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4-13

‘친미’ 한국인은 왜 ‘반미’가 됐나 - 동맹의 풍경 주한미군이 불러온 파문과 균열에 대한 조감도

‘친미’ 한국인은 왜 ‘반미’가 됐나


출판 1458호

‘친미’ 한국인은 왜 ‘반미’가 됐나
유럽 여성 인류학자가 본 주한미군의 파문과 광경 <동맹의 풍경>

이유진기자
구독
수정 2023.04.11 





무려 70년이다. 한국과 미국은 자타공인 세계에서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 만큼 굳건한 동맹 관계를 유지해왔다. 그러나 한국인에게 주한미군은 ‘우방국 친구’이자 ‘강국의 가해자’로 복잡한 감정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노르웨이 오슬로대학 사회인류학 교수 엘리자베스 쇼버가 쓴 <동맹의 풍경>(강경아 옮김, 나무연필 펴냄)은 주한미군과 한국인이 접촉한 곳에서 어떤 파문과 광경이 나타났는지 살핀 책이다. 2007년부터 한국에서 현장조사를 진행하며 주한미군, 기지촌의 성매매 여성들, 이태원과 홍대의 한국인 등을 만났다.

지은이는 유달리 친미 성향이 강했던 한국인이 느닷없이 반미감정을 갖게 된 이유를 궁금해하며 조사를 시작한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그 적대감의 밑바닥에 민족주의와 젠더 문제가 있었다. 1992년 기지촌 성매매 여성이었던 윤금이씨가 살해된 사건은 주한미군을 가해자로 설정하는 결정적 계기였다. 지은이는 세계 민족주의 내러티브에서 ‘국토’가 줄곧 ‘여성의 신체’와 동일시된다고 설명한다.

이 책에서 가장 독특한 분석은 2000년대 이후 미군과 한국인이 만나는 ‘공간’의 이야기다. 일시적 영역에서 일상이 재조정되고 예상치 못한 동료애가 생기는 ‘코뮤니타스’ 감각이 서울 이태원과 홍대 일대에 형성됐다는 것이다. 지은이는 용산 일대가 남성들이 영토싸움을 벌이는 곳이자 잠재적 섹스 파트너를 구하기 위한 다툼이 가득한 곳이라 보고 이를 ‘이태원 서스펜스’라 일컫는다. 2000년대 초 홍대 또한 미군의 유입으로 ‘홍대 양공주’라는 멸칭이 등장하는 스캔들의 공간이 됐다. 그러나 무정부·반군사주의 좌파 펑크족이 홍대에 나타나고 이들이 미군기지 확장에 반대하는 대추리 투쟁에까지 발 들이는 점을 짚으면서 좌파 펑크족은 기존 민중운동가의 이념적 경로에서 벗어난다고 분석한다.

지은이가 한국인의 반미감정을 지나치게 일반화하거나 미군 범죄 문제를 ‘폭력적 상상’이란 개념으로 진단하는 것에는 동의하기 힘든 독자가 있겠다. ‘폭력적 상상’이란 개인 폭력을 국가 문제로 재구성해 이해하는 관행을 가리킨다. 무엇이 현실이고 무엇이 상상인가. 중요한 점은 이를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폭력과 착취에 포함되지 않는 이야기가 배제됐다는 데 있다. 예컨대 기지촌에서 일하는 외국인 여성의 목소리 같은 것. 이래저래 그간 주한미군 문제에서 젠더 이슈를 배제해온 민족주의 좌파에게는 꽤 뜨끔한 책이 될 것 같다.

이유진 선임기자 frog@hani.co.kr

Elizabeth Shover


이전
다음





동맹의 풍경 
주한미군이 불러온 파문과 균열에 대한 조감도
엘리자베스 쇼버 (지은이), 강경아 (옮긴이), 정희진 (기획) 나무연필 2023-03-29


원제 
348쪽



책소개
2007년에 연구차 한국에 온 엘리자베스 쇼버는 한국 대중이 미국과 미군에 대해 보이는 태도에 의문을 갖게 된다. 한국에서 미국은 오랜 동경의 대상이자 굳건한 ‘동맹국’이었건만, 왜 이곳에서 대중적인 반미 의식이 생겨났을까? 미군과 직접 대면해본 적 없는 많은 이들이 어떻게 미군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게 되었을까? 이러한 질문을 출발점 삼아 쇼버는 미군 주둔으로 인한 한국 사회의 변화를 문화기술지로 조명해낸다. 외부자의 시선이지만 연구자로서의 정밀함과 균형감을 갖춘 인류학 보고서이다.

저자는 우선 구한말부터 21세기 초반까지 한국의 격동적 근현대사를 압축해 조망한다. 동시대의 한국 사회를 이해하기 위한 내재적 분석이자 국제관계의 측면도 놓치지 않은 사전 조사다. 이후 본격적인 탐색이 펼쳐지는바, 동시대 한국의 미군 유흥지(기지촌, 이태원, 홍대)를 탐색하면서 미군, 이주여성, 한국인 등 다양한 행위자들이 실제로 어떻게 만나고 있는지, 그 현장의 목소리를 인류학의 언어로 드러내 보인다. 대중교통의 발달로 기지촌을 벗어나 편리하게 도심 유흥지에 드나들 수 있게 된 미군, 세계화의 진척과 함께 국내의 성 산업에 유입된 이주여성, ‘윤금이 사건’(1992), ‘미선이·효순이 사건’(2002), ‘미군기지 이전을 둘러싼 평택 대추리에서의 싸움’(2006), ‘한미FTA 체결’(2007)과 같은 굵직한 사건들을 거치며 미국 혹은 미군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표출하게 된 여러 한국인들(여성과 남성을 비롯해 운동가부터 펑크족까지)의 이야기가 탄탄한 장면으로 펼쳐진다.
접기



