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2

프랑스의 68운동 - 위키백과, フランスの五月革命(ごがつかくめい)

프랑스의 68운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프랑스의 68운동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68운동
1968년 5월 보르도의 바리케이드
날짜1968년 5월 3일 ~ 6월 23일
지역프랑스 프랑스 전역
원인드골정부의 실정, 사회모순
종류항의시위농성집회파업
시위 당사자

프랑스 학생 전국연합
일반노동연맹


프랑스 공산당

프랑스 정부

주요 인물
불명샤를 드골
조르주 퐁피두
참여 인원
시위대 1000만명 추정불명

프랑스 5월 혁명 또는 프랑스의 68운동은 프랑스 샤를 드 골 정부의 실정과 사회의 모순으로 인한 저항운동과 총파업 투쟁하며 기존의 가치와 질서에 저항한 사건이다.

처음에는 파리의 몇몇 대학교와 고등학교, 대학 행정부와 경찰에 대한 학생 봉기로 시작했다. 드 골 정부는 경찰력을 동원해 저항을 진압하려고 했으나 이는 운동의 열기만 점화시키는 것에 지나지 않았으며, 라틴 지구의 경찰과의 가두 전투를 일으켰고, 결국 프랑스 전역의 학생과 파리 전 노동자의 2/3에 해당하는 노동자 총파업으로 이어졌다. 드 골 정부는 이러한 시위자들에 대항해서 군사력을 동원했고 의회를 해산했으며 1968년 6월 23일에는 다시 총선을 실시했다.

이즈음 정부는 붕괴되기 직전이었고 드 골은 독일군 주둔의 비행 기지로 잠시 피신하기까지 했으나, 혁명적인 상황은 지속되지 못했고 좌파연합인 노동총연맹(Confédération Générale du Travail)과 프랑스 공산당(Parti Communiste Français, PCF)의 실책으로 인해 노동자들은 복귀했다. 6월에 총선이 이루어지고 나서 드 골의 정당은 이전보다 더 힘을 얻게 되었다. 그러나 드 골은 이듬해 물러나고 말았다.

저항자들에게 1968년 5월 혁명은 실패였으나, 사회적으로 엄청나게 큰 영향을 미쳤다. 프랑스에서는 종교애국주의권위에 대한 복종 등의 보수적인 가치들을 대체하는 평등성해방인권공동체주의생태주의 등의 진보적인 가치들이 사회의 주된 가치로 자리매김하였으며, 이러한 경향이 현재의 프랑스를 주도하고 있다. 물론 이러한 변화가 단 한 달 동안에만 일어난 것은 아니고, 68년 5월 혁명은 이러한 가치의 이동의 대명사가 되었다.

신좌파[편집]

프랑스 공산당으로 대표되는 당시 구좌파들이 시위주도세력을 조롱하고 시위세력들은 프랑스 공산당에게 상당한 적대감을 표시했던 것은 유명하다. 68 혁명의 주도세력의 문제는 그것이 누구냐를 놓고 논란이 아주 없는 것은 아니나 대개 '신좌파' 즉, 신사회주의자들이 중심이었다고 할 수 있다. 문제는 이들이 '구좌파'와 어떻게 다르고 무엇이 같은가이다. 일단 신좌파운동을 펼치고 신좌파로 불린 이상 공통점이 앞선다고 할 수 있다. 비판적인 입장에서는 또 다른 시각을 보일 수도 있겠지만 중요한 것은 구좌파나 신좌파나 동일한 목적과 지향점을 가졌다는 사실이다. 마르크스주의적 사회주의는 마르크스가 《공산당선언》에서 각인시켜 놓았듯이 모든 인간의 해방 즉, 자유로운 인간들의 평등한 세상을 건설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현실사회주의와 구좌파는 만민평등에까지 나아가지 못하고 노동자 해방에서 멈추고 말았다. 스탈린식 공산주의는 비록 무상의료, 무상교육 등 복지제도를 최초로 도입하고 사회적 인권보장에 기여했으나, 관료주의와 자유의 억압으로 사회가 활력을 잃어버렸다. 신좌파가 "굶어죽을지라도 지루한 건 못참겠다"고 부르짖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이는 풍요로운 자본주의에 대한 염증과 권태에도 해당되지만- 이 해방과 자유 이념은 사회 전역에 걸쳐 퍼져나갈 수밖에 없는 시점에 도달했던 것이다. 신좌파는 이를 발전적으로 계승하기 위해 혁명운동에 앞장섰다.

신좌파는 구좌파와 사실상 마찬가지로 소수 기득권자에 의한 대중의 정치, 경제적 억압과 착취를 단호히 반대했다. 그러나 신좌파는 구좌파와 달리, 억압과 착취의 개념을 더 넓게 해석해서, 문화적 착취, 관료적 억압, 성적 억압, 인종적 착취까지 모두 비판한 것이다. 요컨대 신좌파는 구좌파가 중시했던 경제적, 정치적 문제뿐 아니라, 여성억압, 아동학대, 대중문화 등 일상의 문제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또한 신좌파는 구좌파와 달리 단일대오의 일사불란한 조직적 행동보다는 다양한 대중의 직접행동 정치를 강조했다. 탄압이 심해지면서 소수 전위에 의한 무장투쟁으로 비화되기도 했지만 위가 아닌 아래로부터의 혁명을 추구했던 신좌파는 연좌농성, 토론집회, 공공장소 점거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저항하고 대의를 관철시켜 나갔다. 이런 차이는 인적 구성자체에 기인했다고도 볼 수 있다. 신좌파의 중추세력은 학생청년, 소수자, 다인종, 여성, 그리고 룸펜프롤레타리아트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오랜 사회주의 좌파운동의 대의와 목적이 해방과 평등이라는 이념으로 수미일관성을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신좌파는 구좌파의 지향과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고 이를 변증법적으로 계승했다고 할 수 있다. 동시에 인간의 해방과 평등은 결함과 차별로 가득한 현대사회에서도 여전히 유효한 가치로 계속 진화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1]

혁명의 요구[편집]

생활속 민주주의 또는 일체의 권위를 거부하는 평등주의를 제창했다; 서구는 대체로 정치적, 경제적 민주주의를 구현한 나라들로 이를 바탕으로 한 민주주의적 생활화의 요구는 일면 당연한 수순인듯 하다. 68 혁명 운동은 신좌파의 주도로 전통적 사회주의를 고무한 것은 사실이나 자본주의나 사회주의를 막론하고 억압적 권위주의에 대해서는 과감한 철퇴를 내렸다는 사실이다. 68 혁명의 정신적 지주였던 막스 호르크하이머는 후기 자본주의체제를 파시즘으로 규정했는데, 이런 현상은 가정으로까지 침투해 있었다.가부장 권위주의는 타매의 대상이 되지 않을 수 없었고 여성주의자들은 "개인적인 것이 정치적인 것이다"며 차별에 강력 저항했다. 특히, 관료적 권위주의는 동, 서구의 양체제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문제이어서 매서운 공격을 받지 않을 수 없었다. 집단과 조직사회 속의 관료주의도 비판을 피할 수 없었다. 교사, 교수의 권위주의, 목사의 권위주의, 기업체 사장의 권위주의 등 모든 권위는 전방위적으로 비판되고 투쟁으로 추방할 것을 강조했다.

