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3년 관동대지진 직후 일본 치안 당국이 조선인 폭동이라는 오보를 유포함과 동시에 계엄령하에 군대를 동원해 조선인을 학살한 사건에 대해 일본 국가와 민중의 사건 이후의 대응, 반성의 모습을 밝히는 데 중점을 두고 집필했다. 책임을 묻어버리려고 하는 것은 이중 범죄이자 수치를 덧칠하는 것이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옮긴이의 글
머리말: 일본인으로서 이 책을 통해 밝히고자 하는 것
1장 조선인 학살사건을 둘러싼 일본인의 정신 상태를 돌아보며
1.아시아 태평양전쟁 종전 전에 세워진 추도비와 묘비
2.아시아 태평양전쟁 종전 후에 세워진 추도비와 묘비
1) 조선인.일본인이 합동으로 또는 일본인 단독으로 건립한 추도비
2) 조선인.한국인이 독자적으로 건립한 추도비
3.맺음말
2장 재일조선인 운동의 발전과 일본 치안 당국의 인식과 대응
1.재일조선인 노동자 계급의 형성
2.재일조선인 운동의 발전과 이에 대한 일본 치안 당국의 인식과 대응
3.맺음말
3장 일본 국가와 조선인 학살사건
1.일본 국가의 조선인 학살사건에 대한 책임과 사후의 책임
2.일본 국가의 유언비어 유포 책임
3.일본 국가의 조선인 폭동 날조 및 자경단에의 전 학살 책임 전가
4장 민중 의식과 자경단
1.자경단의 성립
2.자경단의 사상
5장 일본 국가와 학살된 조선인을 둘러싼 추도 ? 항의 운동
1.일본인의 항의와 반성이 반영된 추도 운동
2.재일조선인의 항의 추도회와 ‘일선 융화’ 추도회
3.맺음말
6장 학살된 조선인 수를 둘러싼 제반 조사의 검토
1.학살된 조선인 수에 대해 조선인이 실시한 두 가지 조사보고
2.일본 국가에 의한 조선인 유해 은폐 정책
3.조선인 학살 수에 대한 조사보고의 지역별 검토
1) 도쿄부 미나미카쓰시카군에서 학살된 조선인 수
2) 사이타마현에서 학살된 조선인 수
3) 가나가와현에서 학살된 조선인 수
4.맺음말
저자후기
참고문헌
찾아보기
접기
추천글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조선일보
- 조선일보 Books 북Zine 2008년 8월 9일자 '한줄읽기'
===
저자 및 역자소개
야마다 쇼지 (山田昭次) (지은이)
1930년 사이타마현에서 태어나 1953년 릿쿄대학 문학부 사학과를 졸업했다. 1962년에서 1995년까지 릿쿄대학 일반교육부에서 근무했으며 2017년 현재는 릿교대학 명예교수로 있다. 저서로는 《근대 민중의 기록 6: 만주이민》(편저), 《꿋꿋하게 살아온 증거》, 《이웃나라의 고발: 강제연행의 기업 책임》 등이 있다.
최근작 : <가네코 후미코>,<관동대지진과 조선인 학살>,<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에 대한 일본 국가와 민중의 책임> … 총 11종 (모두보기)
이진희 (옮긴이)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과를 졸업하였고 미국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Eastern Illinois University 사학과 교수 및 동양학과장을 맡고 있다.
출판사 제공 책소개
1923년 관동대지진 직후 조선인의 독립 운동을 두려워한 당시 일본 치안 당국은 조선인 폭동이라는 오보를 유포함과 동시에 계엄령하에 군대를 통해 조선인을 학살함으로써 일본 민중으로 하여금 조선인을 학살하도록 유도했으며, 학살을 자행한 민중 또한 이에 대한 직접적인 반성을 회피해 왔다. 이 글은 학살 자체 보다는 일본 국가와 민중의 사건 이후의 대응, 반성의 모습을 밝히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일본 제국주의 정책과 전후의 사회 변화를 몸소 체험한 저자는 대지진 이상으로 조선인 학살을 커다란 문제로 여기고, 학살 자체만이 아니라 그 책임을 묻어버리려고 하는 것이 이중의 범죄이자 수치를 덧칠하는 것이라 말한다. 관동대지진과 조선인 학살 사건은 그동안 감춰졌던 한일 근대의 역사상은 우리가 되돌아봐야 할 중요한 과제이며, 재구성해야 할 식민지기 역사를 드러내는 새로운 ‘문서사료관’의 기점이 될 것이다.
