(필리핀과 자와)은 병합되고 한쪽(일본)은 강성함을 자랑”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것이었다. 그래서 위원은 단순 서양에 관해서만 서술한 것이 아니라, 동남아시아의 여러 나라와 일본에 관해서도 서술하였다. 결국, 답은 언제나 이미 정해져 있었다. 중요한 것은 무엇을 알고자 하는가였다.


과연 어떻게 해양을 방어할 수 있을 것인가?

『해국도지』는 100권이나 되는 방대한 분량의 책이다. 그중 권1에서 권2까지의 「주해편」은 『해국도지』 편찬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는 해방론을 다루고 있다. 본권은 해방론을 다루고 있는 그 두 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해편」은 4개의 편으로, 방어에 대해 논하는 ‘의수’ 편이 상하 두 편이며, 전쟁에 대해 논하는 ‘의전’, 화친에 대해 논하는 ‘의관’ 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과연 해방론에 대한 위원의 답은 무엇일까? 위원의 답은 자칫하면 모순된 것으로 보일 수 있다. 처음에는 해양이 아닌 내륙에서 적을 상대해야 한다고 했으면서 나중에는 전함을 제조하여 맞서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것은 현재의 방법(당시 기준으로)과 향후의 방법을 함께 논함으로 인해 그렇게 보이는 것이다. 해양에서 맞설 준비가 안 되었을 때는 당연히 적을 내가 유리한 쪽으로 유도해야 한다. 따라서 준비가 안 된 현재(물론 당시 기준으로)에는 내륙에서 상대해야 한다. 그러나 언제까지고 적을 끌어들일 수만은 없다. 적이 들어오지 않으면 적을 물리칠 수 없는 것이 이 방법의 가장 큰 단점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결국에는 해양에서 맞서기 위해 준비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위원은 화친을 맺으면 즉시 전쟁을 준비해야 한다고 말한다. 이는 얼핏 보면 이상해 보인다. 대관절 화친을 맺었는데 왜 전쟁을 준비한다는 말인가? 그러나 이는 아주 순진한 생각이라고 할 수 있다. “평화를 원한다면 전쟁을 준비하라(Si vis pacem, para bellum)”라고 하지 않는가! 국제 질서는 선의로 점철된 질서가 아니다. 그것은 오직 힘의 논리를 따르기에, 강한 자가 협상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한다. 따라서 아무리 화친을 맺었다고 해도 전쟁을 준비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리고 위원은 화친을 논하면서 아편 금연 정책을 엄격히 시행할 것을 이야기한다. 그런데 중국은 아편을 금지했다가 아편전쟁의 피해를 받고 강제적으로 조약을 맺어 화친을 맺지 않았는가! 이에 대해 위원은 중요한 것은 ‘아편’이 아니라 ‘이익’이라고 말한다. “가령 저들이 아편 무역을 중지하더라도 정부는 세수 감소가 없고 민간에서는 재산상 손해가 없다면 무엇 때문에 기꺼이 밀수를 명분 삼을 것이며, 또한 자연스러운 이익을 추구하지 않겠는가?” 이처럼 위원은 「주해편」에서 자신의 혜안을 드러내 주고 있다. 이 책을 통해 미증유의 세계를 마주한 한 지식인의 분투를 만날 수 있을 것이다. 접기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