사람사는 세상, 인간다운 삶을 요구했다. 68 혁명은 무엇보다 자본주의 생산체제를 넘어 그 소비체제의 물신주의, 물질숭배, 인간소외에 저항의 초점이 맞춰졌다. 과거의 강압이나 착취에 의한 인간 통제와는 달리 후기 자본주의는 여론조작과 조종을 통해 부드럽게 인간을 지배할 수 있었는데, 이것이 만천하에 폭로됨으로써 항거의 물결은 세차게 일었다. 68 혁명은 부의 증대, 경제 성장에 따른 과소비, 비인간화와 일상적 소외를 다양한 구호를 내걸고 정면으로 공략했다. "행동하라", "더 많이 소비하라, 더 빨리 죽으리니", "일하지 말라", "열정을 해방하라", "다른 세계는 가능하다", "불가능한 것을 요구하라", "금지를 금지하라", "파괴는 창조의 열정이다", "사랑할수록 더 많이 혁명한다", "굶주릴 지라도 권태로운 것은 못 참는다", "선거는 아무것도 바꾸지 못한다-투쟁은 계속된다" - 이처럼 경제가 발전할수록 인간성이 황폐화되는 것을 목도하고 인간다운 세상의 건설을 위해 물질주의와 물질에 사람이 종속되는 삶을 거부하고 대지를 요동치는 몸부림을 쳤던 것이다.

68 혁명에 이념적 근거를 제공한 헤르베르트 마르쿠제는 "억압이 없는 현실원칙"이 관철되는 이상사회의 실현을 확신하며 "두려움없는 최고의 평등한 자유를 얻기위한 투쟁의 의미로 "위대한 거부"를 역설했다. 이는 혁명과 전복의 다른 이름이었다. 또한 크리스 하먼은 "68 혁명은 세상을 완전히 뒤집지는 못했지만 세상을 강력하게 뒤흔들었다. 그 충격파는 많은 사람들을 해방으로 이끌었으며, 세상이 완전히 바뀔 수 있고 무엇이든 가능하다는 확신을 심어주었다"고 언명(言明)했다.[2]

혁명의 전개와 영향[편집]

파리 낭테르 대학이 학생들과의 대립으로 학교를 일시 폐쇄하자 이에 항의하여 소르본 대학의 학생들이 5월 3일 광장으로 나온 것을 기점으로 시작된, 파리에서의 학생, 노동자의 시위와 파업은 6월 들어 베를린과 로마로 퍼져나갔다. 학생들의 학교점거가 세계로 급속히 확산되었다. 영국도 미국도 사실상 마찬가지였다. 학생들의 거센 시위는 서구를 넘어 칠레, 우루과이, 아르헨티나, 멕시코 등에서도 발생했으며, 진압도중 수많은 생명을 잃는 참사를 빚었다. 아시아에서는 일본에서 혁명의 물결이 넘쳤다. 도쿄 오사카 등 주요대학에서 점거 투쟁이 벌어졌고 미군기지도 습격을 당했다. 미국에서는 베트남전쟁 반대에 더해 인종차별에 저항하는 사회운동으로 확대되었다. 이같은 일련의 저항은 자본주의 진영에서만 있었던 것이 아니고 사회주의 진영이던 동구의 여러나라에서도 요동쳤다. 68 혁명은 세계적 차원의 혁명이었던 것이다. 그래서 미국의 저명한 학자인 이매뉴얼 월러스틴은 "이제껏 세계적 혁명은 단 둘뿐이었다. 하나는 1848년에, 또 하나는 1968년에 일어났다. 둘 다 실패로 끝났지만 둘 다 세계를 뒤흔들어 놓았다"고 단언했다.

그러나 68 혁명의 시작이 엄밀히 말하면 파리가 아니었다. 이 저항과 혁명의 거대한 흐름에서 가장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는 것은 베트남 전쟁이었다. 베트남 인민들의 제국주의에 대한 가열찬 저항과 투쟁은 전 세계 반전 평화주의자들에게 심금을 울려 뒤흔들어 놓기에 충분했다. 68년 1월 구정(설날)대공세로 명명된 대대적인 베트남 인민의 공격은 전 세계 학생과 시민들의 반전 운동과 해방운동에 기름을 붓는 격이었고 이는 68 혁명이 사회 문화혁명으로 국지적인 아닌 세계로 퍼져나가는 데 결정적으로 기여했다. 하지만 시위가 3달 가까이 지속되자 시민들과 언론은 점점 무질서에 염증을 느끼기 시작했고, 그 반발심리로 곧 이어진 총선에서는 우파가 대거 득세하게 되는 사태가 벌어졌다. 이것으로 상대주의의 극단화는 정치적 보수주의를 부르게 된다는 역사적 진리를 다시 체험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우리에게 경각심을 일깨워준다.

68 혁명의 주도자는 <신좌파>로 불리듯, 전통좌파와는 차별성을 보인다. 그렇다고 전통좌파의 가치를 배제한 것은 아니고 다양한 가치를 녹여낸 진일보한 좌파의 진화라고 할 수 있다. 신좌파는 전통좌파의 빈부격차의 타파라는 평등주의를 계승하면서 생태주의, 여성주의, 소수자운동 등으로까지 발전했던 것이다.

노동해방뿐만 아니라 모든 인간 특히 주변부의 사회적 약자에 대한 연대와 해방을 추구했다. 물론 구좌파의 제도적 경직성과 권위주의는 지양하면서 자본주의의 물신성, 야만에 대해서도 과감하게 철퇴를 가했다. 신좌파는 하나의 이념으로 결속된 단일세력이 아니었기에 노선에 따라 분화되었다. 네오마르크스주의자, 무정부주의자, 트로츠키주의자, 마오쩌둥주의자 등으로 나뉘었다. 직접행동 민주주의, 혁명적 투쟁을 중시한 신좌파는 제도정치권에 참여하기보다 주로 반체제 비판 세력으로 남았다. 그러나 68 혁명의 영향을 크게 받은 환경운동단체들이 본격적으로 정치무대에 오르기 시작하면서 주목을 끌었다. <녹색당>은 프랑스와 독일에서 모두 좌파연립정부 구성에 참여했다. 이처럼 진보의 다원적 구축은 유럽사회에 큰 활력소가 되었다.

