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2-28

The Sketch Book of Geoffrey Crayon, Gent. by Washington Irving

The Sketch Book of Geoffrey Crayon, Gent. by Washington Irving

THE BROKEN HEART.

I never heard
Of any true affection, but ‘t was nipt
With care, that, like the caterpillar, eats
The leaves of the spring’s sweetest book, the rose.
MIDDLETON.
T is a common practice with those who have outlived the susceptibility of early feeling, or have been brought up in the gay heartlessness of dissipated life, to laugh at all love stories, and to treat the tales of romantic passion as mere fictions of novelists and poets. My observations on human nature have induced me to think otherwise. They have convinced me that, however the surface of the character may be chilled and frozen by the cares of the world, or cultivated into mere smiles by the arts of society, still there are dormant fires lurking in the depths of the coldest bosom, which, when once enkindled, become impetuous, and are sometimes desolating in their effects. Indeed, I am a true believer in the blind deity, and go to the full extent of his doctrines. Shall I confess it?—I believe in broken hearts, and the possibility of dying of disappointed love! I do not, however, consider it a malady often fatal to my own sex; but I firmly believe that it withers down many a lovely woman into an early grave.
Man is the creature of interest and ambition. His nature leads him forth into the struggle and bustle of the world. Love is but the embellishment of his early life, or a song piped in the intervals of the acts. He seeks for fame, for fortune for space in the world’s thought, and dominion over his fellow-men. But a woman’s whole life is a history of the affections. The heart is her world; it is there her ambition strives for empire—it is there her avarice seeks for hidden treasures. She sends forth her sympathies on adventure; she embarks her whole soul in the traffic of affection; and if shipwrecked, her case is hopeless—for it is a bankruptcy of the heart.
To a man, the disappointment of love may occasion some bitter pangs; it wounds some feelings of tenderness—it blasts some prospects of felicity; but he is an active being—he may dissipate his thoughts in the whirl of varied occupation, or may plunge into the tide of pleasure; or, if the scene of disappointment be too full of painful associations, he can shift his abode at will, and taking, as it were, the wings of the morning, can “fly to the uttermost parts of the earth, and be at rest.”
But woman’s is comparatively a fixed, a secluded, and meditative life. She is more the companion of her own thoughts and feelings; and if they are turned to ministers of sorrow, where shall she look for consolation? Her lot is to be wooed and won; and if unhappy in her love, her heart is like some fortress that has been captured, and sacked, and abandoned, and left desolate.
How many bright eyes grow dim—how many soft cheeks grow pale—how many lovely forms fade away into the tomb, and none can tell the cause that blighted their loveliness! As the dove will clasp its wings to its side, and cover and conceal the arrow that is preying on its vitals—so is it the nature of woman, to hide from the world the pangs of wounded affection. The love of a delicate female is always shy and silent. Even when fortunate, she scarcely breathes it to herself; but when otherwise, she buries it in the recesses of her bosom, and there lets it cower and brood among the ruins of her peace. With her, the desire of her heart has failed—the great charm of existence is at an end. She neglects all the cheerful exercises which gladden the spirits, quicken the pulses, and send the tide of life in healthful currents through the veins. Her rest is broken—the sweet refreshment of sleep is poisoned by melancholy dreams—“dry sorrow drinks her blood,” until her enfeebled frame sinks under the slightest external injury. Look for her, after a little while, and you find friendship weeping over her untimely grave, and wondering that one, who but lately glowed with all the radiance of health and beauty, should so speedily be brought down to “darkness and the worm.” You will be told of some wintry chill, some casual indisposition, that laid her low;—but no one knows of the mental malady which previously sapped her strength, and made her so easy a prey to the spoiler.
She is like some tender tree, the pride and beauty of the grove; graceful in its form, bright in its foliage, but with the worm preying at its heart. We find it suddenly withering, when it should be most fresh and luxuriant. We see it drooping its branches to the earth, and shedding leaf by leaf, until, wasted and perished away, it falls even in the stillness of the forest; and as we muse over the beautiful ruin, we strive in vain to recollect the blast or thunderbolt that could have smitten it with decay.
I have seen many instances of women running to waste and self-neglect, and disappearing gradually from the earth, almost as if they had been exhaled to heaven; and have repeatedly fancied that I could trace their deaths through the various declensions of consumption, cold, debility, languor, melancholy, until I reached the first symptom of disappointed love. But an instance of the kind was lately told to me; the circumstances are well known in the country where they happened, and I shall but give them in the manner in which they were related.
Every one must recollect the tragical story of young E——, the Irish patriot; it was too touching to be soon forgotten. During the troubles in Ireland, he was tried, condemned, and executed, on a charge of treason. His fate made a deep impression on public sympathy. He was so young—so intelligent—so generous—so brave—so every thing that we are apt to like in a young man. His conduct under trial, too, was so lofty and intrepid. The noble indignation with which he repelled the charge of treason against his country—the eloquent vindication of his name—and his pathetic appeal to posterity, in the hopeless hour of condemnation,—all these entered deeply into every generous bosom, and even his enemies lamented the stern policy that dictated his execution.
But there was one heart whose anguish it would be impossible to describe. In happier days and fairer fortunes, he had won the affections of a beautiful and interesting girl, the daughter of a late celebrated Irish barrister. She loved him with the disinterested fervor of a woman’s first and early love. When every worldly maxim arrayed itself against him; when blasted in fortune, and disgrace and danger darkened around his name, she loved him the more ardently for his very sufferings. If, then, his fate could awaken the sympathy even of his foes, what must have been the agony of her, whose whole soul was occupied by his image? Let those tell who have had the portals of the tomb suddenly closed between them and the being they most loved on earth—who have sat at its threshold, as one shut out in a cold and lonely world, whence all that was most lovely and loving had departed.
But then the horrors of such a grave!—so frightful, so dishonored! There was nothing for memory to dwell on that could soothe the pang of separation—none of those tender, though melancholy circumstances which endear the parting scene—nothing to melt sorrow into those blessed tears, sent like the dews of heaven, to revive the heart in the parting hour of anguish.
To render her widowed situation more desolate, she had incurred her father’s displeasure by her unfortunate attachment, and was an exile from the parental roof. But could the sympathy and kind offices of friends have reached a spirit so shocked and driven in by horror, she would have experienced no want of consolation, for the Irish are a people of quick and generous sensibilities. The most delicate and cherishing attentions were paid her by families of wealth and distinction. She was led into society, and they tried by all kinds of occupation and amusement to dissipate her grief, and wean her from the tragical story of her loves. But it was all in vain. There are some strokes of calamity that scathe and scorch the soul—which penetrate to the vital seat of happiness—and blast it, never again to put forth bud or blossom. She never objected to frequent the haunts of pleasure, but was as much alone there as in the depths of solitude; walking about in a sad revery, apparently unconscious of the world around her. She carried with her an inward woe that mocked at all the blandishments of friendship, and “heeded not the song of the charmer, charm he never so wisely.”
The person who told me her story had seen her at a masquerade. There can be no exhibition of far-gone wretchedness more striking and painful than to meet it in such a scene. To find it wandering like a spectre, lonely and joyless, where all around is gay—to see it dressed out in the trappings of mirth, and looking so wan and woe-begone, as if it had tried in vain to cheat the poor heart into momentary forgetfulness of sorrow. After strolling through the splendid rooms and giddy crowd with an air of utter abstraction, she sat herself down on the steps of an orchestra, and, looking about for some time with a vacant air, that showed her insensibility to the garish scene, she began, with the capriciousness of a sickly heart, to warble a little plaintive air. She had an exquisite, voice; but on this occasion it was so simple, so touching, it breathed forth such a soul of wretchedness—that she drew a crowd, mute and silent, around her and melted every one into tears.
The story of one so true and tender could not but excite great interest in a country remarkable for enthusiasm. It completely won the heart of a brave officer, who paid his addresses to her, and thought that one so true to the dead, could not but prove affectionate to the living. She declined his attentions, for her thoughts were irrevocably engrossed by the memory of her former lover. He, however, persisted in his suit. He solicited not her tenderness, but her esteem. He was assisted by her conviction of his worth, and her sense of her own destitute and dependent situation, for she was existing on the kindness of friends. In a word, he at length succeeded in gaining her hand, though with the solemn assurance, that her heart was unalterably another’s.
0124m
Original
He took her with him to Sicily, hoping that a change of scene might wear out the remembrance of early woes. She was an amiable and exemplary wife, and made an effort to be a happy one; but nothing could cure the silent and devouring melancholy that had entered into her very soul. She wasted away in a slow, but hopeless decline, and at length sunk into the grave, the victim of a broken heart.
It was on her that Moore, the distinguished Irish poet, composed the following lines:
0125m
Original


She is far from the land where her young hero sleeps,
And lovers around her are sighing:
But coldly she turns from their gaze, and weeps,
For her heart in his grave is lying.

She sings the wild song of her dear native plains,
Every note which he loved awaking—
Ah! little they think, who delight in her strains,
How the heart of the minstrel is breaking!

He had lived for his love—for his country he died,
They were all that to life had entwined him—
Nor soon shall the tears of his country be dried,
Nor long will his love stay behind him!

Oh! make her a grave where the sunbeams rest,
When they promise a glorious morrow;
They’ll shine o’er her sleep, like a smile from the west,
From her own loved island of sorrow!

내셔널 아이덴티티와 젠더 (박유하) : 네이버 블로그



내셔널 아이덴티티와 젠더 (박유하) : 네이버 블로그

2016.09.06.

http://blog.naver.com/neolone/220805765206
리뷰보기

내셔널리즘에 대한 뚜렷한 거부감


나쓰메 소세키의 소설을 읽어보기는커녕 그가 어떠한 사람인지도 잘 모르는 상태에서, 나쓰메 소세키를 다룬 문학 평론인 이 책을 읽게 된 것은 '제국의 위안부'로 현재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저자의 생각을 좀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였다. 기본적으로 그 대상이 되는 작품을 읽지 않은 상태에서 평론부터 본다는 것이 결코 쉬울 리가 없다. (그래서 소세키의 대표작이라는 '마음'도 샀다. 언제 읽을런지는 모르지만.) 일본 소설이라고는 '인간 실격'과 '침묵' 두 개를 읽었을 뿐인 나의 일본 문학 이해가 일천한 것도 사실이다. 읽은 지 석 달이 넘은 상태에서 이 책에 대한 글을 쓰는 것 역시 쉬운 일은 아니다.


우선 내가 느낀 점 두 가지를 쓴다.


첫째. 저자가 이 책에서 드러내고 있는 '소세키로 상징되는 일본의 남성 중심 내셔널리즘'에 대한 반감이 결국 위안부 문제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는 정대협이나 일부 자이니치에 대한 비판으로 이어진 것으로 나는 생각한다. 물론 '내셔널리즘은 내셔널리즘으로 대응해야 한다' '일본의 남성 중심 내셔널리즘에 맞서는 가장 바람직한 방법이 바로 현재의 위안부 관련 운동이다'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기본적으로 '일본과 싸워야 한다'고 생각하는, '일본을 싫어하는' 사람들이다. 하지만 저자는 내셔널리즘 그 자체를 싫어하고, 이 책에서 분석하고 있는 일본의 제국주의적 내셔널리즘 못지 않게 '소녀상'으로 대표되는 한국의 '비타협적' 내셔널리즘에 대해서도 반감을 가지고 있는 듯하다. 어찌 생각하면 소세키의 여러 작품에, 개인주의와 문명주의의 외피 속에 숨어 있다는 내셔널리즘보다, 자이니치인 서경식이나 정영환 교수의 글에 시퍼런 칼날처럼 드러나 있는 내셔널리즘이 저자에게 더 충격을 주었다고나 할까. (사실은 나도 그런 한국의 내셔널리즘에 대해 불편을 느낀 적이 많았다.)


다만, 한가지 아이러니가 있다. 위안부 문제에 있어서 한국 쪽에서 '비타협적' 내셔널리즘을 내세우기보다는 일본의 '내셔널리즘에 덜 경도된 (서경식, 정영환 교수 등이 '타락한 리버럴'이라고 부르는)' 사람들과 대화하고 합의를 도출하는 것이 낫다는 저자의 생각이, '상상의 공동체'인 '네이션'이 아닌 '실재하는 권력'인 대한민국(국가)에 현실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이다. 한일간의 관계가 거의 사상 최고 수준이었던 김대중 정부 때를 생각해 보자. 그렇다고 저자를 우익-국가주의라고 비난할 수는 없다. 작년 갑작스럽게 이루어진 한일 양국간의 위안부 문제 합의를 저자가 전폭적으로 지지하는 것도 아니다. 위안부 문제에 대한 저자의 생각은 한일관계 개선이라는 한국 정부의 목표를 지지하는 '현실적인 국가주의'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한국와 일본 두 나라의 일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내셔널리즘, 특히 그 완고하고 '남성적'인 태도에 대한 반감에서 생겨난 것이라고 나 나름대로 추측을 해 본다.


두번째는, 과연 한국의 근대 문학가들이 소세키를 비롯한 일본의 동시대 문학가들의 영향을 받지 않았을 수가 있겠는가 하는 질문이다. 이 책을 보면 소세키는 죽기 전 1910년대에 이미 '문호'로 대접을 받았던 듯하다. 당시 일본에 있었던 이광수나 염상섭 등이 소세키 등 일본 문학가의 영향을 분명히 받았을 텐데, 찾아보니 여기에 대한 연구가 별로 없었다. 오늘 작고한 코미디언 고 구봉서 선생도 일본의 희극 극본을 항상 읽었다는데, 소설가나 시인들이라고 달랐을까? 누군가 한 번 연구를 해 봐야 할 과제가 아닐까 생각했다.


저자는 내셔널리즘, 즉 '내셔널 아이덴티티'가 '국민국가'를 지탱하기 위해 고안된 '모더니티(근대적 요소)'에 지나지 않으며, 그 형성에 있어서 필수적인 것이 문화, 그 중에서도 문학이라는 주장으로 이 책을 시작한다. 베네딕트 앤더슨의 '상상의 공동체'와 같은 맥락이다. 개인주의자, 문명비판자로 알려졌던 (솔직히 나는 잘 몰랐던 부분이다) 일본의 대표적 근대 문학가 소세키가 사실은 일본의 내셔널 아이덴티티 형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음을 보여주는 것이 저자가 이 책을 쓴 목적이다.


제1장 '소세키의 문명관'에서 저자는 소세키가 가지고 있었던 서양 문명에 대한 '유사 식민지적 공포' 즉 서양이라는 '적'에게 '침범'당할지도 모른다는 공포심이 사실은 일본 내셔널리즘의 공격성과 패권주의적 욕망을 은폐하고 있다고 말한다. 나는 우리 한국의 내셔널리즘과 비교해 본다. 물론, 한국은 일본에 의한 식민지 체험을 가지고 있다는, 그러니까 '식민지에 대한 공포'가 '유사'가 아니라 진짜라는 결정적인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식민지 체험 하나만으로 과연 한국이 공격적 내셔널리즘으로 '무장'해야 한다는 주장을 정당화할 수 있을까. 솔직히 한국의 내셔널리즘을 정말로 공격적이라고 할 수 있을지는 자신이 없다. 북한이 훨씬 더 공격적으로 보인다. 다만, '일제 강점기 36년'을 끊임없이 강조하는 한국의 내셔널리즘에 대해 내가 가지고 있는 그 불편함이 결국은 그 숨겨진 공격성에서 나온 것이 아닌가 하는 결론을 내린다.


제2장 '소세키의 개인주의'에서는 그가 주장하는 개인주의가 사실은 일본인이라는 '내셔널 아이덴티티'에 입각했다는 것, 국가가 위험해질 경우 개인의 자유보다는 국가의 안위가 우선이라고 하면서 국가주의의 우위를 시사했다는 것, 그리고 '교육받은 일본인 남성'에만 적용될 뿐 교육받지 못한 사람, 여성, 타민족에게는 해당되지 않는 불완전한 개인주의였다는 것을 지적한다. 그에게 있어서 개인주의란 '일본'의 개성이나 특색을 발휘하는 것이었다. 그가 주장한 개인주의는 근대국가의 내셔널리즘과 굳게 결합된 '독일적 개인주의'라는 얘기도 나온다. 그의 글에 나오는 '즉천거사(하늘에 따라 나를 버린다)'라는 표현이야말로 그의 개인주의가 (은폐된?) 국가주의요 질서에 대한 순응을 내포하고 있었음을 잘 보여준다는 결론으로 이 장을 마무리하고 있다.


