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논란
최근 수정 시각: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오염수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강각의 레기오스에 대한 내용은 오염수(강각의 레기오스) 문서를
참고하십시오.1. 개요[편집]
2. 진행[편집]
일본정부과 도쿄전력 등에 의해 현장에서 실제 이뤄지는 진행사항에 대해 서술하는 문단입니다. |
2.1. 방류 결정 이전[편집]
- 2013년 3월 30일, 다핵종제거설비(ALPS)가 시운전을 개시했다. 도쿄전력은 삼중수소 외 62개 핵 물질 대부분을 제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 2013년 9월, 일본 원자력재해대책본부(본부장 총리)가 차수벽 설치 등 오염원에 대한 빗물·지하수 접근 차단 포함 오염수 관련 종합 대책을 발표했다. 이 대책으로 오염수 발생량이 2014년 5월 하루 540t 규모에서 2020년 평균 하루 140t으로 감소했다.
- 2013년 12월, 일본 경제산업성 산하 오염수 전문가(9명) 회의(작업부회)가 발족했다.
- 2016년 6월, 일본 정부 전문가 회의 결과, 오염수를 ALPS 처리를 마친 뒤 처분 방법으로 해양방류, 대기(수증기 증발) 및 전기분해(수소·산소) 방출, 지층주입, 지하매설 등 5가지 검토안 가운데 해양방류가 '최단기간에 가장 저렴한 비용'으로 시행할 수 있는 안이라고 의견을 올렸다.
- 2016년 11월, 일본 정부 전문가(13명) 회의 'ALPS 처리수 취급에 관한 소위위원회'를 발족했다.
- 2019년 8월 8일, 도쿄전력이 2022년 여름에 오염수 저장탱크(증설분 포함 137만t)가 가득 찰 것이라는 추산 의견을 발표했다.
2.2. 방류 결정 이후[편집]
- 2021년 4월 13일, 일본 정부가 오염수 방류를 결정했다. 일본 정부와 도쿄 전력은 다핵종제거설비(ALPS) 처리 과정을 통해 Cs-134, Cs-137 등 방사성 동위원소는 걸러내고, 삼중수소 등 일부 방사선 핵종이 포함된 오염수는 안전 기준 이하로 희석시켜 2051년까지 약 30년에 걸쳐 방류하겠다는 방침이다. 이 경우 일간 방출되는 오염수의 양은 약 100 kL 전후가 된다. 삼중수소의 농도를 일본 규제 기준의 1/40, WHO(세계보건기구)가 정한 식수 기준의 1/7까지 낮춰서 안전성을 최대한 확보하여 방류하겠다고 밝혔다.
- 2021년 5월 28일, 도쿄전력이 후쿠시마 제1원전 부지 내 오염수 저장탱크 23기를 증설할 계획을 제시했다. 이는 방류계획량이 적어 계획을 따라도 오염수 발생량이 배출량보다 소폭 많기 때문이다. #
- 2021년 6월 12일, 도쿄전력이 오염수를 바닷물에 희석한 뒤 삼중수소 농도 결과는 확인하지 않고 해양 방류하겠다고 밝혔다. 측정 결과가 나오기까지 반나절~하루 정도 걸리는데, 그 사이에 바닷물로 희석한 오염수를 보관할 장소가 없다는 이유다. #
- 2021년 6월 20일, 도쿄전력이 삼중수소 제거 기술을 공개모집하기 시작했다. #
- 2021년 8월 25일, 도쿄전력이 원전에서 약 1㎞ 떨어진 바닷속에 오염수를 방류하기로 결정했다. #
- 2021년 12월 10일, 도쿄전력이 방류 전 삼중수소 농도 측정하는 저장소 공사를 시작했다. #
- 2022년 4월 25일, 도쿄전력이 해저 터널의 출구 부분의 정비 공사에 착수했다. #
- 2022년 5월 18일, 일본 원자력규제위원회가 오염수의 해양 방류 계획을 정식 인가했다. #
- 2022년 8월 4일, 도쿄전력이 오염수의 해양 방류 시설을 착공했다. #
- 2023년 4월 22일, 도쿄전력이 2호기 연료 풀(수조)의 핵연료 반출 작업을 2025년 후반에 시작하기로 했다. #
- 2023년 4월 25일, 도쿄전력이 해양 방류용 해저터널 굴착을 완료했다. #
- 2023년 4월 27일, 총 1,066개의 저장탱크의 만재 용량(137만t)의 97%인 약 133만t(톤)까지 찼다. 강수량 감소와 부지 지면 아스팔트 포장 등 오염수 저감 대책의 영향으로 하루 발생량이 140t에서 90t까지 줄어서, 만재 예상 시기가 2024년 2~6월로 소폭 늦춰졌다. #
3. 들어가기 전에[편집]
- 방사선의 세기나 양, 영향력을 평가하는 물리량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자세한 내용은 방사선을 참고.
- 방사능의 개념 한국원자력연구원 소개글
- 방사능은 단위 시간당 붕괴의 수, 즉 dtdN=−kN으로 정의되며, 이 값은 해당 시점에서 남아있는 물질의 양인 N에 의존한다. 핵종의 양은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감소한다. 반감기가 짧을수록 방사성을 띈 물질(이 경우에는 오염수) 내에 존재하는 방사능을 내뿜는 핵종의 절대량이 빠르게 감소하므로 장기적으로는 악영향이 그만큼 감소한다. 따라서 반감기와 방사능 사이에는 반비례 관계가 있다. Specific activity는 단위 질량 당 방사능을 계산한 것으로, 특정 방사성동위원소의 전체 질량 대비 방사능을 산출한다는 개념이다.