68 혁명이 유럽의 정치권을 완전히 뒤바꾸지는 못했지만 기존의 정치문화에 커다란 자극제가 되었다. 또 자본주의 소비사회의 일상에서 소외되어 살아가던 평범한 시민들에게 신선한 충격을 주고 삶의 의미를 되새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지금 벌어지고 있는 전지구적 조용한 참살이(웰빙) 바람도 68 혁명의 영향이 아닐 수 없다. 자본주의 사회의 모순과 현실사회주의의 한계를 모두 극복하고 더 나은 삶과 가치를 추구했다는 것은 인류의 이상이자 영원한 자원이 아닐 수 없다. 무엇보다 지금 전세계를 휩쓸고 있는 세계화에 대안적 사상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68 혁명은 살아있고 현재진행형이다.[3]

비판적 시선[편집]

프랑스의 지식인들은 과거 그들의 식민지였던 인도차이나의 주도권을 미국이라는 초강대국의 세력에 빼앗기는 상황에 불편함을 감출 수 없었다. 프랑스의 지식인들은 제 2차 세계대전에서 독일에 짓밟힌 굴욕감과, 해방이 자주적으로 얻어낸 것이 아닌 미국의 승전으로 얻어진 데 대한 좌절감으로부터 벗어나 국가적 자존심을 회복할 만한 돌파구가 필요하였다. 프랑스의 지식인들은 미국과 베트남의 전쟁에 대한 반전 운동을 전개하기로 한다. 그러나 그것은 단지 도덕적 우월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일 뿐 정작 프랑스의 인도차이나 식민 지배 시절에 그것의 해체를 위해 노력한 적은 없었다. 베트남은 10년간의 대프랑스 독립 전쟁의 결실로 독립할 수 있었다.

슬로건과 그래피티[편집]

  • Il est interdit d'interdire (“금지하는 것을 금지한다”)
  • Jouissez sans entraves (“방해 없이 즐기자”)
  • Élections, piège à con (“선거는 바보들의 함정이다”)
  • Je suis Marxiste—tendance Groucho. (“나는 Groucho 경향의 마르크스주의자이다”)
  • Cela nous concerne tous. (“이건 우리 모두의 문제이다”)
  • Soyez réalistes, demandez l'impossible. (“사실적이어라. 불가능을 요구해라”)
  • When the National Assembly becomes a bourgeois theater, all the bourgeois theaters should be turned into national assemblies. (점령당한 Odéon 극장 위에 쓰여진 말이다)
  • Sous les pavés, la plage! ("자갈 아래는 바다이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유강은 역, 《공산당선언》, 그린비, 143, 145쪽
  2.  정병기 역, 《상상력에 권력을》 메이데이, 337, 341쪽
  3.  임영태 《인류이야기2》 아이필드, 158, 160쪽

참고 자료[편집]



=======
일어

프랑스의 5월 혁명

5월 위기

출처 : 무료 백과 사전 "Wikipedia (Wikipedia)"

프랑스의 5월 혁명은, 1968년 5월에 일어난, 프랑스 의 파리 에서 행해진 신좌익 주도의 일제봉기의 개시로부터, 다음 달의 의회 선거에서 샤를 드   정권 다수파 국민에 의한 지지가 판명되어 급속히 진정할 때까지의 기간을 가리킨다 [1] . 오월 위기 라고도 한다.

개요 편집 ]

파리 교외에 1963년에 신설된 파리 대학 난테르교에서, 1968년 3월 신좌익 학생에 의한 점거 사건이 발생해, 같은 해 5월 10일에는 대학 당국에 의한 학교 폐쇄에 항의하는 신좌익 학생들이 파리 시내에 결집해 경관대와 충돌했다. 같은 해 5월 13일에는 신좌익 학생을 지지하는 일부 노동자·시민이 학생 지원 시위를 벌였고, 혼미는 5월 말까지 이어졌다. 드골은 5월 30일 국민의회를 해산해 여론의 실태를 묻는 총선거를 하는 것을 선언하고 사태 수습에 해당했다. 조르주 퐁피두 총리는 프랑스를 '공산주의 위협'에 직면했기 때문에 시위에 참가하지 않은 침묵 마조리티에게 '공화국 방위'를 호소하고 목소리를 높이려고 호소 했다 . 다음 6월에 행해진 총선거는 프랑스 국민 다수파에 의한 신좌익폭동에의 반발로부터 드골파가 압승해, 위기는 떠났다(en: 1968 French legislative election ) [1] . 프랑스어로는 「Mai 68」, 영어에서는 「May 68」이라고 표기한다.

‘파리 5월 혁명이 직접 샤를 드골 정권을 쓰러뜨렸다’는 언설은 틀림없고 , 드골 정권은 공산주의자의 위협에 프랑스 국민이 선거에서 NO를 밀어붙이도록 호소했다. 그리고 5월 위기 중 민의를 묻는 1968년 6월 국회 선거에서도 압승했고, 신좌 시위 측은 프랑스 국민의 노이지 마이너리티임을 보여주었다. 드골의 사임은 '1969년 3월 금가격 상승'에 의한 총파업이 일어난 일에 있다. 같은 해 다음 4월에 드골은 이를 받아 사임하게 되었다 [1] .

공산주의·신좌익의 영향 편집 ]

오월혁명에서는 쿠바혁명 의 최게발라 와 문화대혁명 의 모택동 등 공산주의자가 운동의 아이콘 으로 내걸었다. 배경에는 프랑스 혁명 에서 러시아 혁명 , 쿠바 혁명, 문화 대혁명에 이르는 "혁명의 역사"가 있으며, 그것을 고도 경제 성장에 솟는 파리의 학생이 이끌어 각국의 학생 운동에 열을 뿌려 더 박차를 걸었다.

1960년대 후반, 구미, 일본을 중심으로 한 세계의 신좌익 젊은이는, 학생 운동 에 의해서 서로의 이념, 사상, 철학을 공유해, 격렬한 정치 운동을 실시했다. 이에 따라 국가의 틀에 머무르지 않는 대항문화( 카운터컬쳐 )와 반체제문화( 히피 문화)를 구성하는 유토피어스틱한 ' 세계적인 동세대 '라는 세대적인 시점이 가속도를 늘려간다. 이후 보다 자유롭게 세계와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게 된 학생들은 발언권을 강화하게 되어 프랑스의 현대화를 추진시켰다는 의견도 있다 [2] . 그것은  이나 영화, 패션 [3] , 애니메이션 , 아트 등에 영향을 주었다고 한다 [4] .