제3장, '두 개의 시골'은 '풀베개'와 '도련님'이라는 두 소설에 사뭇 대조적으로 나타난 시골에 대한 묘사를 제시하고 있다. '풀베개'에서의 시골은 서양에 대항하는 동양, 현세와 비교되는 아득한 옛날, 일본 고유의 아름다움, 아와레(처연함) 등을 상징한다. 그러나, 또한 저자는 이 소설에서 아와레라는 '여성미' 그리고 나아가서 여성 그 자체를 전통과 시골 안에 가두어 두고 남성 혼자 '내셔널 아이덴티티의 문명화'로 나아가려고 하는 욕망을 발견한다. 반면, '도련님'에서 시골은 도회지(도쿄) 사람의 입장에서 볼 때 차별과 혐오의 대상으로 그려진다. 내셔널리즘은 기본적으로 차별과 배제의 과정이며, 동양을 배제하는 서양의 내셔널리즘에 맞서기 위해서 일본의 내셔널리즘은 시골을 배제하는 '도쿄중심주의'로 흘렀다는 얘기로 보인다. 결국 시골의 고립을 통한 도시의 전진이라는 측면에서 두 소설의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시골에 대한 혐오는 작년에 읽은 마루야마 겐지의 '시골은 그런 것이 아니다'에서 아주 잘 드러났던 기억이 있다. 소세키로부터 백년 넘게 이어져 내려온 전통인 셈이다. 그런데, 일본이 과거 봉건 영주인 다이묘의 힘이 강했던 지방 분권 체제였던 것을 생각하면 이러한 시골 혐오가 얼핏 이해가 가지 않는다. 하지만, 이러한 '전근대적 봉건 체제'를 타파하고 천황 중심의 '근대적 중앙 집권 체제'를 확립하는 것이 메이지 유신과 일본 내셔널리즘의 과제였음을 생각하면 또 시골 혐오가 자연스러운 측면도 있다. 한국의 내셔널리즘에 명시적인 시골 혐오가 존재하지 않는 것 역시 이런 시각으로 설명할 수 있을 듯하다. 한국은 이미 조선 초기부터 군현제/중앙집권체제를 확립했기 때문에 굳이 봉건제도 타파를 위해 시골 혐오를 앞세울 필요가 없었던 것이리라.


제4장, '소세키와 제국주의'는 일본 사회가 그동안 소세키를 반국가주의, 반제국주의 인물로 인식해온 경향에 대한 반론을 제기하고 있다. 그가 조선인과 중국인에 대해 종종 사용한 '더럽다'라는 표현이 '전근대'는 더럽고 '근대/문명'은 위생적이라는 제국주의적 이데올로기 혹은 오리엔탈리즘의 산물일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 한국인이 흔히 가지고 있는 '일본은 깨끗하다'는 생각에 대해서도 다시 돌아다 보게 된다. 러일전쟁을 '국가 존망이 걸린 독립 전쟁'이라고 생각했고, 일본이 수행 주체가 되면 전쟁이나 국가주의에 대한 비판을 멈춘 소세키는 '내셔널 아이덴티티'의 확립이라는 과제에 직면한 '동양의 지식인'이 가지는 한계에서 벗어나기 힘들었다는 결론이다.


제5장, '개인주의의 방향'은 '그후'와 '문'이라는 두 소설에 등장하는 개인주의의 한계에 대해 말하고 있다. '그후'의 주인공 다이스케는 남성에 대한 기존의 젠더 바이어스 및 '국민의 의무' '노동' '결혼' 등 공동체의 규범에 대해 저항하는 이례적인 인물이지만, 이는 일본에 대한 '서양의 압박'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라는 것이 저자의 해석이다. 일본이 발전하여 '서양의 압박'을 받지 않게 된다면 공동체의 개인에 대한 규범도 즐어들 것이고, 주인공이 개인주의를 내세울 일도 없을 것이기 때문에, 소세키의 개인주의에 대한 믿음이 그리 깊지 않았다는 결론을 도출한다. '문'은 사랑의 도피행을 단행한 주인공 부부가 거듭되는 사산으로 아이를 가지지 못하면서 '근대가족'으로의 정착에 실패하는 이야기이다. 사실 '모성애'로 '재생산'을 해야 한다는 '근대가족'으로서의 '국민적 의무'에 대한 강조는 출산율 제고가 국가적 과제가 되어 버린 오늘날의 한국에서도 지속되고 있다. 여기서 비쳐지는 불륜에 대한 도덕적인 단죄는 소세키가 개인주의보다는 국민국가의 질서를 더 중요하게 여겼음을 보여준다고 저자는 결론을 내린다.


(사실 내가 놀란 것은 이 소설 '문'에서 보여지는 '근대성'이었다. 1910년 발표된 소설인데, 얼핏 보여지는 소설의 구조는 오늘날의 TV 연속극이 생각날 정도로 자연스럽다. 같은 1910년, 한국 사회는 과연 그러한 '근대성'을 갖추고 있었던가? 메이지 유신 이후 40여년만에 일본이라는 사회의 근대성은 이렇게까지 빨리 발현되었단 말인가?)


제6장, '여자의 부정과 국가'는 소설 '행인'에 등장하는 '여자'라는 존재에 대한 규정을 분석하고 있다. 지식을 익힌 '문명인' 이치로에게 여자란 자기 스스로 통제를 할 수 없는 '자연인'이자 남성의 가부장적 질서유지와 통제의 대상이 되어야 했다는 이야기이다. 소세키에 있어서 개인주의란 고등교육을 받아 '인격'을 갖춘 남성에 한정되었다는 결론이다.


제7장 '개인주의의 파탄'은 소설 '마음'에 등장하는, '고립과 자기로 넘쳐나느 현대'와 '메이지 정신'의 대립을 다루고 있다. 사실 앞의 여러 장과는 달리 이 7장에 나타나는 소세키의 모습은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일본 극우의 모습 거의 그대로이다. '마음'에 등장하는 '메이지 정신'이란 천황 또는 국가에 순사(殉死)하는 일 그 자체이며, 또한 철저히 여성을 배제한 남성들만의 세계이다. (이 대목에서 동성애자인 미시마 유키오가 생각나는 것은 어쩔 수 없었다.) 메이지 유신 100년이 되는 1968년을 전후하여 '마음'에 등장한 '메이지 정신'을 재발견했다는 대목도 의미심장했다. 하지만, 가장 인상깊었던 부분은 서양과 어깨를 나란히 하기 위해 '문호'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던 일본 사회가 1916년 소세키 사망 직후에 이미 그를 '문호'로 치켜세우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자기본위'를 주장한 '개인주의자' 소세키야말로 서양과 맞설 수 있는, '국가를 위하여 소설을 쓴' '민족을 대표하는 문호'로서의 자격이 있다는 논리다.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 소설이라는 이광수의 '무정'이 나온 것이 1917년인데, 그 바로 전인 1916년 일본은 이미 디킨스나 발자크, 톨스토이와 맞서는 '문호'를 만들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일본의 내셔널리즘은 지금으로부터 딱 한 세기 전 이미 '문호'를 만드는 단계에 돌입한 것이다. 솔직히 무섭다.


내가 알기로, 한국 문학에는 아직 '문호'라고 부를 만한 소설가가 없다. 굳이 만들고 싶지도 않다. 어차피 '문호'란 19세기 내셔널리즘이 한창 유럽을 휩쓸 때의 산물 아니겠는가. 우리 한국의 민족주의 형성에 '문호' 내지 근대 문학이 기여한 바가 크지 않다는 생각도 든다. 그렇다고 해서 지금 '문호'를 만드는 시대착오적인 행동을 하고 싶지는 않다. 어차피 '본격 소설'은 이제 대중 문화의 자리에서 내려왔으니까.


제8장 '국가의 말'은 소세키가 아닌 모리 오가이라는 소설가의 '무희'를 다루고 있다. 찾아보니 모리 오가이는 소세키와 함께 일본 근대의 '양대 문호'로 추앙받는 소설가라고 한다. 이 책에 인용된 평론가의 말대로 '임신한 여자를 버리고 성공가도를 달리는 남성의 이야기'인 이 소설이 일본 '문호'의 데뷔작이요 대표작이 된 것은 분명 이유가 있을 것이다. 저자는 그 이유를 동양 남성이 '가난하고 사투리를 쓰는' 서양 여성을 소유하고 지배하는 '뒤틀린 제국주의' 내지 '콜로니얼리즘의 역전된 형태'에서 찾는다. 한국 남성에서도 흔히 발견되는 이러한 심리가 1890년 나온 거의 일본 최초의 근대 문학이라고 할 수 있는 이 소설에서 발견된다는 것을 어떻게 생각해야 할까. 서양 여성에 대한 애정보다 국가를 지탱하는 남성 사회의 가치관을 우위에 놓으면서, 그 서양 여성이 정신이상이 되었다는 것을 핑계로 쉽게 떠나 버린 주인공의 결정은 '남성 중심의 내셔널 아이덴티티'라는 이 책을 관통하는 주제와 일맥 상통한다.


물론, '무희'라는 소설을 읽지 못한 상태에서 이 소설을 '국가주의 이데올로기의 산물'로 예단하는 것은 위험할 것이다. 서양 여성과 사랑을 나누고 헤어지는 동양 남성의 이야기에서 느껴지는 '찌질함' 내지 '비열함'을 솔직하게 표현한 것 역시 문학으로서의 강점이 될 것이다. 찾아보니 오히려 서양 여성의 강인한 자아와 비교하여 주인공의 비윤리적 행동을 반성했다는 해석도 있다. 어쨌든, '부잣집 동양 청년이 가난한 서양 소녀를 버리는' 이야기가 일본의 대표적 근대 문학이라는 사실은 참 복잡한 감정을 가지게 했다.


제9장, '메이지 이데올로기의 희생자들'은 일본 식민지 말기 조선인들이 쓴 '친일문학'에 드러난 일본의 모습을 알아보고 있다. 이광수, 서정주의 소설에 나타난 일본의 모습은 기본적으로 '질서'요 '규율'이며 억압적 근대이다. 서정주의 친일문학에서 일본에 대한 소극적인 저항의 기미를 찾아낸 것이 이채롭기도 하다. (서양의) 개인주의와 자유주의는 '일본주의'와 공존할 수 없으며, 일본이라는 국가에 충성을 바치려는 조선 남성들에게 어머니, 누이, 아내 등의 조선 여성들은 방해가 될 뿐이었다.


식민지 시대 조선인들이 일본어로 쓴 '친일문학'에 대해서 좀 더 다양한 연구가 있어야 한다는 생각을 해 본다. 저자는 서정주의 소설에서 약간의 '저항'을 엿보았지만, 결국은 '친일문학'의 분석에 있어서 가장 일반적이라 할 수 있는 '내셔널리즘'의 증거 추출에서 멈춘 셈이다. 위에서 잠깐 언급한, 식민지 시대 조선 문학가들이 일본 문학에서 받은 영향이 일본어로 쓴 '친일문학'에 더 잘 드러날 수도 있으니까.


제10장 '공모하는 표상'은 '무기교의 기교'로 잘 알려진, '조선의 문화예술을 사랑한 일본인' 야나기 무네요시에 대한 비판적인 의견을 담고 있다. 그가 내세운 일본의 모습은 '폭력의 일본'이 아닌 '사랑과 예술의 일본'이었지만, 결국 일본=남성, 조선(예술)=여성으로 비유한 것은 대표적인 내셔널리즘의 '타자화'라는 것이다. 일본이 사랑의 주체로서 즐겁고 화려한 색채로 칠해진 모습을 가지게 하기 위해서, 조선은 위로의 객체가 되어 슬프고 외로운, 선 중심의 하얗고 쓸쓸한 모습으로 고정되었다고도 주장한다. 조선 예술의 고유성에 대한 강조는 '국가로부터 자립이 가능한 예술'을 상상하게 하여 오히려 조선의 식민지화를 정당화했다는 얘기도 있다. 야나기에 대한 비판이 오래 전 박종홍, 고유섭으로부터 시작되어 김지하, 최하림, 김달수 등으로 이어졌음을 지적하기도 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저자가 흔히 '친한파 지식인'으로 일컬어지는 야나기 무네요시에 대해서도 '한국을 배재하는' 내셔널리즘과 '한국을 여성화하는' 젠더의 시각으로 비판하고 있다는 점이다.


종장 '근대를 넘어서'에서 '근대적 자아'란 개인주의적 성격을 지니면서도 근본적으로 '내셔널한 자아'이며 '국가에 소속되기를 희구하는 자아'일 수밖에 없다고 저자는 지적한다.


이제 마지막 페이지에 와서야 이 책에서 가장 중요한, 그리고 저자가 현재 한국의 내셔널리스트와 힘든 싸움을 하고 있는 배경을 잘 드러내는 대목이 등장한다.


"긍지를 필요로 하는 내셔널 아이덴티티의 구조는 자신이 주변화한 타자에게도 전염된다. 특히 저항 내셔널리즘은 국가를 선험적인 것으로 여기는 발상이 절실할 수밖에 없었고, 그 때문에 내부의 다른 억압을 정당화하고 갈등과 분열을 은폐할 수 있었다. 물론 피지배자들의 욕망이나 모숨은 그들이 놓였던 지배구조 자체에 기인한 것이다. 그러나 그에 대한 자각이 없다면 피지배자들 역시 그들이 비판하던 지배와 폭력의 순환구조에 언제든 가담하게 된다."


일본 식민 지배에서 벗어난 지 70년이 흐른 현 시점에서 아직도 우리에게 '저항 내셔널리즘'이 필요하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물론 '내셔널 아이덴티티'의 주술에서 벗어나 '스스로의 목소리'를 발견하는 작업은 결코 쉽지 않다. 하지만 '저항 내셔널리즘'에 안주하려고 할 때마다 그 안에 시퍼렇게 살아 있는 '지배와 폭력의 순환구조'를 감당하기가 너무나도 버겁게 느껴지는 것은 저자와 내가 마찬가지인 듯하다.

문학동네 내셔널 아이덴티티와 젠더

문학동네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내셔널 아이덴티티와 젠더 (나쓰메 소세키로 읽는 근대)

원서명 ナショナルアイデンティティとジェンダ― - 漱石·文學·近代
저자 박유하
역자 김석희
출판사 문학동네
발행일 2011년 7월 8일 발행




도서소개

일본근대문학을 확립한 대문호이자, 1984년부터 2004년까지 이십 년간 천엔권에 초상이 쓰일 정도로 일본인에게 가장 많은 사랑을 받은 작가 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 1867~1916). 일반 대중 사이에서의 인기는 물론이거니와 "하루에 세 편씩 논문이 나온다"는 이야기가 회자되던, 연구자들 사이에서도 최고의 인기를 누린 작가가 바로 나쓰메 소세키다. 박유하 교수는 일본의 대표적인 근대 "문호"로 사랑받아온 나쓰메 소세키의 작품 읽기를 통해 한국에서도 적지 않은 독자를 확보한 소세키 문학에 치명적인 문제가 있음을 지적한다.





저자소개



게이오 대학 문학부 국문학과(일본문학) 졸업 후 와세다 대학교 문학연구과에서 일본근대문학을 전공하고 「일본근대문학과 내셔널 아이덴티티」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세종대학교 일어일문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저서로 『반일민족주의를 넘어서』 『화해를 위해서―교과서·위안부·야스쿠니·독도』, 일어 저서로 『내셔널 아이덴티티와 젠더―소세키·문학·근대』 『좌담회 쇼와문학사 5』(공저) 『문학의 어둠·근대의 침묵』(공저) 『동아시아 역사인식논쟁의 메타히스토리』(공저) 등이 있다. 역서로 가라타니 고진의 『일본근대문학의 기원』, 나쓰메 소세키의 『마음』, 오에 겐자부로의 『만엔원년의 풋볼』 『인생의 친척』 『아름다운 애너벨 리 싸늘하게 죽다』 등이 있다.