목차


한국어판 서문_ 변화하는 세계 질서와 군사주의의 미래
해제_ 글로벌 자본주의 시대의 주한미군과 한국 사회(정희진)
1장 서론: 미군과의 만남, 그리고 폭력적 상상
2장 병영 자본주의: 21세기를 향한 한국의 기나긴 행군
3장 한민족의 딸이 된 기지촌 여성: 민족주의 서사와 사건의 증폭
4장 기지촌 사람들의 목소리: 주변화된 초국적 군사 유흥지에서의 위험과 몰두
5장 이태원 서스펜스: 도심 속 경계 공간의 이질성과 코뮤니타스
6장 스캔들의 온상이 된 홍대: 대안 지대의 미군과 반군사주의 펑크족
7장 결론: 동맹과 적대의 유산
감사의 말│옮긴이의 말│참고 문헌│찾아보기
접기



책속에서
P.37~38
나는 2007년 9월에 서울로 향했다. 미군에 대한 대중의 상상 그리고 미군과 한국인의 관계를 들여다보고자 이후 21개월간 서울에 머물렀다. 한국의 수도에 머문 가장 큰 이유는 어떤 궁금증을 해소하기 위해서였다. 브루스 커밍스의 말처럼 한국은 오랫동안 “‘양키 고 홈(Yankee go home)’ 구호를 외치지 않은 몇 안 되는 나라 중 하나”였다. 이처럼 미국에 매우 호의적이었던 한국인들이 지난 수십 년간 급격하게 태도를 바꾼 이유가 무엇인지 나는 궁금했다.

P.53
민족주의적 형태로 주조된 ‘폭력적 상상’은 (……) 군인과 민간인 간의 논쟁적 조우와 관련한 대안적 내러티브나 비전을 말살했다. 폭력과 착취에 들어맞지 않는 것은 무엇이든 걸러졌다. 기지촌과 그곳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을 상상하는 방식에 복합성이 사라진 결과는 오늘날에도 뚜렷이 보인다. 우선 기지촌의 접대부 중 절대 다수를 차지하는 외국인 여성의 목소리는 사실상 침묵당하고 있다. 이들은 기지촌이라는 논쟁적 구역의 의미를 민족주의적으로 이해할 때 부합하지 않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가장 외떨어지고 주변화된 기지촌일지라도 요즘에는 분명 살인, 강간 등의 폭력이 매일같이 벌어지지는 않는다. 미군 클럽에 고용된 (대부분 필리핀인인) 여성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것은 고객이 아니었다. 오히려 한국 내 이주노동자로서 서로 다른 국가 및 법체계 사이에서 희생되어 부유하는 상태가 삶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었다. 바로 이것이 내가 현장 조사를 하며 발견한 사실이다.

P.105~106
독재국가에서 민주국가로 서서히 변해가던 1990~2000년대에 주한미군은 한미 간 불평등한 관계의 상징으로 여겨지면서 대중의 집중포화를 받았다. 1992년에 동두천의 기지촌에서 성 산업에 종사하던 한 젊은 여성을 미군이 잔혹하게 살해한 사건은 전국적으로 이들에 대한 부정적 감정을 매우 격렬하게 불러일으켰다. 이후 몇 달간 정치적 소요가 이어졌고, 사망한 논란의 여성 윤금이는 민족주의 내러티브에서 한국과 민족의 고통에 대한 중요한 상징으로 떠올랐다.

P.117~118
나는 여러 한국인에게 여성에 대한 미군의 폭력 사건에 대해 들었는데, 이들의 내러티브에는 미군의 ‘일반적’ 행동에 대한 다음 세 가지 요소가 있었다. 폭력적 행위자(항상 젊은 남성으로 상상되는 외국 군인), 피해자(주로 젊은 한국 여성), 평판이 좋지 않은 유흥지가 바로 그것이다. 폭력적 행위 주체, 여성 피해자, 폭력이 벌어지는 ‘오염된’ 지역이라는 확고한 담론적 삼위일체는 어떻게 태동되었으며, 어떤 의미인지를 탐구하기 위해 나는 첫 번째 핵심 사건으로 돌아가야만 했다. 미군에 대한 이러한 인식을 불러일으킨 윤금이 사건 말이다. 이 사건과 그 여파를 살펴봄으로써 다음과 같은 질문에 다가설 수 있었다. 살해당한 한 여성의 형상이 어떻게 그리고 왜 억압받는 민족의 그토록 강력한 상징이 되었을까? 또한 이 현상은 어떤 과정을 거치면서 주한미군을 바라보는 성공적인 민족주의 프레임을 출현시키고 “개인의 일대기를 사회적 텍스트로 탈바꿈”하게 했을까?

P.144~145
사회가 전에 없이 풍요로워지자 기지촌 공간도 크게 바뀌었다. 이제는 한국 여성 대신 외국인 여성이 미군 클럽에서 일한다. 이는 오늘날 세계 경제에서 한국이 맡은 역할이 급격하게 바뀌었음을 징후적으로 보여준다. 한국은 자본주의적 착취 영역을 더욱 확장했고, 한국을 매력적 정착지로 여기는 이주민들의 잉여노동을 뽑아내고 있다. 그리하여 기지촌에서는 이제 필리핀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온 여성 이주노동자들이 다양한 인종과 사회적 배경을 가진 미군과 어울린다.

더보기



추천글
한겨레 신문: 한겨레 신문 2023년 4월 7일자 학술 새책
한국일보: 한국일보 2023년 4월 7일자 '새책'
경향신문: 경향신문 2023년 4월 7일자 '새책'
접기



저자 소개
지은이: 엘리자베스 쇼버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동맹의 풍경> … 총 1종 (모두보기)
오슬로대학교 사회인류학 교수. 중앙유럽대학교(CEU)에서 사회인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태평양 지역의 미군 주둔과 관련한 군사주의 및 젠더 문제, 세계화 과정에서 변모한 해양 산업 및 노동 등을 연구하고 있다. 연구자로서의 첫 작업은 오스트리아와 슬로베니아의 국경 변화 및 유럽 확장에 대한 기억 연구였다. 소비에트 붕괴로 동구권이 몰락한 가운데 민족주의가 발흥하면서도 새로운 유럽연합 체제가 형성되는 과정에 대한 탐색이었다. 2007년부터는 2년간 한국에 머물면서 주한미군과 이들의 유흥지에 대한 현장 조사를 진행해 이 책을 집필했다. 명료한 문장과 탄탄한 스토리텔링으로 냉전 시대와는 달라진 주한미군 문제를 새롭게 조명해냈다는 평가를 받았다. 2013년에는 필리핀의 수비크만에 머물며 한국에서 필리핀으로 선박 제조 공정이 이전함으로써 벌어지는 경제, 환경, 사회 문제를 탐색했다. 현재는 유럽과 아시아에 있는 5개 항구도시의 조선 및 해운 산업에 대해 문화기술지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접기


