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8-02

1801 KBS 이사 된 김상근 목사는 누구인가




KBS 이사 된 김상근 목사는 누구인가?
김재규 명예회복, 보안법 폐지, 천안함 재조사, 통진당 해산 반대 주장... 방통위가 이인호 이사장 해임시 후임 될 가능성


글 배진영 월간조선 기자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이효성)는 1월 4일, 해임된 강규형 KBS이사(명지대 교수)의 후임으로 김상근(80) 목사를 추천, 의결했다. 김상근 목사는 노무현 정권 시절 민주평통 수석부의장을 지낸 적이 있는 이른바 진보 진영의 원로이다. 김 목사는 앞으로 방송통신위원회가 이인호 이사장을 해임할 경우, 올해 8월까지 이사장직을 수행하게 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김상근 목사는 전북 군산 태생으로 군산고등학교와 한신대를 졸업했다. 1970년대부터 기독교계를 기반으로 한 재야운동에 나서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이사 및 부이사장, 한국기독교노동자연맹 이사 등을 지냈다. 일본잡지 <세카이(世界)>에 'TK생‘이라는 필명으로 ‘한국으로부터의 통신’을 쓰던 지명관 교수를 후원했던 그룹 중의 한 명이기도 했다. 이후 1990년대까지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KNCC) 실행위원, 부회장, 고문대책위원장, 기독교농민회 이사장, 한국기독학생총연맹 이사장 등을 지냈다.
김 목사는 1990년대 이후에는 기독교계를 넘어 소위 통일운동에도 적극적으로 나섰다. KNCC 통일위원회 위원 및 위원장, 민족의 화해와 통일을 위한 종교인협의회 공동대표, 자주평화통일민족회의 상임의장 등을 지냈다.
이른바 언론개혁운동에도 앞장서서 1993년부터 방송바로세우기시민연대 공동대표를, 1998년부터는 언론개혁시민연대 공동대표를 역임했다.
그 밖에 통일시대민주주의국민회의 상임공동대표, 5.18진상규명 및 광주항쟁정신계승국민위원회 상임대표 등을 맡기도 했다. 2001년에는 정의구현사제단의 김숭훈 신부, 이돈명 변호사 등 재야인사들과 함께 '10.26 재평가와 김재규 장군 명예회복 추진위원회' 공동대표를 맡아 활동하기도 했다.

이런 재야 이력을 바탕으로 김상근 목사는 1998년 김대중 정권 출범 이후에는 여러 정부기관이나 관변단체에서 활동하기 시작했다. 1998년에는 대통령자문방송개혁위원회 위원이 됐고, 이듬해에는 행정자치부 장관이 맡던 제2건국범국민추진위원회 기획단장과 위원장을 맡았다.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민화협), 상임의장, 민주화운동 관련자 명예회복 및 보상심의위원회 위원 및 위원장도 지냈다. 노무현 정권이 들어선 이후인 2005년에는 법무부 감찰위원회 초대 위원장이 됐다. 2006년에는 이전 정권에서 총리급 인사들이 맡았던 민주평통 수석부의장이 됐다.

이렇게 김대중-노무현 정권에 참여하면서도 김상근 목사는 과거 재야 활동의 연장선상에 선 활동을 계속 이어나갔다. 2004년에는 박형규, 이해학, 문대골, 홍근수 목사 등과 함께 '국가보안법 폐지 촉구 기독교 인사 선언'을 발표했다. 이들은 이 선언에서 "국보법 폐지는 그리스도인의 선교사적 사명"이라고 주장했다. 2005년에는 "비정규직 확대는 결국 경제 전반을 어렵게 한다"고 주장하는 '비정규노동법 개악저지와 노동기본권 쟁취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에 참여했다. 같은 해 그는 6월민주항쟁기념사업회 대표이사장도 맡았다.
2006년에는 6‧15 공동선언 실천을 위한 남‧북‧해외 공동행사 남측준비위원회 공동대표를 맡아 "6‧15 공동선언은 분열과 대결의 역사에 종지부를 찍고 민족적 화해와 단합, 통일의 새 시대를 열어놓은 자주선언, 평화선언, 민족대단결 선언이며 평화와 통일로 가는 활로를 밝힌 이정표였다"고 주장했다.
김 목사는 재야운동 차원을 넘어 직접 정치적 행보를 하기도 했다. 1999년에는 김대중 당시 대통령이 새천년민주당 창당을 앞두고 외곽 지원그룹으로 만들었던 국민정치연구회에 참여했다. 2007년 대선을 앞두고는 당시 여권 후보 단일화를 위한 재야원로 원탁회의에 참여했지만, 성사되지는 않았다.