목차보기

한국어판 서문

서장 모더니티로서의 내셔널 아이덴티티
제1장 소세키의 문명관
제2장 소세키적 개인주의―「현대일본의 개화」와 「나의 개인주의」
제3장 두 개의 "시골"―『풀베개』와 『도련님』
제4장 소세키와 제국주의
제5장 개인주의의 방향―『그후』와 『문』
제6장 여자의 부정(不貞)과 국가―『행인』
제7장 개인주의의 파탄―『마음』
제8장 국가의 말―모리 오가이의 『무희』
제9장 메이지 이데올로기의 희생자들―"친일"파와 학도병들의 죽음에 이르는 사상
제10장 공모하는 표상―야나기 무네요시와 해방 후 한국의 자기구축
종장 근대를 넘어서

최초 발표 지면





편집자 리뷰


일본의 국민작가, 나쓰메 소세키를 해부하다!

일본근대문학을 확립한 대문호이자, 1984년부터 2004년까지 이십 년간 천엔권에 초상이 쓰일 정도로 일본인에게 가장 많은 사랑을 받은 작가 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 1867~1916). 일반 대중 사이에서의 인기는 물론이거니와 ‘하루에 세 편씩 논문이 나온다’는 이야기가 회자되던, 연구자들 사이에서도 최고의 인기를 누린 작가가 바로 나쓰메 소세키다. 박유하 교수는 일본의 대표적인 근대 ‘문호’로 사랑받아온 나쓰메 소세키의 작품 읽기를 통해 한국에서도 적지 않은 독자를 확보한 소세키 문학에 치명적인 문제가 있음을 지적한다.
박유하 교수는 『도련님』 『풀베개』 『그후』 『문』 『마음』 『행인』 등 나쓰메 소세키의 대표작을 통해 소세키가 영문학자에서 소설가로 변해가는 과정과 서양에 대한 그의 ‘모방성의 욕망’을 읽어나간다. 박유하 교수는 소세키가 백여 년 전 가을, 만주와 조선을 여행하며 쓴 기행문에서 일본의 제국주의를 ‘발전’으로 간주하였고, ‘더러운’ 중국인과 조선인에 대한 차별감정을 감추지 않았다는 사실을 지적하며 일본의 우익주의자들이 ‘근대 진보 지식인’으로 소세키를 존경하고 있고, 󰡔마음󰡕에 등장하는 ‘국가를 위한 죽음’을 칭송한다는 사실을 비판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소세키의 문제점이 소세키나 일본에 한한 것이 아닌, 한국사회에서도 애국심과 국가주의는 떼려야 뗄 수 없는 문제점임을 지적하며 『내셔널 아이덴티티와 젠더』의 의의를 확립한다.
내셔널 아이덴티티 감각의 뒷받침에는 언어나 혈통의식, 문화가 동원된다. 그 가운데 내셔널 아이덴티티 형성에 가장 크게 기여한 분야는 바로 문학이다. 다른 예술 분야와 비교해서 ‘문학’은 “모국어 신화에 의존해 언어 습득이나 사고방식, 관습의 이해를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가장 폐쇄적인 ‘배제의 체계’”다. 바로 이 문학을 기반으로 박유하 교수는 “‘근대일본’이 ‘일본근대문학’을 만든 것이 아니라, ‘일본근대문학’이 ‘근대일본’을 만들었다고” 주장한다. 그는 워싱턴 어빙의 『스케치북』과 『내셔널 리더』를 통해 메이지의 청년들이 서양 문체를 내면화하고 새로운 표현과 새로운 ‘문학’을 꿈꿔가는 과정을 읽어간다. 그리고 바로 이 시기, 자기 존재의 의미를 내셔널 아이덴티티 속에서 발견하고자 했고 ‘서양’과는 다른 일본만의 ‘고유’함을 찾으려고 고심한 작가로 바로 나쓰메 소세키를 꼽는다. 저자는 소세키의 이와 같은 ‘자기본위’ 사상이 높이 평가되었고, 교과서에 그의 작품이 수록되면서 집단 기억을 형성하여 마침내 소세키가 20세기 일본의 정신적인 중심에 존재하게 되었다고 보았다. 다시 말해, 박유하 교수는 소세키를 ‘만들어진 근대문학의 아버지’로 인식한다.

이 책에서는, 이 같은 문제의식에 입각해서, 나쓰메 소세키를 중심으로 하는 근현대 ‘일본’의 ‘문학’ 텍스트를 대상으로, 내셔널 아이덴티티의 형성과 거기에 수반되는 여러 문제점을 밝히고자 한다. 그 시도는 결과적으로 소세키 비판이 되겠지만, 이 책의 관심은 소세키 비판 자체보다도 오히려 동시대가 필요로 했던 ‘소세키’ 독법이 후대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를 보는 데 있다. 또한 여전히 강렬한 민족주의적 사고를 재검토하는 데 있다. -26쪽


일본과 한국, 나아가 동아시아라는
거대한 시간과 공간 속에서 나쓰메 소세키를 읽는다!
----

1장 「소세키의 문명관」부터 2장 「소세키적 개인주의」와 3장 「두 개의 ‘시골’」에서는 소세키가 런던 유학 시절에 남긴 일기와 메모, 이 시기의 체험과 사상이 남긴 훗날의 강연 「나의 개인주의」와 「현대일본의 개화」를 토대로 그가 ‘서양’이라는 타자를 만나 경계의식을 품고 ‘일본인’이라는 주체를 만들어나가는 모습을 분석했다. 작가 소세키의 탄생에 있어 영국 체험은 떼려야 뗄 수 없는 원체험이다. 그는 런던(서양)에서 접한 새로운 문물에 대해 “긴자 경치보다 50배”라는 식의 일본과 ‘비교’하여 받아들였다. 자신의 노란 피부, 작은 키 같은 외형은 물론이고 청결, 교양 같은 문명화된 모습까지 서양의 모습을 통해 늘 일본을 뒤처져 있는 존재로 인식하고 이에 근대적 열등감을 내면화한 소세키는 이를 서양 혐오와 ‘정신’을 통한 저항 내셔널리즘으로 은폐한다. 그리고 “뭔가 남을 위해 국가를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있을 것 같다고 어렴풋이 생각”하여 결국 ‘국가를 위하여’ 작가가 된다. 서양에 대한 비뚤어진 열등감이 작가 소세키를 탄생의 기반이었다는 점에서 결국 작가 소세키의 등장은 일본근대 출현과 맞닿아 있다.
4장 「소세키와 제국주의」에서는 『만주·한국 이곳저곳』을 중심으로, 아시아를 향한 소세키의 시선을 분석하고, 소세키의 제국주의적 감성에 대해 지적했다. 소세키는 『만주·한국 이곳저곳』에서 “한 사람을 보아도 더럽고, 두 사람이 몰려 있으면 더더욱 봐주기 괴롭다. 이렇게 많이 몰려 있으면, 더욱더 꼴사납다”와 같은 발화를 통해 중국, 조선과는 차별화되는 일본을 확립하여 제국주의 담론을 모방한다. 「만한시찰」에서는 “역시 일본인은 믿음직스러운 국민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따라서 어디에 가든 어깨가 으쓱해지고 기분이 좋습니다. 이에 반해 중국인이나 조선인을 보면 대단히 불쌍해집니다. 다행히도 일본인으로 태어났으니 행복한 일이라고 생각했습니다”라고 하며 당시 일본 식민지인 만주나 조선에서 일본인이 벌인 일련의 ‘활동’을 ‘문명’의 이식으로 해석했다. 박유하 교수는 이런 점을 통해 소세키가 그동안 전쟁이나 국가주의, 그리고 문명을 비판해왔다고 평가되었지만 오히려 ‘일본’이 그 수행 주체가 될 때는 비판보다는 긍정적인 입장을 취했다고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5장 「개인주의의 방향」에서는 『그후』와 『문』을 통해 공동체의 ‘규범’에 대한 도전으로서 개인주의가 시도되면서도, 동시적으로 그와 같은 일탈에 대한 단죄도 준비되고 있었다는 사실, 그 배경에 이성애주의에 근거한 근대국민국가의 질서사상이 존재했음을 밝힌다. 5장에서 불륜으로 맺어진 부부를 단죄한 소세키는 6장 「여자의 부정과 국가」에서는 아내의 부정을 의심하며 고민하는 남편을 전면에 내세우면서(『행인』) 자기를 잊고 절대적 초월적 자아를 완성하는 일을 지향하는 정신주의가 필연적으로 죽음의 사상으로 이어짐을 지적한다. 7장 「개인주의의 파탄」에서는 메이지 정신이 현대를 비판하는 것은 과거(전통)에 의미를 부여하고자 하는 시도이며, 국가를 위한 죽음이 개인, 혈연으로 이어진 신체적인 아버지가 아니라 정신적 아버지인 국가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마음』 읽기를 통해 보여준다. 8장 「국가의 말」에서는 잠시 소세키에서 벗어나 모리 오가이의 『무희』에서 볼 수 있는, ‘사랑’=‘사적 공간’의 감정을 배제하고 ‘일’이라는 ‘공적 공간’을 우선시하면서 ‘국가의 사람’이 되어가는 남성들의 양상을 읽어간다. 이 같은 구체적인 소설 텍스트 읽기를 통해 박유하 교수는 이제까지 개인의 영역인 ‘근대적 자아’를 추구하는 것이라고 받아들여진 메이지 문학을 내셔널한 ‘근대적 자아’의 추구로 받아들인다.
9장 「메이지 이데올로기의 희생자들」에서는 메이지 지식인들이 만들어낸 국가공동체적 자아의 사고에 동시대 일본인은 물론이고 식민지 조선인들까지도 구속됐음을 보여준다. 박유하 교수는 식민지 말기의 한국문학과 『들어라, 해신의 소리』의 분석을 통해 종주국뿐 아니라 식민지 국가의 남성들도 ‘국민되기’의 욕망을 공유하고 있었음을 밝힌다. 또한, 국가=천황을 위한 죽음(국민되기의 완성)이 남성에게만 가능한 행위로 간주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개인주의나 효행주의는 낡은 전통으로 치부되어 배제하는 모순과 혼란이 있었음을 밝혔다. 10장 「공모하는 표상」에서는 조선을 얌전하고 유순한 ‘여인’으로 바라보며, “한국예술의 진정한 특징이 한(恨)의 미(美), 비애나 애상의 미”라는 식으로 이별, 슬픔 등을 한국의 특색으로 받아들인 야나기 무네요시의 분석이 실은 제국주의를 유지시키는 담론이었음을 비판한다.
종장 「근대를 넘어서」에서는 오늘날 소세키 평가를 굳건히 하는 데 지대한 역할을 한 보수 평론가 에토 준 분석을 통해 소세키가 국민작가로 만들어지는 과정을 고찰한다. 박유하 교수는 “소세키 텍스트에 나타나는 외부에 대한 저항의식과 내부에 대한 강한 소속의식이, 소세키를 ‘국민작가’로 만들었다”고 하며 에토의 소세키론을 통해 서양에 대항할 수 있는 ‘일본문학’을 욕망한 소세키의 텍스트가 필연적으로 국가 이데올로기의 일단을 담당하게 되었다고 보았다. 다시 말해, “‘문명’=교육의 세례를 받은 ‘일본’ ‘도회지’ ‘엘리트’ ‘남성’ 중심주의적 발상에 근거한 담론을 통해, ‘아시아’ ‘시골’ ‘무교육’ ‘여성’의 영역을 차이화”하는 소세키의 텍스트가 일본의 국민작가, 일본의 국민문학을 창출하는 데 기여했다고 본다.
“나 자신의 소세키론을 비롯한 수많은 소세키론 속에서, 이 책은 획기적이다. 소세키론에 존재해온, 즉 근대일본의 담론에 존재해온 모든 암묵적인 전제를 깨버렸다”라는 가라타니 고진의 『내셔널 아이덴티티와 젠더』에 대한 평가처럼, 이 책은 그동안 수동적으로 인식해온 일본의 국민작가 나쓰메 소세키에 대해 그의 작품은 물론이고, 당시의 사회·문화상, 수많은 나쓰메 소세키론을 치밀하게 분석한 소세키론의 완성이자, 소세키론을 통해 일본근대를 읽어나간 회심의 역작이다.

소세키를 포함한 ‘서양’에 대치했던 작가들이 칭송받은 것은, 그들이 ‘서양’에 대해 잘 알면서도, ‘도취’되지 않고, 저항적인 ‘자기’를 견지했기 때문이다. 일찍부터 서양에 소개되어 받아들여졌던 가와바타 야스나리나 다니자키 준이치로에 비해, 나쓰메 소세키가 20세기에 일본 국내에서 압도적인 지위를 얻은 이유는 이와 같은 점에 있다. 즉, 소세키 텍스트에 나타나는 외부에 대한 저항의식과 내부에 대한 강한 소속의식이, 소세키를 ‘국민작가’로 만든 것이다. - 337~338쪽

■추천사
나쓰메 소세키는 지식인에서 대중, 어린이에서 노인까지 일본의 모든 계층 사람들에게 사랑과 존경을 받아왔다. 그 점에서 나쓰메 소세키는 말 그대로 ‘국민작가’다. 그 때문에 소세키론은 단순한 작가론일 수 없고, 일본의 문학 비평은 소세키를 어떻게 읽을지에 모든 것이 달려 있다.
나 자신의 소세키론을 비롯한 수많은 소세키론 속에서, 이 책은 획기적이다. 소세키론에 존재해온, 즉 근대일본의 담론에 존재해온 모든 암묵적인 전제를 깨버렸다. 박유하 교수는 여성이자 한국인이라는 이중의 타자성을 살려, 이를 해냈다. _ 가라타니 고진

박유하 교수의 연구는 문학과 역사학, 사상사와 비평이라는 오늘날 인문과학의 주요 부분을 총괄하고 있고, 그 기반을 토대로 일본과 한국 나아가 동아시아라는 거대한 시공간 속에서 구상된 작업이다. 시간적·공간적으로 지극히 다이내믹한 폭과 가능성을 지녔으며, 동시대의, 일본과 한국, 동아시아의 젊은 연구자들에게 커다란 자극을 주었다.
『내셔널 아이덴티티와 젠더』는 근대일본의 여러 텍스트와 그 텍스트가 환기하는 여러 문제를 통해, 내셔널 아이덴티티와 젠더가 어떻게 개인의 주체 형성과 타자와의 관계성에 균열과 갈등을 초래했는지를 고찰한다. 이는 (박유하 교수의 연구가) 지금까지의 문학연구의 협소한 틀을 벗어난 작업임을 증명한다.
박 교수는 나쓰메 소세키라는 정전(正傳)과 권위 있는 비평가와 학자 들이 지켜온 ‘소세키 신화’에 도전하여, 이제까지 아무도 하지 못한, 정곡을 찌르는 비판을 해냈다. 개인주의와 국가주의는 대립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보완적인 관계에 있다는 사실을 ‘소세키적 개인주의’라는 개념으로 지적한 비판은, 단순히 나쓰메 소세키 한 사람의 문제에 한정되지 않는다. 말하자면 근대일본의 주체와 아이덴티티 구축에 기여해온 문학과 문화의 제반 담론이 지닌 함정을 파헤친 것이다. _ 쓰보이 히데토

문학 연구자가 무의식적으로 근대의 차별을 지탱하여 공범이 되고 마는 구조가 있다. 문학 텍스트와 작가, 독자의 공범관계를 비판하는 『내셔널 아이덴티티와 젠더』는 지금 요구되는 사유의 형태를 모든 독자들에게 보여줄 것이다. _ 나이토 치즈코


ナショナル・アイデンティティとジェンダー (日本語) y 朴 裕河

ナショナル・アイデンティティとジェンダー (日本語) 単行本 – July 10, 2007
by 朴 裕河  (著)
3.0 out of 5 stars    2 customer reviews
---