옮긴이: 강경아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미국에서 인문학과 미술사학을, 한국에서 영문학과 문화 연구를 공부했다. 영화, 게임, 문학과 같은 상상력이 담긴 콘텐츠를 사회학적 시선으로 들여다보는 일을 좋아한다. 약한 것들, 낯선 것들의 목소리를 전하고자 한다. 현재 바른번역 회원으로 활동 중이며, 번역한 책으로는 『페미니즘』, 『프랭크 게리』가 있다.


기획: 정희진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여자를 모욕하는 걸작들>,<[큰글자도서] 돌봄이 돌보는 세계>,<뉴래디컬리뷰 2022.가을> … 총 91종 (모두보기)
여성학 연구자이며 문학박사이다. 탈식민주의, 다학제적 관점에서 공부와 글쓰기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페미니즘의 도전』 『아주 친밀한 폭력』 『정희진처럼 읽기』 ‘정희진의 글쓰기’ 시리즈(전 5권) 등의 저서와 『미투의 정치학』 『한국 여성인권운동사』 등의 편저서, 공저서 70여 권이 있다.

역자후기
조선과 미국 병사들 간의 치열했던 백병전 시대를 지나
첨단 기술전 시대인 당대의 한국 사회와 주한미군의 동학을 추적한 역작



출판사 제공 책소개



한 해외 인류학자의 주한미군 탐색기
한미동맹 70주년, 우리 안의 미군은 어떤 존재였을까?
세계 질서와 로컬리티를 가로지르는, 주한미군을 둘러싼 다층적 시선

쇼버의 책은 글로벌 자본주의가 전통적인 한미관계, 주한미군의 지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한다. 이 과정에서 성별과 민족이라는 키워드로만 작동했던 기존의 기지촌 연구는 지역 경제, 로컬리티, 계급/인종/국적의 다양성과 연관되고, 국민국가 간의 기지촌 정치경제학이 국제정치와 로컬 정치로 확대·심화된다. 이른바 포스트 국민국가 체제 시대의 군사기지와 성 산업에 대한 정치한 분석으로, 기존의 시각으로는 파악할 수 없는 새로운 질서에 대한 새로운 분석이다. 그리하여 상상된 공동체로서의 네이션을 넘어, 실제적으로 작동하는 글로벌 자본주의 시대의 혼종성의 공간으로 한국을 입체화하는 데 성공했다. _정희진의 ‘해제’ 중에서

2007년에 연구차 한국에 온 엘리자베스 쇼버는 한국 대중이 미국과 미군에 대해 보이는 태도에 의문을 갖게 된다. 한국에서 미국은 오랜 동경의 대상이자 굳건한 ‘동맹국’이었건만, 왜 이곳에서 대중적인 반미 의식이 생겨났을까? 미군과 직접 대면해본 적 없는 많은 이들이 어떻게 미군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게 되었을까? 이러한 질문을 출발점 삼아 쇼버는 미군 주둔으로 인한 한국 사회의 변화를 문화기술지로 조명해낸다. 외부자의 시선이지만 연구자로서의 정밀함과 균형감을 갖춘 인류학 보고서이다.
저자는 우선 구한말부터 21세기 초반까지 한국의 격동적 근현대사를 압축해 조망한다. 동시대의 한국 사회를 이해하기 위한 내재적 분석이자 국제관계의 측면도 놓치지 않은 사전 조사다. 이후 본격적인 탐색이 펼쳐지는바, 동시대 한국의 미군 유흥지(기지촌, 이태원, 홍대)를 탐색하면서 미군, 이주여성, 한국인 등 다양한 행위자들이 실제로 어떻게 만나고 있는지, 그 현장의 목소리를 인류학의 언어로 드러내 보인다. 대중교통의 발달로 기지촌을 벗어나 편리하게 도심 유흥지에 드나들 수 있게 된 미군, 세계화의 진척과 함께 국내의 성 산업에 유입된 이주여성, ‘윤금이 사건’(1992), ‘미선이·효순이 사건’(2002), ‘미군기지 이전을 둘러싼 평택 대추리에서의 싸움’(2006), ‘한미FTA 체결’(2007)과 같은 굵직한 사건들을 거치며 미국 혹은 미군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표출하게 된 여러 한국인들(여성과 남성을 비롯해 운동가부터 펑크족까지)의 이야기가 탄탄한 장면으로 펼쳐진다. 각 행위자들의 주체성을 강조하되 이들이 타협해야 하는 더 큰 구조적 힘과 이들의 기저에 흐르는 정동을 함께 분석해냄으로써, 『동맹의 풍경』은 과거와 한층 달라진 새로운 질서를 드러낸다. 또한 이 책이 담아낸 여러 장면들은 미 제국의 전 지구적 군사주의 체제를 되돌아보게 하면서 동시에 글로벌 자본주의 시대에 여전히 제국의 군대와 함께 살아가는 한국 사회에 대한 몽타주이기도 하다.

