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 피해자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성찰과 과제1)
서귀포시교육지원청 장학사 한상희
국가가저지른 과거의 죄는 후세대에게 어떠한 상처와 책임, 과제를 남겨 주는가? 주는가? 주는가? 주는가? 주는가?
제주4• 3 문제의 해결은 진상규명의 차원을 넘어 공동체 전체의 현재와 미래에 큰 영향을 주는 중요한 일이다. 그러므로 4 . 3역사에 대한 세대전승 은 동시대를 사는 사람들에게 시민교육으로서 기억과 반성, 화해와 통합의 노력을 담은 성찰이어야 한다.
현재 4.3 유족은 당시 10살 미만, 또는 10대 청소년으로 어린나이에 부 모를 잃고 고아가 되었지만, 깡그리 불타 잿더미가 되어버린 마을을 다시 일 으켜 세웠고 제주 공동체를 복원해냈다. 또한 유죽들은 평화와 인권이 무참 히 유린당했음에도 불구하고 복수심과 중오심을 내려놓은 채 용서와 화해의 숭고한 정신으로 평화와 인권을 지켜내었다.
4.3 피해자 회복탄력성과 정치 . 사회 민주화
72년 전, 어린 나이에 부모를 잃어 홀로 된 아이들이 다시 가족을 일구고 제주 공동체를 일으켜 세울 수 있었던 힘은 무엇이었을까? 무엇이 극한의
1) 본 글은 집종민, 한상희, 강남규(2019)의 「4.3피해자 회복탄력성」 에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하였다.
연구 보고서는 4 • 3피해자의 삶의 경로를 추적하는 구술조사를 바탕으로 4 • 3과 4 • 3 이후 극한 상황에서 어떻게 그들의 삶을 유지했는지, 어떤 요인들이 그들의 회복단력성에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주었는지, 님 은 과제는 무엇인지에 대하여 밝히고 있다.
-
삶을 도왔을까?
최근 극한 상황을 극복하고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회복탄력성의 정의 는 개인과 환경과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점진적으로 형성되는 변화
가능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는 시각이 일반적이다.
김종민, 한상희, 강남규(2019)의 생애사 중언을 바탕으로 한 「4.3희생자 회복탄력성」 에 따르면 민주화 운동 이전과 이후의 정치, 사회적 변화가 그 들이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민주화운동 이전은 사회 환경(정치, 경제, 법, 문화)이 직접 개인의 행위를 강제하는 시기로서, 이 시기에 회복탄력의 요인은 '가정 경제' 에 있었다. 살아남기 위한 필수조건은 경제였고, 공공기관의 취업이 제한된 상 황에서 취할 수 있는 직업은 '농업' 이었다. 처음에는 수익이 낮은 잡곡 농 사를 지으며 절대 빈곤 상태에 놓였지만, 60~70년대부터 감귤농사를 시작 하면서 경제적 안정은 심리적 안정으로 이어졌다. 또한 4 . 3피해자들은 어 려운 경제 여건 속에서도 능동적으로 경제 활동에 나서거나 조력자의 도움 을 받아 가정 경제의 안정을 이루어 회복탄력을 진행하였다.
둘째, 1987년 시작된 민주화운동은 시민 역량을 강화시켰고, 공동체 의식 의 변화를 가져왔다. 이는 4 • 3피해자의 회복탄력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민주화운동 이전에는 4 • 3 문제에 대해 말할 수조차 없었지만, 민주화운동 의 분위기가 확산되자 4 . 3문제에 능동적이며 의식적인 행동을 하기 시작했 다. 민주화운동 이전 4 • 3피해자는 타인과의 대화 도중 '폭도 새끼' ,'해 비 없는 자식' 이란 멸시를 받았고 이로 인해 많은 심적 트라우마를 경험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민주화운동 이후 점차 지역사회의 대화 분위기가 변 화하기 시작해 이젠 그런 모멸적 표현을 하는 사람이 없다는 점이다. 결국 민주화운동은 4.3피해자의 심리적 안정에 도움을 주었고 심적인 아픔의 치 료에도 한 몫을 했다.
셋째, 민주화운동 이후 나타난 다양한 사회제도들이 4• 3피해자들의 회복 탄력에 큰 영향을 주었다. 즉, 제주4 • 3추념일 제정, 제주4 • 3평화공원 조성 및 평화재단 설립 등이 4 • 3피해자들의 회복탄력에 도움을 주었다. 또한 4 • 3피해자들은 위령제참석을 통해 심리적 안정과 위로를 받고 있다.
넷째, 제주4 • 3특별법의 제정과 진상조사보고서 확정, 그리고 노무현 대통 령의 사과는 4 • 3피해자들의 회복탄력에 가장 큰 긍정적 요소로 작용했다.
또한 사회 환경의 변화 특히 정치의 변화는 4. 3피해자에게 직접적인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치의 변화는 공동체의식과 사회제도의 변화 에 영향을 주고 이룰 통해 개인의 회복탄력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 었다. 결국 사회 환경은 개인의 회복탄력성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많은 영 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치의 변화가 개인의 회 복탄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중언도 존재한다. 이는 4• 3피해자의 아픈 경험이 정치에 대한 불신감으로 이어지고 있음을 방중하고 있다.
끝으로, 4 • 3피해자는 4 • 3특별법 개정을 현재 제주사회에서 풀어야할 숙 제로 지적했다. 4 • 3특별법 개정으로 피해 배상은 물론, 군법회의 무효화를 통해 '전과자 낙인' 이 지워지기를 희망했다. 그리고 4 • 3의 역사를 바로 세워야 함을 지적했다.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남겨두어야 하고 후세대에 대한 4 • 3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함을 지적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사회 환경이 직접 개인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주는 경우도 있 지만, 사회 환경이 공동체의식과 사회제도에 영향을 주고, 이것이 다시 개인 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주고 있다.
4.3 피해자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과제
정치 사회 분위기가 민주화됨에 따라 4. 3진상규명운동이 활기를 띠면서
공동체 의식과 제도의 변화를 가져왔고, 이를 통해 4 • 3피해자의 회복탄력 성이 향상되었다. 따라서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해서는 우선 정치 . 사회의 민 주화가 담보되어야 할 것이다.
-
둘째, 민주화운동 이후 4 • 3피해자의 회복탄력성에 관한 주요 변수는 공동 체 의식의 변화였다. 언론의 4• 3관련 보도, 4 • 3연구소 발족, 4 • 3유족회 출범, 그리고 문화예술단체의 4 3행사가 활성화되면서 4 . 3진상규명에 관 한 시민사회의 공감대가 확산되었다. 앞으로도 시민사회의 변화와 4• 3이해 의 세대전승을 위한 장기적인 교육체계 및 시민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민주화운동 이후 정치 • 사회적인 일련의 변화가 4 • 3피해자의 회복 탄력성을 촉진하는 요인으로 크게 작용하였지만 현 시점에서 4• 3피해자의 회복탄력성을 보호하고 촉진하기 위해서는 4.3의 현안과제인 군법회의 무 효화, 배상 등의 내용을 담은 4 • 3특별법 개정이 필요하다.
끝으로 4:3이 주는 역사의 교훈을 거울삼아 사회 각 분야에서 평화와 인 권 의식 신장,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 문화 확산, 통일교육, 평화교육, 민 주시민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새로운 논의의 장이 확대되어야 한다.
[참고 문헌]
김종민, 한상희, 강남규(2019), 4 3 피해자 회복탄력성 연구, 제주학연구소,
-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