1.0 out of 5 stars重大な疑義
By えんじゅの樹 on June 17, 2014
Format: 単行本
先行研究を意図的に参考文献から排除するのは、明らかな論文不正だと思う。この本の「アパッチ小説」をめぐる議論は、青土社の雑誌『ユリイカ』の2000年12月号の特集「梁石日」で扱われているものである。巧妙に剽窃にならないように、先行研究を避けているが、それは研究者としてはむしろ悪質な行動だともいえる。博士論文の元になった研究で、梁石日を扱い、しかもアパッチ小説と称して論じているのに、この有名な雑誌の特集を知らなかったとは絶対にいえないだろう。だとすれば、知っていて「あえて隠蔽した」ということだ。早稲田大学の学位授与の基準も問題だ。少なくとも、同様の研究を行っている論文(川村湊氏と李建志氏の論文)をなぜわざわざ隠蔽したか、説明する必要があろう。相当に売れている書き手が書いたこの本が、早々に品切れ重版未定になっているのも意図的ではないかとさえ思えてします。作者には説明を求めたい。
Comment  10 people found this helpful. Was this review helpful to you?
---
5.0 out of 5 stars隣国の尊敬すべき研究者
By iskra on March 1, 2016
Format: 単行本
恥ずかしい話なのですが、語学力の制約から海外の研究者の成果は英語文献以外には全く接したことがありませんでした。このたび、著者の朴教授が被告人となった(日本で言うところの)表現・学問の自由に関する裁判経過に関心を持ち、遅ればせながら邦訳された、もしくは邦語で書かれた著作を読んでみたところです。
隣の韓国にこれほどの学者がいたのか、という率直な感想を得ました。

書名から見るなら文学論、フェミニズム論、また戦争責任に関する考察が中心とも思われるでしょうが、教授の思想スパンは広く文明・文化論、資本制論にまで及ぶものです(もちろん表現には未だこなれないところはありますが)。上野千鶴子先生を知った時の衝撃に近いものがある、と言うならこの人のスケールを知って頂けるでしょうか。

朴教授の研究には更に教えて頂きたいところなのですが、朝鮮語を解さない自らの不能は如何ともしようがありません。人文社会系の研究者には是非一読をお勧めします。
尚、研究論文における「剽窃」云々は、他者論文の一部を引用しながら脚註・後註にその旨を明記しない場合に成立する概念であり、単に主題や着想をヒントとしたケースでは言及は必須ではありません。また大学における学位論文審査でも、指導教官、副査、査読者は審査論文に関係するかも知れない商業誌の内容にまで精通することは求められていません。そもそも本書第12章「共謀する表象―『アパッチ族』をめぐる戦後日本小説を中心に」は教授の学位申請論文に含まれていないことは、450頁の「初出一覧」に明記されています。良く読んでから、その後に初めて感想を述べるに値する良書なのです。

2017-02-27

閔妃(ミンビ)は誰に殺されたのか 2004 by 崔 文衡

閔妃(ミンビ)は誰に殺されたのか―見えざる日露戦争の序曲 (日本語) 単行本 – February, 2004
by 崔 文衡  (著, 原著), 金 成浩 (原著, 翻訳),
3.5 out of 5 stars    4 customer reviews
---
Product Description
内容(「BOOK」データベースより)
朝鮮半島をめぐる緊迫した国際関係の視点から朝鮮王后・閔妃殺害事件の真相に迫る。

内容(「MARC」データベースより)
日韓最大の歴史ミステリー。日本の最初で最大の歴史歪曲であるといえる朝鮮王后・閔妃殺害事件。朝鮮半島をめぐる緊迫した国際関係の視点から、閔妃殺害事件の真相に迫る。
---
単行本: 262 pages
Publisher: 彩流社 (February 1, 2004)
----
Top Customer Reviews

1.0 out of 5 stars妄想を膨らませた「反日史観」から一歩も出てない書籍である
By 佐渡高千 on August 31, 2009
Format: 単行本
 『閔妃』殺害の犯人を「井上 馨」だとしている。これについては後述するが、私が一番知りたいのは『閔妃』がどうして殺害されたのかということである。つまり、『閔妃』が当時、日本人だけでなく朝鮮人の間でどう評価されていたかということである。この評価は大切で「政敵」あるいは民衆の敵が存在すれば殺害もあったと考えるからである。この書籍ではここのところがハッキリしない。政敵といえば「高宗」の尊父である「大院君」であり、『閔妃』は「壬午軍乱」(1882年)で一度殺されかかっている。この「軍乱」には「大院君」が『閔妃』を排斥しようとして起こしたものとされている。これに限らず「大院君」は『閔妃』の最大の政敵だったのである。著者がなぜ『閔妃』殺害について「大院君」の影を否定するかというと何が何でも首謀者を「日本人」のみに帰したいからである。
 閔妃殺害に朝鮮人の「訓練隊」が参加していたが(日本式訓練を受けていた「訓練隊」は閔妃により解散の危機に瀕していた)、著者はここでもその役割を矮小化する。「禹 範善」は前日の京城守備隊本部での臨時会議にも出席しており、当日も王宮に日本人と一緒に入り国王の行動を阻止するためその居所を取り巻いているのにだ。こうした<矮小化>の意図はあくまで「閔妃暗殺」は日本人主導で朝鮮人が加わっており役割を負担としたのではまずいのである。
 そして「井上 馨」である。彼は後任の「三浦梧楼」とは朝鮮観が異なっており、「井上 馨」が首謀者であるとは考えがたい。
 閔妃殺害に「三浦梧楼」公使が加わっていたのは間違いなかろうが、朝鮮人も参加しており、その実体・背景は謎である。「三浦梧楼」公使の背後にいた日本政府首脳(誰かは不明)が引き起こしたものか、『閔妃』の最大の政敵だった「大院君」と「三浦梧楼」との合作だったのか、などは不明だということである。真相を究めるのは大切だが、資料を自説に有利に扱うのだけは止めていただきたいと考える。

"민비"살인의 범인을 "이노우에"라고하고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내가 가장 알고 싶은 것은 "민비"왜 살해 되었는가 하는 것이다. 즉, "민비"당시 일본인뿐만 아니라 조선인 사이에서 어떻게 평가되고 있었는지는 것이다. 이 평가는 중요 "정적"또는 민중의 적이 존재하면 살인도 있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 책은 요즘이 확실치 않다. 정적이라면 '고종'의 尊父 인 '대원군'이며, '명성 황후'는 '임오군란'(1882 년)에서 한 번 살해 걸려있다. 이 "軍乱 '에는'대원군 '이'명성 황후 '를 배척하려고 일으킨 것으로되어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대원군'는 '명성 황후'의 최대 정적이었던 것이다. 저자가 왜 "민비"살해에 대해 '대원군'의 그림자를 부정 하는가하면 무조건 배후를 '일본인'으로 만 돌리고 싶다 때문이다.

민비 살해에 조선인의 '교육 봉사단'이 참여하고 있었지만 (일본식 훈련을 받았다 "훈련 부대"는 민비에 의해 해산의 위기에 처해 있었다) 저자는 여기에서도 그 역할을 왜소화 한다.

"우 範善"전날 경성 수비대 본부에서 임시 회의에 참석하고, 당일도 왕궁에 일본인과 함께 들어 국왕의 행동을 저지하기 위해 그 거처를 둘러싸고 있는데이다. 이러한 <왜소화>의 의도는 어디 까지나 「민비 암살」은 일본인 주도로 조선인이 참여하고 역할을 부담 한 것이 맛이다.

그리고 "이노우에"이다. 그는 후임 "미우라 고로 '는 조선 관이 다르고"이노우에 "이 주모자라고는 생각하기 어렵다.

민비 살해에 "미우라 고로"공사가 참여하고 있던 의심됩니다 만, 조선인도 참여하고 있으며, 그 실체 · 배경은 수수께끼이다. "미우라 고로"공사의 배후에 일본 정부 정상 (누구인지는 불명)이 일으킨 것인지 "민비"의 최대의 정적이었던 '대원군'과 '미우라 고로'와 합작 였는지 등을 알 한다는 것이다.

진상을 연구하는 것은 중요하지만, 자료를 자설에 유리하게 취급 것만은 멈추고 싶다고 생각한다.


Comment  22 people found this helpful. Was this review helpful to you?
-----
5.0 out of 5 stars韓国版『閔妃暗殺』
By かっちゃん on August 25, 2004
Format: 単行本
角田房子著『閔妃暗殺』が「閔妃殺害事件」を日本国民に紹介した功績は大きかった。それまで日本の高等学校日本史教科書には殆んど掲載されていなかったのが、『閔妃暗殺』刊行後は殆んどの教科書に記載されるようになったのである。この書物が韓国語にも訳され、韓国の人たちにも広く読まれていることが分かった。しかし、著者の角田評には手厳しいものがある。事件に対する日本政府の関与については著者の考えに同調できるが、角田の功績も評価すべきである。期待して読み始めたのであるが、井上馨首謀者説については残念ながら実証されていない。史料の裏づけが無いのでは、読者を納得させることはできないだろう。
쓰 노다 후사코의 「민비 암살」이 「민비 살해 사건 '을 일본 국민에게 소개 한 공적은 컸다. 지금까지 일본의 고등학교 일본 사 교과서는 대부분 (거의) 게재되지 않았던 것이 "민비 암살」출간 후 대부분을 교과서에 포함되게 된 것이다. 이 책이 한국어로도 번역되어 한국 사람들에게도 널리 읽혀지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저자의 츠 노다 평에는 혹독이있다. 사건에 대한 일본 정부의 관여에 대해서는 저자의 생각에 동조 할 수 있지만, 츠 노다의 공적도 평가해야한다. 기대 읽기 시작했던 것이다하지만 이노우에 배후 설에 대해 불행히도 입증되어 있지 않다. 사료의 뒷받침이없는 것은 독자를 설득 할 수 없을 것이다.

Comment  17 people found this helpful. Was this review helpful to you?
-----
5.0 out of 5 starsきちんとした論証
By ゆとり on July 29, 2015
Format: 単行本
井上馨が計画し、三浦梧楼が実行したというのが、筆者の主張である。資料も豊富に使われている本書を丁寧に読んでいけば、それが無理のない結論になると私も思う。この当時、日本政府の中で最も朝鮮に長く滞在し、対朝鮮政策の中心にあって、閔妃とも最も多く接してきたのが、井上馨である。その対朝鮮政策の根幹が、閔妃一人によって大きく傷つけられ、妨害され続けるとするならば、その閔妃を排除するべきだと考えても不思議はない。それで後任に外交にはほとんど経験がなく、むしろ武闘派である三浦梧楼を選び、実行犯として命令したというのが、無理のない解釈であろう。それまで朝鮮と何の関係もなかった三浦梧楼が自分自身の判断で、日本政府の要人の許可なく実行したと考えるほうが無理がある。三浦梧楼が実行犯で真犯人は井上馨であろう。それを裏づけるのが、井上馨から三浦梧楼への引き継ぎが異様に長くかかっているということであろう。このあたりの説明は素晴らしい。多くの日本人読者は、本書が反日ということで冷静な評価ができていないように思う。

이노우에가 계획하고 미우라 고로가 실행했다는 것이 필자의 주장이다. 자료도 풍부하게 사용되고있는 책을 세 심하게 읽어 나가면 그것이 무리없는 결론이되면 나도 생각한다. 이 당시 일본 정부의 가장 조선에 오래 머물 대조선 정책의 중심에 있고, 민비와도 가장 많이 접해 온 것이 이노우에 馨で있다. 그 대조선 정책의 근간이 민비 한 명에 의해 크게 손상 방해되는 것을 계속한다면 그 민비를 제거한다고 생각해도 놀라운 일이 아니다. 그래서 후임으로 외교에 약간의 경험이없고, 오히려 무투 파 인 미우라 고로를 선택하고 실행 범으로 명령했다는 것이 무리없는 해석 일 것이다. 그때까지 조선과 아무 상관이 없었다 미우라 고로가 자신의 판단으로 일본 정부 요인의 허가없이 실행했다고 생각 편이 무리가있다. 미우라 고로가 실행 범으로 진범은 이노우에 馨で있을 것이다. 
그것을 뒷받침하는 것이 이노우에에서 미우라 고로에 이어이 이상하게 오래 걸려 있다는 것이다. 이 근처의 설명 좋다. 많은 일본인 독자는이 책이 반일 것으로 냉정한 평가가되지 않도록 본다.
Comment  2 people found this helpful. Was this review helpful to you?
-----
3.0 out of 5 stars
明治の男たちが仕出かしたこと
By 濱哲 on May 15, 2010
Format: 単行本 Verified Purchase
  「井上馨」の存在に目を付けたあたり新種の着眼だなと思ったが、その中身を追って行くと、まいど御馴染み、歴史好事家好みの陰謀史観に嵌ってしまった。
  まったく痛ましいかぎりの事件であり、あの時代の日本人のおつむの単純さ、粗暴さってのは弁護のしようがないが、しかし、だからといって、そこに日本政府の謀略やら、背後で糸を引く黒幕の策謀を想定するのは考えすぎというもので、残念ながら、叩いても何も出ないだろうと言わざるを得ない。
  やはり、あの暗殺事件は、岡本柳之助が出馬を請うため大院君の許へ赴いたさい、中々許諾の返事が得られないうちに時間が経過し、酒を呑んで待機していた壮士連がベロンベロンに酔っ払った勢いで仕出かしたフロックに近い事件と見るのが正鵠を射ているのではないか。
  なぜなら、暗殺されたという結果のほうから見てしまうと、閔妃が大きな政治力を持っていたかのように錯覚しがちだが、親清派だった閔妃一派=事大党は、日清戦争中すでに日本軍のソウル占領あたりから、気の強い閔妃が、性格の弱い高宗の袖を掴んでいるという細い線に縋って、多少の影響力を残していたというにすぎず、この事件の当時は、もはや大幅に李朝宮廷での政治力を削がれていたからだ。いわゆる親日派「金魚内閣」の崩壊は、この暗殺事件の結果なのであって、政権が高宗の信任を失ったことから起きたこと。
  三浦梧楼にしても、せいぜい小煩い閔妃を高宗から引離し、どこかへ幽閉しようと狙ったくらいの企図でクーデターを仕掛けたところが、思わぬ手違いから殺してしまうことになって慌てたくらいのところが関の山で、およそ遠謀深慮なんかあったものではないと言えよう。
  三浦梧楼や岡本柳之助の自伝などに目を通してみると、こういうタイプの人間の考え方や性格が解るのではないかと思うが、そうしたニュアンスまで紙背から読み取るのは、日本語をマザーランゲッジとする人間でないと、ちょっと難しいか。

"이노우에"의 존재에 주목 한 당 신종 착안 이구나라고 생각했지만, 그 내용을 따라 가다 보면 매번 너의 익숙한 역사 호사가 좋아하는 음모 사관에 빠져 버렸다.
전혀 아픈 한 사건이며, 그 시대의 일본인의 おつむ의 단순함, 난폭 함이라고하는 것은 변론하자가 없지만, 그렇다고해서 거기에 일본 정부의 모략든지 뒤에서 실을 당기는 흑막의 술책을 상정하는 것은 지나치게 생각하는 것으로, 불행히도 두드려도 아무 것도 나오지 않을 것이라고 말하지 않을 수 없다.
역시 그 암살 사건은 오카모토 柳之 도움이 출마를 구걸 위해 대원군에게로 향했다 코뿔소, 꽤 허락 대답을 얻지 못할 때에 시간이 경과하고 술을 마시고 대기하고 있던 장사 연이 아가미에 취한 기세로 저지른 플록에 가까운 사건으로 보는 것이 정곡을 찌르고있는 것이 아닌가.
왜냐하면 암살되었다는 결과 쪽에서 보아 버리면, 민비가 큰 정치력을 가지고 것처럼 착각하기 쉽지만 親清派이었다 민비 일파 = 수구당은 청일 전쟁 중에 이미 일본 군의 서울 점령 당에서 신경 강한 민비가 성격이 약한 고종의 소매를 잡고 있다는 얇은 라인에 매달려 약간의 영향력을두고 있었다고 지나지 않고 이 사건 당시는 더 이상 크게 이조 궁정에서의 정치력을 削が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이른바 친일파 '금붕어 내각'의 붕괴는이 암살 사건의 결과 인 것이지 정권이 고종의 신뢰를 잃었다 고에서 일어난 것.
미우라 고로해도 기껏해야 까다로운 민비를 고종에서 떨어지게 어딘가에 유폐하려고 노린 정도의기도에서 쿠데타를 건 곳이 뜻밖의 실수로 죽여 버리게되어 당황한 정도의 그런데 고작에서 약 遠謀 심려 따위 있던 것은 아니라고 할 수있다.
미우라 고로와 오카모토 柳之 도움의 자서전 등을 살펴보면 이런 유형의 인간의 생각과 성격을 알 수있는 것은 아닐까 생각하지만, 그러한 뉘앙스까지 紙背에서 읽을 것은 일본어를 마더 란겟지하는 인간 아니면 좀 어려운가.