한민족론, 산업 역군, 기지촌 문학……
한국의 민족주의적 상상력의 역사

서구 열강의 침략과 일본의 식민 지배는 한반도에 민족주의적 담론을 태동시켰다. 주권을 침탈당하는 위기 속에서 신채호 등 구한말 조선의 지식인들은 민족적 단일성을 강조하는 한민족론을 개진하고, 민족의 운명을 구원할 인간상을 군인에게서 찾았다. ‘고래 싸움에 끼인 새우’와 같은 조국의 현실을 타개하려면 물리적 힘이 필요하다고 본 것이다. 이러한 민족주의적 이상은 박정희의 통치 이념으로도 이어지는데, 민족 정서를 강조하면서 사회의 전 영역을 군대와 유사하게 만든 박정희 체제를 저자는 ‘병영 자본주의’라는 개념으로 압축한다. 한국전쟁 이후 상시 주둔하게 된 미군은 줄곧 경제 건설에 필요한 달러를 벌어들일 창구 역할을 했는데, 박정희 시대에 미국과의 안보동맹 역시 경제적 이익과 직결된다. 베트남전 참전으로 군인들을 비롯해 재벌 기업들이 외화를 벌어들인 것이 대표적인 사례일 것이다.
그러나 민주화를 향한 민중의 열망으로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으로 이어지던 독재정권의 역사는 막을 내린다. 독재의 벽에 금이 가기 시작했던 시절, 미국에 대한 대중적 호의에도 서서히 균열이 생긴다. 저자는 1980년의 광주민주항쟁을 미군에 대한 한국 대중들의 의심이 시작된 기점으로 보면서, 1980년대에 미국에 대한 한국인의 태도가 본격적으로 전환되었다고 진단한다. 군사정권의 집권을 묵인하며 이에 반대하는 민중들의 편에 서지 않은 미국의 태도가 문제적으로 떠오른 것이다.
이와 같이 민주화의 물결은 반미주의와 결부되는데, 1992년 동두천의 기지촌에서 성 산업에 종사하던 윤금이 씨가 미군에게 잔혹하게 살해된 사건은 반미주의의 기폭제가 된다. 저자는 미군 개인의 범죄 사건이 불평등한 한미관계에 대한 알레고리로 ‘증폭’되는 양상을 살피면서, 기존에는 민족 공동체의 도덕성과 순수성을 위협하는 존재로 낙인찍혔던 기지촌 여성들이 민족주의 서사를 강화하는 소재로 활용되었음을 밝힌다. 그 과정에서 ‘양공주’ 윤금이는 ‘미국을 꿈꿨던 우리 민족의 딸’로 탈바꿈되는 것이다. 또한 한국의 좌파 지식인들이 반미주의의 흐름 속에서 써 내려간 ‘기지촌 문학’도 함께 조명된다. 미군 병사와 한국 여성의 성관계를 ‘이종교배’로 바라봄으로써 민족의 재생산이 위협에 처하게 된다는 인식이 드러나며, 문학적 상상력을 불어넣어 미군에 대한 복수로서의 강간 내러티브가 등장하기도 한다. ‘미군은 고삐 풀린 잠재적 성폭력 가해자’, ‘기지촌은 폭력적 공간’이라는 인식은 오늘날까지도 한국 대중들 속에 면면히 이어지고 있다.

“전 여기 오고 나서야 이곳에서 원하는 일이 뭔지 알게 됐어요.”
기지촌으로 유입된 이주여성들의 이야기

2000년대 후반에 쇼버가 목격한 기지촌은 “1980~1990년대의 민족적 상상에 스며든 이미지처럼 미군이 한국 여성을 학대하는 곳이 아니라, 다양한 행위자들이 특별한 풍경에서 서로 조우하는 주변화된 초국적 공간”이었다. 즉 저자는 기지촌 사람들을 실제로 만나가면서 반미주의를 통해 각인된 ‘폭력적 상상’을 뒤로한 채 시야를 입체적으로 확장해간다. 한때 기지촌에서 접대부로 일하던 나이 든 한국인 여성들은 클럽의 일상 업무를 관리하는 일로 밀려났다. 그리고 한국인 여성들과 경합한 끝에 이 자리로 들어온 이들은 바로 이주여성이었다. 구소련과 동남아시아 등지, 특히 필리핀에서 머나먼 타국으로 온 이 여성들은 자국에서의 어려운 경제 상황을 타개하고자 한국행을 택했다. 외화 벌이를 장려하는 송출국 정부, 이들을 한국에 보냄으로써 수익을 거두려는 알선자, 성 산업에 필요한 여성을 충원하려는 한국 사회, 이 모든 것을 방관하는 한국 정부의 정책이 맞물리면서 벌어진 일이다.
2000년대에 한국은 이와 관련해 국제적 ‘망신’을 당한다. 미국의 한 언론은 한국 기지촌의 성판매 문제를 대대적으로 보도했으며, 미국 정부가 2002년에 발행한 「인신매매 보고서」에서 한국은 여러 이주자들이 인신매매되어 주로 향하는 최종 도착국에 이름을 올린다. 한국 정부는 달갑지 않은 국제적 관심에 떠밀려 2004년에 여성운동 진영에서 그토록 요구해왔던 성매매특별법을 제정한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이후 이주여성들이 한국에 입국할 때 받아야 하는 E-6 엔터테인먼트 비자 발급 심사가 한층 파렴치해진다. 영사관 직원 앞에서 춤과 노래를 보여줌으로써 자신이 엔터테이너임을 입증하는 과정이 신설된 것이다. 이들이 어떤 길로 들어설지 빤히 짐작할 수 있음에도 한국 정부가 만들어낸 허울의 관문이다. 물론 이주여성들을 한국에 입국시키는 알선자들이 이러한 문턱을 편법으로든 우회해서든 넘어설 수 있도록 치밀하게 돕고 있지만 말이다. 한국에 발들이더라도 이들은 타국의 법체계 속에서 지속적으로 신분의 불안정성을 느낄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지난한 과정을 거쳐 한국에 들어온 이주여성들의 실제 삶은 어떠할까? 경기도 평택의 기지촌에서 일한 한 필리핀 여성의 말에서는 깊은 페이소스가 느껴진다. “첫 남자를 생각하면 이제는 필리핀에서 나중에 지을 새집의 대문이 떠올라. 두 번째 남자는 창문이고. 그렇게 이어지는 거야. 집 전체가 완성될 때까지.” 평소에 만날 수 있는 사람이라곤 손님이나 클럽에서 함께 일하는 사람뿐인 상황에서, 밤이 되면 취하고 망가지고 눕혀지는 사람들이 품는 희망이란 이런 것일까.
필리핀 여성 앤지는 한국의 노래방에서 일할 가수를 모집한다는 얘길 듣고 일에 지원했지만, 막상 한국에 와보니 매일 밤 미군 고객과 술을 마시며 그를 구슬려 비싼 음료를 사 마시게 해야 했다는 이야기를 토로한다. 또 다른 필리핀 여성 에밀리는 기지촌에서 상담소와 쉼터를 운영하는 두레방 활동가의 도움을 받아 이 ‘사기극’에서 벗어나게 된다. 하지만 에밀리가 고국으로 돌아가게 되었다는 소식을 들은 필리핀의 대행인은 그녀의 가족에게 한국에 가는 데 들었던 비용을 전부 내놓으라고 협박한다. 기지촌에 유입된 이주여성들이 처한 기만적 상황이다.
한편 위험한 노동 조건과 사회적 낙인을 뒤로한 채 이주여성들은 군인 고객에게 인생을 걸기도 한다. 한때 이곳에서 일했던 한국인 여성들이 그러했듯 말이다. 2000년대 초반에 한국의 필리핀 접대부들과 인터뷰를 진행했던 인문지리학자 샐리 예는 이러한 여성들이 군인과의 감정을 구축하는 데 들이는 노력을 ‘사랑의 노동’이라 불렀다. 하지만 ‘착한 미군’을 만나 결혼해 미국으로 이주하는 꿈을 실현하는 이는 극소수에 불과하다. 저자는 미군과의 비대칭적 만남 속에서 이러한 꿈이 부서진 사례 역시 오버랩해 보여준다.