- 방사능의 단위인 Bq은 특정 물질 내의 핵종들이 총 몇 회의 방사성 붕괴를 일으키는지만 알려줄 뿐, 각 붕괴로 발생하는 방사선의 특성을 고려하지는 못한다. 방사선의 종류만도 알파선[5], 베타선[6], 감마선[7] 등 다양하며, 각 방사선도 모두 같은 것이 아니라 방사성 붕괴 과정에서 발생하는 질량차만큼에 해당하는 서로 다른 에너지를 갖고 방출된다. 반면 방사선이 인체나 생명체에 작용하는 기작은 이처럼 고에너지[8]를 띈 방사선에 의한 원자의 이온화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므로, 에너지와도 관련이 있다. 일반적으로 각 핵종[9]마다 WHO나 IAEA 등에 의해 안전 방사능량이 정의되어 있는데, 이는 이처럼 서로 다른 핵종에서 단위 시간당 붕괴수만을 절대적인 기준값으로 삼을 수는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요인을 근사적으로 고려한 것이 흡수선량이나, 흡수선량은 방사선에 노출된 매개를 기준으로 계산하므로 핵종별 위험을 계산하는 것은 아니다. 반대로 에너지가 아무리 높더라도 핵종의 안정성이 높아 시간 당 붕괴되는 핵종의 개수가 적으면 역시 피해가 크다고 볼 수 없다.[10]
- 한편, 흡수선량에서 등가선량과 유효선량으로 이어지는 구간은, 오염수 논란은 인간이든 물고기이든 일단 같은 지역에 살고 있는 생물들을 대상으로 하므로 원소의 종류에 무관하게 고정된 변수이므로 고려할 필요가 없다.
-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오염수 내의 방사능과 관련된 알려진 통계는 다음과 같다.
- 국제원자력기구의 1999년 8월 방사성폐기물 해양방류 현황 보고서 및 2005년 1월 세계해양방사선연구(WOMARS) 보고서에 따르면, 1946년에서 1993년 사이 해양에 방류된 방사성 폐기물은 총 85,078 TBq이며, 개중 태평양 지역에는 1,446 TBq가 방출되었다.[17] 2021년 4월 13일 방류를 결정한 오염수에 잔류한 방사성 핵종은 대략 860TBq이며, 30여 년에 걸쳐 서서히 방류할 예정이다. 참고로 후쿠시마 원전 사고 직후 538.1 PBq의 방사선이 대기 중으로 방출되었으며, 이는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의 1/10에 해당하는 수치로 알려져 있다.
- 국제원자력기구의 2014년 서베이 Comparison of the Chernobyl and Fukushima nuclear accidents에 따르면, 후쿠시마 원전에서 방출된 방사능 물질은 약 520 PBq이며 방사능 물질의 80% 가량이 태평양에 누적되었다고 한다.
- 국제원자력기구는 2015년 8월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에 대한 공식 보고서를 처음 발간했다.
- 국제원자력기구의 2017년 7월 27일 첫 3년간의 데이터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 시점에서 원전 사고가 발생한 지역 주변의 해수에 잔류한 삼중수소·세슘의 양은 오염수 내의 양보다 약 1/1000 정도라고 추산된다.
- 국제원자력기구의 2023년 4월 10일 후쿠시마 제1원전 상태 업데이트 페이지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최신 보고서에서 2021년 2월 23일 기준 Cs-134, Cs-137, Gross beta[18] 모두 측정한계(Cs-134: 0.76 Bq/L, Cs-137: 0.65 Bq/L, Gross-beta: 0.70 Bq/L)보다 낮게 얻어졌으며, 삼중수소의 경우 1,100 Bq/L가 얻어졌다고 밝혔다. 이상은 모두 도쿄전력과 동북녹화환경보전주식회사라는 곳에서 더블 체크된 결과이다.
4. 반응[편집]
4.1. 일본[편집]
- 2019년 9월 10일, 하라다 요시야키 환경상은 국무회의 뒤 기자회견에서 "바다로 방류하는 것 외에 선택지가 없다", "원자력규제위원회 위원장도 '안전성과 과학성 면에서 보면 문제 없을 것'이라 말했다", "(대한민국이 국가로서) 의견이 나올 수 있지만, 과학에 근거해 성의를 다해 설명하는 게 중요하다" 등을 말했다. #
- 2019년 9월 20일, 하라다 요시야키 전 환경상이 산케이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한국도 오염수를 해양방출한다", "이 발언에 한국에선 아침부터 밤까지 내 발언이 보도돼 압도적인 유명인이 (됐다)", "반발이 일어날 각오를 하고 (말한 것)" 등을 말했다. #
- 2020년 6월 30일, 후쿠시마현 시정촌에서 반대 결의안을 냈다. #
- 2020년 7월 18일, 일본 정부가 개최한 현지 회의에 대표로 참석한 7명 (후쿠시마현 의원, 수산시장연합회장 대표, 주민 등) 모두 해양 방류에 반대 의견을 밝혔다. 수산물 가격 폭락에 대한 염려다. #
- 2020년 10월 22일, 원자력규제위원장까지 오염수는 기준치에 충족하다고 주장했다. #
- 2020년 12월 16일, 일본 정부가 오염수 해양 방류 계획의 안전성을 주장하는 홍보 예산을 책정했다. #
- 2021년 4월 7일, 일본 스가 총리를 만났던 일본 전국어업협동조합연합회장은 스가 총리를 면담한 후에도 이번 오염수 해양 방류 결정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입장을 표했다. #
- 2021년 4월 13일, 일본 정부가 방류 결정을 했다.