시위 지지파에서 모택동주의에 대한 동경 편집 ]

문화대혁명의 홍위병. 5월 혁명 당시 프랑스에서는 아직 문화대혁명의 실태는 알려지지 않았고, 프랑스인들 사이에서는 모사상에 대한 과잉 기대가 푹 빠져 있었다.

당시의 프랑스에서는 붉은 중국의 Grand Timonier [5] 모택동의 저서 「Le petit livre rouge de mao」(「털주석어록」)가 유행하고 있었다. 그것은 파리의 ENS(고등사범학교) [6] 의 학생들을 통해 늘어져, 좌파 지식인들을 활기차게 하고, 학생과 노동자를 단결시키는 사상이었다. 학생들은 미국의 패권주의에 반대하는 모델로 모택동 사상 의 서적을 읽었다. 따라서 중국에 대한 동경도 ‘5월혁명’에는 투영되고 있다. 단지 그 동경은 사상적으로 깊어지지 않고, 로맨티시즘의 색채가 진했다. 더욱 당연한 일이지만, 학생에게는 정부를 전복시키는 힘은 없었다. 즉 진짜 무력 에 의한 혁명이 아니라 학생 시절의 모라토리엄한 혁명이었다 .

조반유리 '를 거친 일본의 1960년대 안보투쟁과 마찬가지로 유권자의 다수파의 지지는 얻지 못하고 현실의 선거·의회 구성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소동 이전 전후 프랑스 상황 편집 ]

드골 대통령

제2차 대전이 끝나고 식민지 제국이었던 프랑스는 제4공화정 이라는 정권의 안정되지 않은 정치체제로 이행했다(1946-1958). 이 사이에 베트남과 알제리라는 두 개의 구식민지 독립의 도전을 받아 인도 차이나 전쟁 (1946-1954)과 알제리 전쟁 (1954-1962)에 파병했다. 인도차이나 전쟁에서 고전을 당한 프랑스군은 1953년 디엔비엔푸 에서 패해 베트남에서 철수해야 한다. 또한 프랑스는 알제리 식민지 유지에 고집하고 의회의 혼란을 초래하면 진흙 늪의 알제리 전쟁(1954)으로 돌입해 간다. 제4공화정이 명확한 리더십을 채택할 수 없는 체제였기 때문에, 제2차 대전의 국민적 영웅 드골 장군[8]은 보다 대통령 권한의 강화된 제5공화정 을 수립 ( 1958 ) ) 및 알제리 와 아프리카 각국의 독립을 용인했다.

타임라인 편집 ]

1968년 3월 15일자 일간지 르 몬드에 저널리스트, 피에르 비앙슨 폰테는 “현재 우리의 삶을 정의하는 것은 지루하다”, “프랑스인은 지루하다. 그들은 세상을 뒤흔드는 격동 에 참여하지 않았다”고 썼다. 후속 사건은 "지루함"이 반란의 강력한 촉매 역할을했다는 것을 시사한다 [9] .

1968년 3월 22일 편집 ]

1968년 파리. 벽 일면에 붙어있는 정치적 주장의 포스터. 무엇보다 다양하고 화려하고 팝이었다. 오월혁명의 비주얼은 고다르와 포스터의 색채로 물들여진다.

1966년 이후에 일어난 스트라스부르 대학 의 학생운동 , 교수독점의 위계체제에 대한 민주화 요구나 기존의 학생운동조직이었던 프랑스 전국학생연맹(UNEF) 영어판 ) , 관료주의로의 반발 등이 화종이 되었다 [10] [11] , 이윽고 운동은 1964년에 창립한지 얼마 안된 파리 대학 난테르 분교(현재의 파리 제 10 대학 , 덧붙여서 사르코지 대통령 , 마크론 대통령 도 여기의 졸업생이다)에 파문을 펼쳐, 1968년 3월 22일에는 베트남 전쟁 반대를 주창하는 국민위원회 5명의 검거에 반대하는 학생운동으로 발전 [12] , 솔본느( 파리대학 ) 학생의 자치와 민주화 운동으로 계승되었다.

나중에 유럽 의회 의 의원이 된 유대계 독일인, 빨간 머리의 대니 「다니엘 콘 벤디트」, 프랑스 서부 렌에서 미술 교사가 된 전 학연(UNEF)의 부 리더 잭 소바조 프랑스어판 ) , 국가교육 명예사찰관이 된 반=스타리니즘의 모택동주의자, 앨런 제스 말 프랑스어판 ) , 혁명공산당연맹 (LCR)의 대변인이 된 트로츠키스트 , 앨런 클리빈네 영어판 ) 등의 지도자 가 나타나 일부 노동자도 학생들에게 찬동하고 운동은 노동자에게도 파급해 간다. 3월 29~30일 난테르교 수업은 중단됐다.

1968년 5월 1일 편집 ]

극우 학생 조직 '옥시덴탈 그룹(Occidental group)'이 난테르교를 공격하려고 한다는 소문이 퍼져 긴장이 높아졌다.

1968년 5월 2일 편집 ]

소르본느의 학생 조합 빌딩의 일부가 불타고 옥시덴탈 그룹에 의해 비난된다. 다니엘 콘-벤디트를 포함한 7명의 멤버는 3월 22일 운동 건으로 징계위원회에 불린다.

1968년 5월 3일 편집 ]

난테르교의 학부장은 캠퍼스의 폐쇄를 결정한다. 추방된 학생 약 500명은 솔본느 학교를 점거한다. 그것을 쫓아내려는 경찰, 프랑스 공화국 보안 기동대 (CRS), 대학 당국과 대립. 100명 이상의 부상자, 20명의 중상자, 수백명의 체포자를 낸다. 솔본느 학교는 폐쇄되었다. 학생들은 파리 시가 라틴 지구의 스트리트로 눈이 무너져 바리케이드를 세웠다. 오데온자리 , 까르띠에 라탄을 포함한 파리 중심부에서 대규모 시위가 행해지고 경찰이 칼체 라탄으로 밟아 이를 탄압, 이른바 보통 학생도 시위에 참가해 구별할 수 없게 된 경찰과 무관 한 일반 시민도 휘말렸다.