이태원과 홍대로 나선 미군
글로벌 행위자들의 만남과 세력 경합을 통한 장소 형성 게임

거대도시로 성장한 서울은 그에 걸맞게 교통 인프라 역시 확장해간다. 이에 편승하여 2000년대 중반 이후 미군들 역시 기지촌에서 벗어나 서울 도심의 유흥지에 드나들게 된다. 오랫동안 ‘동두천’과 같은 변두리에 머물던 미군들이 이제는 도시의 숨결을 느끼기 위해 ‘이태원’과 ‘홍대’로 나서게 된 것이다. 이러한 흐름이 시작되자 미군들이 쉬는 날이면 버스를 전세 내서 서울로 온다는 소문이 돌 정도였고, 도심 거리에서 마주칠 수 있는 미군이라는 존재는 한국 사회에 새로운 논쟁의 불씨로 피어오른다. 이에 걸맞게 쇼버의 시선은 용산 미군기지 근방이자 한국전쟁 이후부터 이국적 공간으로 인식되어온 이태원, 1980년부터 대안 문화의 상징으로 떠오르며 파티의 중심지이자 좌파들의 안식처로 자리하게 된 홍대로 향한다. 어느 정도 기지촌에 ‘봉쇄’되어 있던 미군들이 도심으로 파고든 뒤 이들과 조우하게 된 한국인들의 다양한 반응은 과거의 인식과 결부되면서도 또 다른 것이었다.
기지촌의 이주여성들을 관찰하며 그들의 피해자성을 되짚되 행위 주체성도 주시하려 했던 쇼버는 이태원과 홍대를 관찰하면서도 유사한 균형감을 유지하며 다양한 시선의 스펙트럼을 보여준다. 가령 김치라면 질색하면서도 한국인들의 쏟아지는 시선을 즐기는 미군이 있는가 하면, 한국에 대해 호의적이지만 짧은 머리 때문에 단박에 자신의 정체가 드러나는 걸 힘들어해서 모자를 꾹꾹 눌러쓰는 미군도 있다. 홍대 거리의 여자들을 ‘매춘부’라고 생각하는 미군이 있는가 하면, 지하철에서 자기 옆에 앉고 싶어 하지 않는 한국인들에 대한 복잡한 심사를 드러내는 미군도 있다.
좀더 덧붙이자면, 이는 각각의 개인이 품은 생각의 차이이기도 하지만 한 사람이 품고 있는 여러 층위의 생각일 때도 있다. 예를 들어 카투사로 복무했던 한국인 주황은 미군이 한국 남성을 자기네 같은 ‘진짜’ 남자가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반감을 표하지만, 미군과 함께 파티를 즐기며 보냈던 밤들을 즐겁게 회상하기도 한다. 말끔한 스테레오타입으로 정리되지 않는 다양한 군상들을 책의 곳곳에 담아낸 뒤 그 각각을 분석한 것은 이 책의 장점이다. 그것이야말로 상상에 의해 정형화해 구축된 장면이 아니라 실제 현실을 좀더 가깝게 담은 장면이기 때문이다.
쇼버는 이태원과 홍대를 각각 분석하면서, 우선 이 공간의 곳곳을 여행하듯 찬찬히 스케치해 보여준다. 그렇게 펼쳐진 풍경 속에 지역의 역사를 펼치고, 그다음으로 다양한 행위자들의 목소리를 콜라주처럼 풀어낸다. 시간성과 장소성을 적절히 배합해 다층적으로 보여주려는 전략이다.
근대의 기점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이태원은 1904년 일본군이 조선을 침략하기 위한 군사 거점으로 삼았던 곳이자 해방 이후 미군 제24군단이 다시금 점거한 곳이다. 이후 이곳은 서양 팝과 록 음악에 관심 있는 이들과 보수주의에 반발하는 이들의 숨통을 틔워주는 안식처 역할을 했다. 즉 외국의 이질적인 문화가 갇혀 있으면서도 숨 쉬던 곳이었는데, 이곳은 서울 한복판에 자리 잡은 용산 기지에 근무하는 미군들이 가장 많이 찾던 유흥지이기도 하다. 용산 기지가 완전히 평택으로 이전하기 전까지, 이태원의 미군 클럽에는 제복을 갖춰 입고 기관총으로 무장한 미국 헌병들이 술집을 드나들며 순찰을 하기도 했다. 그런데 2000년대 중반에 이르면 이 게토 안에서 또 다른 낯선 문화와 세력이 숙성된다. 게이와 트랜스젠더 등의 성소수자, 아프리카와 아시아 등에서 온 이주노동자에게 모험과 해방을 불러오는 특별한 구역이 된 것이다. 섹스와 관련한 업소, 음주와 가무가 가능한 클럽, 이슬람 사원을 위시로 한 종교 시설, 관광객을 위한 가게와 음식점이 한데 어우러진 이태원의 거리는 사뭇 독특하다. 이곳에서 쇼버는 미군과 한국인 남성 간에 일어나는 남성성의 긴장을 목격하며, 성 소수자와 외국인을 포함한 다양한 행위자들의 예기치 못한 만남이 만들어낸 경쟁과 어울림의 정동을 짚어낸다.
