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mething Resembling Normal Life’
Sophie Pinkham
Paek Nam-nyong’s ‘Friend’ tells ordinary stories of love and divorce in 1980s North Korea.
December 3, 2020 issue
Reviewed:
Friend: A Novel from North Korea
by Paek Nam-nyong, translated from the Korean by Immanuel Kim
Columbia University Press, 224 pp., $60.00; $20.00 (paper)
Hiroji Kubota/Magnum Photos
A newlywed couple on the banks of the Taedong River, Pyongyang, North Korea, 1981
“Whenever I go to North Korea,” Immanuel Kim told an interviewer in 2017, “I see people reading.” In the metro, in elevators, in buses and restaurants. But what were they reading, in a state unrivaled in the harshness of its censorship? As a graduate student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t Riverside studying Korean literature, Kim—who is now a professor at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specializing in North Korean culture—had become curious about North Korean fiction, which was usually dismissed as mind-numbing propaganda. There was a basis for this stereotype, it turned out, but after eight months of diligent reading, Kim began to find work that he genuinely liked. One of the best novels he discovered, something different from almost all the rest, was Friend by Paek Nam-nyong.
Kim went on to translate the book, which tells the story of the divorce court judge Jeong Jin Wu and the couples he tries to help. First published in Pyongyang in 1988, Friend quickly became widely popular and was even made into a television series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There are no “best sellers” in the DPRK: as was the case in the Soviet Union, print runs are based not on reader demand but on what the government thinks its citizens ought to read. Friend’s true popularity, then, should be assessed according to how often copies are shared.
Paek told Kim that he was once sitting on a trolley across from a woman who was perusing a tattered copy of Friend. When he leaned over and offered to trade her a new copy for the old one, she looked askance at him. What he wanted was the only material proof available that his book was genuinely beloved, something much more gratifying than his Kim Il-sung Literary Award. Paek, it seems, is the rare writer who manages to fulfill stringent political requirements while also offering literary satisfaction.
Friend made its way across the Demilitarized Zone and impressed South Koreans, who were surprised at its light touch and convincing characters. Rather than agitprop, it was a sensitive account of the difficulties of marriage. The novel was a reminder that North Koreans, who were so often depicted abroad as vile caricatures, were just as human as everyone else. The South Korean writer Hwang Sogyong put it succinctly: “Through this novel, I realized that there are people living in the North.”
For an outsider, one of the pleasures of reading Friend is the search for clues about everyday life in 1980s North Korea. A glamorous singer wears “light, elegant perfume” and “a fashionable sheath dress”—so there is a theater there, and some people, at least, have perfume and fashionable dresses. A man is put on trial for wasting electricity: a felony. At a pub where an alcoholic coal miner likes to have a pint after work, green neon lights flash out the words “Fine Liquor.” A cityscape sounds more modern than one might have expected, though the enumeration of light sources makes you wonder if this is a place where electricity can’t be taken for granted:
Neon signs began to light up the city as the crimson sun retired behind the hills. A gentle wind blew through the trees, rustling the budding leaves and giving off the fresh scent of spring. Lights appeared in apartment windows one by one, creating a mosaic of changing patterns. Cars, buses, and trucks brightened the evening streets with dazzling headlights.
People wash clothes in the river when they don’t want to go to the laundromat, and the food supply is a constant source of concern. The characters live close to nature, for better and for worse. One woman who works for a reforestation company is sunburned in summer, while in winter her skin is cracked by cold and wind. After her divorce, her personality will blossom; she will “emerge from the shrubbery of the dead forest” like “a wild chrysanthemum.”
There are thrilling traces of something resembling normal life in one of the world’s most secretive and repressive states: a husband’s admiration for and resentment of his workaholic wife, an amateur singer’s longing for fame, marital squabbles over who will cook dinner, the anxious rapture of first love. It’s surprisingly easy to identify with characters like the compassionate judge and his hardworking wife. But it is also essential to remember that this tender story was written by a Writers’ Union member with every rule of censorship in mind, and that it surely reflects the ideological imperatives of the moment when it was written.
Then it’s difficult not to read between the lines. Is the theme of divorce an allegory for the North–South split? Is the novel set in 1984 as a nod to Orwell? Probably not. Messages hidden in censored literature are in their own code, one that is mostly unintelligible to those who are not fluent in the political minutiae of the novel’s time and place. A foreign reader’s understanding is inevitably partial, fragmentary. That doesn’t mean the experience isn’t rewarding. Reading Friend is like meeting a new person when you’re blindfolded. You touch their face, tracing their features with your fingertips. You can’t quite picture them, but you feel the warmth and texture of their skin.
The DPRK established its official culture in the shadow of the Soviet Union, which occupied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fter Japan’s surrender in 1945. In 1946 Kim Il-sung, who would soon become the DPRK’s first Supreme Leader, offered his own variant on Stalin’s call for writers to act as “engineers of the human soul”: in North Korea, authors would be “soldiers on the cultural front.” They were ordered to study and emulate Soviet writing, and Soviet literature, literary criticism, and literary manifestos were widely disseminated in Korean translation. Following the Soviet lead, the North Korean literary establishment assigned mandatory topics, issued production plans, organized tours to industrial sites, and established “brigades” to take on writing projects. Purges directed by literary critics felled famous writers.
North Koreans went on staged tours of the Soviet Union, writing glowing, largely fantastical travelogues about the miracles they’d seen there. Soviet literary visitors to the DPRK, meanwhile, found that its writers had gone too far in binding their work to ideology. In the late 1940s, the Koreanstudies expert Tatiana Gabroussenko writes,
a visiting group of Soviet writers and artists tried to persuade their North Korean colleagues not to write exclusively about the Party and Kim Il Sung but to extol “eternal subjects” such as love or flowers for a change.
Soviet calls to “humanize” North Korean literature intensified after de-Stalinization in the mid-1950s. By this time, Soviet observers had begun to see North Korean literature as an “unwitting parody” of Soviet socialist realism, which used a traditionalist narrative style in the service of a preposterously idealized vision of a socialist society. The DPRK never de-Kimified. Quite the opposite: it tightened its control over its citizens and ramped up nationalist rhetoric. The era of unquestioning admiration and imitation of Soviet writers was over. In 1955 Kim Il-sung delivered a speech in which he pointed out that Korean schoolrooms contained portraits of Pushkin and Mayakovsky but none of Korean writers. About a decade later translations of Russian, Soviet, Western, and Chinese literature were banned, though Kim never broke officially with the Soviets.
In the 1970s Kim Il-sung embarked on a campaign intended to increase industrial and agricultural productivity at breakneck speed. The state induced an accompanying overproduction of literature, taking the position that anyone could be an author and that the writing of fiction could be ramped up like the manufacture of tractors. North Korean literary critics responded to this avalanche with disapproval, calling some of the works clichéd and unconvincing. (Their willingness to say so suggests that there was some room for resistance to official narratives.)
Writers turned next to workers’ efforts at self-improvement, in keeping with the DPRK’s 1980s “Hidden Hero” campaign to recognize the achievements of ordinary people. These stories dealt with the changes caused by modernization and new tensions between young and old, educated and uneducated, rural and urban, and men and women. Explicitly political concerns like war, rebuilding, and industrialization yielded to quieter, more domestic themes. As Immanuel Kim explains in his introduction, Friend should be read as a product of this middle age of North Korean literature.
