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9-12

관동대지진시 조선인 학살 문제를 둘러싼 한국 사회의 동향(김광열) 신학술 영역 연구 화해학의 창성

관동대지진시 조선인 학살 문제를 둘러싼 한국 사회의 동향(김광열) 신학술 영역 연구 화해학의 창성

화해와 기억 관련 에세이 · 서평
상단 화해와 기억 관련 에세이·서평 관동대지진시 조선인 학살 문제를 둘러싼 한국사회의 동향(김광열)

관동대지진시 조선인 학살 문제를 둘러싼 한국사회의 동향(김광열)



김광열(광정대학교 국제학부·교수)


한국사회에서는 지난 10년 전까지는 근현대에 발생한 민족수난사 중에서도 1923년 9월 일본 관동대지진 직후 발생한 조선인대학살 사건 에 대한 인식도는 낮은 편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아시아 태평양 전쟁시의 강제 동원 피해나 1950년대 초 조선 전쟁에 의해 발생한 막대한 인적·물적 피해에 대한 기억이 일상에서 상기되고 있었기 때문에 그보다 꽤 전에 일본에서 일어난 조선 인대학살 사실은 한국인 일반에게 있어서는 곧 실감되지 않는 역사로서 존재한 것이 아닐까 추측된다.

한국에서 관동대지진 시 조선인 학살 피해에 대해 사회운동 차원에서의 움직임이 시작된 것은 2007년 11월 천안의 '아힘나 평화학교'라는 사설교육기관을 운영하고 있다. 김종수 ​​목사를 중심으로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위한 한일 재일시민연대'라는 단체가 발족된 이후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은 주로 개신교 교회에서 심포지엄과 홍보활동을 조금씩 전개하면서 조선인 학살 사건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법을 제정하려 했으나 그 사실에 대한 인지도가 낮았던 당시 한국 실정에서는 법안 발의조차 할 수 없었다.

그러나 2013년경부터 변화가 보였다.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 사건 90주년을 맞은 2013년 8월 22·23일 외교통상부 산하 동북아역사재단에서 '관동대지진과 조선인 학살 사건'이라는 주제로 한·일 양국의 연구자 등에 의한 학술대회가 개최되었다. 이 테마에 관해서 한국에서 개최된 최초의 국제학술대회였지만, 이에 따라 한국의 역사학계에 있어서 해당 테마가 약간이지만 조명을 맞추는 기회가 되었다. 이듬해 2014년 봄에는 한일 재일시민연대의 진력으로 한국국회(제19대)에서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 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안”이 의원 발의되고, 같은 해 5월 26일에는, 그 입법 활동을 후원하는 시민 단체 「관동 대지진 조선인 학살 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 회복에 관한 특별법 추진 위원회」(공동 대표:김광열, 김종수 외 6명)가 설립되었다. 이 특별법 추진위원회는 이후 2년에 걸쳐 국회의 분과위원회에서 관련 국회의원들의 관심을 환기시키면서 해당 법안의 통과를 위해 노력했지만 결국 그 법안은 성립하지 못하고 19대 국회의 회기는 2016년 2월에 종료해 버렸다.

그 후 2016년에는 한국에서의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에 관한 운동은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시도가 있었다. 즉, 상술한 특별법 제정운동을 하기 위해서는 아직 한국인 일반인 1923년 대학살 사건에 대한 인식이 높지 않기 때문에 일반인이 쉽게 접할 수 있는 곳에서 학살 희생자의 추도 행사를 실시하자는 시도였다. 1923년 조선인 학살 사건의 진상규명이 이뤄지지 않은 한국의 현실과 최근 일본에서 재일 코리안에 대한 배외주의 시위가 만연하고 있는 매우 우려되는 현실이 중첩되어 있다고 보고 한국 사회에서 한층 더 그 역사를 알리고 경종을 울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취지에 공감하는 시민들이 2016년 2월 종로 시얼재단의 사무실에 모여 '1923년 학살을 받은 재일한인 추도 모임'(공동대표 : 김광열, 함인숙 외 이름, 실행위원 : 우충공, 정혜경, 성주현, 오일환, 남기정 외 5명)을 발족했다. 이후 동추도 모임은 같은 해 8월에 추도행사를 개최하기로 하여 구체적인 준비에 나섰다. 그 결과 2016년 8월 19·20일 처음 공개적인 장소에서 추도행사가 개최되었지만 서울시민청에서는 사진전시회와 영화상영을, 광화문광장에서는 추도식과 관련 민속행사 개최. 지난 2016년 8월 실시된 추도행사는 그동안 한국에서 진행된 유사행사에 비해 언론에 보도되는 빈도가 높았다. 그만큼 한국인 일반에 있어서 관동대지진 직후 조선인 학살 사실을 널리 알리는 효과를 가져왔다고 할 수 있다.