Comment  4 people found this helpful. Was this review helpful to you?
-----

2017-02-26

[한일관계][식민지조선] [책] 친일 협력, 강제 동원, 전쟁 "범죄" - 그 전후 처리에 대하여...

[한일관계][식민지조선] [책] 친일 협력, 강제 동원, 전쟁 "범죄" - 그 전후 처리에 대하여...

[한일관계][식민지조선] [책] 친일 협력, 강제 동원, 전쟁 "범죄"
- 그 전후 처리에 대하여
----
세진:
- 지난 한달간에 움직이면서 들은 식민지 시대의 한일관계에 관한 전자책 3권이다. 여기 저기 다니면서 전자책을 오디오로 귀에 꽂고 다니며 들으면, 집에서 앉아 있지 않고, 움직이는 시간에 책을 읽(듣)는 방식이므로, 책을 많이 읽기는 하지만, 때로는 50%만 이해하고 때로는 80%까지 이해한다. 혼자서 걷거나 운전할때는 좋으나, 차의 옆자리에 아내가 앉아도 "테입"은 돌아가고 있는 방식인 것이다. 이런 방식으로는 필요하면 어떤 부분은 다시 듣는다. 정 필요하면 전자책을 부분에 한정시켜 눈으로 읽는다.

- 하여간 친일파 문제, 강제 징용 문제, 그리고 조선인 전범 문제, 모두 내가 읽어 싶었던 책을 슬쩍 슬쩍 많이 읽었다. 제대로 된 서평을 쓰자면, 눈으로 다시 읽어야 하나, 우선은 더 시간을 들이지 않고 이 책 3권에 대한 짧은 인상만 적어 놓기론 한다.

-

=====
[책1] <친일파는 살아있다 - 자유.민주의 탈을 쓴 대한민국 보수의 친일 역정>
정운현 (지은이) (2011)
---
공영방송 KBS가 청산 대상인 살아 있는 친일파 백선엽을 다큐를 통해 미화하면서 역사 바로 세우기 작업은 다시 과거로 되돌아가고 있다. 애초 친일파 청산을 하지 못한 탓에 엄청난 정치적 비용은 물론이고 수많은 사람들의 희생을 불러오며 더디게 민주화를 일굴 수밖에 없었다. 보수의 얼굴을 한 꺼풀 벗겨보면 그들의 속살은 친일로 덮여 있다.

이승만과 친일파의 반민특위 와해 공작, 박정희와 만주 인맥, 민주화 인사의 빨갱이 사냥, 뼛속까지 친일지였던 《조선》 《동아》의 수구·반공 논리 등 친일의 역사가 불러온 거악은 우리의 의식이 되었고, 부지불식간에 생활로 스며들었다. 이 책은 친일파의 역사적 정의에서부터 살아 있는 친일파들의 반동의 역사는 물론 친일을 청산하고자 하는 이들의 눈물겨운 노력들을 찬찬히 살펴보고 있다. 임시정부의 법통을 끊어내고 이승만의 ‘건국’을 역사로 만들려는 보수의 본질이 왜 친일인지를 이 책은 명쾌하게 짚어주고 있다.
---
저자서문

제1장 민족반역의 길로 들어서다
친일파는 민족반역자를 말한다
친일파 제1호, 김인승
의열단의 ‘칠가살’과 ‘오파괴’
친일파는 과연 몇 명이나 될까
‘군수’도 친일파다
조선총독부 ‘장관급’에 오른 이진호와 엄창섭
을사늑약과 을사오적
정미7적과 경술국적
일제가 친일파에 안긴 선물, 귀족 작위
작위를 거절/반납한 사람들
신념을 넘어 직업이 돼버린 친일파
‘민족대표 33인’에서 친일로 변절한 3인
3.1만세의거를 폄훼한 배족의 무리

제2장 나는 황국신민이로소이다
무심코 쓰는 잘못된 역사 용어들
일왕의 대리권자 조선총독 8인
기원절, 천장절 그리고 황국신민의 서사
내선일체, 팔굉일우 그리고 대동아공영권
창씨개명, 조선인의 혼을 빼앗다
성을 가느니 차라리 죽음을 택하겠다
창씨개명으로 ‘황국신민’이 되다
창씨개명 제1호, 친일 승려 이동인
조선총독도 반대한 현영섭의 ‘조선어 전폐론’
이영근, 일본인이 되지 못하면 죽을 달라
‘일선통혼’을 외친 박남규
영덕 갑부 문명기와 ‘가미다나 보급운동’

제3장 뼛속까지 친일파로 살다
허수아비 감투, 중추원 참의
일제의 특혜로 성장한 친일 기업인
두 아들을 지원병과 학도병으로 팔아먹은 조병상
일제의 주구, 고등계 형사
일제 땐 항일투사 고문, 독재 땐 민주투사 고문
일제의 ‘여우’ 밀정
사명당 비석을 네 조각 낸 친일 승려 변설호
신사참배에 앞장 선 친일 목사들
조선인 유일의 ‘신직’, 이산연
국모 살해 가담, 우장춘의 아버지 우범선
한일병탄의 숨은 공로자, 이인직
친일파 김홍집을 ‘애국자’라 부르는 까닭
동학군 접주에서 친일파로 전락한 이용구

제4장 대한민국은 친일공화국이다
역대 대통령/국무총리의 친일 전력
역대 각료/정치인들의 친일 전력
부자/형제, 대를 이어 충견이 되다
친일 세도가, 윤보선 가문
배정자와 여성 친일파
독립유공자로 둔갑한 친일파
친일파, 국립묘지에 눕다
친일파가 심사하고 수상한 3.1문화상
낯 두꺼운 작태, 친일파 기념상
친일파 동상을 고꾸라뜨리다

제5장 친일파는 살아 있다
황군 장교, 반민법정에서 면죄부 받다
간도특설대 출신, 반공주의자로 둔갑하다
전쟁영웅으로 미화된 친일파 백선엽
박정희는 친일파 선정에서 왜 빠졌나
학도병은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다
만주 벌판을 누빈 친일 거두 12인
만주 관료 인맥의 요람, 대동학원과 건국대
재일 친일 거두 2인, 박춘금과 이기동
일제의 나팔수가 된 친일 언론인
《동아》와 《조선》, 민족지의 탈을 쓰다
방응모와 김성수 그리고 홍진기
‘항일 언론인’ 장지연, 서훈이 취소된 까닭
프랑스는 나치 언론인을 어떻게 청산했나

제6장 친일 청산, 역사의 숙명이다
해방 후 친일파 청산의 다양한 논의들
반민법, 우여곡절 끝에 제정되다
반민특위 검거 제1호, 친일 기업인 박흥식
반민법정에서 누가, 어떤 처벌을 받았나
‘당연범’ 김연수는 어떻게 무죄판결을 받았나
이승만과 친일 세력, 반민특위를 와해시키다
‘제2의 반민특위’, 친일규명위는 뭘 했나
국민과 함께 만든 《친일인명사전》
친일재산조사위, 친일파 토지 환수하다

제7장 친일 청산, 기록하는 자와 변명하는 자
임종국, 친일 연구에 평생을 바치다
친일파 연구의 주요 저작들
구차한 친일 변명/변호론
춘원 이광수의 변명, ‘홍제원 목욕론’
역사와 국가 앞에 참회한 친일파들
친일파 후손들은 책임이 없을까
고당과 인촌의 학병 권유 글, 조작일까 변명일까
이병기와 정지용의 친일 시 한 편
‘교사’였다는 이유만으로 평생 속죄한 김남식
대한민국 극우/보수의 뿌리는 친일파

제8장 우리는 부끄럽고, 그들은 부럽다
북한, 친일 청산 우리보다 잘했다
중국, 신속한 재판으로 ‘한간’ 청산
프랑스, 나치 청산의 모범이 되다
----
이광수와 김문집을 능가할 정도로 친일이 농후한 창씨개명의 사례가 또 있다. 일제 경찰의 경시(현 총경) 출신으로 중추원 참의를 지낸 최지환(崔志煥)은 일본의 상징인 후지산(富士山)과 ‘정한론자’인 사이고 다카모리(西鄕隆盛)의 이름을 따서 ‘후지야마다카모리’(富士隆盛)로 창씨개명을 하였다 또 ‘불놀이’로 유명한 시인 주요한(朱耀翰)은 일제의 황도(皇道) 정신인 ‘팔굉일우’를 따서 ‘마쓰무라고이치’(松村紘一)로 창씨개명을 하였으며 친일 승려 출신으로 현 조계종의 종조(宗祖) 격인 이종욱(李鍾郁)은 일본 근위 내각의 외무대신 히로다(廣田弘毅)의 성을 본따 ‘히로다쇼이쿠’(廣田鍾郁)로 창씨했다 ‘일선통혼’을 주장한 박남규朴南圭는 ‘대일본제국의 진짜 신하’라는 의미에서 ‘오오토모사네오미’(大朝實臣)로 창씨를 하기도 했다. - 98-99쪽에서

신사참배는 기독교뿐 아니라 불교·천도교 등 다른 종교에도 적용되었으나 상대적으로 마찰은 적었다. 반면 기독교는 교계 전체가 동참했던 만큼 갈등과 후유증이 컸다. 신사참배에 앞장섰던 일부 교계 지도자들은 해방 후 배척을 당하기도 했다. 그러나 한국 기독교계는 신사참배에 동참한 사실에 대해 제대로 참회하지 않았다. 개인 차원에서는 한경직 목사가 1992년에 템풀턴 상 수상 축하 행사 때 인사말을 통해 자신의 신사참배를 회개한 바 있다. 또 2006년에는 소장파 목회자들이 결성한 한국기독교목회자협의회가 “일제강점기에 신사참배한 일과 독재정권 시절에 권력층과 야합해 정의를 뒤엎기도 한 죄악에 대해 마음을 찢으며 참회한다”는 내용의 반성문을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교단 차원에서는 여태 공식적인 참회가 없었다. - 159쪽에서

3.1문화재단은 2011년 3월 1일 제52회 3.1문화상을 시상했는데, 시상 분야는 학술·예술·기술·특별상 등 모두 네 분야였다. 수상자는 학술상에 김두철(63) 고등과학원 원장, 예술상에 서예가 조수호(87) 예술원 회원, 기술상에 김문한(81) 서울대 명예교수, 그리고 특별상은 조선일보사가 받았다. 심사위원회는 “김두철 원장은 30년 동안 통계물리학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연구 성과로 한국 물리학의 위상을 높인 공로로, 서예가 조 화백은 우리 서예 문화를 세계에 널리 알린 공로로, 김 명예교수는 건설 분야 신기술·신공법을 개척한 공로로, 또 특별상을 받은 조선일보사는 대한민국 현대사의 분수령마다 정론직필로 3.1운동의 정신적 본질을 고취하는 데 진력했다”고 밝혔다(동아일보사는 2008년 제49회 시상식 때 특별상을 수상했다). 일제 말기 친일 보도는 물론 평소 보수 편향 보도로 논란이 돼온 《조선》《동아》에 3.1문화상 특별상을 준 것은 논란의 소지가 커 보인다.
----

현직 대통령의 정체가 “뼛속까지 친일·친미”라는 미 대사관의 전문이 공개되자 온라인은 들끓었다. ‘친일’로 인해 우리 현대사가 피로 얼룩진 사실은 그만두고라도 역사를 되돌리려는 망동이 사회 전반에 걸쳐 나타나고 있어 모골이 송연해지는 느낌이다. 극우·보수의 이승만 재평가, 살아 있는 친일파 백선엽의 영웅 만들기, 뉴라이트의 한국근현대사 교과서 작업 등 친일의 역사가 방송과 언론, 정치권, 대학을 중심으로 되살아나고 있다. 민주정부 10년간 미약하게나마 친일 청산 노력을 기울인 탓에 우리는 친일을 ‘역사적으로 기록’하고 법령 등을 만들어 ‘단죄’를 시도했다. 하지만 친일이 본질인 MB정권의 역사 되돌리기 작업으로 인해 불필요한 사회적·역사적 논쟁을 다시 벌여야 하고 국론 분열을 불구경하듯 해야 한다. 청산 작업만큼이나 중요한 후대에게 성과 알리기 작업이 미약한 탓도 분명 있으리라. 이처럼 반동의 역사를 되살리지 못하도록 지금부터라도 성과를 알리고 여전히 청산하지 못한 일제의 잔재를 치우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이 책은 친일의 역사를 다시 만들려는 친일파들의 부단한 ‘노력’에 대한 일침이다. ‘친일파’의 역사적 개념에서부터 우리 사회 곳곳에 독버섯처럼 펴져 있는 친일의 잔재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극우·보수가 그처럼 ‘건국의 아버지’로 칭송해 마지않는 이승만의 친일파 감싸기 모습에서 왜 이들이 임시정부를 부정하는지 그 이유를 알게 한다. 첫 단추가 친일의 역사로 채워진 탓에 끊임없이 피를 불러왔고, 결국 친일 전력자 박정희로 인해 대한민국은 친일공화국이 되었다. 책에는 역대 대통령, 총리, 각료, 그리고 정치인들의 친일 전력이 낱낱이 공개된다. 오늘날 우리 국회에서 친일 청산을 막으려는 부단한 노력들이 왜 일어났는지 깨달을 수 있는 뼈아픈 대목이다.

뼛속까지 친일이라는 현직 대통령 말고도 친일 골수팬이 또 있다. 바로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다. 보수의 대변지로 자처하는 이들 신문의 친일 행각은 이미 많은 부분 밝혀졌지만 한때 민족지라는 평가도 받았다. 그러나 책에서는 이들이 친일을 감춘 채 잠시 민족지 흉내를 냈을 뿐이라는 비판이다. 친일을 뿌리로 둔 탓에 오늘날 이들 신문은 자유·민주의 탈로 바꿔 쓴 채 ‘빨갱이’ 사냥에 여념이 없다. 청산하지 못한 대표적 친일 언론으로 인해 민주주의는 짓밟혔고, 민주화는 더뎠다.

이 외에도 각종 기념상들이 친일에 기반하고, ‘3.1문화상’을 친일파들이 심사하고 수상하는 어처구니없는 일들을 살펴본다. 창씨개명에 따른 친일파들의 군상, 독립운동가와 나란히 묻혀 있는 친일파들의 묘역, 독립유공자로 둔갑한 친일파들의 구차한 변명과 몰염치한 행각을 볼 수 있다.

아울러 이 책은 친일 청산의 역사도 살펴보고 있다. 반민특위의 설립과 해체, 친일규명위의 노력, 임종국 선생의 친일 연구, 국민과 함께 만든 《친일인명사전》의 발간, 친일파 토지의 환수 작업 등 친일 잔재 청산의 험난한 역정을 고스란히 보여주고 있다. 또 북한과 중국의 친일 청산 작업과 나치협력자에 대한 처벌을 강력히 시행한 프랑스의 청산 노력도 오롯이 그려내고 있다.

‘신판 친일파’들이 발호한 지금, 다시 이 책이 지나간 ‘역사와의 대화’를 시도하는 건 미래의 역사에 한 점 부끄럽지 않기 위함이다.
=====
[책2] <조선 청년이여 황국 신민이 되어라, 식민지 조선, 강제 동원의 역사>
정혜경 저 (2010)
--
책소개

식민지근대화론을 반박하는 강력한 근거, '강제 징용'

뉴라이트는 일본 식민지 시절 우리역사를 식민지근대화론으로 설명했다. 착취는 당했으나 발전했다는 이야기다. 그런데 뉴라이트의 역사인식은 '착취'보다는 '발전'에 초점을 맞춘다. 어쨌든 경제발전을 했고 근대로 이행하지 않았냐는 설명이다. 과연 일본에 강제로 징용당한 군인과 노동자에게도 이러한 설명이 가능할까. 일본은 태평양 전쟁에 뛰어들며 방대한 규모로 조선인을 강제로 동원했다.

강제 동원으로 끌려간 곳에서 감시와 차별, 학대를 견디지 못하고 죽은 이들도 많았고, 고향으로 돌아오는 중에 석연치 않은 이유로 죽은 이들도 많았다. 우키시마호 폭침사건은 일제의 폭력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사건이다. 우키시마호 폭침사건은 일본에서 미군의 수뢰 때문에 벌어진 우발적인 사고였다고 주장하지만, 여러 모로 의심이 많은 인재였다. 해방 이후 한국으로 돌아가는 강제 징용자가 탄 배를 폭파시킨 우키시마호 사건의 진상은 아직도 밝혀지지 않았다.