In August 2015, during a brief thaw in relations between the US and North Korea, Kim visited the DPRK and interviewed Paek. Paek was, of course, highly restricted in what he could tell Kim, who deliberately avoided politically sensitive questions. Still, the interview yielded an unusually detailed portrait of a successful North Korean writer, and, by extension, of the literary ecosystem of the country.
When Paek was a year old, in 1950, his father was killed by an American bomb. (An estimated one million North Korean civilians were killed during the Korean War, many of them by American carpet-bombing that also destroyed the country’s infrastructure.) At bedtime, Paek’s mother read him Korean fairytales, Hans Christian Andersen stories, and Aesop’s fables. This, he says, was when he first fell in love with literature. Books allowed him “to enter into the imaginary world,” one “far more complicated and unknown than the world outside my window.”
As a reader, he had traveled more than we might expect. When Kim asked what books Paek enjoyed, he named not only canonical Russian revolutionary and Soviet novels like Gorky’s Mother and Sholokhov’s And Quiet Flows the Don, but older Russian classics: Pushkin, Chekhov, Tolstoy, Dostoevsky. He also mentioned Les Misérables, The Red and the Black, Jane Eyre, Dickens, Shakespeare, Moby-Dick, and Gone with the Wind. For the most part, this reading list is similar to that of a law-abiding Soviet citizen, full of classic nineteenth-century novels that explore social problems and the plight of the poor.
The conspicuous, bizarre exception is Gone with the Wind, which is said to be one of the most popular American novels in North Korea. As of 2013, North Korean tablets came preloaded with an e-book of the novel, including an introduction explaining that it depicts “a struggle between the bourgeoisie of the North and the landowners of the South,” and is “particularly useful for understanding how modern capitalism spread to all of the United States,” showing that slave labor was the economic foundation of the US. A North Korean negotiator once reportedly told a US envoy, “Frankly, Scarlett, I don’t give a damn.”
Paek’s mother died when he was eleven: “I had to borrow a smelly mourner’s clothes and hat, which were too large on me.” His older sisters raised him. After he graduated from secondary school he rejected the idea of university and became a lathe operator. He “learned the values of patience and creativity by cutting metal” during ten years of factory work. But he didn’t want to be a lathe operator forever; he wanted to be a writer. He enrolled in a distance-learning program at Kim Il-sung University, balancing his studies with his factory work, and he earned a degree in Korean literature in 1976. He joined the Jagang Province Writers’ Union, and when his first short story, “High-Quality Coal,” was published, he spent his paltry honorarium on “cold beer, dried squid, and egg bread” for his friends in the workers’ dorm.
He married and had three children, but his wife died young of a brain tumor, and he raised their children alone. Despite this personal tragedy, he met with great success in his career. By the time Kim met him, Paek was a member of the April 15 Literary Production Unit, an elite team founded in the mid-1960s to write historical novels about Kim Il-sung and Kim Jong-il. Each novel is centered, according to Paek, around a specific moment in the leader’s life, spinning it into a dramatic narrative. The writers on the team critique one another’s work carefully: “Writing about the Great Leader and the Dear General takes more time because the narratives have to be perfect.” But the most difficult challenge Paek identifies will resonate with writers from every country: “Properly describing the seed of human life.”
Paek alluded indirectly to the intensive censorship he endures, telling Kim:
For the past several decades, I’ve worked with several editors on my drafts. The one I’m currently working with now is a meticulous editor. He would scrutinize every single word to identify strange expressions or descriptions. He would show me parts to revise. But revising is not a simple process. A work of fiction is something you love and something you gave birth to; how can you allow another person to reconstruct your child?
But if he had to start all over he would still be a writer, even if “the obstacles of writing fiction are like having to swallow the salty seawater.”
Paek’s own experiences provided the foundation of Friend. The Jagang Province Writers’ Union was in the same building as the local civil court. Curious about what went on there, Paek began attending court hearings. He found that most of the people there were filing for divorce. As he put it, “I witnessed arguments that can cut through steel and the psychological warfare between the couples.” He became close friends with the divorce judge, a man in his late fifties who taught Paek about North Korean divorce law and shared his sorrow over the family unhappiness he saw every day.
Patrick Maurus/Revue Tangun
Paek Nam-nyong; from a 2012 documentary by Patrick Maurus
From the first page of Friend, one is struck by the fictional judge’s own distress, which is so rarely a feature in divorce stories: “Much like a fisherman trying to untangle knots in a fishing line, Jeong Jin Wu was upset by the burden of having to deal with another family’s misery.” He wonders about the reason for each divorce and hopes it’s a petty one, because those cases are easiest for him to resolve. Most of all, Jeong worries about the children. He’s willing to grant a divorce when he sees that lives are being destroyed by an unhappy marriage, but he knows that children will suffer despite his best efforts.
Friend suggests that a North Korean divorce judge’s task is not only to settle the terms of a divorce but to decide whether a couple ought to divorce in the first place. If possible he should help them reconcile. Jeong’s involvement in his cases extends far beyond the courtroom; he conducts thorough investigations that include not only interviews with the divorcing parties and their children but visits and interviews with their friends and colleagues. He drops in on Seok Chun and Sun Hee, who have filed for divorce, and finds their young son standing outside in the rain, waiting for his parents to come home. When the judge realizes that the boy has a fever, he carries him back to his own house, bathes him, wraps him in a blanket, and feeds him a warm dinner. He asks him questions like, “Hey, do you like your mother more or your father?” He wants to get to the bottom of the marital dispute and find out which parent should take the child.
The personality cult is blessedly absent from Friend—according to Immanuel Kim, this is typical of later works of North Korean literature—and the book is almost entirely free of the magniloquent political declarations that distend many socialist realist works. But the collectivist logic of state socialist art is still evident, and individual emotions are closely linked to political concerns. The judge feels distress not only out of empathy for individual suffering but because he views the family as a “unit of society” and the dissolution of a marriage as a blow to the polity. A worker unhappy at home will become lax in his duties; his manager may become bad-tempered; production quotas may be left unmet.
Jeong’s sadness over his cases also stems from problems in his own life—unlike standard-issue socialist realist heroes, he isn’t perfect. His wife, Eun Ok, is passionately committed to her work as a researcher in an agricultural laboratory. Raised in a cold, mountainous area, she has dedicated her life to developing vegetable strains that will survive the harsh climate and feed the people in her home region. She is away for twenty days out of every month; the lonely judge resents her absence, fantasizing about a cozy, traditional marriage with a homemaker. Since the day they met it’s been obvious that she is cleverer than he is, and that she is driven by an acute sense of social responsibility. He thinks ruefully about a conversation they had on their wedding night:
“Comrade Jin Wu, when we receive our new home, I was planning on using the master bedroom as a greenhouse so that I can check on the plants when I return from the research lab. Would that be all right?”
“Of course it will. I will buy you all the flowerpots you need,” said Jeong Jin Wu.
Eun Ok, completely moved by Jeong Jin Wu’s commitment, gazed into his eyes and promised eternal love, a harmonious family, and positive results from the research lab.
Now she loves her vegetables as if they were her children, and he’s stuck running the greenhouse while she’s away. But we know he loves her. Though her hands are rough and her hair is dry and thin with age, when she gets home he is overcome with feelings of “joy, encouragement, and tranquility.” An American advice columnist might tell him not to stay in a marriage where vegetables come before his emotional needs. But this is North Korea, and the people need to eat.