이태원을 거쳐 홍대로 넘어가면, 미군에 대한 대중들의 인식 변화는 더욱 선명하게 드러난다. 홍대에 드나들기 시작한 미군은 한국 반골 청년들의 공간이자 대안 문화의 중심지였던 홍대의 물을 흐리는 주범으로 떠오른다. 2002년 미군 장갑차에 치여 두 여중생이 사망하는 사건이 벌어지고 이후 미군 군사법원에서 장갑차 조종수들이 무죄 판결을 받으면서 한국의 여론은 들끓기 시작했다. 이에 홍대 클럽 사장들과 홍익대학교 활동가들은 거리에 보이는 미군들을 밀어내기 위해 미군 출입 금지령을 내린다. 게다가 2007년에 미군이 홍대에서 67세의 한국 여성을 강간하는 사건이 벌어지자 이러한 분위기는 더더욱 달아올랐다. 홍대를 기지촌과 유사한 곳으로 본 미군이든, 고국에서의 학창 시절을 떠올리는 향수의 공간으로 본 미군이든, 이곳의 자유로운 분위기를 만끽하고 싶어 하던 미군이든, 이들은 문제적 존재로 여겨졌다. 이와 함께 홍대에서 외국인 남성을 만나는 한국인 여성을 낙인찍는 프레임도 나타난다. 기지촌 여성들에 대한 멸칭이었던 ‘양공주’라는 말이 다시 부활하여, 외국인에 의해 한국인 여성이 성적으로 타락해간다며 ‘홍대 양공주’라는 낙인을 찍어댄 것이다. 기지촌 여성과 관련된 민족주의적 상상이 얼마나 끈덕지게 이어지는지를 알 수 있는 현상이었다.
한편 이 책의 말미를 장식하는 홍대 펑크족 청년들은 이전에 찾아보기 어려웠던 새롭고 독특한 주체다. 집안 사정이 좋지 않고 대학 진학을 하지 못한 경우가 대다수지만, 한국 사회의 주류에서 이탈한 이들은 삼삼오오 홍대 인근에 모여 친목을 다진다. 자본주의 사회의 부적응자인 이들은 2003년 이라크전쟁이 발발하자 반전 시위에 참여하고, 영어 강사로 일하는 외국인 무정부주의자와 친분을 맺으며, 자기 앞에 닥친 군 입대에 문제의식을 느끼며 양심적 병역거부를 하기도 한다.
그렇게 정치화되어가던 펑크족들이 그다음 발을 딛게 된 곳은 미군 캠프 험프리스의 확장 예정지였던 평택의 대추리였다. 이들은 줄곧 오토바이를 몰고 평택으로 가서 미군기지 이전 반대운동에 참여한다. 그곳에서 만나는 전형적인 운동가들에게 거리감을 느끼기도 하는데, 이들은 분명 민족주의적 반미주의자를 비롯한 이전의 운동가들이 닦아놓은 이념적 경로를 이탈한 존재들이다. 과거의 운동가들이 국가를 바꾸려고 했다면, 이 젊은 무정부주의 펑크족들은 국가 권력을 완전히 지워버리려 했다.
자생적으로 피어오른 이 반군사주의자이자 반자본주의자들은 홍대를 오가는 미군들과 부딪히고 말을 섞는다. 한편으로는 미군이 많이들 고등학교를 졸업하지 못했고 고향에서는 ‘불쌍한 놈’이었다는 얘기를 듣고 놀란다. 이따금 재미있게 놀기도 한다. 그럼에도 뭔가 석연찮은 마음을 품게 된다. 자국 사회에서 정치적·경제적으로 소외된 존재이니 일시적인 동지애를 느끼지만, 그럼에도 이 펑크족들은 군사주의 체제에 복무하는 미군의 존재를 완전히 납득할 수 없었던 것이다.
미국의 무정부주의자 작가 하킴 베이는 억압적인 국가 행위자들이 놓치는 공간에서 일시적으로 대안적인 관계가 형성될 가능성을 탐색하며 『임시 자율 구역』이라는 책을 펴낸 바 있다. 2000년대 후반, 펑크족 청년들에게 홍대는 ‘임시 자율 구역’이 아니었을까. 이는 당대의 홍대에서 피어난 새로운 풍경이었을 것이다.

메두사의 시선
Medusa’s Perspective

아름다운 소녀였으나 저주를 받아 사람들이 두려워하는 괴물이 된 여인, 메두사. 인간을 돌로 만들 수 있는 힘을 가진, 그러나 그 자신도 운명에 갇혀 있던 존재. 그녀의 눈으로 바라본 세상은 어떠했을까. 이 시리즈는 주류의 관점에서 보이지 않는 다층적 시선으로 동시대를 구성하는 견고한 토대들을 재해석한다.