- 2021년 4월 15일
- 가토 가쓰노부 내각관방장관은 기자회견에서 오염수가 안전하면 직접 마셔서 증명하라는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의 윽박에 대하여 "마신다고 방사성, 그런 문제에 관해 과학적으로 안전성이 증명될 리가 없다는 것은 알고 계실 것"이라며 한 발 후퇴했다. #
- 2021년 8월 12일, 일본 정부가 자국 어민들의 피해를 보상하는 기금을 설립하기로 했다. #
- 2023년 1월 14일, 일본 전국어업협동조합연합회가 방류 계획에 반대했다. #
4.2. 대한민국[편집]
- 2019년 8월 19일, 권세중 외교부 기후환경과학외교국장은 이 날 오전 일본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의 해양 방출을 계획하고 있다는 국제환경단체의 주장과 관련, 니시나가 도모후미 주한일본대사관 경제공사를 외교부로 불러 해명을 요구했다. #
- 2021년 4월 13일, 일본 정부가 오염수 방류를 결정했다.
- 2021년 4월 14일
- 2021년 4월 19일
- 2023년 5월 4일, 대한민국 해군은 오염수 방류로 인해 해양수 정화를 통한 식수 확보가 불가능해질 것을 대비해, 자체 메뉴얼을 편성해 가장 낮은 관심 단계부터 비상식수를 구비할 예산을 확보하며 주의 단계부턴 정화 장치 사용을 중단하고 모든 식수를 비상용 식수로 대체하는 안을 만들었으며, 이는 연간 18억을 소모할 것으로 전망했다. #
- 2023년 5월 12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야당 의원들은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방류 철회 요청서를 작성해, 한일 국회의원 축구대회 참석을 위해 일본을 방문한 농해수위 소속 김승남 의원을 통해 에토 세이시로 일본 축구외교추진의원연맹 회장에게 전달했다. #
5월 21일 이후 시찰단 스스로의 발표내용은 '시찰단' 문단에 정리, 주변(정치인 등) 반응만 본 문단에 정리합니다. |
- 2023년 5월 24일
-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결국 오염수는 안전하다는 일본의 주장을 합리화해 주면서 일본의 주장을 앵무새처럼 되풀이하는 정해진 결론을 내놓을 가능성이 높다", "원전 오염수 처리수는 하루에 10리터씩 마셔도 안전하다'고 하는, 이런 말 같지 않은 얘기를 하는 자칭 전문가를 불러다가 국민 앞에 그런 얘기를 하게 하는 것 자체가 사실 이미 국민의힘의 태도 그리고 정부의 태도를 보여주는 것", "(2021년 4월 국민의힘 규탄 결의문을 두고) 그때는 옳았는데 지금은 틀린 것인가" 등을 말했다. 양이원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최인접 국가이기 때문에 가장 큰 피해를 호소할 수밖에 없는 나라가 세계 모든 나라에 대해 이 문제에 대한 면죄부, 들러리를 (서)주는 역할을 하지 않을까 우려되는 것" 등을 말했다. 박광온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방류를 반대하는 국회 결의안, 국회 검증 특별위원회를 구성을 제안한다" 등을 말했다. #
- 국회 과방위에서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은 "(더불어민주당은 정부가) 오염수 시료를 채취하지 못했다고 하지만 3차례나 검증을 했다" 등을 말했다.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원자력안전위원회와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에 시찰단 명단과 일정 자료를 요청했는데 하지 않고 있다. 국가 안보에 심각한 위협이 되는 것도 아닌데 왜 자료를 주지 않느냐" 등을 말했다. #
- 국회 외통위에서 박진 외교부장관은 "원전 안으로 들어가서 내부 시설 설비를 보고 있고, 필요한 자료들은 전부 요구하고 있다", "객관적이고 정확한 자료와 현장 점검 내용을 국민에게 있는 그대로 설명하겠다", "(후쿠시마산 수산물은) 국민의 생명, 건강과 직결되는 문제기 때문에 국민의 불안, 우려가 해소되지 않을 경우 수입할 수 없다", "(국제해양법재판소 제소는) 중재재판으로 갈 경우 우리가 충분한 자료가 확보됐는지, 실익이 있는지도 판단해야 한다", "(한-태평양도서국 정상회의 의제로 올리자는 의견엔) 계속 협의하고 있고 이번 정상회의에서도 이 문제가 나올 것으로 보고 있다" 등을 말했다. #
- 국회 운영위에서 김영식 국민의힘 의원은 "원전 오염수가 세슘보다 2배 이상 위험하다'는 등 공포를 조장" 등을 말했다. 김영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일본에서 시료도 채취 못 하고 명단도 공개 안 되고 언론에도 검증이 안 된다" 등을 말했다. 윤준병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우리가 지금 국제원자력기구를 맹신하는데 ... 시료를 일본이 그냥 준 것이다" 등을 말했다. 김대기 대통령실 비서실장은 "저희는 (방류된 물이) 4년, 5년 후에 오고, 연근해 90여곳에 대해 정기적으로 검사하고 있다. IAEA를 못 믿겠다고 하는데 그러면 세상에 믿을 데가 없죠" 등을 답했다. #