그 연장선으로서 2017년에는 한층 더 다양한 행사가 실시되었다. 8월 25일 종로기독교회관에서 '1923 한일 재일시민연대'가 추도행사를, 8월26일에는 천도교 중앙대교당에서 '1923년 학살을 받은 재일한인 추도 모임'이 추도식 및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8월 30일 부산에서는 다큐멘터리 감독의 우충공씨의 소지로 7명의 유족들에 의한 '관동지진 조선인 학살 희생자 유족회'가 결성되었다. 특히 8월 26일 천도교 중앙대교당에서 열린 추도행사는 한국에서 처음으로 추도식과 학술대회를 함께 실시하는 형태를 취한 것이다. 학술회의의 큰 주제는 '일본관동대지진 직후 한인대학살 사건과 재일한인의 현주소'로 다나카 마사카(전수대), 김광열(광운대), 김웅기(홍익대), 김인덕( 청장대) 등이 발표자로 등단했다. 한국에서 1923년 재일조선인 학살 사건에 대해 과거와 현재를 맞춘 테마로 학술회의를 한 것은 처음 만났다. 또 부산에서 처음으로 관동학살 희생자 유족회가 발족했다는 소식은 한국에서 이 운동이 새로운 양상에 접했다는 것을 의미했다. 어쨌든 한국에서 관동대지진 학살 사건 관련 행사가 3건이나 잇따라 개최된 것은 2017년이 처음이었다. 이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2013년부터 2016년까지 해당 운동에 관여한 사람들의 노력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한편 2017년도에는 일본에서 들어오는 관련 정보도 한국인 일반 해당 사건에 대한 관심을 유발했다. 2017년 4월 19일, 한국의 언론은 일제히 아사히 신문의 보도를 인용하고, 일본의 내각부가 홈페이지에서 일본 정부 산하의 「재해 교훈의 계승에 관한 전문 조사회」가 작성한 복수의 재해에 관한 조사보고서(2003년부터 2010년까지 분)를 삭제했지만, 그 중에는 관동대지진 시 조선인 학살에 대해 '살상 사건 발생'이라는 항목으로 기술한 것도 포함되어 있었다고 보도했다. 일본 정부가 최근 일본 사회의 우경화 현상의 압력을 받아 그렇게 한 것이 아닌가 하는 비판이 있었다. 또, 8월 24일에, 한국의 지상파 방송 및 대부분의 신문은, 코이케 유리코 도쿄도 지사가, 매년 9월 1일에 도쿄의 요코바미초 공원에서 실시하는 관동 대지진 조선인 피해자 추도식에 도지사 명의로 보낸 추도문을 올해부터 보내지 않기로 했다는 뉴스를 일제히 보도했다. 그리고 그런 코이케 씨의 결정은 지금까지 보여 온 우익적인 행보와 연결되는 것으로 비판했다. 또, 한국의 언론은 8월 30일자의 기사로, 도쿄의 스미다구 청장까지도, 매년 보내고 있던 추도문을, 도지사와 보조를 맞추어 보내지 않기로 했다는 소식을 전하면서, 최근 일본의 우익이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 피해를 왜곡하려는 움직임이 현저해졌다고 비판했다.

역사의 미해결 문제를 둘러싸고 행정당국이 과거와 다른 조치를 취할 때에는 임기제기관장의 자의적 판단에 따르기보다는 명확한 근거에 입각하여 결정할 필요가 있다. 객관적인 형태의 조사연구를 통해 기존 사실을 뒤집는 명확한 증거가 나온다면 다른 문제이지만, 그렇지 않으면 기존에 한 관례적인 조치를 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 코이케씨의 그러한 조치는, 우경화한 지지자들의 취향에 맞추어 자신의 정치적인 지반을 넓히기 위한 것인 것 같지만, 결과적으로 이 문제에 대해 한일 양국의 국민간의 감정 의 홈을 더 깊게 하는, 좋지 않은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최근 한국에서는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 사건을 추모하거나 학술적으로 주목하는 행사가 증가하고 일본에서 보도되는 관련 뉴스도 실시간으로 보도되고 한국인 일반 그것에 대한 비판적인 관심도 이전보다 높아지고 있다. 이제 관동대지진 시 조선인 학살 문제가 한국에서 다른 역사 미해결 문제처럼 주목받기 시작했다는 증거라고 할 수 있다.
번역 : 사토 유키에 (와세다 대학 대학원)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