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30

1927년 조선인 최초로 서울에 카페 ‘카카듀’를 오픈한 현앨리스

(12) Facebook

오늘은 두가지 기쁜 일이 있었다. 그 첫번째는 이 사진의 사용허가를 받은 일.
.
아침에 일어나니 이화여대 김효근 교수님이 카톡을 보내셨다. 일전에 이 사진과 관련해 부탁드린 일 때문이다.
.
이 사진은 1927년 조선인 최초로 서울에 카페를 오픈한 현앨리스. 사진의 아기는 그녀의 아들 정웰링턴이다. 북한이 숙청한 박헌영의 재판문에 그녀는 박헌영과 미국을 연결하는 고리로 등장한다.
.
황진남과 임정 외교활동을 이끌던 현순 목사의 딸인 그녀는 하와이와 미국 본토, 상하이와 서울을 넘나 들었다. 그녀는 남편과 이혼한 뒤,영화감독 이경손과 함께 카페 ‘카카듀’를 열었다. 손탁 호텔이 커피를 팔기 시작한 이후, 조선인으로는 최초의 카페였다.
.
‘카카듀’라는 이름은 오스트리아 작가 아르투어 슈니츨러가 1899년에 쓴 희곡 ‘초록앵무새(Der grüne Kakadu)‘에서 따 왔다. 슈니츨러는 프랑스 좌파들이 모이던 가상의 카페 ‘카카듀’를 무대로 1789년 바스티유가 무너지던 그날을 다룬다. 슈니츨러의 독일어 희곡을 읽은 이경손은 여기서 영감을 얻어 카페 이름을 ‘카카듀’라고 지었다.
.
카페 카카듀는 이름에 걸맞게 새로운 세상을 꿈꾸던 문인들과 예술인들이 모이던 문화 사랑방이었고, 이후 나운규와 이상 등에 영향을 주게 된다.
.
경영난으로 카카듀가 문을 닫자 미국에서 사회주의 운동을 하던 그녀는 1945년 미군 자격으로 다시 서울에 오게 된다. 미국 정보당국은 해방공간에서 박헌영, 여운형 등과 접촉하던 그녀를 1946년 미국으로 돌려보낸다.
.
미국에 매카시즘이 불어닥치자 그녀는 UCLA 의대생이던 아들 정웰링턴과 1949년 체코로 향한다. 그곳에서 그녀는 북한으로 들어가고, 아들은 체코에 남아 프라하에서 의대를 다닌다.
.
하지만 그녀는 박헌영과 함께 숙청된다. 미국은 그녀가 공산주의자 박헌영과 교류한다고 추방했고, 북한은 미군이던 그녀와의 친분을 구실로 박헌영을 미국 간첩으로 몰았다.
.
체코에 남은 현앨리스의 아들 정웰링턴은 의사가 되어 체코 여인과 결혼하지만 공산당의 감시를 견디다 못해 1963년 자살했다.
.
한편, 현순 목사는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고, 그의 딸 현앨리스의 이야기는 이화여대 정병준 교수의 ‘현앨리스와 그의 시대(2015)’에 다시 조명된다.
.
그래서 김교수님께 부탁을 드려서 같은 대학 정병준 교수님과 연결해 달라고 했고, 그렇게 오늘 아침에 정교수님과 통화를 했다.
.
교수님은 흔쾌히 사용허가를 해 주셨다!
.
이 사진은 정병준 교수가 현 앨리스의 유족들, 정확히는 그녀의 남동생 현 데이비드에게 받은 사진이라고 한다. 그리고 많은 얘기를 나눴는데, 이미 황진남 선생에 대해서도 자세히 알고 계셨다. 좋은 책이 되기를 바란다는 말씀도 해 주셔서 감동…
.
May be a black-and-white image of 1 person, child and standing
All reactions:
고영범, 정승국 and 610 others
28 comments
35 shares
Like
Comment
Share