4.3. 대만[편집]
- 2021년 4월 14일, 대만 정부 및 대만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일본 정부의 결정에 유감의 뜻을 표명했다. #
- 2021년 4월 15일, 대만 정부에서는 오염수 방류로 인해 어업 등에 피해가 발생할 시 구상권을 청구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
- 2022년 2월 9일, 대만 정부가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을 다시 시작했다. #
4.4. 중국[편집]
- 2021년 4월 12일, 외교부 대변인을 통해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를 사실상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
- 2021년 4월 15일, 주중 일본 대사를 초치하여 "일본의 결정은 해양 환경과 주변국 사람들의 안전을 무시한 것"이라며 "중국은 강한 불만과 확고한 반대를 표명한다"고 전했다. #
- 2021년 4월 19일, 인민일보가 중국 환경부 관계자의 발언을 인용하는 형식으로 "스스로 져야할 책임을 전 인류에 전가하는 것으로 극도로 무책임한 행위이며 좋지 못한 선례를 남겼다"고 비난했다. #
- 2022년 2월 5일,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와중의 중러정상회담에서 오염수를 해양 방출하는 일본 정부의 구상에 우려하는 공동성명을 가졌다. #
4.5. 러시아[편집]
- 2021년 4월 14일, 외무부 대변인을 통해 오염수 해양 방출 결정에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면서도 구체적인 설명을 기다리고 있다는 입장을 내놨다. #
4.6. 북한[편집]
- 2021년 4월 14일,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 (조총련) 기관지 조선신보를 통해 '반인류적 범죄'라고 비난했다. #
4.7. 미국[편집]
4.8. 태평양 제도 포럼[편집]
4.9. 유엔[편집]
- 2021년 4월 15일, 유엔인권이사회(UNHRC)에 소속된 특별보고관 3명은 "많은 사람의 생명과 환경 전반에 미칠 영향에 대한 경고를 고려할 때 일본 정부의 결정은 매우 우려스럽다", "이 문제를 해결할 대안이 있다고 믿기 때문에 이번 결정은 특히 실망스럽다", "수처리가 성공할 것이라는 어떤 보장도 없다", "다핵종제거설비가 삼중수소나 탄소-14를 제거하지 못했다", "과학자들은 물속의 삼중수소가 유기적으로 다른 분자와 결합해 먹이 사슬을 통해 식물과 물고기, 인간에게 영향을 미친다고 경고하고 있다" 등 우려했다. #
4.10. 주요 7개국 정상회담[편집]
- 2023년 5월 20일, G7 정상들은 2023년 G7 히로시마 정상회의에서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 방류 관련 "인간과 환경에 해를 끼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국제원자력기구(IAEA) 안전 기준과 국제법에 따라 수행될 IAEA의 독립적인 검증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
4.11. 국제원자력기구[편집]
정식 보고서화된 것은 '들어가기 전에' 문단에 정리 |
- 2023년 6월 1일, IAEA 조사단이 중간보고서로 "도쿄전력이 제1원전 오염수 탱크에서 빼낸 오염수 샘플에서 방사성 핵종을 측정·분석한 방법은 적절하다고 평가"했다. # 이번은 IAEA의 6번째 후쿠시마 제1원전 관련 보고서이며, IAEA 외에 대한민국을 포함해, 미국, 프랑스, 스위스 등이 똑같은 오염수 시료를 분석했지만, 도쿄전력의 분석처럼 방사성 핵종 등 위험 물질들이 기준치 이하로 나왔다는 게 핵심 내용이다. 대한민국 원자력안전위원회는 도쿄전력의 측정 기술이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는 내용엔 공감했다. 하지만 도쿄전력의 희석능력은 일반인에게 방사선을 얼마나 허용할지는 사회적 합의의 영역이라고 선을 그었다. 알프스의 처리를 거친 물의 핵종이 얼마나 되었는지 분석했을 뿐, 알프스의 성능은 시찰단 자료를 토대로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
4.12. 국가별 시찰단[편집]
각국 내에서 자료를 바탕으로 판단하거나 시뮬레이션한 것이 아닌, "현장을 직접 방문하여 확인"한 경우. |
- 2022년 11월, 대만이 2차 시찰단을 파견했다. 하지만 이는 2월 9일 후쿠시마 일대 식품 수입을 허용하고 대만 내에 논란이 일자, '사후약방문'의 형태였다.
- 2023년 3월 17일, 스가 요시히데 일본 전 총리가 윤석열 대통령에게 시찰단 파견을 제안했다. # 2023년 3월 한일정상회담의 공식 의제는 아니었다.