Seok Chun and Sun Hee meet at the steel factory where Seok Chun works, as his author once did, as a lathe operator. Their flirtation is depicted in inadvertently amusing passages whose industrial eroticism will feel familiar to anyone who has read Soviet novels:
Amid the noise of all the running machines, Seok Chun was able to distinguish the sound of the friction press that Sun Hee operated. He could see drops of sweat rolling down her forehead, around her lustrous eyes, and down her white cheeks as she arduously worked the press.
When Seok Chun hears Sun Hee sing at an amateur performance organized by the Factory Arts Committee, he worries that she’s out of his league. But soon he proposes: “Being a lathe operator. It’s truly rewarding, and like the sound of the rapids, it, too, has a melodic tune. I just need someone who will play that tune with me. Comrade, do you know what I’m talking about?” She does.
They’re happy at first, but things get rocky after Sun Hee quits her job to pursue a singing career and swiftly becomes a celebrity. She wants Seok Chun to enroll in the Engineering College to improve his technical skills, but Seok Chun insists that he’s satisfied with life as a simple lathe operator. This story is common in many societies: the gifted wife’s career exceeds that of her unambitious husband, and marital discord follows. But how should we interpret this episode from a political perspective?
As a veteran reader of Soviet fiction, I was tempted to conclude that we are meant to condemn Sun Hee as someone motivated simply by a bourgeois desire for social status, denigrating the noble work of an unsung hero of the proletariat. Seok Chun takes a similar line. But this novel was written well after the heyday of Stalin-style industrial heroes, at a time when North Korean literature sought to glorify education and technical skills. Eventually, we learn that Seok Chun’s refusal to pursue an education is stopping him from making his best possible contribution to the common good. He invents a useful device, but because he doesn’t know how to make professional sketches, it takes far more time and money to develop the machine than was necessary.
After the couple decides to file for divorce, Jeong is assigned to their case. In his mild way, the judge acts as our guide through the novel’s ideological reasoning. Though Sun Hee behaves badly, neglecting her husband and child, the judge is inclined to be forgiving. She has an exceptional talent that is of use to the nation. “Performing artists were different from other workers,” he reflects:
Their special gift could cause them to be vainglorious…. She was as much a part of her music as the music was a part of her. As an artist, she was responsible for moving the people of the nation through songs, lyrics, and her voice.
The judge concludes that Seok Chun is the one more at fault:
He had become complacent in his work, feeling more pride at being recognized as a humble worker than at actually completing his projects. He built a tight fence around himself under the cover of diligence and national duty, but in doing so, he excluded his wife and his son. This precise friction between the couple made Sun Hee react adversely, even imperiously, toward Seok Chun. His reluctance to fulfill his true national duty—the duty to progress and advance in his social position—thrust Sun Hee into despair.
The judge’s insights help the couple reconcile, just in time to celebrate their tenth wedding anniversary.
Friend is clearly the product of a later, somewhat more relaxed period of official North Korean literature, displaying a level of ambiguity and flexibility that is perhaps comparable to that of post-Stalinist Soviet literature. Supposedly bourgeois qualities like vanity, excessive love of fashionable clothes and cosmetics, and a desire for money or fame are not condemned reflexively. There are almost no villains; instead, everyone is in need of aid, sympathy, and education to enable them to reform.
The novel also acknowledges that the state isn’t perfect. Corrupt officials impede domestic violence investigations and embezzle funds, and Seok Chun is cheated of a prize he deserved to win for his invention. The judge thinks angrily that there are “still too many people…who did not respect the country’s efforts to advance technologically and improve the economy, who instead flaunted their authority as they sat on the throne of bureaucratic power.” This remark sounds like a reflection of propaganda mandates, perhaps intended to scapegoat a few corrupt bureaucrats for larger social problems, but it’s a long way from undiluted socialist realist fantasy.
Kim is clear that Friend is not a typical example of North Korean literature; its unusual features are the reason that foreign audiences find it palatable. Still, it’s tempting to wonder whether the novel’s embrace of gray areas hints at thawing censorship. Perhaps someday we’ll be able to read the North Korean equivalent of One Day in the Life of Ivan Denisovich, Solzhenitsyn’s Gulag novella whose 1962 publication was a watershed moment in Soviet culture.
Kim says he’s done with North Korean literature. (His monograph Rewriting Revolution: Women, Sexuality, and Memory in North Korean Fiction was published in 2018.) His new research focuses on North Korean comedy films. The projects are clearly connected: to understand a foreign culture, you need to know what people like to read and what makes them laugh. The DPRK’s human rights abuses and the brutal absurdity of the Kim dynasty have received much well-deserved attention in the Western media. But these shouldn’t be the only things we know about North Koreans.---
북한 소설 ‘벗’ 영어 번역 출간…“북한에도 보통사람 살고 있어”
기자 김영교
April 21, 2020 06:02 AM
북한 소설 '벗'을 쓴 백남룡 작가(왼쪽)와 영어 번역본을 출간한 미국 조지워싱턴대 이마뉴엘 김 교수.
북한 소설 ‘벗’이 미국에서 영어로 번역 출간됐습니다. 책을 번역을 한 이마뉴엘 김 조지워싱턴대 교수는 북한에 언론에 비춰지는 것과 다른 모습도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다고 말했습니다. 김영교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북한의 백남룡 작가가 1988년에 쓴 ‘벗’이라는 소설이 영어로 번역돼 지난 17일 미국에서 출간됐습니다.
젊은 여성이 법원에 이혼 소송을 제기하면서 본인과 가족들이 겪는 고통과 소송을 맡은 판사가 자신의 결혼도 되돌아보는 모습이 병행되는 것이 주요 내용인 이 소설은 이미 2011년 프랑스에서도 번역 출간된 바 있습니다.
이 책을 번역한 미국 조지워싱턴대의 이마뉴엘 김 교수는 20일 VOA와의 인터뷰에서, 북한의 모든 문학이 정권을 찬양하는 것은 아니며, 북한 사람들도 다른 나라의 사람들과 비슷한 일상 생활을 경험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이마뉴엘 김 교수] “북한 문학을 연구하면서, 1960년도부터 90년도까지 나온 단편, 중편, 장편을 많이 읽었습니다. 많이 읽다보니까 약간 희망이 없어보이더라고요. ‘내가 왜 이 연구를 시작했을까. 전에 읽은 스토리가 지금 읽은 스토리랑 줄거리도 내용도 비슷하고. 뭐라할까 많이 힘들었어요. 그 와중에 백남룡 선생의 벗을 읽기 시작했습니다. 처음부터 다르더라고요. 바로 이혼에 대한 이야기로 들어가고 주인공들이 어떻게 처음에 만났고, 결혼했고 다투기 시작했는지, 그 과정을 흥미롭게 읽었습니다.”
북한 소설 '벗'을 영어로 번역한 'Friend' 표지.
이 소설의 주인공들이 경험하는 힘든 일들은 세상 여느 사람들도 경험하는 일이고, 북한을 바라보는 외부의 사람들도 공감을 할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했다는 겁니다.
이마뉴엘 김 교수는 이 소설의 번역으로 북한을 완전히 이해하도록 만들지는 못하겠지만, 북한이라는 나라도 보통 사람이 살고 있는 나라라는 걸 보여주는 한 걸음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특히 소설 ‘벗’이 가정 문제를 다루면서 여성 문제를 다뤘다는데 주목했다고 이마뉴엘 김 교수는 설명했습니다.