저자는 이처럼 강제 동원에 희생된 사람들의 가슴 아픈 사연을 찾아내어 진실을 밝혀, 그들의 힘겨운 삶을 이해하고 아픔을 덜어주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을 주고자 책을 썼다고 한다. 일본은 여전히 강제로 끌고 온 사람은 불과 245명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자유의사로 식민지 모국에 건너왔다고 주장한다. 뼈아픈 역사가 되풀이되지 않기 위해서 후세가 할 수 있는 일은 희생당한 피해자를 기억하는 일일 것이다.

---

제1부 아시아태평양전쟁의 막이 열리다
일본제국으로 가는 길 / 식민지에 대한 야욕을 품다 / 아시아태평양전쟁, 중국을 삼키다 / 전쟁의 확대, 일본 정부의 딜레마 / 패전의 불씨가 드리우다

제2부 전쟁은 일본이 일으켰는데, 왜 우리를?
일본이 일으킨 전쟁, 물자처럼 공출되는 조선 민중 / 왜 ‘모집’, ‘지원’이 아닌 ‘강제’인가? / 돈과 권력으로 징용을 피하다 / 학도지원병 기피자 계훈제와 오노다 시멘트 회사 / 돌아온 사람들, 돌아오지 못한 사람들

제3부 ‘굶주림의 땅’이 된 남양군도
태평양으로 진출한 유럽의 맹주들 / 남양군도를 탐낸 일본의 속셈 / 늘어나는 남양군도의 조선인 / ‘아이고 다리’와 ‘티니언 농장’ / 군속이 된 조선인 / 살아남았지만 남겨진 전쟁의 상흔

제4부 동남아시아에 뼈를 묻게 될 줄이야!
포로와 다를 바 없는 조선인 포로감시원 / 전쟁의 책임을 뒤집어쓴 조선 청년들 / 인도네시아를 독립으로 이끈 빛, 양칠성 / 조선 청년들, 전투 없는 군인이 되다 / 죽어서도 고향으로 돌아오지 못한 영혼들 / 전쟁의 아픔을 안은 채 고향으로

제5부 동토의 땅, 사할린에 얼어붙은 눈물
악마의 섬, 사할린 / 동토의 땅에서 조선인으로 산다는 것 / ‘이중 징용’에 두 번 우는 가족 / 떠난 자와 남겨진 자의 노래, ‘사할린 아리랑’ / 전쟁은 끝났지만 일본의 계속된 조선인 사냥 / 사할린 교포, 아픈 역사 속에서 피어나는 희망

제6부 중국에서도 피할 수 없는 전쟁의 참화
중국에서도 피할 수 없는 전쟁의 참화 / 빼앗긴 조국을 떠나 간도로 / 중국 곳곳을 전전하는 대한민국임시정부 / 중국으로 강제 동원된 조선인들 / 돌아가야 하는 조국 그러나 돌아갈 수 없는 고향

제7부 일본 본토, 착취 지옥이 되다
일본 속에서 조선을 꿈꾸다 / 아이누족도 견디지 못한 홋카이도에서 광부와 군인으로 / 도호쿠 지방의 조선인 강제 동원 / 여전한 미궁, 우키시마호 폭침사건 / 분야를 가리지 않은 노동착취 / 도쿄를 덮친 죽음의 그림자 / 군수공장 조선인 청년들의 희생 / “쇼잔 지하호에서 희생된 조선인을 기억해주세요” / 조선의 소녀들을 총후보국에 동원하라! / 돌아오지 못한 영혼, 이름을 남기다 / 간사이 지방의 조선인 학살 / 원자폭탄으로 희생된 조선인 / ‘뿔난 바다’에 매장된 희생자들 / 노예와 다름없는 조선인 광부 / ‘가미카제’로 사라진 조선 청년들 / 오키나와에 세워진 ‘평화의 초석’ / 돌아온 자와 남은 자
----

출판사 서평
- 죽음보다 힘든 고통을 눈물과 그리움으로 견디며 살아야 했던 사람들!
- 우리 현대사의 아픈 이름, ‘강제 동원’에 얽힌 가슴 아픈 이야기!

죽거나 버티거나……
전쟁과 노동, 가장 위험한 곳에 내몰린 식민지 조선인

식민지 백성이라는 이유만으로 일본이 일으킨 아시아태평양전쟁에 강제로 내몰린 사람들. 누워서 탄을 캐야 하는 광부로, 군수공장 노동자로, 머나먼 태평양 한가운데 이름 모를 섬에서도 감시와 차별을 견디며 참혹하게 살아야만 했던 ‘강제 동원’ 조선인들. 그들은 누구이며, 무엇 때문에 머나먼 곳에서 힘겨운 삶을 살아야 했나?

우리 현대사의 아픈 이름, ‘강제 동원’ 피해자들의 눈물겨운 삶

최근 일본 미쓰비시(三菱)중공업이 아시아태평양전쟁 기간 강제 노역에 동원된 근로정신대 문제에 대해 협상 의지를 밝혔다는 언론 보도가 있었다. 강제 동원될 당시 꽃다운 나이였던 분들 가운데 일부는 참혹한 노동과 전쟁 때문에 고국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삶을 마감하였고, 일부는 고향으로 돌아왔지만 잊히지 않는 고통에 눈물겨운 삶을 이어야 했다. 하지만 우리는 ‘강제 동원’ 문제를 미쓰비시중공업 하나만의 문제가 아닌 전쟁을 일으킨 제국주의 이데올로기와 식민지 민중이 겪은 뼈아픈 역사로서 좀 더 자세히 바라봐야 한다.

이 책은 미쓰비시중공업 이야기처럼 일제강점기 강제 동원으로 희생된 사람들, 특히 재일한인 역사를 전공한 역사학자로서 저자가 그간의 노력으로 밝혀낸 피해자들에 대한 이야기다. 특히 한일병합 100년째가 되는 올해 우리가 이 이야기에 좀 더 귀를 기울인다면 이들의 아픔과 눈물도 조금은 위로가 될 것이다.

태평양 한가운데 ‘남양군도’에서 동토의 땅 ‘사할린’까지, 전쟁에 내몰린 조선인

제국주의 일본은 조선을 식민지로 만든 것도 모자라 아시아 전체를 식민지로 만들기 위해 1931년 ‘아시아태평양전쟁’을 일으킨다. 일본에선 1868년 메이지 정부가 탄생하였고, 새롭게 탄생한 정부에겐 국력 강화가 필요하였다. 이런 일본 내부 정치 상황과 당시 전 세계적으로 불었던 제국주의 열풍에 휩쓸린 일본 정부가 극단적으로 전쟁을 일으켰다.
하지만 정작 전쟁에서 크게 피해를 봐야 했던 것은 일본인보다도 식민지 조선인들이었다. 이미 일본의 식민지가 되어 고통을 견디고 있던 조선인들에게 일본이 일으킨 제국주의 전쟁은 피할 수 없는 또 다른 고통이었다.

전쟁에 필요한 것은 인력과 물자다. 이를 위해 일본은 식민지 조선에서도 1938년 4월 ‘국가총동원법’이라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여 인력과 물자를 동원하였다. 이 법은 의회의 동의 없이도 전쟁에 인력과 물자, 자금 등을 동원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러다가 전쟁이 막바지에 치닫던 1944년 2월부터 일본은 국민징용령을 개정하여 더 많은 조선인을 전쟁에 내몰았다. 본격적으로 식민지 조선인에게도 황국 신민이 되어 전쟁에 나서기를 강요한 것이다. 이렇게 전쟁에 내몰린 조선인들은 어디서 어떻게 살았을까?

이 책은 남양군도, 동남아시아, 사할린, 중국, 일본 본토로 내용을 나눠 피해자들의 사연을 소개한다. ‘남양군도’라 불린 중부 태평양의 여러 섬. 이 머나먼 곳에도 조선인이 강제 동원된 흔적이 남아 있다. ‘아이고 다리’라는 이름이 붙은 다리. 팔라우 현지인들이 붙인 이 이름으로 당시 강제 동원된 조선인들이 ‘아이고’라는 신음 소리를 내면서까지 강제 노동에 시달렸음을 지금도 느낄 수 있다. 남양군도에 동원된 조선인들은 이처럼 건설 현장과 식량을 조달하기 위한 농장 등에서 힘겨운 노동을 견뎌야 했다.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동원된 조선인들은 주로 연합국 포로를 감시하는 포로감시원 역할을 많이 했다. 그러다보니 전쟁이 끝난 후 전범으로 몰려 억울한 희생을 당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들 역시 강제 동원 때문에 전쟁에 내몰린 피해자였다. 개중엔 이런 억울함에 고국으로 돌아오지 않고 현지에서 삶을 이어간 사람도 많았다. 특히 인도네시아 지역 포로감시원으로 동원되었다가, 일본이 패전한 후에도 현지에 남아 인도네시아 독립 투쟁에서 큰 업적을 세우고 희생된 ‘양칠성’이 대표적이다. 지금도 인도네시아에선 그를 ‘독립으로 이끈 빛’으로 부르면서 양칠성의 업적을 기리고 있다.

한편 ‘동토의 땅’이라 불린 사할린으로 동원된 조선인들은 혹독한 환경에서 석탄을 채취했다. 또 이들은 전쟁이 깊어지면서 다시 일본 본토로 징용되는 아픔을 겪어야 했다. 이 아픔은 지금도 ‘사할린 아리랑’이라는 노래로 남아 있다.

일본 본토로 동원된 조선인들이 처한 상황도 이들 못지않았다. 오죽했으면 ‘착취 지옥’이라 불렀을까. 아이누족도 견디지 못한 홋카이도에 광부와 군인으로 끌려가기도 했고, 도쿄로 강제 동원되었다가 ‘간토 대지진’과 이어진 조선인 학살에 희생당하기도 했다. 미쓰비시중공업처럼 일본 군수공장에서 강제 노역을 한 여성근로정신대도 있고, 군인으로 징집되었다가 ‘가미카제’로 희생된 청년들도 많다.

이처럼 일본은 전쟁이라는 이름 아래 장소와 분야를 가리지 않고 조선의 젊은이들을 내몰았고, 지금도 이들의 아픔은 그곳에 남아 있다.

살아 돌아온 사람들과 죽어서도 돌아오지 못한 영혼들의 가슴 아픈 이야기

일본이 일으킨 아시아태평양전쟁은 1945년 미국이 일본 본토에 원자폭탄을 투하면서 끝났다. 식민지 조선도 식민지에서 해방되었다. 전쟁터로 내몰렸던 조선인들은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희망으로 이날을 학수고대했을 것이다. 하지만 전쟁이 끝났다고, 조국이 자유를 찾았다고 이들에게 바로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는 자유가 주어진 것은 아니었다.

강제 동원으로 끌려간 곳에서 감시와 차별, 학대를 견디지 못하고 죽은 이들도 많았고, 고향으로 돌아오는 중에 석연치 않은 이유로 죽은 이들도 많았다. 그중 아직도 미궁에 빠져 있는 ‘우키시마호 폭침사건’은 이를 여실히 보여준다. 이 사건은 전쟁이 끝나고 난 뒤인 1945년 8월에 일어났다. 교토 부근 마이즈루 만에서 우키시마호는 귀국하려는 조선인을 태우고 조선으로 향했다. 한데 항구를 출발한 지 이틀 만에 우키시마호는 원인 모를 이유로 침몰하고 말았고, 배에 탔던 조선인 7000명 가운데 4000명이 사망하였다. 이 사건은 당시에도 큰 화제였지만, 아직도 사고 원인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아 더욱 애달프다. 특히 이 사건을 다룬 방송과 영화, 책도 여럿 만들어져 많은 사람들의 심금을 울리고 있다.

이처럼 이 책은 강제 동원에 희생된 사람들의 가슴 아픈 사연을 찾아내어 진실을 밝혀, 그들의 힘겨운 삶을 이해하고 아픔을 덜어주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
[책3] <조선인 BC급 전범, 해방되지 못한 영혼>
우쓰미 아이코 (지은이) | 이호경 (옮긴이) (2007)
----
재일 한국인 문제를 연구해온 우쓰미 아이코 교수의 조선인 BC급 전범 출신자들의 삶의 투쟁에 대한 기록이자 일본의 전쟁 책임에 대한 고발서. 지은이는 이학래, 유동조 등 살아남은 조선인 전범들의 증언과 각종 비밀문서, 재판 기록들을 통해 그들 또한 일본 제국주의에 희생당한 이중 피해자임을 밝혀낸다.

총4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당시와 지금까지 재판 과정을 세밀히 재구성함으로써 전범 재판 과정의 불합리함뿐 아니라 일본 정부의 책임 회피와 일본 사회의 위선적인 모습들을 낱낱이 들춰내고 있다.
---
한국어판 출간에 부쳐
들어가며

제1장 포로수용소의 감시원
01 타이 포로수용소 - 죽음의 태면철도
02 말레이 포로수용소 - 석유 기지 팔렘방
03 자바 포로수용소 - '지상왕국' 속의 지옥

제2장 조선인 군속과 포로수용소
01 왜 조선인을 감시원으로 삼았는가
02 포로수용소의 기구와 실태
03 지원인가? 징용인가?

제3장 전쟁범죄재판과 조선인 군속
01 전쟁범죄란 무엇인가
02 싱가포르의 오스트레일리아 법정 - 이학래 씨 경우
03 싱가포르의 영국 법정 - 유동조·정은석 씨 경우
04 바타비아의 네덜란드 법정 - 최선엽 씨 경우

제4장 전쟁 책임과 전후 책임
01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과 조선인 전범
02 생활과의 투쟁
03 해결되지 않은 전쟁 책임

후기에 대신하여
참고 문헌
옮긴이의 말
----
이 씨가 포로 관리에 아무리 힘을 들여도, 포로들에게 노동은 강제적인 것일 뿐이었다. 비교적 사망자가 적었다고 말하는 힌똑에서도 포로들은 오전 8시부터 오후 6시, 때로는 밤 10시까지 가혹한 노동과 영양실조, 말라리아, 이질 등의 전염병으로 고생하였다. 한낱 군속인 이학래 씨의 힘으로는 도저히 어찌해 볼 수 없는 일들이었지만, 포로들의 원망은 눈앞에 보이는 인간에게 향했다.-p47 중에서

임 씨는 "천황 폐하 만세!" "대한 독립 만세!"를 외치면서 저세상으로 갔다. '황국신민'이 되도록 교육을 받은 임 씨에게 조국의 독립과 천황이 머릿속에 뒤죽박죽으로 섞였던 것이다. 이런 현상은 임영준 씨뿐만이 아니었다.-p204 중에서
----
우쓰미 아이코의 한 마디
전범-친일파-일본군의 앞잡이. 한국에서 조선인 B·C급 전범들에 대한 평가는 이러한 것이 아닐까? 어느 쪽이든 '악'의 이미지가 따라다닌다. 전쟁범죄란 것은 무엇일까? 누가 무엇을 단죄했는가? 한국인이 떠안아야 했던 전쟁범죄란 무엇일까? 이런 점들이 한국에서 논의되기 위해서는 긴 세월이 필요했다. ... '왜 조선인이 전범이 되었던 것인가?' 이 책을 읽고 한국의 독자들이 조선인 B·C급 전범을 조금이라도 이해하고 전범과 그 유족에게 보내는 시선이 바뀔 수 있다면, 그보다 더 기쁜 일은 없겠다.

역사에 버림받은 조선인 B·C급 전범들, 그들은 과연 전범이었는가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조선인이 일본의 전쟁 책임을 대신 짊어지고 전쟁범죄인이 되었다. A급 전범으로 교수형에 처해진 일본인은 7명이었던 데 비해, 조선인 23명이 B·C급 전범으로 교수형이나 총살형에 처해졌다. 왜 조선인에게 일본의 전쟁 책임이 전가되었던 것일까?