- 2023년 5월 7일, 2023년 5월 한일정상회담에서 대한민국의 시찰단 파견을 합의했다. 다만 일본 측에선 시찰은 허가하지만 공동 검증은 부정하는 입장을 밝혔다. #
- 2023년 5월 12일 오후 2시 ~ 13일 오전 2시, 대한민국 외교부 청사에서 국장급 1차 협의를 진행했다. #
- 2023년 5월 22일, 시찰단이 일본 외무성, 경제산업성, 도쿄전력 관계자와 4시간 기술회의를 했다. 유국희 단장은 자신 외에 다른 시찰단원을 언론에 공개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현장 시찰을 하는 기간만이라도 시찰에 집중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라고 설명했다. #
- 2023년 5월 23일
- 마쓰노 히로카즈 일본 관방장관은 오전 정례 기자회견에서 대한민국 시찰단 관련 질문에 "오늘과 내일 후쿠시마 1원전을 방문할 예정", "측정·확인용 설비, 이송 설비, 방류 설비 등 다핵종제거설비 처리수 해양 방류 관련 각종 설비를 시찰한다", "경제산업성의 동참 하에 도쿄전력으로부터 설명을 들을 예정", "이번 시찰을 통해 한국 내 ALPS 처리수 해양 방류의 안전성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도록 노력해나갈 생각", "이번 주요 7개국 정상회의에서 일치한 내용에 근거해 투명성 높은 정보를 내놓아 국제사회의 이해를 높이는 대처를 해나갈 생각" 등을 말했다. #
- 대한민국 시찰단이 오전10시 ~ 오후7시 시찰했다. 시찰 후 유국희 시찰단장은 "다핵종제거설비(알프스)는 기설·증설·고성능 등 3개 시설이 설치돼 있는 것을 봤고, 각 시설이 어떤 원리와 계통 구성으로 핵종을 제거하는지 중점적으로 관찰했다. 3개 시설 가운데 현재는 증설 하나만 운영되고 있었다", "오염수 보관 탱크들은 K4 탱크 외에, 도쿄전력이 방사선 환경영향평가를 할 때 시료를 채취한 J군 탱크도 봤다", "제어실은 이상 상황이 발생했을 때 어떻게 제어하는지를 살폈다", "오염수를 이송하는 설비의 유량계, 방사선 감시기, 이송 펌프 등이 설계도와 동일한지를 관찰했다", "요청한 부분 외에 추가로 보여준 시설은 없었다. 그동안 검토해 온 것의 연장선상에서 볼 부분이나 추가로 확인해야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추가로 자료를 요구했다" 등을 말했다. #
- 2023년 5월 24일, 대한민국 시찰단이 방사능 분석실험실, 오염수 방류 설비, 삼중수소 희석 설비, 긴급 차단밸브 등을 중점 확인하고 현장점검을 마쳤다. #
- 2023년 5월 25일
- 대한민국 시찰단이 일본 측 외무성·경제산업성·도쿄전력·일본 원자력규제위원회(NRA)와 기술회의를 하고 시찰 일정을 마쳤다. #
- 2023년 5월 31일, 대한민국 시찰단의 유국희 단장이 활동 결과를 정리해 발표했다. 그리고 그간 비공개였던 20명의 단원 명단을 전부 공개했다. 또한 데이터의 정밀분석 및 종합판단 결과보고서는 추후 내놓겠다고 밝혔다. 해양수산부 공식 보도자료, 연합뉴스 풀 영상
4.13. 학계 및 전문가[편집]
- 2021년 4월 13일, 영국 원자력해체청(NDA)의 전략 및 기술 이사인 아드리안 심퍼(Adrian simper)는 "처리수를 배출해서는 안 될 기술적인 이유는 없다고 생각한다.", "영국에서 액체의 해양 방출을 포함한 모든 방사성 물질의 환경 방출은 잘 이해되고 있고, 규제 당국이 설정한 조건 하에서만 실행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출은 안전한 수준에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특정 권한이 필요하다.", "IAEA의 일본 정부에 대한 협력 제안은 처리수의 방출을 지원하고 모니터링할 것이며, 처리수의 방출이 개방적이고 투명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장하기 위해서도 이 방향성을 환영한다" 등의 의견을 나타냈다. #
- 2021년 4월 13일, 사이언스의 중국 특파원 데니스 노르마일[21]이 투고한 기사[22]에 따르면, ALPS는 62개의 핵종을 걸러내지만, 삼중수소의 경우 물 분자를 구성하는 수소의 동위원소이기 때문에 걸러내기가 매우 어렵다. 대신 삼중수소는 저에너지 베타선만을 방출하기 때문에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고, 일본은 식용수 제한의 1/4 수준까지 농도를 낮추겠다고 약속했다. 이를 두고 IAEA에서는 배출방법이 "기술적으로 가능하고 국제적인 사례와 부합한다"고 평했으며, 호주의 핵과학자 니겔 마크스 역시 희석을 통해 "방사능을 안전 기준까지 낮출 수 있다"고 평했다.