[녹취: 이마뉴엘 김 교수] “식민지 시대 때 작가들이 평양에 와서 활동을 하던 그 시기, 30년대와 40년대에는 활발하게 감정적으로 써 나갔습니다. 여성들이 남성과 차별이 없다는 주제로 밀고 나갔는데 한50년대, 60년대가 다가와서 그 스토리들이 없어졌습니다.”
김일성 북한 주석의 생모 강반석이나 김일성 주석의 정실부인이자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어머니인 김정숙을 우상화하면서 여성들은 무조건적으로 남성들에게 충성하고 남성들을 따라야 한다는 이미지가 문학에서도 그려졌다는 겁니다.
그러다가 1980년대 와서 백남룡 작가의 책 등에서 남편에게 반항하고 이혼까지 하며 개성 있는 여성이 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마뉴엘 김 교수는 백남룡 작가가 북한 노동당 내에서도 인정을 받고 있던 작가였기 때문에 북한 문학의 선전적인 성격을 넘어서는 융통성을 발휘할 수 있었을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그러면서도 소설 ‘벗’의 주요 인물인 판사가 다른 등장인물들에게 북한 노동당의 지침대로 생활하도록 설교하고 가르치려는 모습에서 여전히 선전적인 모습이 남아있는 것은 북한 문학의 어쩔 수 없는 한계라고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소설 ‘벗’이 다른 북한 소설과는 다른 점은 등장인물들에 대한 묘사와 사건의 전개, 작가의 아름다운 산문체라고 말했습니다.
[녹취: 이마뉴엘 김 교수] “백남룡 선생은 이혼하지는 않았지만, 부인이 돌아가셔서 거기에 대한 아픔을 책에다 쏟았습니다. ‘벗’이 너무 좋았던게 이혼 얘기도 충격적이고 다른 북한 소설보다 거기 나오는 여성들이 강하고…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하는 캐릭터는 정진우 판사의 부인이에요. 그 분은 연구자이고. 집을 떠나 농촌에 가서 연구를 하고 있는데, 집에 안오잖아요. 소설 끝 부분에 가서 나타나는데 잠시 나타나고 또 사라져요. 연구하러. 집안 일을 안하고 남편이 뭘 먹고 사는지 관심도 없고 자신의 리서치에 충실한 그런 여성은 북한 문학에 많지 않아요.”
이마뉴엘 김 교수는 1990년대 와서 북한 문학에서 이런 여성상이 다시 사라진다고 말했습니다.
1994년도 가뭄을 시작으로 1990년 중후반 북한이 ‘고난의 행군’을 겪게 되면서 북한 정권이 여성들에게 국가를 위해 희생하고 ‘참다운 어머니 상’으로 돌아갈 것을 강요했기 때문이라는 설명입니다.
이마뉴엘 김 교수는 소설 ‘벗’을 통해 북한에도 역사가 있고 문화가 있다는 것을 독자들이 알기를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녹취: 이마뉴엘 김 교수] “우리가 북한에 대한 지식을 얻는건 미국 미디어(언론)이죠. 그런데서 북한을 알게 되지만, 그것만이 북한이 아니다…”
이마뉴엘 김 교수는 다음달 북한의 영화를 다루는 책을 내놓을 예정입니다.
[녹취: 이마뉴엘 김 교수] “북한 영화에 대해서는 그동안 미국이나 한국도 많이 나왔지만, 북한 영화를 다룬다고 하면 드라마틱하고 감성적이고 사상적이고 그런 영화들만 다루더라고요. 제가 북한 문학을 연구하면서 쉬는 시간에 봤던게 코미디 영화인데, 코미디 영화가 꽤 있는거에요.”
새로 나올 책은 북한의 인기 영화 시리즈인 ‘우리집 문제’ 를 중심으로 북한의 코미디 영화에 대한 내용을 다루게 될 것이라고, 이마뉴엘 김 교수는 말했습니다.
VOA뉴스 김영교입니다.
---
남한 출판 책
벗 | 아시아 문학선 16
백남룡 (지은이)도서출판 아시아2018-04-27
백남룡 (지은이)도서출판 아시아2018-04-27
책소개아시아 문학선 16권. 북한의 대표작가 백남룡의 <벗>은 1988년에 발표되어 북한 최대의 베스트셀러가 된 장편소설(북한에서는 '중편소설'이라고 함)이다. 예술단 여가수가 남편을 상대로 제기한 이혼소송을 통해 북한의 사랑과 결혼, 이혼의 과정을 생생하고 감동적으로 그려낸 작품으로, 상투적인 소설에 식상해 있던 북한 독자들에게 엄청난 반향을 불러일으키며 스테디셀러가 되었다.
소설은 여주인공 채순희가 이혼 소송을 제기한 법원에서 판사를 만나는 것으로 시작된다. "리혼시켜 주세요." 이혼하려는 사유를 묻는 정진우 판사에게 채순희는 대답한다. "그이와는 생활리듬이 통 맞지 않아요." 리혼이란 게 무대에서 노래 부르고 퇴장하는 것처럼 간단하지 않습니다. 일반적인 리유로써는 법률을 만족시킬 수 없습니다."
정진우 판사는 냉정하게 반응하고, 공장 노동자로 일하다 노래실력을 인정받아 예술단의 가수로 화려하게 변신한 채순희는 항변한다. "생활을 떠난 예술이 없지 않습니까. 가정생활에도 그런 불협화음이 있으면 고통만주어요. 남편은 저를 아주 경멸합니다. 인간적으로 말예요." 정진우 판사는 소송 과정에 부당한 압력을 가하는 도의 고위간부인 채림에 맞서 싸우며 이혼소송의 진정한 원인을 찾아나간다.
<벗>은 2011년 프랑스어로 번역되어 남북한을 통틀어 가장 많이 팔린 '코리아 소설'이 되었다. 프랑스에서 '세상에서 가장 폐쇄적인 나라를 엿볼 수 있는 흥미로운 창문'이라고 소개된 것처럼 <벗>은 북한 사회의 일상과 사회 시스템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목차
그들의 사랑
두 생활
가정
발문_소설 『벗』에 대하여(정도상)
단어 표기와 뜻풀이
----
책속에서
첫문장
시 인민재판소는 산간 도시의 변두리에 자리 잡고 있다.
“한 부엌에서 끓여먹고 아래웃방에서 갈라 자고… 한심한 일이지요. 만약 리혼을 시키지 않아서 동네를 더 소란스레 하고, 치정관계를 빚어내여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고… 더 나아가서 폭발적 성격을 띠여 돌이킬 수 없는 후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을 판사 동무는 알아두시오.”
“위협입니까? 아니면 그 어떤 담보를 받자는 겁니까?”
“있을 수 있는 일을 예견하고 대책을 세우는 것도 재판소가 할 일이 아니겠소.”
“불행을 당겨오지 마십시오. 법적 근거가 충분하면 리혼을 시킵니다. 기다려주십시오.”
채림은 일어나 양복 앞섶의 단추를 채우고는 정진우에게 손을 내밀었다. 그런 습관적 례의(예의)는 친절한 의미에서의 악수라기보다 이야기가 끝났다는 의사 표시 같았다.