전범-친일파-일본군의 앞잡이. 한국에서 조선인 B·C급 전범들에 대한 평가는 이러한 것이 아닐까? 어느 쪽이든 '악'의 이미지가 따라다닌다. 전쟁범죄란 것은 무엇일까? 누가 무엇을 단죄했는가? 한국인이 떠안아야 했던 전쟁범죄란 무엇일까? 이런 점들이 한국에서 논의되기 위해서는 긴 세월이 필요했다. ... '왜 조선인이 전범이 되었던 것인가?' 이 책을 읽고 한국의 독자들이 조선인 B·C급 전범을 조금이라도 이해하고 전범과 그 유족에게 보내는 시선이 바뀔 수 있다면, 그보다 더 기쁜 일은 없겠다. -한국어판 출간에 부쳐」중에서
====



LikeShow more reactionsComment

2017-02-23

<参考資料> NHKスペシャル 日本と朝鮮半島 第一回 「韓国併合への道」 を見て 中塚 明 (歴史学者)

<参考資料> NHKスペシャル 日本と朝鮮半島 第一回 「韓国併合への道」 を見て 中塚 明 (歴史学者)

(2010.4.22)

<参考資料> NHKスペシャル 日本と朝鮮半島
第一回「韓国併合への道」 を見て

中塚 明(歴史学者)


 この文章は、歴史学者で奈良女子大学名誉教授の中塚明(なかつか・あきら)氏が、出版社の高文研編集部に寄せられた感想文である。「感想文」というには、余りにも科学的・実証的な内容で、一読して、これはわれわれ日本の一般市民の間で広く読まれるべきものと判断した。それで、高文研編集部に再録掲載を依頼したところ、ご本人の了解を得られた上でこのサイトに掲載することに許可された。原題は「NHKスペシャル 日本と朝鮮半島 第一回 「韓国併合への道」(2010.4.18)を見て とりあえずの感想」である。

 NHKスペシャルのプロジェクトJAPANシリーズ、「日本と朝鮮半島 第1回 韓国併合への道 伊藤博文とアン・ジュングン」は2010年4月18日、午後9:00から10:13までNHK総合テレビで放映された。昨年からNHKは「坂の上の雲」など一連の国家主義的色彩の濃い番組を制作して放映している。われわれ一般市民は、こうした番組内容に、どこか「キナくさい」ものを感じながらも、科学的な批判を加えられないでいる。しかしこうしたNHKの姿勢は、どこか2008年5月に発表された田母神俊雄の論文「日本は侵略国家であったのか」に通じる、一種危険なものを感じる。恐らくその危険を感じているのは私一人ではないだろう。

 そう言う時に、中塚明氏のここに掲載する文章のような、科学的批判を展開した実証的な「歴史観」、「見識」、「素養」は、是非ともわれわれ一般市民が共有しなければならないものだと思う。こうした「歴史観」「見識」「素養」こそ、われわれの「知的武器」となりうるからだ。またこうした「知的武器」の助けを借りない限り、われわれは、未来に向けた正しい、現在の政治判断はできない。そしてわれわれ市民が正しい政治判断をしない限り、日本は正しい進路を選択できない。

 なお、中塚明氏は1929年(昭和4)年、大阪府に生まれ。1953年京都大学文学部史学科卒業。日本近代史専攻。奈良女子大学文学部附属高校教諭をへて、1963年から奈良女子大学文学部に勤務、93年定年退職。この間、朝鮮史研究会幹事、歴史科学協議会代表委員などをつとめる。現在、奈良女子大学名誉教授、日本学術会議会員。 著書『日清戦争の研究』(青木書店)『近代日本と朝鮮』(三省堂)『「蹇蹇録」の世界』(みすず書房)『近代日本の朝鮮認識』(研文出版)など。近著には「司馬遼太郎の歴史観」(高文研)がある。次のサイトは参考になろう。<http://www1.korea-np.co.jp/sinboj/j-2009/06/0906j0928-00001.htm>

 また高文研は次のサイトが参考になろう。<http://www.koubunken.co.jp/>
 原文には見出しはないが、私が自分の検索用に入れた。私が入れた見出しは青字で表示した。原文はすべて黒字の大きめのフォントを使った。
以下本文。


伊藤博文を美化


 韓国統監に着任した伊藤博文は、韓国をいわゆる「併合」ではない、朝鮮人による「自治」(朝鮮人による「責任内閣」制など)構想を持っていて、もっぱら日本の近代化を手本に韓国を近代化しようとしていた。しかし、朝鮮人がその伊藤構想に従わなかったので最後は「併合」に同意せざるを得なかった――というのが、この番組での伊藤博文の描き方でした。これは京都大学法学部の伊藤之雄氏らの主張にそったものであることは言うまでもありません。

 ちらっと映像に登場した『末松謙澄文書』や『倉富勇三郎文書』などについては、断片的な言葉の引用が行われましたが、これはその文書全体の分析が当然必要です。テレビの番組ではその全面的な分析は無理だと思いますので、この小文でも取り上げません。



番組への2つの疑問


 ここでは、二点の疑問を呈します。


(Ⅰ) 1905年11月17日の第二次日韓協約(いわゆる「保護条約」)を武力で強迫、強要して、韓国の「外交権」は奪われ、列国外交団は韓国から引き上げてしまい、韓国は自主的な外交権を奪われ独立国としての形式も内実も失いました。これは伊藤博文みずから韓国に乗り込んで自明の政策として実践、強要した結果でした。

この状態で、「韓国の近代化をはかるから、韓国人は伊藤博文統監の言う通りについて来なさい」というのが、「併合ではない伊藤構想」だというのですが、そんなことがどうして言えるのでしょうか。なぜ、韓国人は「外交権を奪った日本に従順に従わなければならないのか」――そんな疑問を、この番組制作者は、まったく問いませんでしたね。

 朝鮮(韓国)は古い歴史と伝統をもった国、民族です。その民族を相手に散々、無法を繰り返した後に、こんな虫のいいことを言われても、韓国人がついてこないのは当たり前ではないでしょうか。



(Ⅱ) 私はいま、「散々、無法を繰り返した後に」と言いましたが、この番組では、日清戦争は「朝鮮を属国扱いにしている清国から朝鮮を独立させる戦争だった」ということで片づけられています。

日清戦争中に、「朝鮮の独立」といいながら、朝鮮の主権をどれだけ侵害したか、朝鮮人をどれだけ殺したのか、はては国王の后を惨殺するという世界史上空前絶後の事件を引き起こしたのか、その意味、そしてその事件には伊藤博文が肝心、要のところで全部かかわっていたことを、まったく描きませんでした。

 以下、肝心、要のところで伊藤博文が関わっていたことを史料をあげて紹介しておきます。




朝鮮王宮占領の目的



(1) 日清戦争における日本軍の第一撃が朝鮮の王宮に向かっておこなわれたことは、もう否定できないので、画面には一応出ました。しかし、なぜ「王宮占領をしたのか」、その意味はまったくふれないままでした。朝鮮の国王を擒(とりこ)にして、「属邦保護」として朝鮮に上陸している清国軍を国外に駆逐してほしいという公式文書を、国王から出させて、「戦争の大義名分を入手する」のが、この王宮占領の大きな目的でした。

 清国が朝鮮を属邦としていることを取り上げて開戦の口実にしようとした陸奥宗光外相の案に、「そんな清韓宗属関係は昔からのことで、そんなことを開戦の口実にしても欧米諸国の賛成は得られない。もっと適当な口実をつくれ」といっていた伊藤博文でした。

 そこで陸奥外相が大鳥公使に使者を送り、大鳥が考え出したのが、朝鮮国王を責めたてて、その返答を開戦の口実にしようとしたのです。伊藤博文はこの大鳥の案に、

 「最妙(面白い案だ)、……大鳥強手段一着手ト被察候、此両三日之挙動ニ依リ、或ハ将来ヲ卜(ぼく)スルニ足ル乎(か)ト奉存候。精密御注意可被下候。……」

 と陸奥外相に手紙を送っています(明治27年6月29日、高橋秀直『日清戦争への道』東京創元社、1995年、384~385ページ)。

 「速やかな開戦にいたる道を見いだせず焦慮していた伊藤にとり,このとき実行しようとしている朝鮮への圧迫は、その展望を切り開くものであったのである」(高橋、同書)。

 まだこのあと列強の干渉などがありこれをかわしつつ、朝鮮の王宮占領が実行され、日清戦争の扉を日本軍がこじ開けたのが1894年7月23日だったのです。

 すなわち、伊藤博文は戦争には消極的、できるだけ清国とは戦争したくなかった、というのは全くの作り話です。




東学農民軍の反撃



(2) しかし、こんな無茶をやりながら、日本政府は王宮占領の事実を伏せたまま開戦に持ち込み、まんまと成功したかに見えました。しかし朝鮮人は怒りますね。当然のことです。秋には東学農民軍を主力とする朝鮮人民の抗日を旗印にした大規模な蜂起が始まります。日本政府・日本軍は困りました。「朝鮮の独立」のために戦うといっている日本軍に向って、「朝鮮の主権を侵害するもの」として公然たる大衆蜂起が始まったのですから。しかしこれは、昨日のNHKTVでは、まったく描かれず無視されました。

 これに対して日本政府・日本軍はどうしたか。井上勝生さん(北海道大学名誉教授)の詳細な研究があります。『東学農民軍包囲殲滅作戦と日本政府・大本営-日清戦争から「韓国併合」100年を問う-』(『思想』岩波書店、2010年1月号。この号はよく売れて雑誌としてはまれなことですが増刷され、まだ大きな書店には売っていますので、ぜひ買って読んで下さい)。

 新たに一個大隊の日本軍を朝鮮に送り、日本軍を三隊に分けソウルから西南方にむかわせ、朝鮮の抗日闘争を西南の珍島まで追いつめて殲滅する作戦を展開したのです。

 この作戦について、井上さんの論文の結論をあげておきます。

 東学農民軍に対する三路包囲殲滅作戦は、朝鮮現地の外交部や軍部が立案したものではなかった。広島大本営で伊藤博文総理、有栖川宮参謀総長、川上操六参謀次長兼兵姑総監以下の政軍の最高指導者たちが共同して、東京の陸奥宗光外相も参画の上、立案・決定され、朝鮮現地へ命令された作戦であった。「討滅大隊」後備歩兵第一九大隊は、非道で不法な「ことごとく殺戮」作戦を、朝鮮南部ほとんどの地域で実行するように命令された。(前掲『思想』41ページ)。
 
 伊藤は文官ですが、大本営に出席することを認められていて、日清戦争の軍事指導にもしっかりと参画していたのです。




「閔妃殺害」と伊藤博文



(3) 最後に、いわゆる「閔妃殺害」と伊藤博文との関係です。伊藤之雄氏は「当時の外交文脈から、伊藤首相が関係していないことはすでに論証されている」(京都大学法学会『法学論叢』第164巻 第1~6号合冊、2009年3月、2~3ページ)と言っています。そして自著『立憲国家の確立と伊藤博文』(吉川弘文館、1999年)をあげています。しかし、残念ながらその「論証」はきわめて杜撰なもので、とても「伊藤首相が関係していないことはすでに論証されている」とは言えません。

いわゆる「閔妃殺害」については、昨年、金文子さんによって詳細な研究『朝鮮王妃殺害と日本人』(高文研、2009年)が出版され、この事件についての研究水準が画期的に高められました。
 
この事件では、井上馨に代わって朝鮮駐在公使になった三浦梧楼(元陸軍中将)が、日清戦争が終わった後もまだ朝鮮にいる日本軍を必要なときに動かす権限を手にいれておきたいという要求を赴任早々から持っていました。

ソウルに着任して20日もたたない「明治28年9月19日付け、三浦公使から川上参謀次長あて電報」に「……本官(三浦公使)の通知に応じ、何時にても出兵するよう、兼て兵站司令官に御訓令相成、而して其趣外務大臣に御通牒相成りたし」(大韓民国国史編纂委員会『駐韓日本公使館記録』第7巻、1992年)とあります。

公使というのは外務大臣の指揮下にある外務省の官吏のはずです。それが、外務大臣にではなく参謀次長にこういう重大電報を打ち、こんな電報が来たことを外務大臣に知らせておいてくれ、といわんばかりの電報です。西園寺公望外相代理(陸奥外相は病気で一時休養中)の激怒をかいましたが、当然のことでした。
 
電報を受け取った陸軍参謀本部の川上操六次長は、この三浦の要求を伊藤内閣総理大臣に伝えます。


「 別紙之通、三浦公使より電報有之候に付、参命第三二三号之通、南部兵站監へ訓令可相成筈に候得共、一応御意見相伺度候也」(参謀本部としては三浦の要求にそえるように参謀本部の命令第三二三号として韓国にいる南部兵站監へ訓令する積もりですが一応意見をうかがいます――という内容)。

参命第三二三号とは「今後若し朝鮮内地に賊徒再燃する場合に於て、之が鎮圧の為め、貴官の指揮下にある守備兵を派遣する件に関し、特命全権公使三浦梧楼より協議あらば、貴官は固有の任務を尽くすに妨げなき限り成るべく同公使の協議に応ずべし 大本営」というものです。


 意見をうかがうというより、一応伝え置くと言う感じの川上の伊藤あての文書ですね。 

 さて、伊藤首相はどうしたか。10月2日、伊藤首相は大山巌陸軍大臣にあてて「三浦公使より通知次第、何時にても出兵する様、大本営より予め在朝鮮兵站司令官に訓令相成度旨、大本営へ照会の儀、可然(しかるべく)御取計相成候也」と書きました。

 つまり、三浦公使から出兵の要請があった時は、いつでも応じられるようにして取りはからってほしい、と伊藤首相は陸軍大臣に申し伝えたのです。
 
 西園寺外相は激怒したのですが、伊藤首相によって、9月19日付の三浦公使から川上参謀次長あてに送られた「……本官(三浦公使)の通知に応じ、何時にても出兵するよう、兼て兵站司令官に御訓令相成……」ということは追認されて大山陸軍大臣に通知され、大本営と然るべくと計らうようにと、伝えたのです。
 
 伊藤博文首相が「閔妃殺害」と「関係していないことはすでに論証されている」という伊藤之雄氏の論証は、改めて検証されるに値する不十分な論証だと私は思いますが、いかがでしょうか。

 NHKも遠くアメリカやロシアにまで取材をして、たくさんのお金をこの番組につぎこんだことでしょうが、日本の国内の新しい研究の紹介にももっと精力をさいて、視聴者に上滑りしない情報をしっかり届けてほしいものです。

 以上、昨夜の「NHKスペシャル 日本と朝鮮半島 第一回 「韓国併合への道」を見て、とりあえずの感想です。ご参考までに。 
(2010.4.19 中塚 明)





天皇制と言う奈良女子大の中塚明名誉教授は司馬遼太郎を批判して明治の栄光を否定するな、左右から叩かれるNHKの坂の上の雲は原作と違い香川照之氏も反日左翼だ ( その他政界と政治活動 ) - 近野滋之Blog『民族主義者の警鐘』 - Yahoo!ブログ

天皇制と言う奈良女子大の中塚明名誉教授は司馬遼太郎を批判して明治の栄光を否定するな、左右から叩かれるNHKの坂の上の雲は原作と違い香川照之氏も反日左翼だ ( その他政界と政治活動 ) - 近野滋之Blog『民族主義者の警鐘』 - Yahoo!ブログ


  • 天皇制と言う奈良女子大の中塚明名誉教授は司馬遼太郎を批判して明治の栄光を否定するな、左右から叩かれるNHKの坂の上の雲は原作と違い香川照之氏も反日左翼だクリップ追加

    反日教育・創価学会
    その他政界と政治活動
    2010/12/21(火) 午前 11:55



    0







    人気ブログランキング ← 最初に、応援のクリックをお願い致します


    良識ある日本国民の皆様には、奈良女子大の中塚明名誉教授はご存知だと考えます。


    「坂の上の雲」は天皇制下の朝鮮観で書かれている

    「NHKドラマ『坂の上の雲』の歴史認識を問う」の緊急講演会が17日、京都市中京区で行われました。京都革新懇・北上革新懇どの主催で約80人が参加しました。 講師の奈良女子大名誉教授の中塚明氏は、「坂の上の雲」は「明治の日本」を無垢でいじらしく「少年の国」として、「日露戦争は祖国防衛戦争」「フェアで真っ直ぐな戦争」と描いていると指摘。 また、「1894年7月朝鮮王宮占領」「1894年秋からの東学農民軍主力の大民族闘争」等々、1910年朝鮮併合に至る歴史を詳しく解説し、司馬は天皇制下の日本の「朝鮮の見方」から一歩も出ていないと批判。
    (京都民報 12月20日)より一部抜粋
    http://www.kyoto-minpo.net/archives/2010/12/20/post_7445.php