1968년 5월 6일 편집 ]

다시 까르띠에 라탄과 라틴 지역에서 격렬한 충돌이 일어나 600명의 학생과 345명의 경찰관이 부상, 422명이 체포됐다. 프랑스의 각지에서 고교생이나 대학생에 의한 연대 파업이 일어났다. 7일 전학련(UNEF)이 호소한 4만명 시위가 일어나 대학 재개를 주장했다. 경찰은 까르띠에 라탄에서 철수해 학생들의 '해방구'가 됐다. 9일 노동총동맹(CGT)과 프랑스민주노동총동맹(CFDT)이 회합한다.

1968년 5월 10.11일 편집 ]

미국과 베트남의 협상에 참여하는 대표단의 안전 확보를 위해 경찰 증원부대가 파리에 도착했다. 전국고등교육직원조합(SNES [13] )이 경찰에 의한 억압을 비난하고 고교생에 의한 다양한 행동위원회가 조직되었다. 프랑스 방송 협회 ( ORTF )는 일련의 사건의 방송을 금지했다. 국민교육상과 학생의 협상이 이루어지지만, 이것은 결렬로 끝난다. 학생, 노동자 바리케이드를 구축하고, 까르띠에 라탄 일대를 점거하고("바리케이드의 밤"), 굴러진 차가 타오른다. 경찰 251명, 학생 102명 등 총 377명이 중상, 418명이 체포돼 약 60대의 차가 타버렸다. 경찰의 강경한 반응에 학생과 일반 시민은 단결을 강화했다. 11일, 각각의 조합이 공동으로 13일의 데모, 제네스트 결행을 선언했다. 프랑스 각지에서의 데모와 점거는 계속된다. 퐁피두 총리는 학생들의 요구에 양보를 보였다.

1968년 5월 13일 편집 ]

노동조합(CGT, CFDT, FEN)과 좌파 정당은 학생 지원을 위해 24시간 파업을 호소했다. 약 80만명의 교사, 조합원, 정치인이 파리 거리에 모인다. 조르주 폼피두 총리는 솔본느의 재개를 발표함으로써 상황을 진정시키려고 했다. 학생은 영구적인 점거를 선언한다. 토론과 회의는 주야를 불문하고 행해졌다.

1968년 5월 14일 편집 ]

샤를 드골 대통령은 루마니아에 공식 방문. 파업은 많은 르노 공장에 파급되었고, 약 50여 개의 공장이 노동자에게 점거되었고, 공장의 책임자는 노동자의 손에 의해 구속되어 공장에 '붉은 깃발'이 내걸렸다. 5월 17일까지 20만명이 파업을 결행, 이 숫자는 다음날 파업으로 200만명으로 부풀어 오르고, 그 후 1주일에 프랑스인 노동자의 약 2/3에 해당하는 약 1천만명이 참가했다고 말한다.

1968년 5월 15·16일 편집 ]

학생에게 점거되어 깃발이 휘어지는 파리 오데온 자리. 파리는 순간적으로 신세력에 점거되어 다시 일상으로 돌아갔다.

르 피가로 종이 "권력은 거리에 있다"고 보도. 파리, 오데온 자리를 학생들이 점거. 택시 - 운전사들이 파업을 선언. 16일 더 광역에 시위와 파업이 펼쳐진다.

1968년 5월 17·18·19일 편집 ]

17일 프랑스 공산당이 좌파의 공통 프로그램을 불러 철도(SNCF [14] )도 파업. 18일 극우세력에 의한 반공산주의 시위가 진행되어 스트라스부르 대학에서 자치가 선언된다. 19일 프랑스 국철·파리시 교통공단·우편통신전화국에서 파업, 연료 부족이 시작된다.

1968년 5월 20일 편집 ]

거의 모든 섹터에서 총파업에 가까운 상태가 되었다. 전학연(UNEF)과 프랑스 민주노동총동맹(CFDT) 영어판 ) 이 기자회견을 열어 담상의 “노동자와 학생의 투쟁은 같다”라는 말은 슬로건이 되어 교사들의 조합 테두리를 넘어 파업이 퍼지는 계기가 되었다. 프랑스 방송협회(ORTF)는 방송을 중단한다.

1968년 5월 21일 편집 ]

은행과 섬유산업 등을 포함한 대규모 총파업, 프랑스 교통시스템은 모두 마비 상태에 빠졌다.

1968년 5월 22일 편집 ]

프랑스에서는 800만명 이상의 사람들이 파업을 했다. 독일을 여행하던 다니엘 콘 벤디트 는 프랑스로의 재입국을 거부당한다.

1968년 5월 24일 편집 ]

파리 시청사 와 증권거래소를 학생들이 습격, 20만명의 농업노동자와 각 대학도 파업에 돌입해 가톨릭교회에서도 학생의 요구에 친화적인 의견이 높아진다. 데모는 파리 시가를 주위에 「인민 정부」를 요구. 처음으로 2명의 죽은 자를 낸다. 텔레비전 연설에서 드골 대통령은 국민투표를 제안해 여론을 되찾려고 했지만 연설은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시위자는 사표를 요구했다. 라틴 지구의 충돌로 456명이 부상을 입었고 795명이 체포되었다. 스트라스부르 , 보르도 , 낭트 , 리옹 에서도 충돌이 일어나 경찰관이 트럭으로 밀려 죽고 있다.

1968년 5월 25일 편집 ]

드골주의 국무장관 잭 시라크가 주재로 노동자, 국가, 고용주 조직 사이의 삼자간 회의가 개최된다.

1968년 5월 27일 편집 ]

정부, 노동조합 및 고용주연합 간의 협상은 사회고용성( Minister of Social Affairs and Employment )에서 이루어진다. 협상 결과 최저임금이 3분의 1 상승하고 노동조합에 대한 공적권리가 확립되는 '그루넬 협정(Grenell agreements ) '이 체결되었다. 일부 강경파는 합의를 불복하고 파업을 계속했다. 다니엘 콘-벤디트 는 비밀리에 프랑스로 돌아온다.

1968년 5월 29일 편집 ]

전국 규모로 시위가 벌어져 파리에 공산주의자 80만명이 모여 ‘인민정부!’를 연호했다. 드골은 비밀회의를 소집한다.

1968년 5월 30일 편집 ]

드골 대통령은 독일에서 귀국하여 프랑스군의 잭 마쉬 장군의 지원을 요구했다. 드골은 라디오 방송을 하고 사임을 거부하지만 국회를 해산하겠다고 말했다. 그날 밤 수십만 명의 드골의 지지자, 소위 '사일런트 마조리티'가 파리의 샹젤리제 거리를 행진했다.