_‘그들의 사랑’ 중에서 접기
“석춘 동무… 난 판사로서보다 나이 많은 벗으로서 충고하고 싶소. 이제부터라도 시대청년다운 열정과 진취성을 가지고 자기 매력을 개발해보오. 근실한 령감(영감) 티 나는 기능공이 아니라 지식과 기술을 소유한 멋쟁이 기능공 청년답게 외모에서부터 쭉 빼고 다니오. 공장대학에도 가고… 일요일엔 아들애를 데리고 극장에 가서 안해가 출연하는... 더보기
정진우 판사는 눈굽이 찡해났다. 그래, 결혼식을 하면 다정해지고 부모의 밝은 그늘 속에서 너도 기쁘고 살기가 좋을 것이다. 그러나 어찌겠느냐. 너의 부러움을 자아내는 저런 결혼식은 일생에 한 번만 있다… 혼인관계의 사회상을 리해할 수 없는 아이에게 무엇을 말할 수 있으랴.
정진우는 호남이를 내려다보며 마음 속으로 달래였다. 걱정하지 말어라. 너의 아버지와 어머니는 다시 결혼을 할 게다. 혼례식은 없어도 새 가정을 꾸릴 게다. 정신적 결혼을 말이다.
일요일을 즐기는 사람들의 물결이 흘러간다.
가정을 이루거나 가정 속에 사는 사람들이다. 가정을 떠난 사람은 없다. 가정은 인간의 사랑이 살고 미래가 자라는 아름다운 세계이다.
_‘가정’ 중에서
추천글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한겨레 신문
- 한겨레 신문 2018년 5월 2일자 '책과 생각'
---
저자 및 역자소개
백남룡 (지은이)
1949년 함경남도 함흥시에서 태어났으며,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1966년부터 10년간 장자강기계공장에서 노동자 생활을 하였다. 그 후 김일성종합대학을 졸업하고 1979년 《조선문학》지에 단편 「복무자들」을 발표하면서부터 작품 활동을 시작, 지금까지 대표작 『벗』, 『60년 후』 등을 비롯해 뛰어난 작품들을 발표하였다. 『벗』은 북한 독자들의 뜨거운 반응을 불러일으키며 북한 최대의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프랑스어로 번역 출간된 파리에서도 가장 뜨거운 반응을 불러일으킨 겨레말 소설이 되었다.
최근작 : <60년 후>,<벗>,<벗> … 총 5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판문점 남북정상회담에서 김정은 위원장이 남긴 여러 중요한 말 중에서 가장 인상적이었던 한마디는 ‘멀리서 평양냉면을 준비해왔다’고 한 자신의 말을 순발력 있게 바로 잡으면서 옆에 앉은 여동생 김여정에게 한 ‘멀다고 하면 안 되갔구나.’였다.
‘멀리서 왔다.’는 말은 벗에게 해서는 안 되는 말이다. 마음에 없는 사람에게 가는 길은 지척도 천 리 같고, 만나고 싶은 벗에게 가는 길은 천 리도 지척 같기 때문이다. 그러한 마음을 북한사람들이라면 누구나 아는 상식으로 만들어준 것이 바로 이 소설, 『벗』이다.
북한 대표작가 백남룡의 베스트셀러 소설 『벗』
예술단 여배우의 이혼소송을 통해 본 북한의 사랑과 결혼, 그리고 이혼!
북한의 대표작가 백남룡의 『벗』은 1988년에 발표되어 북한 최대의 베스트셀러가 된 장편소설(북한에서는 ‘중편소설’이라고 함)이다. 예술단 여가수가 남편을 상대로 제기한 이혼소송을 통해 북한의 사랑과 결혼, 이혼의 과정을 생생하고 감동적으로 그려낸 『벗』은 상투적인 소설에 식상해 있던 북한 독자들에게 엄청난 반향을 불러일으키며 스테디셀러가 되었다.
소설은 여주인공 채순희가 이혼 소송을 제기한 법원에서 판사를 만나는 것으로 시작된다.
“리혼시켜 주세요.”
이혼하려는 사유를 묻는 정진우 판사에게 채순희는 대답한다.
“그이와는 생활리듬이 통 맞지 않아요.”
“리혼이란 게 무대에서 노래 부르고 퇴장하는 것처럼 간단하지 않습니다. 일반적인 리유로써는 법률을 만족시킬 수 없습니다.”
정진우 판사는 냉정하게 반응하고, 공장 노동자로 일하다 노래실력을 인정받아 예술단의 가수로 화려하게 변신한 채순희는 항변한다.
“생활을 떠난 예술이 없지 않습니까. 가정생활에도 그런 불협화음이 있으면 고통만주어요. 남편은 저를 아주 경멸합니다. 인간적으로 말예요.”
정진우 판사는 소송 과정에 부당한 압력을 가하는 도의 고위간부인 채림에 맞서 싸우며 이혼소송의 진정한 원인을 찾아나간다. 이혼 소송이 진행되는 과정을 따라 전개되는 소설을 읽으면서 우리는 먼저 남한과 너무나 흡사한 북한의 모습에 놀란다. 이혼의 자유가 있는지도 몰랐던 북한 사람들도 남한 사람들과 조금도 다를 바 없이 열애 끝에 결혼을 하고, 어느 날부터 갈등의 골이 깊어서 마침내 법원에 소송을 제기하고, 아이의 양육권을 놓고 고민한다. 그러나 우리는 남한과는 전혀 다른 북한의 사법절차와 가치관의 차이에 또 한 번 놀라게 된다. 북한에서 이혼 소송을 맡은 판사는 남한에서처럼 법정에서 서류와 변론만 듣고 판결을 내리지 않는다. 이웃과 직장, 가족들을 찾아가 직접 만나보고 사실 관계를 조사하고 확인한 다음 이혼 여부와 아이의 양육권에 대해 결정한다.
가장 폐쇄적인 나라를 엿볼 수 있는 흥미로운 창문
프랑스어로 번역되어 파리에서 가장 많이 팔린 ‘코리아 소설’
『벗』은 2011년 프랑스어로 번역되어 남북한을 통틀어 가장 많이 팔린 ‘코리아 소설’이 되었다. 프랑스에서 ‘세상에서 가장 폐쇄적인 나라를 엿볼 수 있는 흥미로운 창문’이라고 소개된 것처럼 『벗』은 북한 사회의 일상과 사회 시스템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북한에 대해 모르기는 우리도 프랑스와 다를 것이 없었다. 공장노동자가 예술단 가수가 되고 대학생이 되는 과정을 아는 남한 사람은 거의 없다. 북한 사람들이 어떠한 생활의 고뇌와 아픔 속에 살아가고 있으며 ‘사랑’이라고 불리는 인간의 가장 원초적이고 자연스런 감정을 어떻게 껴안고 살아가는지에 대해 우리가 아는 것은 없다. 『벗』은 북한에 대한 우리의 ‘놀라운 편견’과 ‘경이로운 무지’을 깨뜨려줄 인물과 구체적인 생활상, 생생한 이야기들로 가득 찬 소설이다. 특히 벗과 같은 판사 정진우는 북한 이외의 사회에서는 결코 볼 수 없는 독특한 인간형이다.