01 성차별주의는 전쟁을 불러온다│베티 리어든
02 남성됨과 정치│웬디 브라운
03 동맹의 풍경│엘리자베스 쇼버
04 애국의 계보학│실라 미요시 야거(가제, 근간)
05 한국 현대사와 식민지 남성성의 형성│정희진(가제, 근간)






See all 2 images






Base Encounters: The US Armed Forces in South Korea (Anthropology, Culture & Society) Paperback – May 15, 2016
by Elisabeth Schober (Author)
3.7 out of 5 stars 3 ratings
Part of: Anthropology, Culture and Society (53 books)


Kindle
from $15.47
Read with Our Free App
Paperback
$32.67
Other new and used from $24.83
ist of Figures
Series Preface
Notes on the Text
Notes on Transliteration
Acknowledgements
1. Introduction: Violent Imaginaries and Base Encounters in Seoul
2. Capitalism of the Barracks: Korea’s Long March to the Twenty-First Century
3. 'The Colonized Bodies of Our Women...': Camptown Spaces as Vital Zones of the National Imagination
4. Vil(l)e Encounters: Transnational Militarized Entertainment Areas on the Fringes of Korea
5. It‘aewon's Suspense: Of American Dreams, Violent Nightmares and Guilty Pleasures in the City
6. Demilitarizing the Urban Entertainment Zone?: Hongdae and the U.S. Armed Forces in the Seoul Capital Area
7. Conclusion: Seeds of Antagonism, Children of Discord
Notes
References
Index



Base Encounters explores the social friction that US bases have caused in South Korea, where nearly 30,000 US soldiers remain stationed. Crimes committed in GI entertainment areas have been amplified by an outraged public as both a symbol for—and a symptom of—the uneven relationship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small East Asian nation. 
Elisabeth Schober’s excellent ethnographic history scrutinises these controversial zones of encounter in and near Seoul. 
Sharing the lives of soldiers, female entertainers, and anti-base activists, she gives a comprehensive introduction to the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factors that have contributed to the tensions over US bases in South Korea.

224 pages
Editorial Reviews

Review
“With lucid analytic prose and vivid storytelling, Elisabeth Schober shows u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 military and the people of South Korea is much more complex than many previous accounts let on.” -- Catherine Lutz, Brown University

“A very powerful book which deserves a broad readership. Eloquently written, ethnographically rich and theoretically sophisticated.” -- Thomas Hylland Eriksen, University of Oslo



"Using ethnographic field research conducted in South Korea between 2007 and 2009, Schober explores the social friction created by US military bases and the entertainment districts that have evolved around them. After situating her work in the growing field of empire and militarism, Schober provides a concise geopolitical history of Korea, exploring how foreign conquest has shaped South Korea’s relationship with the US, which was initially strongly pro-American. However, gradual democratization combined with a number of tragic encounters between civilians and US soldiers—especially the 1992 brutal rape and murder of a sex worker—have contributed to increasing resentment of the US presence. Schober explores how nationalist-leftist movements appropriated such 'violent imaginaries' to amplify the already existing anxiety over US soldiers in the suburban camp towns outside military bases and in the inner-city entertainment districts of Seoul. She focuses on two distinctively different inner-city entertainment districts frequented by US soldiers, demonstrating how these urban environments become incubators for social change as they attract a variety of ethnic and sexual minorities and rebellious youth groups who navigate complex cultural and social exchanges. An excellent contribution to social anthropology and military sociology collections. Highly recommended."― Choice


About the Author
Elisabeth Schober is a postdoctoral fellow in the Department of Social Anthropology at the University of Oslo.



Product details
Publisher ‏ : ‎ Pluto Press (May 15, 2016)
Language ‏ : ‎ English
Paperback ‏ : ‎ 224 pages


3.7 out of 5 stars 3 ratings

Top review from the United States


Cooper Savage

4.0 out of 5 stars Peering into a gritty realityReviewed in the United States on November 24, 2018
Verified Purchase
There is a lot going on here. U.S. - Korea relations, military personnel living and working in Korea, young people living on the edges of society and acceptability. You will likely find this book illuminating if you are unfamiliar with this topic.

===
Base Encounters: The US Armed Forces in South Korea
Elisabeth Schober
Series: Anthropology, Culture and Society
Copyright Date: 2016
Published by: Pluto Press
https://doi.org/10.2307/j.ctt1bh4b1d
Pages: 240
https://www.jstor.org/stable/j.ctt1bh4b1d
Search for reviews of this book

Cite
Book Info
This is a preview page.
Login through your institution for access.
Table of Contents

Select all

Cite

Front Matter(pp. i-vi)
Front Matter(pp. i-vi)
https://doi.org/10.2307/j.ctt1bh4b1d.1
https://www.jstor.org/stable/j.ctt1bh4b1d.1

Save

Cite

Table of Contents(pp. vii-viii)
Table of Contents(pp. vii-viii)
https://doi.org/10.2307/j.ctt1bh4b1d.2
https://www.jstor.org/stable/j.ctt1bh4b1d.2

Save

Cite

List of Figures(pp. ix-ix)
List of Figures(pp. ix-ix)
https://doi.org/10.2307/j.ctt1bh4b1d.3
https://www.jstor.org/stable/j.ctt1bh4b1d.3

Save

Cite

Series Preface(pp. x-x)
Series Preface(pp. x-x)
Vered Amit, Jamie Cross and Christina Garsten
https://doi.org/10.2307/j.ctt1bh4b1d.4
https://www.jstor.org/stable/j.ctt1bh4b1d.4

Save

Cite

Notes on the Text(pp. xi-xi)
Notes on the Text(pp. xi-xi)
https://doi.org/10.2307/j.ctt1bh4b1d.5
https://www.jstor.org/stable/j.ctt1bh4b1d.5

Save

Cite

Notes on Transliteration(pp. xii-xii)
Notes on Transliteration(pp. xii-xii)
https://doi.org/10.2307/j.ctt1bh4b1d.6
https://www.jstor.org/stable/j.ctt1bh4b1d.6

Save

Cite

Acknowledgments(pp. xiii-xvi)
Acknowledgments(pp. xiii-xvi)
https://doi.org/10.2307/j.ctt1bh4b1d.7
https://www.jstor.org/stable/j.ctt1bh4b1d.7

Save

Cite

1 Introduction: Violent Imaginaries and Base Encounters in Seoul(pp. 1-27)
1 Introduction: Violent Imaginaries and Base Encounters in Seoul(pp. 1-27)
https://doi.org/10.2307/j.ctt1bh4b1d.8
https://www.jstor.org/stable/j.ctt1bh4b1d.8
In mid January 2007, Private Geronimo Ramirez, a then 23-year-old United States (US) soldier deployed in South Korea, was arrested for the repeated rape of a Korean woman in the Seoul entertainment district of Hongdae. Together with another soldier friend of his, that weekend Ramirez had made the one-and-a-half hour ride from his US military base located in Tongduch’ŏn all the way to central Seoul. The team tried unsuccessfully to check into the Dragon Hill Lodge, a military hotel located within the premises of the Yongsan US Army garrison in Seoul that was booked out that evening, and then decided...