===
서평 100 : 잊을 수 없는, 잊어선 안 되.. : 네이버블로그서평 100 : 잊을 수 없는, 잊어선 안 되는 100년 전의 참극 <관동대지진-조선인 학살에 대한 일본 국가와 민중의 책임>
오탁 ・ 2023. 1. 2. 6:20
URL 복사 이웃추가
본문 기타 기능
"누가 가메이도 고노하시 다리에 조선인 부인의 참사체가 있으니 보러오라고 했다 ...... 그리 멀지 않은 곳이고 해서 가보았다 ...... 참살당해 있던 것은 서른을 좀 넘은 정도의 조선인 부인으로, 그 성기에는 죽창이 꽂혀 있었다. 게다가 임산부였다. 차마 똑바로 쳐다 볼 수가 없어서 얼른 돌아왔다."(214페이지)
1923년 9월 관동대지진 때 도쿄 가메이도에서 일본 국가와 민중이 벌인 조선인 학살극을 한 일본 시민이 묘사한 한 것이다. 글을 읽는 것만으로도 온몸에 소름이 돋는다.
바로 100년 전 9월 1일, 도쿄 부근에서 일어난 관동대지진 때 조선인 수천 명이 일본 군경과 자경단에게 학살됐다. 그러나 아직도 진상은커녕 피해자 숫자, 피해자의 이름도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는 상태다. 일본 정부는 그때의 진실을 덮는 데만 급급해 하고 있고, 한국 정부도 그때의 진실을 밝히고 추궁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지 않다.
올해는 관동대진진 조선인 학살사건이 일어난 지 꼭 100주년이 되는 해다. 참사 100주년을 맞아 그때 영문도 없이 억울하게 살해된 수천명의 원혼이 뒤늦게나마 한을 풀게 되었으면 하는 마음이 간절하다.
<관동대지진-조선인 학살에 대한 일본 국가와 민중의 책임>(논형, 야마다 쇼지 지음, 이진희 옮김, 2008년 7월)은 관동대지진 때 일본 국가와 민중이 조선인 학살에 대해 어떤 책임이 있는지를 준엄하게 따져 묻는 책이다. 릿쿄대 사학과 교수를 지낸 저자 야마다 쇼지는 1964년 한일회담 반대운동에 참가한 이래 일본군위안부와 강제연행 보상운동, 한국의 양심수 석방운동을 줄기차게 벌여온 대표적인 일본의 양심파 지식인이다.
그는 이 책 한국어판 서문에서 "제목에서 제시하고 있듯이, 조선인 학살에 대한 일본 국가 책임과 더불어 민중의 책임도 밝히고자 한다"면서 일본 국가의 책임에는 두 가지가 있다고 말한다. 첫 번째는 조선인의 독립운동을 두려워한 나머지 일본 치안당국이 조선인 폭동이라는 오보를 유포함과 동시에 계엄령 아래 군대를 통해 조선인을 직접 학살함으로써 일본 민중의 조선인 학살을 유도한 것이고, 두 번째는 일본 정부가 조선인 폭동이 사실이 아니라는 점을 깨달은 뒤 국가 책임을 은폐하기 위해 각종 공작을 행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일본 정부는 국가의 책임을 모면하기 위해 사법성이 조선인의 범죄를 날조해서 발표하고, 학살된 조선인의 유해를 감추고 인도하지 않았으며, 조선인 학살범인 민간인에 대해 국제적 비난을 피하기 위해 형식적인 재판을 통해 대부분 가벼운 벌만 내렸다. 이런 일본 정부가 행한 각종 은폐 공작은 이 책에 매우 꼼꼼하고 자세하게 서술돼 있다.