1968년 6월 편집 ]

공공 및 민간 노동자의 대부분은 일로 돌아갔지만 여파로 산발적인 폭력은 계속되었다. 경찰, 학생, 노동자가 다른 사건으로 3명이 사망했다.

6월 23일 및 30일의 제1회, 제2회의 총선거에서, 드골에 가까운 정당이 대승리를 거두었다.

1968년 7월 10일 편집 ]

드골 대통령은 모리스 쿠브 드 뮐빌을 총리로 임명했다 [15] .

데모 참가 학생 내부 편집 ]

1938년 프랑스 대학생은 6만명에 불과했다. 그것이 1961년에 24만명, 1968년 시점에는 60만 5,000명에까지 부풀어 오르고 있었다 [16] .

새로운 좌익과 좌익의 혼합 편집 ]

실제로 오월혁명을 주도하고 있던 것은 '반스타리니즘'적, '반소련 연방'적인 신좌익 그룹이었다. 시위는 트로츠키스트, 마오이스트(모택동주의자), 아나키스트, 학생, 노동자, 시민, 상황주의자 (시츄아니스트) 등과 프랑스 사회당 이나 프랑스 공산당 등 구 좌익의 혼합 부대였다. 이러한 성질이 다른 다양한 그룹이 잡다하게 모여 운동을 고양시켜 가는 곳에 이 혁명의 특징이 있다.

신좌익(반소련 공산당) 편집 ]

"빨간 머리의 대니", 다니엘 콘 벤디토. 5월 혁명이라고 하면 프랑스인이 선도하고 있었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선도하고 있던 것은 독일인 이민이었다.

소련과 관계가 깊었던 ' 스탈린주의' 적인 프랑스 공산당 은 당초는 영향하에 있는 노동총동맹(CGT)을 통해 노동자들의 파업을 조직했다. 하지만 당시 공산당 간부 조르주 마르쉐 는 운동의 리더인 다니엘 콘 벤디트 등 "소련을 비난하는 급진적인 학생 운동"을 "아나키스트의 독일인"이라고 부정, 바리케이드를 구축해 충돌과 가두 점거를 진행하는 학생과 노동자를 '트로츠키스트'라고 비난했다. 당이나 노동총동맹에는 학생 주도의 파업을 조직하는 힘은 없었고, 반대로 학생이나 노동자 쪽이 보다 시대에 있던 근본적인 요구를 받고 있었다. 게다가 5월 혁명에는 당이나 조합에 의해 조직된 것이 아닌 운동의 자유로운 자발적인 성질이 있어 '반=조합' '반=공산당'의 행복감이 있었다. 마찬가지로 스탈린주의에 환멸하고 있던 무신론적 실존주의의 철학자 장폴 살틀이 학생 운동가에 접근했다.

정권과 총선거와 최저임금 인상 약속 편집 ]

정치생명 위기에 직면한 샤를 드골 대통령 은 국민의회를 해산하고 올 6월 총선을 하기로 약속했다. 해산에 앞서 5월 27일 정부는 노동조합과의 임금 인상 협상에 관대하게 대처하는 형태로 사태의 진정화를 도모했다. 그 결과 학생과 노동조합은 보다 좋은 조건인 '그루넬 협정'(모든 임금의 10% 상승과 최저임금의 35% 인상 [17] )을 체결했다

유명인의 반응 편집 ]

  • 장 폴 사르트르 =전후 프랑스를 대표하는 철학자. 좌익이지만 소련 정권에 비판적이었던 살틀은 오월 혁명을 열렬히 지지했다. 혁명운동의 리더, 벤디트와 인터뷰도 하고 있다. 사르트르는 쿠바에도 방문해 카스트로나 최게바라를 알고 있어 학생의 혁명에 긍정적이었다.
  • 앙드레 마를로 =보수파로 반파시즘의 문학자. 1968년 당시 문화대신이었던 마를로는 동시에 레지스탕스 시대에 알게 된 드골 대통령의 열심한 지지자이기도 했다. 마를로의 충성심은 5월 30일 '도골 지지'의 시위로 이어진다. 평생을 감안해 그 뜨거운 충성의 생각은 바뀌지 않았다.
  • 누벨버그를 대표하는 영화 감독 장뤽 고다르. 시대의 공기를 읽는 데 뛰어난 고다르는 그 이전부터 5월 혁명을 예견하는 작품을 찍고 있었다. 저서 '밀 프라토'로 유명한 포스트모던 철학자 질 드루즈는 고다르의 자세를 옹호하고 있다.
    장뤼 고다르 - 누벨버그 (새로운 물결)의 영화 감독. 조금씩 정치적인 모티브에 관심을 보이게 된 고다르는 5월 혁명에 앞서 1967년 '중국녀'라는 마오이즘적인 영화를 만들었다. 이 영화는 난테르 학교 학생들에게 강한 영향을 미쳤다. 실제 5월 혁명은 고다르의 이미지로 충만했다. 다만 5월에 개최 예정이었던 칸 국제영화제 에 대해, 트뤼포나 폴란스키 등과 축제의 중지를 요구했지만 인정되지 않고, 그들의 작품의 상영은 없어졌다( 칸 영화제 분쇄 사건 ).
  • 루이 알투세일 -마르크스주의의 철학자. 안티-스타리니스트. 사상면에서 큰 영향을 5월 혁명에 주었다고 한다. 아르투세일의 학생들은 청년공산주의 마르크스레닌연맹( UJC(ml) )을 결성. 혁명 중 대학이나 거리에서 활발하게 활동한다.
  • 기-두볼의 저서 「스펙터클의 사회」. 이 책은 소비되는 상품과 인간과의 관계를 분석해 5월 혁명에 강한 영향을 주었다.
    기두볼 =좌파계의 시인, 영상작가, 저술가. 두볼 역시 5월 혁명에 강한 영향을 미친 혼자였다. 그는 그 저서 '스펙터클의 사회'(1967) 속에서 새로운 시민사회는 스펙터클(광경, 쇼)화하는 상품을 통해 인간 소외를 겪는다고 지적 했다 . 상품이 말하는 진실함(스펙터클)에 둘러싸여, 개인 그 자체는 상품 속에 해소되어 버린다. 이러한 스펙터클과 리얼의 경계를 선도하는 것이 어려운 상황이 소비사회인 것이며, 그것은 새로운 '상황'을 만들어 비판해야 한다('상황주의' ) . 두볼이 제시한 테제는 68년을 거쳐 현재의 컴퓨터정보 사회를 날카롭게 밝히고 있다.
  • 1968년 당시 파리, 에콜 드 보자르 의 준교수였던 브루노 케산느는 고양을 꾸준히 하면서, 5월 혁명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18] .
“혁명에 참가한 각 사람은 계속 그 사람 자신과 적극적으로 관여하고 있었어. 전세계는 그들이 일단 멈추고 그 존재조건을 사회에 반영해야 한다는 것에 동의하고 있었던 것”

소동 후 프랑스 국내 편집 ]

70년대 펑크 무브먼트 편집 ]

영국인 디자이너 비비안 웨스트우드. 런던 펑크는 패션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섹스 권총과 비비안 웨스트우드의 패션은 충격적이었고 당시 산업 락 등에서 정체했던 록계와 패션계에 새로운 바람을 가져왔다.