이명박 정권이 들어선 후 김상근 목사는 다시 ‘재야인사’로 돌아왔다. 2007년에는 제주주민자치연대 등 제주도 14개 시민단체가 '제주4‧3민중항쟁 60주년 정신계승을 위한 공동행동 준비위원회'(이하 준비위) 공동대표를 맡아 "4‧3은 사건이 아니라 당시 남한 단독 정부와 미국에 대한 민중항쟁"이라고 주장했다.
2008년 6‧15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가 개최한 행사에서는 "이명박 정부가 대북관계를 막아서기만 한다면, 그래서 총성을 울리게 된다면 국민은 다시 촛불을 들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해 7월에는 광우병 촛불사태를 지지하고 이명박 정권의 사과를 요구하는 재야원로 32인의 시국선언에 참여했다. 2009년에는 미디어법 통과, 한명숙 전 총리 구속 반대 등의 활동에 이름을 얹었다.
천안함 폭침 1년 후인 2011년 3월에는 한명숙 전 총리, 이재정 전 통일부 장관, 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 김선수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회장 등과 함께 기자회견을 열어 “천안함 침몰의 원인에 대한 납득할 만한 추가조사와 검증이 필요하다”며, 북한의 참여를 허용하는 국제적인 검증작업 등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2011년 8월 오세훈 당시 서울시장이 무상급식 반대 주민투표를 실시했을 때에는 재야원로들과 함께 이를 규탄했다.
2012년 총선을 앞두고는 '희망 2013·승리 2012 원탁회의'를 결성했고, 2012년 대선을 앞두고는 다른 재야원로들과 함께 문재인-안철수 후보단일화를 촉구했다.

박근혜 정권 출범 후에도 김상근 목사의 재야활동은 계속됐다. 2013년 11월에는 국정원 댓글 사건 등과 관련, ‘국정원과 군 등 국가기관의 선거개입 진상규명과 민주헌정질서 회복을 위한 각계 연석회의’에 주도적으로 참여했다. 세월호 사건 후인 2014년 5월에는 박형규, 이해동, 유경재 목사 등과 함께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 촉구와 한국교회의 자성을 요구하는 목회자 1000인 선언’을 발표했다. 2014년 지방선거 후에는 김상근 경기도 교육감 인수위원장이 되었고, 이후 경기도교육연구원 이사장을 맡았다.
2014년 12월 헌법재판소의 통합진보당 해산을 앞두고는 함세웅 신부, 이창복 민화협 상임고문 등과 함께 '통합진보당 강제해산 반대 민주수호 원탁회의'를 구성, 민주당을 찾아가 통진당 해산 저지에 나서달라고 요구하기도 했다. 그는 통진당 해산 후에는 "통진당 자체가 친북적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다만 북한에 대해 긍정할 건 긍정하고 비판할 건 비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2016년 최순실 사태 와중에서 김상근 목사는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비상시국대책회의 상임의장을 맡아 활동했다. 국회가 2016년 9월 박근혜 대통령 탄핵안을 가결하자 성명을 발표, "박근혜 대통령 탄핵을 기도해 온 우리는 국민과 함께 국민의 승리, 민의의 승리, 촛불의 승리를 선언한다"며 "국민의 뜻을 받든 국회에 감사한다. 헌법재판소는 조속히 국회의 결정을 인용함으로써 국민의 뜻을 반영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러한 활동 때문에 김상근 목사는 소위 민주화운동 진영에서는 ‘원로’로 추앙받지만, 2010년 국가정상화추진위원회(위원장 고영주)가 발표한 친북반국가 행위자 100명 중 하나로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이런 원로급 인사가 KBS이사회에서 단순히 결원이 된 이사 자리를 메우는 데 그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KBS의 한 이사는 “방송통신위원회가 이인호 이사장을 해임하면 김상근 이사가 올 8월까지 잔여 임기 동안 이사장직을 맡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방통위는 '이념적 편향성'등을 이유로 고영주 방송문화진흥회 이사(전 방문진 이사장)의 해임도 의결했다.




입력 : 2018.01.04
Copyright ⓒ 조선뉴스프레스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