인민의 가짜 벗과 맞서 싸우는 진정한 ‘벗’
‘친구’와 ‘동무’로 갈라져 반쪽이 되어버린 ‘벗’의 참뜻을 놀랍게 되살린 소설
백남룡은 분단과 함께 ‘친구’와 ‘동무’로 갈라져 반쪽이 되어버린 ‘벗’의 참뜻을 놀랍고도 완벽하게 소설로 되살려냈다. ‘벗’을 사귀고 대하는 마음가짐 대신 서로의 연고만을 강조하는 ‘친구’나 체제를 함께 건설하고 유지해가는 이데올로기적인 호칭이 된 ‘동무’가 빠뜨린 것을 백남룡은 날카롭게 주목한 것이다.
사회주의 체제에서 인간관계는 주로 동무라는 호칭으로 상징된다. 겨레말에서 동무의 사전적 의미는 ‘함께 자라는 벗’이지만 남북이 분단되면서 남한에서 ‘동무’라는 어휘는 자취를 감추었다. 동무의 어휘에 이데올로기가 부여되는 순간 본디 가지고 있던 고유의 의미를 상실했기 때문이었다. 백남룡은 공동체의 삶에서 동무가 감당할 수 없는 어떤 관계를 발견했고 그것을 ‘벗’으로 호명한 것이다.
노동자 출신의 채순희가 예술단의 중음가수로 화려하게 변신한 뒤에 선반공인 남편 리석춘과 갈등하지만 정진우 판사는 함부로 채순희를 단죄하지 않는다. 노동자의 계급적 순결성만을 강조하는 계몽에서 벗어났다. 작가는 정진우를 통해 ‘남편과의 부부생활에 지성적 요구의 수준이 높고 성취도가 강한 여성’으로 채순희를 평가한다. 그리고 한 눈 팔지 않고 기계에만 매달려 사는 것을 긍지로 아는 리석춘에게 ‘자기 계발에도 힘쓰고, 극장에서 채순희가 출현하는 예술공연도 관람하는 문화적 창조성도 가진’ 아내의 벗이 되라고, 벗으로서 조언한다. 그는 말로만이 아니라 이혼 소송으로 예술단에서 외톨이가 된 채순희에게 배역이 돌아가게 하고, 리석춘이 기계제작에 필요한 모래를 직접 짊어지고 공장으로 찾아가며 두 사람이 다시 벗이 될 수 있도록 ‘동무’가 아니라 ‘벗으로서’ 애쓴다. 반면 재판에 개입하여 이혼 판결을 내리도록 압박하는 인민의 가짜 벗인 채림과 맞서 싸우며 진정한 ‘벗’들을 지키기 위해 분투한다.
남과 북이 ‘벗’임을 일깨워주는 겨레말 소설 『벗』
그대는 인생의 벗이 있는가?
『벗』은 남과 북이 원수가 아니라 ‘벗’임을 페지(페이지)를 넘길 때마다 느끼게 만든다. 백남룡이 구사하는 다채롭고 아름다운 어휘들은 분단으로 생긴 것이 이산가족만이 아님을 절감케 한다. 북에서만 쓰는 단어나 남에서는 사전 속에서만 만날 수 있는 단어들을 그는 마술처럼 복원시켜내고 있다. 바늘잎나무(침엽수), 눅거리(싸구려), 왕청같은(전혀 엉뚱한), 봉절(개봉)... 백남룡의 소설은 부군부군하고(보드랍고) 말큰말큰한(연하고 말랑한) 어휘들이 어울려 곳곳에서 모국어의 향연을 벌인다.
6.15민족문학인 남측협회 집행위원장으로 13년째 지연되고 있는 남북작가대회를 추진하고 있는 소설가 정도상은 『벗』이 “북한이라고 하는 매우 독특한 사회공동체의 풍경을 담아낸 겨레말 소설”이라며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
“이 소설을 그저 북한 소설이라고만 생각하지 않는다. 『벗』은 겨레말 문학의 한 범주이며 동시에 아시아 문학의 중요한 성과로 유럽이나 일본 문학에서는 결코 볼 수 없는 창작의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벗』은 북한의 한 산간 도시 이야기지만 삶의 온전성을 보듬고자 하는 사람들의 노력이 담겨 있다.”
『벗』을 던지는 질문은 어쩌면 너무나 간명하다.
“그대는 진정한 벗이 있는가?”
이 질문은 우리 시대를 살아가는 남북의 모든 사람들에게 유효하다. 어떠한 이념을 함께 지고 갈 ‘동무’나 서로의 이익을 도모할 연고를 가진 ‘친구’는 있을지 모르지만 ‘서로 도우며 바른 길을 함께 갈’ 진정한 벗이 있는가.
이제야 채우게 되는 아시아 문학의 빈칸
북한문학선
지난 12년에 걸쳐 ‘아시아의 내면적 교류’를 지향하며 문예지 《아시아》, ‘아시아 클래식’ 시리즈와 ‘아시아 문학선’을 꾸준히 발간해온 아시아 출판사는 그간 빈칸으로 남겨두었던 북한의 대표소설들을 차례로 선보인다. 아시아 문학선 16권과 17권으로 북한 대표작가 백남룡의 『벗』과 『60년 후』를, 18권과 19권으로 남대현 작가의 『청춘송가 1, 2』를 차례로 선보인다. 그리고 20권으로는 『북한단편소설선』이 출간된다.
‘생활리듬’이 서로 맞지 않아 등을 돌린 『벗』의 남녀주인공들처럼 남북으로 갈라진 우리 민족이 다시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서로를 진정한 ‘벗’으로 대하는 일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상대가 딱한 처지에 있을 때 외면하지 않는 것이 사람의 도리이고 상대가 어려울수록 더욱 가까이 다가가 손을 내미는 것이 벗이다. 한 사람은 왼손을 다른 한 사람은 오른손을 내밀어 깍지 끼고 서로 도우며 먼 길을 함께 가는 것이 바로 벗이다. 오른손과 오른손, 왼손과 왼손을 서로 맞잡고는 나란히 걷지 못한다. 접기
평점
분포 8.9
마이리뷰
전체 (7)
문체가 정겨운 북한 소설, 아시아 문학선[벗] 새창으로 보기
북한땅에서의 사랑과 결혼 그리고 이혼까지 들여다 보게 되는 소설, 파리에서 가장 잘 팔리는 우리말 소설이라는 말에 더 호기심을 가지고 책을 읽게 된다.
벗, 이라는 책 제목을 보고는 친구간의 우정같은 그런 이야기를 하는 소설일까 싶었는데 으외의 이야기 전개다. 게다가 폐쇄적인 북한 땅에서도 이혼을 청구하고 인민재판소에서 이혼을 심판한다는 사실 또한 의외다. 더우기 이혼을 청구하러 온 당사자의 일방적인 이야기만 듣는게 아니라 남편의 이야기는 물론 주변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 부부가 이혼을 하게 된 동기나 계기를 살핀다는 사실이 놀랍다.
남편과의 이혼을 청구하러 온 아내. 아내를 통해 전해 듣게 된 이혼 사유는 부부간의 의견 차이! 아내 되는 사람은 인기 많은 예술단 가수, 남편은 그저 평범한 선반기술공, 두 사람의 만남은 보통의 남녀의 만남처럼 서로가 애틋한 감정으로 만나고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아 평번한 가정을 일구고 살아가고 있었지만 어느 순간 부부가 서로 정이 없어지고 대화도 없어져 함께 살아가기가 어려워진다. 결국 인민재판소에 이혼을 청구하기까지 이르는데 정진우 판사는 두 사람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두 사람의 사정을 살피다보니 벗과 같은 우정을 쌓게 된다.