오월혁명부터 잠시 후 1970년대 중반에 들어서면 미국과 영국의 유스컬처 세계에 '펑크'가 등장한다. 펑크는 아나키즘, 좌익, 다다 , 니히리즘 등의 경향이 있으며, 권력에 대한 도전, 불만, 지루함에 의한 스트레스 폭발, DIY 정신 등 그 정신 자체는 5월 혁명과 통저하는 곳이 있다. 무엇보다 펑크는 음악이자 국가기능을 정지시키고 정부와 직접적인 정치협상을 할 정도의 집합적인 힘은 낳지 않고 어떤 국소적인 무브먼트였다. 즉 패션으로서의 비주얼면의 영향이 강하고, 흉내내기 쉬워, 기호로서의 유통이 간단하게 할 수 있었다. 그 때문에 정치사상으로서의 반영이 아니라, 펑크·패션적이, 대형 디자이너에게 영감을 주게 되었다. 마르콤 맥클라레인 과 함께 부티크 'SEX'의 디자이너를 하고, 섹스 권총의 의상을 다룬 영국 비비안 웨스트우드는 억만장자가 된 후에도 보수당의 카메론에 격렬한 항의 행동을 하고 , 녹색 당을 지지하기도 했다.

레게나 힙합의 유행도 일어났다. 미소냉전구조 하에서 발생한 펑크혁명은 자본주의사회 체제 하에서 실현이 어려운 영원한 동경으로서의 혁명, 실현되지 않는 유토피아에 대한 동경의 측면이 강했다.

펑크는 아나키스트가 되고 싶다-(I wanna be anarchist [19] (Anarchy in the UK-The Sex Pistols)) 젊은이였지만, 5월 혁명의 학생이나 지식인도 사회주의를 동경해, 이루어지지 않는 유토피아 실현 를 위해 싸운 것이다.

섹스 혁명과 안티 섹스 편집 ]

영화 프로듀서의 하비 와인 스타인 . 유명 프로듀서의 하베이 와인슈타인은 여성에게 성희롱과 강간을 반복하고 있었다. 권력을 카사에 입은 그 수법은 Me Too 운동에 의해 고발되어 엄격히 비난되고 추방되었다.

68년 당시 서구에서도 성 자체는 현재보다 억압되고 있어 성표현과 성관계는 비교적 활기찬 것이었다. 성서의 가치관, 기독교의 교리에서는 혼전성 협상, 혼외성 협상(불륜), 동성애는 죄이기 때문이다. 히피 의 프리 러브 스피릿이나 오월 혁명 등의 대항문화를 받아 성은 보다 광범위하게 '표현되는 것'이 되어, 영화, 소설, 문학, 무도, 애니메이션, 게임 등의 문화를 통해 일반적으로 펼쳐져, 신체의식의 고조를 낳게 되었다. 또 피임구의 발전, 패션의 간이화, 속옷화, 성영상의 정보화, 퍼스널 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이성간의 성교섭도 일상적으로 해방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한편 60년대 좌익적 우먼립과는 정반대의 새로운 규제를 좋게 하는 보수적 페미니스트는 성이 착취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것은 우파 정치인과 일치했다. 한편, 대상이 되는 여성의 인권을 무시한 '성희롱'은 Me too 운동 과 같은 새로운 카운터 운동을 낳았다.

문화대혁명의 실태보도 편집 ]

당시 프랑스에서 고조된 '마오쩌둥에 대한 동경'은 이윽고 문화대혁명의 실정이 밝혀짐에 따라 '마오쩌둥에의 환멸'로 변했다. 문화대혁명 이란 '아래로부터의 혁명'이 아니라 모택동의 권력투쟁에 이용된 '위로부터의 혁명'이며, 그것은 5월 혁명이 지향한 정신과는 거리가 먼 곳에 있었다. 그 의미에서 프랑스의 마오이스트들은 그렇게 성실하게 모택동과 향하고 있지 않았다고 말할 수 있다. 프랑스인에게 자주 있는 것처럼, 막연한 유토피아를 동양으로 꿈꾸고 있었다. 무엇보다, 실제로 그것에 죄가 있다는 것은 아니지만, 너무 무고하고 무지이기도 하고, 반=스타리니즘의 기운 속에서 학생이나 사상가의 몸의 좋은 희망의 별이 된 감은 부정할 수 없다.

또한 베트남과 같은 프랑스 식민지였던 캄보디아 유학생인 포르포트 등에 의해 결성된 크메르 루즈  문화 대혁명의 영향을 받아 쌓아온 민주 캄푸치아에서 실시한 그 철저한 중농 주의 · 농본주의 에 의한 공포 정치 와 대량 학살 도 보도되어, 디스토피아를 가져온 모택동주의자는 대숙청을 실시한 스탈리니스트와 동렬시 되었다. 반제국주의에 ​​고집해 폴포트파를 옹호하고 명성을 잃은 유명한 변호사 잭 베르제스(영어판)는 그 후의 프랑스 사회에서는 독재자와 전쟁 범죄인 이나 테러리스트 등  변호  도청  것 로 「악마의 변호인」 「공포의 변호사」라고 멸망하게 되었다.

하위 문화 유행 편집 ]

서브컬쳐는 만화, 애니메이션뿐만 아니라 헤비메탈 등의 락과 마약, 프리섹스도 푹 빠졌다. 기독교의 영향이 강한 구미 사회에서 섹스 혁명이란 '사회의 세속화(vulgar)'를 의미한다. 기독교(특히 가톨릭)나 기독교 원리주의자는 그 교리 속에서 '낙태', '동성애'를 엄격히 계명해 왔다. 또한 낙태 금지는 성경에는 쓰여 있지 않다. 아직 성을 마이너스 이미지로 파악할 수 있는 신자도 많다. 따라서 이러한 사회의 '세속화'는 보수파의 눈썹을 찌르게 하는 사건이며, 기존의 가치를 사랑하는 보수 시민의 뿌리깊은 반발도 있다. 대신 서브컬쳐와 연관된 마약이나 섹스의 자유는 '중독'이나 '의존증'이 될 위험도 있다. 혁명 이후 미국뿐만 아니라 유럽도 혁신과 보수의 괴리 문제를 안게 되었다.