저자는 이 책에서 특히 이제까지 조선인 학살 문제에서 충분히 연구되지 않았던 일본 정부의 국가 책임 은폐 공작을 밝히는 데 중점을 두었다고 말하면서, "조선인 학살의 전모를 감추기 위해 조선인 유해를 은닉하고 조선인에게 건네주지 않았다는 사실은 본서가 처음 지적한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또 일본 정부의 책임과 함께 일본 민중의 책임을 거론한 것은, "일본 국가가 스스로는 반성할 수 없는 체질을 갖고 있는 이상, 국가 체제에 함몰되어 조선인 학살에 가담했던 일본 민중이 먼저 자신을 반성하고, 그들을 조선인 학살로 몰고 갔던 국가 책임을 추궁하는 주체가 되지 않는 한, 이 문제는최종적으로 해결될 수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한국 시민들이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 문제를 대할 때 가장 궁금한 대목은 과연 조선인 학살자 수가 얼마인가 하는 점이다. 이 책에 따르면, 당시 일본 신문의 보도에는 300명에서 519명의 사망자가 난 것으로 나왔다. 일본 사법성이 조사해 공식 발표한 수는 이들보다 훨씬 적다. 230명에 불과하다. 반면, 상하이 임시정부 기관지인 <독립신문> 1923년 12월 5일자는 "본사 피학살 교일 동포 특파조사원 제1신"이라는 기사에서 학살자 수가 6661명이라고 보도했다. 이것이 여러 가지 희생자 수 자료 가운데 가장 많은 희생자 수다.
저자는 희생자 수에 관해 "학살된 조선인 수가 수천 명에 달한다는 것은 의심할 수 없지만, 이를 엄밀하게 확정짓는 것은 이제 오늘날 불가능하다"고 말한다. 즉, 여러 가지 증언과 자료를 살펴보면 사법성 발표나 신문 보도보다는 훨씬 많지만, 일본 정부의 은폐와 시간의 경과로 희생자 수를 확실하게 밝혀내는 것은 불가능하게 됐다는 것이다.
저자는 사법성의 희생자 발표 수가 아주 적은 것은 일본 군경이 직접 학살에 가담한 것을 숨기려는 과정에서 발생한 것으로 본다. 예를 들어, 가장 사망자 수가 많이 나온 도쿄의 경우 사법성 발표는 53명에 불과하다. 하지만 이는 가메이도, 오지마 등지의 학살자 자료나 증언에 턱없이 모자라는 수다. 즉, 도쿄에서 집중적으로 벌어진 군경의 직접 학살 사실을 숨기려는 한 데서 이런 차이가 발생했을 것이라는 얘기다. 사법성은 사이타마현에서 도쿄보다 많은 66명이 학살된 것으로 발표했는데, 여기서는 민간인으로 구성된 자경단이 주로 학살에 가담했기 때문이라고 저자는 풀이했다.
일본 정부의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 은폐극은 과거뿐 아니라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고이케 유리코가 도쿄 도지사가 된 이후, 도쿄도에서 매년 거행되는 조선인 희생자 추도식에 이전까지 보내왔던 도쿄도지사의 추도사를 중단한 것이 대표적이다. 일본 정부가 북한에 납치된 수십 명 규모의 피해자 문제에 관해서는 국력을 총동원해 문제제기를 하면서, 수천명이 학살된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자 문제에 관해서는 눈을 질끈 감고 있다. 일본 정부의 이런 태도는 인도주의 정신에 반할 뿐 아니라형평성에도 어긋나는 행위다.
한국 정부도 반성할 부분이 많다. 일부 시민단체의 문제제기에만 맡긴 채 이 문제와 관련해 어떤 의미 있는 행동이나 발신도 해오지 않아왔다. 한국 정부는 헌법에서 명시하고 있듯이 1919년 4월 수립된 상하이 임시정부의 법통을 이어받고 있다. 한국 정부는 이제라도 임시정부 수립 이후 일본 수도 한 복판에서 벌어진 동포의 대학살극에 관해 이제라도 당당하게 문제제기를 하고, 희생자들의 넋을 기리는 작업에 본격적으로 나서야 마땅하다.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 참사 100주년은 한국 정부가 그동안 이 사건에 취해온 미온적인 자세를 반성하고 새로운 각오를 다질 수 있는 아주 좋은 기회다. 하지만 윤석열 정권은 관동대지진 학살 사건에 대한 문제제기는커녕 피해자가 버젓이 살아 있는 강제동원 노동 피해자 배상 문제마저 일본의 논리에 굴복해 백기투항할 태세다. 그래서 관동대지진 조선인 집단 학살 100주년이 되는 2023년 새해 벽두가 더욱 우울하다. 정부가 역사를 잊으면, 역사를 기억하도록 시민이 움직일 수밖에 없다.
[출처] 서평 100 : 잊을 수 없는, 잊어선 안 되는 100년 전의 참극 <관동대지진-조선인 학살에 대한 일본 국가와 민중의 책임>|작성자 오탁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