28 comments

Most relevant

  • 김현섭
    미국에서도, 북조선에서도 환영받지 못한 삶이었군요. 뜨거운 삶을 보냈군요.
    2
  • Spencer Nam
    와우!!!!
  • 김진하
    드디어 '카카듀'의 뜻을 알게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ㅎ
  • Lee Wonryul
    세상 일을 다 알수는 없지만
    나이들면서 모르는 게
    점점 많아집니다.
    2
  • Young-ri Lee
    민영순 작가님 작품 '앨리스 미옥'을 통해 알게 된 인물인데 이렇게 또 접하니 반갑네요. https://www.yongsoonmin.com/.../alice-%e1%84%86%e1%85%b5.../
    Alice 미옥 (Miok) | Yong Soon Min
    YONGSOONMIN.COM
    Alice 미옥 (Miok) | Yong Soon Min
    Alice 미옥 (Miok) | Yong Soon Min
    4
  • 한경희
    아프고 뜨거운 현대사네요.
    처음 접하는 얘기입니다.
    3
  • 이욱신
    스탠리 큐브릭 감독의 유작 <아이즈 와이드 샷(Eyes Wide Shut)>의 원작 <꿈이야기(Traumnovelle)>의 작가 아르투어 슈니츨러와 한반도가 이렇게 이어졌었군요..
    5
  • 박문구
    힘든 격랑을 정면으로 받은 역사의 인물들이 무수히 많겠죠.
    안타까운 인물들.
  • 이동윤
    여기에도 사진이 나오네요. 1948년이라고 합니다.
    연출가 피터 현은 왜 이민자로 살았나···'에어콘 없는 방'
    MOBILE.NEWSIS.COM
    연출가 피터 현은 왜 이민자로 살았나···'에어콘 없는 방'
    연출가 피터 현은 왜 이민자로 살았나···'에어콘 없는 방'
    7
  • Hosahng Rhew
    지금 쓰시는 책이 판타레이의 근대한국판인 모양이네요. 기대가 됩니다.
    2
  • 이현주
    박헌영이 미국과 내통한 간첩혐의로 숙청된것만 알고있었는데 그 장본인이 현앨리스였군요.
    2
  • [이화 인문학 지식나눔 시리즈 특강] 현앨리스와 그의 시대
    YOUTUBE.COM
    [이화 인문학 지식나눔 시리즈 특강] 현앨리스와 그의 시대
    [이화 인문학 지식나눔 시리즈 특강] 현앨리스와 그의 시대
    4
  • Jayden Jae-Hun Choe
    당시에 미국 한국 북한 사이를 오가며 그분들이 어떤 치열한 삶을 사셨을지 짐작도 하기 어렵네요. 근현대사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흥미로운 소개 감사합니다.
    3
  • 최종환
    감사합니다 이런 내용을 알게 해주어서.
    2
  • 고영범
    저도 이분의 조카들과 연락을 유지하면서 작은 프로젝트를 하나 진행하는 중입니다. 그런데, 27년과 28년에는 현앨리스가 하와이에 들어와 있었다고 알고 있고, 그후에는 중국에서 활동한 기록이 있습니다. 정병준 교수의 책에도 그렇게 기록되어 있고요. 카페 카카듀에 대해서는 가족들 기록에도 언급이 없습니다. 혹시 출전이 어디인지 여쭤봐도 될까요? 알려주시면 도움이 될 듯합니다. 감사합니다.
    4
    • Like
    • Reply
    • 6 h
    • Edited
  • Hae-Young Lee
    현앨리스가 입북할 때 거쳐간 곳이 프라하의 고고학자 한흥수의 집일거로 봅니다. 한교수는 조선인 최초로 독어권에서 교수자격논문을 통과한 사람입니다. 이후 김일성의 초청으로 입북 초대 <물보>위원장이되고 전쟁이후 박헌영계로 숙청됩니다.
    4
    Taegee Min replied
     
    1 reply
    6 h
  • Hae-Young Lee
    뉘른베르크전범 재판 자료이기도한 나치해외정보국SD 극동국장의 신문기록에 의하면 한흥수는 나치정보원이었습니다.
    3
  • Pom-yong Choi 
    Follow
    슈니첼이 돈까쓰를 이르는 독일어? 슈니츨러는 아마도 돈까쓰 집 주인이었던가 봅니다.
  • Jongin Park
    이 '현앨리스와 그 시대'에 참칭 시인 고은과 그 무리들이 주장한 '호치민 목민심서 애독가'를 반박하는 근거가 나와 있습니다. 호치민이 모스크바에 있을 때 박헌영을 만나서 목민심서를 선물받았다는 그럴 듯한 주장에 '호치민과 박헌영은 모스크바에 동시기에 있을 수 없다' '박헌영-현앨리스-호치민'이 등장하는 단체사진 속 호치민은 호치민이 아니다' 등의 근거가 이 책에 제시되면서 호치민 목민심서론은 상당 부분 파괴됐죠. 그럼에도 몇 년 뒤 대통령 문재인은 베트남 국민들에게 '귀국 국부께서는 조선 학자를 흠모하셨고..' 따위 망언을 했고, 정약용 고향인 남양주시는 호치민 고향 빈 시에 '다산로'라는 도로를 건설해줬고... 민태기 선생 책 기대됩니다!
    3
  • 김이정
    고맙습니다. 나만보기로 공유합니다.
    • Like
    • Reply
    • 4 h
    • Edited
  • Kie Moon Song 
    Follow
    미국 매카시즘이 50년에서 54년 정도에 위세를 떨쳤다고 나무위키가 설명합니다. 49년 매카시즘 부분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 Taegee Min
      송기문 네 정확히 맞습니다. 그런데 ‘매카시즘’이라고 불리는 공산주의자 색출 작업은 2차대전 후 1947년 미하원 반미활동위원회가 그 대상을 파시즘에서 공산주의로 바꾸면서 시작되어, 이후 1949년 중국이 공산화되면서 가속된 것으로도 보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