    >「NHKドラマ『坂の上の雲』の歴史認識を問う」の緊急講演会


    昨年11月29日から来年まで放送されるNHKの『スペシャルドラマ「坂の上の雲」(全13話)』は制作費「合計250億円」と言われ、昨年放送された5話までには「司馬遼太郎氏の原作にはない反日シーン」などの放送がされ、「保守・右派」の方々は「NHKへ抗議」の声を上げました。









    ↑ 昨年12月20日放送分で「日清戦争に従軍した正岡子規の前で、日本軍が清国(中共)人から食料らしき物を強奪(徴用)して老人が抗議する」原作にはないシーン


    >奈良女子大名誉教授の中塚明氏


    奈良女子大の中塚名誉教授とは「有名な反日左翼」教授で、中塚名誉教授の「南北共同声明1周年と日朝関係の正しい歴史認識を」との講義で「北朝鮮に拉致された増元るみ子」さんの弟の「増元照明」氏が「拉致問題に関し如何お考えでしょう?」と質問すると、中塚名誉教授は「拉致そのものの証拠、根拠は?」と問い返し、増元氏が「シン.ガンス事案」と「李恩恵事案」を説明すると「もしそれが軍事政権下の裁判であったなら信頼性にかけますね」と「拉致問題を否定」した人物です。


    >「坂の上の雲」は「明治の日本」を無垢でいじらしく「少年の国」として、「日露戦争は祖国防衛戦争」「フェアで真っ直ぐな戦争」と描いている


    これまでにも中塚名誉教授の「坂の上の雲」批判は酷く、「明治の栄光」として「朝鮮の民族的な自主性・自立性をまったく認めず、日本の侵略を正当化して来た」などと述べており、著書「司馬遼太郎の歴史観」での主張は「朝鮮新報」の記事をご覧下さい。


    「司馬遼太郎の歴史観」を刊行した中塚明氏に聞く 「朝鮮を踏み台にした日本」http://www1.korea-np.co.jp/sinboj/j-2009/06/0906j0928-00001.htm


    >1910年朝鮮併合に至る歴史を詳しく解説し、司馬は天皇制下の日本


    中塚名誉教授は「天皇制」と言っているのが「反日左翼」の証で「天皇とは制度」ではありませんし、「中塚名誉教授」の「1910年の日韓併合に至る歴史」とは「韓国が捏造した歴史」と同じであり、私は本ブログで再三再四「日韓併合の真実」を書き記していますが、本ブログには投稿文字数に制限がありますので「韓国の主張が国際学術会議で敗北した事実」・「韓国が問題とする第二次日韓協約の真実」・「暗殺された伊藤博文公に対する世界の評価」などは本ブログ以下の記事をご覧下さい。


    「韓国は統監府が捏造したとの貴重な資料なら公開せずに保管しろ、高宗の息子の純宗に署名する能力があるかも証明せず国際学術会議で敗北しても日韓併合を無効という韓国との友好はない」http://blogs.yahoo.co.jp/x1konno/32554429.html


    「韓国は日韓併合を無効だと歴史を捏造するな、第二次日韓協約の韓国駐箚軍演習も高宗皇帝署名も違法性はないのが真実だ」http://blogs.yahoo.co.jp/x1konno/32314514.html


    「韓国はテロリストの安重根を英雄にするな、保護国化による実質的な統治との伊藤博文公の殺害者の遺骨を探せない馬鹿は伊藤公暗殺に対する世界の評価を見よ」http://blogs.yahoo.co.jp/x1konno/31659287.html




    左右から批判されている「NHKドラマ『坂の上の雲』で「正岡子規」役の「香川照之」氏は、今年の「NHK」の大河ドラマ「龍馬伝」でも「岩崎弥太郎」役で出演していたので「今年1年間」の「NHK日曜夜の顔」となりましたが、これまで「香川照之」氏は「複数の中共製作映画」に出演して、「反日勢力が捏造した南京大虐殺」の映画「ジョン・ラーベ」では「朝香宮鳩彦親王」役を演じて「反日発言」をしており、NHKが「香川照之」氏を起用するのは「親中」・「反日」との共通点があるからです。






    南京大虐殺を描いた『ジョン・ラーベ』、日本で上映禁止

    中国、ドイツ、日本で上映を予定していた中国、ドイツ、フランス合作の『ジョン・ラーベ』が、日本での公開を断念した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この中国版『シンドラーのリスト』は、国際的視点で南京大虐殺という歴史的事件を正面から描いていることから、日本での上映は全面的に禁止され、日本の映画配給会社も映画を見ることさえ断ったという。 ◆日本での上映を断念 日本国内で批判の声を浴びているのが、『ジョン・ラーベ』で朝香宮鳩彦親王役を演じた香川照之さんだ。「この役は多くの人の批判を招くと思うが、自分がこの役を演じて経験したことはとても意義がある」と香川さん。 また日本国内で上映されないことについては、「日本で南京をテーマとした映画は普通上映できないし、日本人も撮影しない。しかしこの映画が少しでも中国の人たちの苦しみを取り除いてくれるよう望んでいます」と話す。映画に出てくる朝香宮鳩彦親王は裕仁天皇の叔父にあたる。南京大虐殺で重大な責任を負っていたが、戦後は皇族の身分で軍事法廷に出なくて済んだ。このような非常に敏感な役を、香川さんという日本でもよく知られている俳優が演じたことで、不快感を示す日本の右翼の人も多い。 『ジョン・ラーベ』は4月2日からドイツ、4月28日からは中国、11月にはベルギー、フランス、イタリア、スペインでも上映されることになっている。しかし日本はこの映画に対して沈黙あるいは拒絶の態度をとっていたため、『ジョン・ラーベ』は日本での上映をあきらめざるを得なかった。 ◆日本人役は必ず日本人が演じるべき 『故郷(ふるさと)の香り』と『鬼が来た』などの中国映画に出演したことのある香川さんは、中国の観客にもよく知られている日本俳優の1人だ。去年、国内外で多くの賞に輝いた『トウキョウソナタ』にも出演している。 『ジョン・ラーベ』が世界で好評を博した後、日本国内では批判の声が聞かれるようになった。業界の人たちは、どうしてこの映画に出たのかと香川さんに直接聞くこともあり、「プレシャーは相当大きかった」という。 「この映画を見て、本当に日本人は残忍なことを多くしたのだということを知りました。確かにそれを受け入れることは非常に難しい。難しいですが、現代の人たちにこの歴史を語る必要があります。そういう意味では、私は確かにこのようなテーマの映画が好きです」 ガレンベルガー監督は、朝香宮鳩彦親王役を選ぶ際に多くの日本の俳優と会った。しかしほとんどの俳優が出演を断り、最終的に引き受けたのが香川さんだ。「脚本を見た時に、この映画に出るべきだと思いました。その国際的な視点は現代の観客の反省を促すことができるからです。多くの人が、日本人としてどうしてこのような日本人を演じることができるのかと言うかもしれませんが、この役はやはり必ず日本人が演じるべきなのです」
    (サーチナ)
    http://news.searchina.ne.jp/disp.cgi?y=2009&d=0401&f=national_0401_016.shtml



    天皇制と言う奈良女子大の中塚明名誉教授は、司馬遼太郎氏を批判しては明治の栄光を否定しているのであり、左右から叩かれるNHKの坂の上の雲は原作と違い、反日発言をする香川照之氏も反日左翼です。


    良識ある日本国民の皆様、奈良女子大の中塚明名誉教授についてご考慮下さい。


    ===↓↓ ランキングの応援クリックお願いします ↓↓===


    「人気ブログランキング」 http://blog.with2.net/in.php?646336



    この記事に
    0






    転載




    >
    政治


    >
    政界と政治活動


    >
    その他政界と政治活動

    「反日教育・創価学会」書庫の記事一覧

    朝日新聞・伊勢学園高校 韓国語クラブの女子部員「ソウルで韓国人と寝食を共にした、嫌韓デモをする人は韓国を理解してない」<ソチ五輪>韓国ネットユーザーの英国選手に対する“脅迫”問題で、IOCがコメント
    ← 「韓国は嫌い!」という方はクリックを <(_ _)> &n
    2014/2/18(火) 午前 0:00

    創価学会の請求認める、ニコニコ動画に久本雅美の「頭がパーン」MADアップロード主の氏名・住所・電子メールアドレス情報、地裁が開示命令、創価学会の日本国民に対する言論弾圧・言論封殺の動きを阻止するべき!
    ← 「池田大作は嫌い!」という方はクリックを <(_ _)>
    2013/10/25(金) 午前 6:14

    「日韓交流おまつり2013」韓国のKBS「日本の右傾化のせいで政治的に日韓関係は冷え込んではいます」日韓関係が冷え込んだのは日本の責任、民間レベル交流は創価学会員や在日韓国人や韓国好きのタレントでやれ
    ← 「韓国人は嫌い!」という方はクリックを <(_ _)> &
    2013/9/22(日) 午前 8:03

    「民主・社民支持」削除に質問次々 日教組定期大会、日教組が2013~14年度の運動方針案の支持協力政党から削除しても「民主党」支持は変わらない、日教組は部落解放同盟や朝鮮総連と手を組んでいる反日組織だ
    ← 忘れずに読み逃げせずにクリックを <(_ _)> &nbs
    2013/8/26(月) 午前 8:31

    反日アイドル『ももクロ』韓国では絶賛の声「正しい歴史観を持っている」「韓国大使館は彼女たちをガードしろ」日経新聞・太平洋戦争で戦った相手は「韓国」終戦の年は「1038年」文科省は正しい近現代史を教えろ
    ← 忘れずに読み逃げせずにクリックを <(_ _)> &nbs
    2013/8/20(火) 午前 8:04


    もっと見る
    フジテレビは朝鮮人に乗っ取られたから高視聴率の実写版「サザエさん」に「少女時代」を出演させる朝鮮テレビ局だ、民団や総連に脅されるような電波法は見直すべきだ
    菅民主党政権の尖閣諸島の中共と北方領土のロシアへの国辱土下座外交に国民は怒っている、政治家は明治の男で愛国心と国益重視だった小村寿太郎外相に学ぶべきだ

    コメント(56)
    以前のコメントを読み込む





    私も「坂の上の雲」の原作は好きですがNHKのドラマは観る気がしません。

    傑作




    2010/12/21(火) 午後 7:24 返信する




    NHKは基本的に見ません。きちんと、冷静に大東亜戦争を見直すときがきているのではと思います。

    過去の戦争を正しく見つめ、中国、韓国が賠償欲しさに、日本は過去を正しく見つめるという意味ではありません。

    日本の将来のために正しく見つめていくことが必要だと思います。
    そしてそれと同時に、日本が韓国に投資し、インフラ設備を整えたこと、これもきちんと韓国に認めさせるべきだと思います。

    傑作、ランクリ




    2010/12/21(火) 午後 7:37 返信する




    こういう馬鹿左翼が今日の歴史の捏造を引き起こしています。教育と歴史が表裏一体というのを知らないのでしょうね。

    傑作+ランクリ


    [ 愛芝 ]

    2010/12/21(火) 午後 8:36 返信する




    NHKのドラマやドキュメンタリーを鵜呑みにしている人間が多いですよね。
    TVだけだとどうしても情報が受身で偏ります。

    天皇制や天皇家という言葉も出所を知らずに使っている人も多いです。
    受身で情報を鵜呑みにするのは怖いことです。

    傑作、ランクリ




    2010/12/21(火) 午後 8:49 返信する




    ガッカリするような事ばかり・・・・
    原作にない事を挿入して別物に変えてしまう事は、本当に厭らしい行為ですね。

    しかし、何も学ばない人が多過ぎますね><

    ◎ポチです!




    2010/12/21(火) 午後 9:30 返信する




    こんばんは。

    今年の「坂の上の雲」はおとなしいようですね。抗議が効いた?
    ただ、大韓帝国の「中立」の欺瞞は次回正当化しそうな予感が・・・

    傑作・ランクリ・ツイット


    [ JJ太郎 ]

    2010/12/21(火) 午後 9:51 返信する




    反日国家により、反日映画が作られ、反日日本人の手で歴史を歪められている状況が無性にイラつく。香川照之はカネで買われたのか?思想が左なのかは知らないが、映画出演と共に日本での俳優としての立場を失って欲しい。

    傑作 ランクリ




    2010/12/21(火) 午後 10:29 返信する




    はいっ師匠、小生も添付シーンを貼り付けて投稿しようと思っていました。上海ではパクリ版を20元で買えるのですが、たまたまこのシーンを観てさすがシナ中央電視台日本支局・NHKだと思いました。何故ならば原作は何度も読んでおり、こんなシーン描写はどこにもありません。さらに左翼芸人・香川照之も出ているではないですか!
    司馬遼太郎夫人が当初大河ドラマ化を渋った背景が十分に汲み取られました。
    中塚のおっさん、やっぱ左翼顔しています!
    傑作◎・ランクリ




    2010/12/21(火) 午後 10:35 返信する




    この作品、とっても楽しみしていたんですよ。制作発表から相当かかりましたし、大河の予定がお金がかかりすぎるから今のような放送になりましたよね。

    見ている途中から捏造されていることがわかり、見るのをやめました。ほんと残念です。

    日本が輝いていた栄光の時代、すばらしい日本人を見られるはずだったのに。。。

    NHKめぇ~~~、そして日本人でありながら南京虐殺など捏造を信じている左翼の多さに驚きます。

    間違った歴史を信じている日本人に真実を知ってもらいたいと思います。


    ランクリ・ポチ☆




    2010/12/21(火) 午後 10:59 返信する




    政権交代したら国民の声として
    ここを責めるべきだと思います
    ほんと日本人目線で番組作っていると思えない
    ぽち×2


    [ 誇り君 ]

    2010/12/22(水) 午前 0:07 返信する




    「天皇制」なんてサヨクの造語であり、現実には存在しません。
    試しにサヨちゃんに聞いてみると誰も説明できません。
    したとしても突っ込みどころ満載で、「立憲君主制とどう違うの?」で完全に沈黙します。
    あとはどうとでも料理出来ます。
    原作の「坂の上の雲」も小説ですから所詮はフィクションです。
    司馬遼太郎最大の泣き所はメカ音痴+軍事音痴であると言う事です。
    傑作&クリック


    [ - ]

    2010/12/22(水) 午前 1:14 返信する




    天皇制という言葉を使うこと事態が違和感を覚えます。

    傑作・ランクリ。




    2010/12/22(水) 午前 6:29 返信する




    NHKもキチガイ教授も要らない(怒)
    どうにかならないものでしょうかNHK・・・

    傑作
    ランクリ○です。




    2010/12/22(水) 午前 7:06 返信する




    大河ドラマは見たことがないのでなんのコメントもできません。
    ===
    良識ある日本国民の皆様には、奈良女子大の中塚明名誉教授はご存知だと考えます。
    ===
    すみません、こ奴のことは知りませんでしたが、キチガイであることはよくわかりました。
    傑作&ランクリ。




    2010/12/22(水) 午前 8:07 返信する




    NHKの御用聞き学者か ぽちん2




    2010/12/22(水) 午前 8:22 返信する




    中塚はさっさと逝ってあの世で司馬に歴史論争を挑んだらいい。

    傑作・くり


    [ 敬天愛人 ]

    2010/12/22(水) 午前 9:48 返信する




    皆々様、ご来訪に感謝を申し上げます。

    コメント拝見させて頂きました。

    傑作・ランクリ有難うございます。

    今後も宜しくお願い致します。

    近野




    2010/12/22(水) 午後 2:41 返信する




    中塚という人が歴史学者なのかどうか知りませんが、ちゃんと歴史資料に基づいて検証したのでしょうか。韓国の言う事をそのまま受け入れて、韓国の見方を尊重とか言っているのでしょう。韓国人でさえ、本音は日本の併合されてよかったと思っているようなのに、この教授は本気で言っているなら馬鹿で、そうでないなら売国奴ですね。こんな人間日本からでていけばいいですね。香川も出ていってほしい。
    傑作ランクリ


    [ さざんか ]

    2010/12/23(木) 午後 2:10 返信する




    「坂の上の雲」ですが、去年は毎回反日捏造シーンがありましが、今年はなかなかありません。
    路線変更か?
    傑作
    ランクリ




    2010/12/23(木) 午後 6:11 返信する




    ( ´ー`)y─┛チァーパーボェー
    司馬さんも草葉の陰で泣いてます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