파리 5월 혁명과 노란 베스트 운동 편집 ]

프랑스는 시위가 많은 나라이다. 파리 5월 혁명은 성공한 파업이자 프랑스 대중들 사이에서 파업이 많이 발생하게 되었다. 오월혁명이라는 성공체험으로 시민들은 그 재현을 바라게 되었다. 프랑스 사회는 개인의 자유와 존엄이 존중되는 사회가 되었다. 파리 5월 혁명의 정신은 네오 리버러리스트의 마크론에 반대하는 ' 노란 베스트 운동 '에 이어지고 있다.

참고도서 편집 ]

  • 미셸 비녹 "프랑스 정치 위기의 100년-파리 코뮌에서 1968년 5월까지"오시마 후역, 요시다 서점, 2018년(제8장 "1968년 5월" 참조)

5월 혁명과 관련된 영화 편집 ]

각주 편집 ]

  1. ↑ c 「프랑스 현대사」와타나베 케이, 1998 중공 신서 p.152-160
  2. ↑ Rubin, Alissa J.. “May 1968: A Month of Revolution Pushed France Into the Modern World” (영어) 2018년 8월 25일에 확인함.
  3. ↑ 1968년, 파리 5월 혁명이 디자이너에게 준 영향 ""WWD JAPAN". 2018년 9월 3일에 확인함.
  4. ↑ “Egalité! Liberté! Sexualité!: Paris, May 1968” (영어). The Independent 2018년 8월 25일에 확인함.
  5. ↑ Informations, Chine. “ Grand Timonier ” (프랑스어). chine.in . 2018년 8월 28일에 확인함.
  6. ↑ “ Accueil | ENS ” (프랑스어). www.ens.fr . 2018년 8월 26일에 확인함.
  7. ↑ “ Mayo del 68: una revolución fallida ”. lab.elmundo.es . 2018년 8월 27일에 확인함.
  8. ↑ http://www.biography.com/people/charles-de-gaulle-9269794
  9. ↑ “ RFI - Timeline May 68 ”. www1.rfi.fr . 2018년 12월 19일에 확인함.
  10. ↑ “『스트라스부르 의 스캔들 에 있어서 의 우리의 목적과 방법
  11. ↑ “ 1968: a Turning Point in History? ” (영어). CNRS News . 2018년 8월 30일에 확인함.
  12. ↑ “ 1968: a chronology of events in France and internationally ” (영어). libcom.org . 2018년 8월 30일에 확인함.
  13. ↑ “ SNES - Syndicat National des Enseignements de Second degré ” (프랑스어). www.snes.edu . 2018년 9월 6일에 확인함.
  14. ↑ “ SNCF - Trains, Services, Businesses | SNCF ” (영어). www.sncf.com . 2018년 9월 6일에 확인함.
  15. ↑ “ 5월혁명론의 현재 ”. 도쿄여자대학 사회학년보 제3호/2015―이마노 아키라. 2018년 8월 27일 열람.
  16. ↑ “Egalité! Liberté! Sexualité!: Paris, May 1968” (영어). The Independent 2018년 8월 28일에 확인함.
  17. ↑ “7 etapas para entender la revolución de Mayo del 68” (스페인어). Paris infinito . (2018년 5월 1일) 2018년 8월 27일에 확인함.
  18. ↑ Rubin, Alissa J.. “May 1968: A Month of Revolution Pushed France Into the Modern World” (영어) 2018년 8월 28일에 확인함.
  19. ↑ “ Sex Pistols - Anarchy In The UK Lyrics | AZLyrics.com ” (영어). www.azlyrics.com . 2018년 9월 3일에 확인함.

관련 항목 편집 ]

===

五月革命に関連した映画[編集]

脚注[編集]

  1. a b c 『フランス現代史』渡辺啓貴,1998 中公新書 p.152-160
  2. ^ Rubin, Alissa J.. “May 1968: A Month of Revolution Pushed France Into the Modern World” (英語) 2018年8月25日閲覧。
  3. ^ 1968年、パリ 五月革命がデザイナーに与えた影響」『WWD JAPAN』。2018年9月3日閲覧。
  4. ^ “Egalité! Liberté! Sexualité!: Paris, May 1968” (英語). The Independent 2018年8月25日閲覧。
  5. ^ Informations, Chine. “Grand Timonier” (フランス語). chine.in2018年8月28日閲覧。
  6. ^ Accueil | ENS” (フランス語). www.ens.fr2018年8月26日閲覧。
  7. ^ Mayo del 68: una revolución fallida”. lab.elmundo.es2018年8月27日閲覧。
  8. ^ http://www.biography.com/people/charles-de-gaulle-9269794
  9. ^ RFI - Timeline May 68”. www1.rfi.fr2018年12月19日閲覧。
  10. ^ “『ストラスブールのスキャンダルにおけるわれわれの目的と方法』 訳者解題 - シチュアシオニスト・オンライン文庫”はてなダイアリー 2018年8月30日閲覧。
  11. ^ 1968: a Turning Point in History?” (英語). CNRS News2018年8月30日閲覧。
  12. ^ 1968: a chronology of events in France and internationally” (英語). libcom.org2018年8月30日閲覧。
  13. ^ SNES - Syndicat National des Enseignements de Second degré” (フランス語). www.snes.edu2018年9月6日閲覧。
  14. ^ SNCF - Trains, Services, Businesses | SNCF” (英語). www.sncf.com2018年9月6日閲覧。
  15. ^ 五月革命論の現在”. 東京女子大学社会学年報 第 3 号/ 2015―今野晃. 2018年8月27日閲覧。
  16. ^ “Egalité! Liberté! Sexualité!: Paris, May 1968” (英語). The Independent 2018年8月28日閲覧。
  17. ^ “7 etapas para entender la revolución de Mayo del 68” (スペイン語). Paris infinito. (2018年5月1日) 2018年8月27日閲覧。
  18. ^ Rubin, Alissa J.. “May 1968: A Month of Revolution Pushed France Into the Modern World” (英語) 2018年8月28日閲覧。
  19. ^ Sex Pistols - Anarchy In The U.K. Lyrics | AZLyrics.com” (英語). www.azlyrics.com2018年9月3日閲覧。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