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7-18

전문가 기고: 김태식 교수(홍익대 역사교육과 )

전문가 기고: 김태식 교수(홍익대 역사교육과 ):

중앙일보 2001년 12월 27일 12面



[전문가 기고] 아키히토 일왕 발언 의미는…

이번에 아키히토 일왕의 혈연관계 발언을 놓고 일본 국민들이 놀랐다는 사실은 무척 놀라운 사실이다. 일왕가가 모두 백제 계통이라고 한 것도 아니고, 단지 멀리 1200년 전의 한 천황의 생모가 백제왕의 후손이라고 한 것이 무슨 큰일인가? 더구나 그것은 일본 사서에 나와 있는 엄연한 사실이다.
그에 비하여 이번에 아키히토 일왕이 그런 발언을 한 것에 어떤 정치적 목적이 있는지는 모르겠으나, 자신의 상식적인 생각을 솔직하게 밝힌 것이 아닌가 생각하고 싶다. 그러면 문제가 된 당시의 상황을 살펴보자.
8세기 후반에 재위했던 환무(桓武) 천황의 어머니는 광인(光仁) 천황의 부인으로, 이름은 다카노 니이가사[高野新笠]이다. <<속일본기>>에 보면 789년 12월에 환무 천황 재위 중에 그 어머니인 황태후가 죽자 그 다음 해인 790년 1월에 장례를 치르는데, 그 장례 기사 말미에 황태후는 백제 무령왕(武寧王)의 아들인 순타태자(純陁太子)의 후손이라고 나온다.
그 조상인 도모왕(都慕王, 주몽)은 하백녀가 햇빛에 감응하여 태어났고, 황태후는 그 후손이기 때문에, “높은 하늘에 있는 태양의 아들의 따님(天高知日之子姬尊)”이라는 뜻의 시호를 주었다고 되어 있다.
그런데 그 순타태자는 505년에 사아군(斯我君)이라는 이름으로 왜국에 파견되어 오랫동안 체류하다가 513년에 죽었다. 그 동안에 그는 아들을 하나 낳았는데, 그가 야마토노키미[倭君]의 선조가 되었다. 그 야마토씨가 770년대에 다카노[高野]씨로 성을 바꾸었고, 환무 천황의 생모인 다카노 니이가사는 그 일족이었다.
그들은 약 270년에 걸쳐 일본 귀족사회에서 백제 무령왕의 후손이라는 명분으로 높은 지위를 유지하고 살았던 것이다. 이것이 어떻게 가능했을까?
한반도와 일본은 고대 시기에는 비교적 문화 교류가 활발하였다. 정상적인 교류도 있었지만, 대개 한반도에서 큰 전란이 있을 때마다 대규모의 이주민이 일본열도로 들어갔다.
그러한 사례 중에 주요한 것으로는 5세기 초에 전기 가야연맹이 해체되었을 때가 있고, 5세기 후반에 백제 수도 위례성이 함락되었을 때가 있으며, 7세기 중엽에 백제가 멸망했을 때 등이 있다. 일본 고대 문화의 발전은 그들, 즉 도래인들의 이주를 계기로 고양되었다. 그래서 일본에서는 전통적으로 신라보다는 한반도에서 일찍 사라진 국가인 가야와 백제에 친근성을 보였던 것이다.
이번 아키히토 일왕의 발언은 일본의 역사 인식이 한걸음 더 발전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긴 하지만, 잘못하면 일선동조론으로 비화될 수 있다. 일선동조론은 한국과 일본의 옛 조상들이 같다는 학설로서, 일제 강점기에 일본 학자들이 우리 나라 사람들을 회유하기 위해서 내놓은 학설이나, 그 연구 수준은 깊지 않다.
또한 아직은 일본 왕가의 기원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밝혀진 바가 없다. 그러므로 일왕의 한마디에 고무되어, 사소한 증거들을 가지고 너무 떠들어대는 것은 삼가야 할 것이다. 한국과 일본의 혈통 관계에 대해서는 앞으로 진실을 밝힌다는 진정한 목적을 가지고 객관적으로 연구되어야 한다.
(홍익대학교 교수 金泰植, 한국고대사)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