- 2021년 4월 14일, 이전 해(2020)에 대한민국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일곱 차례의 전문가 간담회를 진행한 결과 오염수를 정화하는 일본의 다핵종제거설비 성능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했음이 밝혀졌다. 또 국제 기준인 유엔방사능피해조사기구(UNSCEAR)의 방법을 사용해 일본 해안가 인근 지역의 방사선 영향 평가를 실시해 나온 결과 또한 타당하다고 결론 냈다. 국내 연안 해역을 대상으로 한 방사능 농도 조사에서도 2019년 기준 0.892~1.88m㏃/㎏이 나와 후쿠시마 사고 이전의 평균치(2006~2010년 0.864~4.04m㏃/㎏)과 유사했다고 분석했다. 우려가 큰 삼중수소 노출에 대한 영향도 “생체에 농축되기 어려우며 수산물 섭취 등으로 인한 유의미한 피폭 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판단했으며 오염수가 국내 해역에 들어올 가능성은 “해류에 따라 확산·희석돼 유의미한 영향은 없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
- 2021년 4월 14일, 한병섭 원자력안전연구소장은 오염수를 해양방출하게 되면 우선 태평양의 해수에 섞이게 되고, 해류를 타고 국내 연안으로 오는 데까지는 몇 년의 시간이 더 걸린다며 방사능 물질이 충분히 희석된 후에 유입이 되기 때문에 큰 영향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
- 2021년 4월 15일, 정용훈 한국과학기술원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교수는 방류 지점의 오염처리수 삼중수소 농도는 기준치인 리터당 6만 베크렐 이내로 매일 2리터씩 1년 내내 복용해도 일반인의 연간 피폭 선량기준치인 1밀리시버트를 밑도는 수준인 0.8밀리시버트(mSv,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방사선의 양) 정도라고 설명하며 방류로 인해 후쿠시마 인근에서 받을 피폭량이 연간 1마이크로시버트 수준이고, 한국은 1나노시버트에도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어 삼중수소가 유기 삼중수소로 바뀌어 인체에 축적돼 특별히 위험하다는 주장 등은 근거가 없다며 이미 영국의 건강보호국과 캐나다의 원자력규제위원회가 오래전에 결론을 낸 사안이라고 밝혔다. #
- 2021년 4월 18일, 대만 허쭝루 국립대만해양대 해양환경정보학 교수는 위성자료 기반 시뮬레이션으로 빠르면 1년 6개월 후 대만 외해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
- 2021년 4월 26일, 한국원자력학회는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 처리수 방류에 대한 영향을 분석한 결과, 만약 일본 정부 방침대로 30~40년에 걸쳐 조금씩 방류하지 않고 저장 상태 그대로 1년 동안 모두 바다로 내보낸다고 보수적으로 가정하더라도 방사선 피폭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주장하며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대한 과도한 공포 조장을 자제하라"고 촉구했다. #
- 2021년 4월 27일, 미국 티모시 무쏘 사우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생물학 교수는 "삼중수소가 피부를 투과할 순 없지만, 물이나 어류 섭취 등으로 체내에 들어가면 오히려 인체에 오래 남아 세포와 유전자에 계속 영향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23]
- 2023년 1월 26일, 미국 페렝 달노키 베레스 미들베리국제대학원 교수는 "도쿄전력이 확인한 9개의 방사성 핵종은 오염수 해양 방류의 안전성을 입증할 대표성이나 인과성이 없다", "샘플링한 오염수 역시 저장 탱크의 4분의 1 수준만 측정해, 방사성 슬러지 폐기물에 대한 정보가 전무한 불완전하고, 부정확하며, 일관성 없는 데이터 표본 추출" 등을 지적했다. #
- 숀 버니 그린피스 수석 원전 전문가는 "방류는 국제법 위반", "도쿄전력 방사선 영향 평가에서 많은 결함",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려가 거의 없고, 먹이사슬을 통한 영향이나 삼중수소 등이 환경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을 평가하지 않았다" 등을 말했다.
- 반 히데유키 일본 원자력 정보 자료실 대표는 정화된 오염수를 원자로 냉각수로 재활용하는 '순환 냉각' 방식, 건물로 지하수 침입을 막아 오염수를 더 늘리지 않는 방안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 아르준 마크히자니 PIF 자문위원은 "피해가 이득보다 크다", "일본과 IAEA가 국경을 넘어 발생하는 비용 측면에서 IAEA 일반안전 지침 요건 준수 여부를 분석했을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등을 말했다.
5. 논란[편집]
5.1. 2020년 10월, 대한민국의 2020년 정부 보고서 논란[편집]
- 2021년 4월 14일, 서울경제는 단독보도로 안병길 국민의힘 의원실과 공동취재한 결과, 2020년 10월 15일에 문재인 정부 부처 합동 태스크포스가 원자력안전위원회와 7차례 논의한 결과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관련 현황보고"라는 보고서를 냈으며, '일본이 방출할 오염수가 우리 국민과 환경에 미칠 영향이 유의미하지 않다'는 결론이 담긴 사실을 밝혀냈다. #
- 국무조정실(국무총리 비서실) 관계자는 서울경제 측에 "여러 전문가의 의견을 청취했고, 일부 전문가의 의견이 곧 정부의 의견이 될 수는 없다" 등을 말했다.