남편 석천이 처음 아내 순희를 만나 설레고 기대하고 실망하는등의 연애 감정을 세밀하게 표현하고 두 사람이 결혼을 하고 서로가 원하는 이상이 각각 다르게 전개 되는 과정을 두 사람의 이야기와 주변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 추리하게 되는 방식의 소설이다. 정진우 판사는 과거에 자신이 이혼 판결을 내린 남매가 서로 헤어져 불우한 어린 시절을 겪고 있는 모습을 보며 현재 이혼을 청구한 부부의 일에 더욱 신중을 기하게 되는가 하면 자신의 아내와의 이야기까지 더해져 이야기 전개가 꽤나 치밀하고 흥미롭다. 무엇보다 지금 우리는 잘 쓰지 않는 문체가 무척 정겹게 읽힌다.
남자와 여자가 가정을 일구고 살아가면서 서로 의견이 맞지 않고 불화하게 되는 건 북한이나 우리나 어느 나라에서나 마찬가지다. 그런데 두 부부의 사정을 모두 살펴 부부가 서로 다시 화해하게 만들기까지의 이야기가 무척 생생하게 전개가 되고 문체가 무척 정겨워서 읽는 재미가 쏠쏠하다.
----
책방꽃방 2018-05-22 공감(9) 댓글(0)
-
[마이리뷰] 벗 새창으로 보기 구매
이혼을 소재로 한 북한 소설이라고 흔히 소개되지만, 훨씬 더 많은 이야기가 묻어 있다. 북한 사회의 연애, 직장생활, 노동과 예술, 세대 등 다양한 면모를 짧은 소설 안에서 잘 살펴볼 수 있다. 주인공 판사의 사상은 인격적으로 너르면서도 날카롭고 진보적인데, 법조계의 한심한 작태가 청산되지 않은 적폐로 이야기되는 요즘 읽다보니 더 비교가 되기도 했다. 또한, 페미니즘의 시각에서도 꽤 깨어 있다고 할 만한 이 소설이 쓰인 1980년대, 한국은 부천서 성고문 사건 같은 일들이 벌어졌다는 점을 비교해보지 않을 수 없었다.
ENergy flow 2018-09-19 공감(9) 댓글(1)
---
[마이리뷰] 벗
참으로 교훈적이고 도덕적이고... 뭐 그런 단어들에 딱 들어맞는 이야기다.
건전한 경제 도덕 생활, 사회륜리 생활, 화목한 가정 생활(10)을 완성하기 위한 동네 히어로 캐릭터의 판사 동무가 종횡무진 활약한다.
선반 기술자 남편과 예술단 가수 아내의 불협의 가정을 중심으로 여러 가족들의 일면을 보여주니, 북한이 피부로 느껴지게 된다.
북한의 현대 소설이 이리도 교훈적인 내용을 담는 것, 인민을 계도 하겠다는 결연한 의지는 어쩌면 당연한 일이겠거니와, 비슷한 시기의 남쪽 소설들도 뭐 크게 달랐나 하면 그런것 같지는 않다.
다만 ‘미국놈들의 폭격에 부모를 잃은(75)’ 캐릭터도 깨알같이 등장하니 ‘북’이라는 조건을 끊임없이 떠올리게 한다.
오히려 여성의 사회 참여가 적극 독려되는 공산주의의 모습이 젠더의 견해차 보다는 세대의 견해차에 대해 고민한 흔적들을 엿볼 수 있게 한다.
사회적 인정욕구가 큰 여성에게 불이익을 주려는 나이든 지도원에게 판사가 준엄한 꾸짖음을 내리고 지도원은 깊이 반성하며 시정케하는 모습이나, 연구의 어려움을 겪는 선반공에게 양질의 모래를 퍼다주기 위해 차가운 강물에 발을 담그는 판사의 모습이나, 제대로 된 논공행상을 하지 않은 비리 공무원을 꾸짖는 판사의 모습 등은 판사와 변호사와 검사의 역할을 동시에 주고 있는 듯도 보인다.
근대적 사고와 가부장적 사고를 구태한 것으로 여기고 사회주의 사회의 모범을 향해 굳건히 인민을 인도하는 판사에게 화이팅 하라고 전하고 싶고, 판사라는 존재가 아닌 이웃으로 벗으로 다가서고 싶은 그 마음은 잘 알겠으나 나는 사양하고 싶고.... 뭐 그런 생각들이 들었다.
해설에서 북한 소설은 러시아, 중국, 유럽(물론 북미 남미도)의 영향없이 발전해온 특이한 겨레말 소설이며 독자성이 있다고 평하였는데, 타 문화와의 교류와 영향이 없는 것이 과연 긍정적인가 의문이 든다.
상호작용과 비판, 수용은 문화의 중요한 요소다.
국가라는 공동체의 이익과 인민의 교화에만 목적이 있는 특이점은 있겠으나, 긍정적 문화라고는 말하지 못하겠다.
동네 해결사 판사를 존경해 따르는 착한 공동체가 과연 존재할까 싶고, 한편 그런 순수한 세계가 있으면 싶기도 하고... 뭐 그랬다.
‘리혼’을 주제로 만난 북한 소설은 그런 생각들을 남겨 준다.
- 낡은 과거가 여기에 무슨 상관이 있어요. 생활은 오늘이고 앞에 있어요. - 63
- 남편과 갈라지는 것은 단순히 법정에서 판결과 실무적 수속을 기다리는 일이 아니였다. 순희는 자기가 마치 도덕의 저울대 우에 올라앉아 있는 것 같은 두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자기의 가정이지만 가정을 해치는 일은 개인의 일이 아니였다. 마을과 주위와 직장의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두고 지켜보는 사회적 일이였다. 그래도 기어이 욕망을 실현하자면 녀성의 아름다움과 명예인 정신도덕적인 모든 것을 잃어야 할 것 같았다. 그리고 사회라는 큰 가정에서도 쫓겨나야 할 것만 같았다. - 168
- 삶의 참의미를 묵살하는 거나 같지 않습니까. 가정불화가 있다 해서 녀성에게 그런 정신적이고 인격적인 처벌을 주 수는 없습니다. 재능은 사람의 인격을 구성하는 데서 주요한 부분입니다. 재능이 피여나는 길을 막는 것은 우리 법이 허용하지 않습니다. - 171
2019. jan.
- 접기
hellas 2019-01-12 공감(4) 댓글(0)
---
[서평]벗
북한의 문학작품은 처음 접한 것같다. '문학'이라고 표현될 만큼의 수준높은 작품들이
존재하기나 할까 싶을만큼 기대를 하지 않았는데 의외의 작품성에 놀라움을 금할 수 없다.
기계공장 노동자로 일하다가 뒤늦게 김일성종합대학에 진학하여 공부한 후 작품들을
발표하기 시작했다는 저자의 문학성이 상당히 뛰어남을 느낄 수 있는 작품이다.
전반적인 스토리는 단순한 편이다.
시 인민재판소의 판사인 정진우는 도 예술단의 가수인 채순희와 기계공장 선반공인
리석춘의 이혼문제를 맡게 된다.