Save

Cite

2 Capitalism of the Barracks: Korea’s Long March to the 21st Century(pp. 28-61)
2 Capitalism of the Barracks: Korea’s Long March to the 21st Century(pp. 28-61)
https://doi.org/10.2307/j.ctt1bh4b1d.9
https://www.jstor.org/stable/j.ctt1bh4b1d.9
It has become something of a routine horror show by now, played out at regular intervals, albeit with a new set of actors involved these days. When North Korea threatened South Korea, Japan, and the United States with nuclear war in the early spring of 2013, the only recent addition to the familiar rhetoric of “sea of fire,” “nuclear flames,” and “all-out war” coming from the North was that these words were now uttered by a new leader, with the young Kim Jong Un following in the footsteps of his deceased father Kim Jong Il. The Western world, as always,...


Save

Cite

3 “The Colonized Bodies of Our Women …”: Camptown Spaces as Vital Zones of the National Imagination(pp. 62-84)
3 “The Colonized Bodies of Our Women …”: Camptown Spaces as Vital Zones of the National Imagination(pp. 62-84)
https://doi.org/10.2307/j.ctt1bh4b1d.10
https://www.jstor.org/stable/j.ctt1bh4b1d.10
On October 28, 2008, a group of about 30 protesters, the majority of whom are middle-aged men wearing suits appropriate for a commemoration ceremony, assemble near the United States embassy in central Seoul. They carry a large banner with them that has the name of a woman written on it: Yun Kŭm-i. She was a 26-year-old South Korean sex worker who lived and died in Tongduch’ŏn, a town that is infamous across the country for its many US military installations. The woman’s death 16 years earlier at the hands of a US soldier is remembered on this October day in...


Save

Cite

4 Vil(l)e Encounters: Transnational Militarized Entertainment Areas on the Fringes of Korea(pp. 85-108)
4 Vil(l)e Encounters: Transnational Militarized Entertainment Areas on the Fringes of Korea(pp. 85-108)
https://doi.org/10.2307/j.ctt1bh4b1d.11
https://www.jstor.org/stable/j.ctt1bh4b1d.11
Rose is sitting in front of her little diner together with a few of her friends, and she invites me to have a coffee with them. Rose is a Korean woman in her mid 30s, but looks at least 10 years older than her actual age—a result of all the heavy drinking that her former work at the GI clubs nearby entailed. Nowadays she runs this small eatery in the ville, but things are not going too well for this new business of hers, either. Many of the soldiers in the area have recently been relocated to P’yŏngt’aek ,...


Save

Cite

5 It’aewŏn’s Suspense: Of American Dreams, Violent Nightmares, and Guilty Pleasures in the City(pp. 109-132)
5 It’aewŏn’s Suspense: Of American Dreams, Violent Nightmares, and Guilty Pleasures in the City(pp. 109-132)
https://doi.org/10.2307/j.ctt1bh4b1d.12
https://www.jstor.org/stable/j.ctt1bh4b1d.12
“Welcome to It’aewŏn. Welcome to Asia’s paradise,” the old South Korean man selling paintings next to Burger King says to me in English the moment I exit from the subway. “Welcome to my playground,” says Joo-hwang, a 23-year-old Korean student who is waiting for me there, as he steps closer. While we walk along the crowded main road toward a club, squeezing our bodies past food stands selling grilled chicken, dumplings and kebab, Joo-hwang—who is already a little tipsy—shows me his arm. “Look, I’ve got plenty of tattoos tonight, don’t I?” I glance at Joo-hwang who shows me...


Save

Cite

6 Demilitarizing the Urban Entertainment Zone? Hongdae and the US Armed Forces in the Seoul Capital Area(pp. 133-160)
6 Demilitarizing the Urban Entertainment Zone? Hongdae and the US Armed Forces in the Seoul Capital Area(pp. 133-160)
https://doi.org/10.2307/j.ctt1bh4b1d.13
https://www.jstor.org/stable/j.ctt1bh4b1d.13
A group of ten friends and acquaintances had already assembled at Club O., a large Indie venue at the heart of Hongdae, when I realized that the evening could possibly turn into one tense occasion. Karen, an English teacher from the UK, had just sent me a text message that she was on her way and would bring a few soldiers along. I looked around, sizing up the assortment of Korean and foreign activists, leftists and punks gathered in this venue. A charity concert was just about to begin, with the goal of collecting money for overseas survivors of the...


Save

Cite

7 Conclusion: Seeds of Antagonism, Children of Discord(pp. 161-171)
7 Conclusion: Seeds of Antagonism, Children of Discord(pp. 161-171)
https://doi.org/10.2307/j.ctt1bh4b1d.14
https://www.jstor.org/stable/j.ctt1bh4b1d.14
The legacy of the ville—the sum of the daily economic, social, cultural, and sexual exchanges occurring in camptowns over the decades since the Korean War—still looms large in today’s Korea. The long-term stationing of United States forces in South Korea, which has entailed a continuous flow of predominantly young men sent to the country for typically short postings, created an exceptionally pernicious triangle involving foreign soldiers, local women, and native men. Acrimonious sentiments triggered by the issue of camptown prostitution were amplified into a matter that touched upon vital national questions, and have been carried forward through time,...


Save

Cite

Notes(pp. 172-187)
Notes(pp. 172-187)
https://doi.org/10.2307/j.ctt1bh4b1d.15
https://www.jstor.org/stable/j.ctt1bh4b1d.15

Save

Cite

References(pp. 188-206)
References(pp. 188-206)
https://doi.org/10.2307/j.ctt1bh4b1d.16
https://www.jstor.org/stable/j.ctt1bh4b1d.16

Save

Cite

Index(pp. 207-224)
Index(pp. 207-224)
https://doi.org/10.2307/j.ctt1bh4b1d.17
https://www.jstor.org/stable/j.ctt1bh4b1d.17

Save

Cite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