5.2. 2021년 4월, 일본의 부적절한 발표 태도 논란[편집]
5.3. 2021년 5월, 북한의 대남 지령 관련 논란[편집]
- 2023년 3월 26일, 민중자주통일전위 사건의 수사 중 북한 공작기관이 이른바 '창원 간첩단'에게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로 동해가 오염된다", "임신부가 생선을 먹으면 태아에 영향을 준다", "괴물이 출현한다" 등을 SNS에 퍼뜨리라는 지령을 내렸다고 아사히신문이 전했다. #
- 2023년 3월 28일, 2023년 민주노총 간부 간첩 의혹 사건을 수사하는 국가정보원에 따르면, 북한 공작기관이 민주노총 간부들에게 2021년 5월 3일 "방사능 오염수 방류 문제를 걸고 반일민심을 부추겨 일본 것들을 극도로 자극하는 한편, 집권 세력을 압박해 이남당국과 일본 사이의 대립과 갈등을 되돌릴 수 없는 지경으로 몰아넣도록 조치하라"고 지령을 내렸다. #
5.4. 2023년 3~5월, 한일정상회담 관련 논란[편집]
자세한 내용은 2023년 3월 한일정상회담 문서
를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2023년 5월 한일정상회담 문서
를
참고하십시오.5.5. 2023년 4~5월, 일본의 G7 행사 관련 논란[편집]
2023년 4월 18일, 일본의 'G7의 환영 공동성명' 주장 |
- 2023년 4월 18일, 일본 홋카이도에서 열린 G7 기후·에너지·환경장관 회의 뒤, 성과를 발표하는 기자회견에서 니시무라 야스토시 경제산업상이 "오염수의 바다 방출을 포함한 일본의 투명성 있는 노력을 각국이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발언했다. 그러자 옆에 있던 슈테피 렘케 독일 환경장관이 "오염수 방류는 세계 어디에서도 어떤 방식으로도 환영받지 못할 것"이라며 바로 반박하는 이례적인 일이 벌어졌다.[26] 결국 회견 뒤, 니시무라 경제산업상은 자신이 착각한 것 같다며 발언을 정정했다. 그리고 실제 공동성명에 이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1, #2
2023년 5월 18일, 일본의 G7 행사 후쿠시마 식재료 사용 결정 |
- 2023년 5월 18일, 일본이 G7 히로시마 정상회의에 후쿠시마산 식재료를 사용하겠다고 밝혔다. 정상 뿐만 아니라 참가자 및 기자단에게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윤석열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도 후쿠시마산 식품을 먹게 된다. #
5.6. 2023년 5월, 대한민국의 오염수/처리수 용어 논란[편집]
- 2021년 4월 13일
- 2023년 5월 10일, 대한민국 국회에서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투기 무엇이 문제인가" 토론회가 열렸다. 여기에 참석한 미국, 캐나다, 일본 전문가들이 전부 다 오염수라고 불렀다.
2023년 5월 11일, 대한민국의 오염수/처리수 용어 논란 |
- 2023년 5월 11일
- 오전 5시경, 중앙일보가 "정부가 '오염수' 대신 '처리수'로 용어를 공식적으로 바꾸는 방안에 대한 검토에 착수했다"고 주장했다. 익명의 정부 소식통이 "배출 기준에 맞게 처리된 물이 약 30%, 여전히 오염된 물이 나머지 70% 정도", "다만 향후 처리 비율이 높아지면 오염수를 처리수로 바꿔 부르는 게 합리적이라 용어 수정을 검토하고 있다"고 했다는 것. 또 다른 정부 소식통도 중앙일보에 "결국 바다에 내보내는 물의 방사성 물질 농도를 기준으로 얘기해야 한다"며 "알프스 정화시설을 거쳐서 마지막에 내보내는 물을 오염수라고 계속 부르기에도 과학적 근거가 부족한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
- 오전 8시경, 하태경 국민의힘 국회의원은 라디오에서 "용어 정정부터 좀 필요한데 엄밀하게 오염처리수다" 등을 말했다.
- 오후경, 한병섭 원자력안전연구소장은 "한국 원전에서는 후쿠시마 원전보다 정화를 훨씬 더 잘 해서 내보내는 물에도 '배출수'라는 용어를 쓴다", "후쿠시마 원전에서 나오는 물을 처리수라고 부르는 건 언어도단","처리수라는 용어는 깨끗하다는 이미지를 준다", "한국에서 처리수라는 용어를 쓰자고 주장하는 건 온당치 않다" 고 말했다. #
- 오후경, 이준석 국민의힘 전 대표는 SNS로 "북한에서 날아오는 것은 누군가가 아무리 발사체로 이름을 바꾸려고 해도 국민들은 그것이 미사일임을 알았다. 일본이 방류하는 물의 이름을 무엇으로 바꾸더라도 국민의 생각은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이다."라고 썼다. 같은 당 허은아 의원도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오염수'라는 명칭을 변경할 계획이 없다. 아직 우리 실사단이 일본에 가지도 않았고, 어느 것 하나 제대로 직접 확인한 것도 없는데 '오염수'를 '처리수'라고 미리 답을 정해놓고 바꾸려는 이유가 무엇인가? 국민들이 불안해하는데 프레임을 전환해 무엇을 얻고자 하는가?”라고 했다. #
- 2023년 5월 12일