북한도 역시 사람 사는 곳이라 결혼, 이혼등 우리가 겪는 일반적인 것들이 존재하는 것 같다.
합의이혼이라는 형식은 없는지 모르겠는데 채순희의 이혼제기로 인해 판사인 정진우는
이혼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우리식으로 하면 결혼을 계속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숙려기간을
둔 후 이혼판결을 받게 된다. 하지만 북한에서의 이혼제기는 판사가 상당한 개입을 하는 것같다.
기계공장에서 만나 사랑을 키운 두 남녀가 설레는 마음으로 결혼을 하고 10여 년을 함께 살았으나 더 이상 사랑의 마음이 남아 있지 않은데다 함께 사는 것이 너무 괴로워 순희는 이혼을 결심한다.
기계공장에서 인정받는 성실한 선반공인 남편은 오로지 일에만 열중하고 심지어 창의적인
공작을 하기 위해 자비를 쏟아붓는 등 도무지 가정에는 무심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석춘은 자기가 하는 일에 대한 애정이 넘치는데다 능력도 대단해서 열정적으로 일하지만 가정에 충실하지 않은 적은 없다고 생각한다.
정진우는 순희와 석춘을 만나면서 이 부부의 문제가 무엇인가를 판단하게 된다.
기계공장에서 일하다가 노래솜씨를 인정받아 이제 도 예술단의 일원으로 승승장구하게 된
순희가 공장 노동자인 남편을 업수이 여기게 되면서 문제가 발생했다고 생각한다.
석춘은 외모도 그저그렇고 꾸미는 것에도 소홀해서 이제 스타가 된 순희의 눈에는 한심하게
보일 수 밖에 없었다.
말주변도 없고 다정한 면은 없지만 그야말로 진국이라고 하나같이 인정한 남편이지만
아내의 눈에는 촌스럽고 일밖에 모르는 한심한 남자일 뿐이다.
정진우는 당사자뿐만 아니라 부부가 근무하는 곳의 상사들까지 찾아가 만나면서 면밀한
조사를 이어간다.
이런 점은 우리네 모습과는 사뭇 다르다. 판사가 당사자뿐만 아니라 주변 사람들까지 증언을
채집하는 모습이 낯설다. 이런 방식은 법이전에 인간적인 모습으로 다가와 우리도 본받았으면
할 정도였다.
순희와 석춘의 이혼문제를 따라가면서 순희의 6촌오빠인 도 공업기술위원장 채림은
부부의 이혼에 불씨를 지핀 인물이기도 하다. 야간대학에라도 진학하라는 순희의 조언을
무시하고 선반공일에만 열중하는 석푼을 못마땅하게 생각한 채림은 순희에게 이혼을 부추긴다.
정진우는 석춘이 5년동안 공을 들여 발명한 기계를 3등으로 입상시키면서 아무 혜택도 주지
않은 채림에게 일갈을 던진다.
그리고 순희와 석춘에게 각각 문제점을 상기시키고 일곱살 난 아들에게 불행을 주지 말라고
조언한다.
오래전 어떤 부부의 이혼판결을 했던 정진우는 자신의 판결로 인해 불행한 삶을 살게된 자식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자책에 빠진다. 자신의 판단이 잘못된 것이었을까.
과연 이런 판사들이 있을까. 자신의 판단이 옳았는지 되돌아보는 판사들이 있다면 좀 더 공정한 세상이 될텐데 말이다.
두음법칙을 쓰지 않는 필법때문에 다소 읽는게 불편했고 북한 특유의 사투리나 표현법이
낯설기는 하지만 작가가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는 충분히 전달되었다.
폐쇄적인 북한내의 결혼이나 이혼, 사회적인 현상들도 조금 들여다보는 계기가 되었다.
정진우라는 판사의 모습에서 작가의 모습을 본 것만 같다.
쉽게 판결을 내리고 일을 줄여도 좋을 것을 한 가정의 파탄을 막아보자 노력하는 모습에서
인간적이 따뜻함이 전해져온다. 대한민국의 대작가인 황석영이 왜 극찬을 했는지 알 수 있다.
능력있는 작가는 체제가 어떻든 빛을 발하기 마련인 모양이다.
북한 문학의 진수를 본 것 같아 좋은 시간이 되었다.
* 출판사로 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된 리뷰입니다.
- 접기
왕눈이 2018-05-14 공감(0) 댓글(0)
Thanks to
공감
사랑, 결혼, 이혼, 그리고 - 벗 새창으로 보기
‘백남룡’의 ‘벗’은 북한에서의 사랑과 결혼, 그리고 이혼을 그린 소설이다.
소설은 인민재판소에 한 여인이 이혼을 목적으로 찾아와 상담하면서 시작된다. 이제 결혼한지 10년차가 되가는 이 여인은 ‘생활리듬’이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남편과의 이혼을 희망한다. 사연과 감정은 구구절절하나, 판사인 정진우는 객관성과 공정성에 기초해 논거를 세우기 위해 이들 가족의 사정과 이혼의 이유를 파헤쳐 나가기 시작한다.
북한 작가인 백남룡이 쓴 이 소설은 겨레말로 작성되어있다. 그래서 모르는 단어나 표현들도 꽤 나오는데, 이것들이 처음 나올 때 괄호를 치고 풀이를 덧붙이는 식으로 표기하고, 나중에 참고하기 쉽도록 뒷편에 단어 표기와 뜻풀이를 첨부하기도 해서 익숙하지 않은 겨레말 소설인데도 큰 무리없이 읽어나갈 수 있게 했다.
소설의 분위기는 상당히 독특하다. 남한에서 일반적으로 생각하던 것과는 다른점이 많기 때문이다.
그 대표적인게 사회주의 사상이 담겨있는 거다. 특히 이들 부부의 이혼 수속에 대한 판단 근거를 얘기할 때 판사나 주변 사람들의 의견을 통해 이러한 면모를 보인다. 기본적인 요건만 맞다면 결과나 의의보다 개인의 선택과 자유를 더 중시하는 남한과는 다른 거다. 그렇다고 이상하거나 틀렸다고까지 할 것까지는 아니었으나, 그래도 평상시 접하지 못했던 것이라 그런지 조금 이질감이 느껴지기도 했다.
판사인 정진우가 이혼 판단을 위해 적극적으로 실상을 조사하고 또 생활에 개입하며 조언도 서슴지 않는 것 역시 의외였다. 남한의 판사란 그런 존재가 아니기 때문이다. 소설속 정진우의 모습은 그래서 판사라기 보다는 다른 부류같은 느낌이 강했다.
자신의 손해를 마다하지 않으면서도 보다 사회와 타인을 생각하고 애쓰는 이 같은 사람을 뭐라고 하면 좋을까. 이상주의자? 오지라퍼? 멘토? 작가는 이를 ‘벗’이라고 이름했다. 책 제목이 그의 은근한 답 제시인 셈이다. 이게 제법 어울리고 마뜩하다.
소설이 북한의 실상을 그리고 있는 것은 아닌 것 같다. 등장 인물들의 심성이나 행동들이 그렇게 현실적이어 보이지는 않기 때문이다. 그보다는 작가의 어떤 이상 같은걸 담고 있는데, 북한이라는 공동체를 나름 긍정하면서도 그 안에 변화의 모습도 담은 것이 재미있다.
* 이 리뷰는 리뷰어스 클럽을 통해 출판사로부터 책을 받고 작성했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