-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은 페이스북으로 "'오염처리수'란 단지 정화설비를 통과한 물이지만 아직 검증이 완료되지 않은 물이란 '기술적인 용어'이고, 미국·영국·EU·IAEA도 '처리수'라고 부른다. 방류해도 되는 물은 '처리수'가 아니라 '정화수'다. 하지만 북한과 중국은 정화설비를 거쳐도 처리수란 말을 쓰지 않고 '핵오염수'라 부른다", "제가 '오염처리수'란 개념을 썼을 때 그 의미는 정화설비 여과 과정을 거쳤지만 아직 검증 절차를 통과하지 않은 물이라는 뜻", "정화설비 통과 이전과 이후의 물, 둘은 기술적 상태가 다른데 이것을 똑같은 용어로 불러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아무리 일본이 미워도 물의 상태를 설명하는 기술적인 용어는 정확히 써줄 필요가 있는 것" 등을 말했다. #
5.7. 2023년 5월, 대한민국의 반대 포스터 수사 논란[편집]
자세한 내용은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반대 포스터 경찰수사 논란 문서
를
참고하십시오.[1] 삼중수소(트리튬), 세슘 134·세슘 137, 스트론튬 90, 탄소 14 등의 방사성 핵종이 들어있다.[2] 삼중수소와 탄소는 처리 목록에 없다.[3] 국내외 기사나 정부 발표, 개인의 번역·해석본 등[4] 유관기관 혹은 국제기구 보고서 원문 등[5] 헬륨의 원자핵[6] 전자[7] 광자[8] 최소 MeV=106 eV 단위인데, 양자역학의 슈뢰딩거 방정식을 풀어서 나오는 수소원자의 바닥상태 에너지가 고작 -13.6 eV이다. 그보다 무거운 원자들에서는 바닥상태가 더 커지긴 하지만, 어쨌든 신체를 구성하는 원자를 이온화시키기에는 차고도 넘치는 에너지다.[9] 하나의 핵종에 대해서는 붕괴식도 항상 같으므로 방출되는 방사선의 종류나 에너지 역시 정해진다.[10] 비판론의 일부 기사가 이러한 점을 간과하고 방출하는 에너지로만 방사능의 세기를 평가한다.[11] v1<<v2일 경우 v1+v2v1≒0이다. 다른 NRC 보고서에서도 지적하듯, 오염수의 규모에 비해 태평양이 압도적으로 크다는 것은 당연하다.[12] 트리튬은 베타 붕괴를 통해 평균 에너지 5.7 keV, 최대 에너지 18.6 keV의 저에너지 베타선을 방출한다.[13] 세슘-134는 베타 붕괴를 통해 평균 에너지 0.157 MeV의 베타입자 하나를 내놓고, 단위 붕괴당 감마 붕괴를 통해 평균 에너지 0.698 MeV를 갖는 2.23 당량의 감마선 하나를 방출한다.[14] 세슘-137은 베타 붕괴를 통해 평균 에너지 0.188 MeV의 베타입자 하나를 내놓는다. 단위 붕괴당 0.944당량은 바륨-137로 붕괴하며, 이는 2.552년의 반감기를 갖고, 단위 붕괴당 평균 에너지 0.662 MeV를 갖는 0.898 당량의 감마선을 방출한다.[15] 스트론튬-90은 베타 붕괴를 통해 평균 에너지 0.546 MeV의 베타입자를 방출한다. 생성물인 이트륨-90 역시 반감기 64시간의 베타 붕괴를 거쳐 안정한 핵종인 지르코늄-90과 최대 2.28 MeV의 에너지를 갖는 전자 및 반중성미자로 붕괴한다. 감마선은 거의 방출하지 않는다.[16] 탄소-14는 베타 붕괴를 거쳐 평균 에너지 49 keV, 최대 에너지 156 keV의 베타선을 방출하고 안정한 질소-14로 붕괴한다.[17] 구소련 874 TBq, 미국 554 TBq, 일본 15 TBq. 참고로 대한민국은 자료 미공개로 수치가 보고되어 있지 않다.[18] 전반적인 베타 붕괴의 선량을 의미한다. 참고로 베타 붕괴에서 나오는 베타선은 전자이다.[19] 참고로 간 나오토는 동일본 대지진 당시 현직 총리였기에 욕을 먹었던 사람이다. 물론 진짜 욕을 먹어야 했던 세력은 총리 지시도 씹으며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재앙으로 만든 도쿄전력이다.[20] 이에 대해 야후 재팬에서 "마시는 것이 최고의 대책이라는데 조속히 실행했으면 좋겠다", "그렇게까지 말한다면 직접 마셔봐라" 등 비판적 반응들이 나왔다.[21] 중국·일본 등 아시아 주요국의 과학기술정책 연구자이다.[22] 네이처, 셀과 함께 과학계에서 첫손에 꼽히는 학술지이다. 다만 본 기사는 학술적인 피어리뷰 과정을 거치는 논문은 아니며, 일반 기사이다.[23] 티모시 무쏘 교수의 대학 홈페이지 프로필. 방사능의 위험성에 대해서 선형무역치(LNT) 이론을 증명한 생물학자이다. #[24] 'Based on this scientific review as well sampling of foods imported from Japan and U.S. domestic food products, we believe that there would be no impact to human and animal health if the treated wastewater were to be discharged into the ocean, as proposed by Japan. Consequently, FDA is not advising consumers to alter their consumption of specific foods imported from Japan or domestically produced foods, including seafood.' #[25] 해류 흐름상 오염수가 방류될 경우 제일 먼저 직격타를 맞는 것이 미국이라서 그렇다.[26] 이에 대해선 독일이 여당 사회민주당이 동맹 90/녹색당과 연정을 하고 있는 상황이라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이 당연하단 분석이 있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