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05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 위키백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全國民主勞動組合總聯盟
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s
2006년 전국운송노조 덤프분과의 총파업
2006년 전국운송노조 덤프분과의 총파업
표어인간의 존엄성과 평등을 보장하는 참된 민주사회 건설
설립1995년 11월 11일
전신전국노동조합협의회
조합원1,014,845명 (2019년 4월)
국가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위원장
수석부위원장
사무총장
양경수
이태환
고미경
가맹조직국제노동조합총연맹
본부위치서울특별시 중구 정동길 3 경향신문사 14층
http://nodong.org/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全國民主勞動組合總聯盟, 영어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s, KCTU)은 대한민국 노동조합의 상급단체 중 하나이다. 본부 소재지는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길 3 경향신문사 14층이다. 약칭은 대내적으로는 총연맹(總聯盟), 대외적으로는 민주노총(民主勞總)[1]이라고 부른다.

1995년 11월 11일 창립하였으며 창립 당시 가입 조합원 수는 42만여 명이었다. 창립 당시에는 비합법 조직이었으나 1997년 노동관계법의 개정과 함께 합법적인 조직이 되었고 1998년 무렵 가입 조합원수가 52만여 명으로 증가하였으며 한국노총과 더불어 대한민국 노동조합의 양대 전국 조직으로 자리잡았다. 2021년 12월 기준으로, 가입 조합원 노동자수는 약 121만 3000명이다.[2] 2023년 현재 민주노총 위원장은 양경수이며 사무총장은 전종덕이다.[3]

역사[편집]

노동조합 결성 운동[편집]

1945년 광복 직후 노동자들의 이해관계를 대변해야 될 조직의 필요성을 역설한 노동운동가들에 의해 1945년 11월 1일 한국의 첫 노동조합인 좌파 계열 노동운동가들과 조선공산당 박헌영 등의 후원을 배경으로 한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약칭 전평)와 우파 계열이며 이승만김구김규식을 명예총재로 하고 유진산전진한김두한 등을 중심으로 한 대한노동조합총연합회(약칭 대한노총)이 출범했다.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는 좌파 불법화에 따라 불법단체로 간주되어 1950년 강제해산당하였으나 대한노총은 1960년까지도 존속했다. 그러나 1961년 5월 16일 5·16 군사 정변 이후 집권한 군사 정권은 노동조합 운동을 모두 불법으로 간주, 5월 20일 대한노총 역시 불법단체로 간주하여 강제 해산시켰다.

민주노동조합 운동[편집]

민주노동조합 운동의 시작[편집]

대한민국은 1970년대 급속도의 경제성장을 이루었으나 경제성장의 한 축이었던 노동자들의 근무 조건은 매우 열악하였다.[4] 1980년대가 되어도 노동자의 상황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그러나 노동자들의 의식은 변화하였다. 당시 많은 노동자들이 야학 등의 교육을 통해 자신들의 불합리한 처지를 개선시키기 위해 노동조합을 결성하여야 한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이들은 사측에서 이름만 걸어놓거나 협력적인 사람들로 구성된, 쉽게 말하면 회사의 말을 잘 듣는 어용노조를 대신할 민주노조를 결성하기 시작한다.[5]

박정희·전두환 정권은 민주노동조합 활동을 탄압하였다. 1985년 노동자들은 전두환 군사독재정권의 노동운동 탄압에 맞서 한국전쟁 이후 최초의 동맹파업투쟁인 구로동맹파업을 벌였다. 그러나 구로동맹파업은 결국 군사독재정권의 탄압으로 인해 44명의 구속자와 1천여명의 탄압성 해고자가 발생하는 상처를 남기고 해산되었다. 이후 노동조합 운동가들은 기업을 뛰어넘는 민주 노동조합 연대 기구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였다.[6]

구로동맹파업 이후 노동운동가들은 서울노동운동연합과 같은 노동운동단체를 결성하였다. 그러나 1986년 전두환 정권은 이를 반국가단체로 몰아 구성원 대부분을 구속 수감하고 모진 고문을 가했다. 당시 노동운동가들은 유죄 판결을 받고 길게는 2년 6개월을 복역하였다.[7] 2001년 대한민국 정부는 이때의 활동을 민주화 운동으로 인정하고 관련자들의 명예를 회복하였다.[8]

전국노동조합협의회 시대[편집]

전국노동조합협의회의 태동[편집]

1987년 대한민국에서는 민주화운동의 성과와 함께, 노동자의 권리에 대해 생각한 노동자들의 대규모 파업과 노동조합 설립이 잇달았다. 이후 회사의 말을 잘 듣는 어용노조가 아닌, 노동자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민주적인 노동조합을 설립하는 사업장은 계속하여 늘어갔으며 1989년에는 노동조합 설립이 최절정에 달했다. 이와 함께 기존의 한국노동조합총연맹이 노동자의 권익과 목소리를 대변하는 민주노조가 아닌, 자본가와 정부의 입장에 타협하는 어용노조라는 비판을 내놓으며 민주적인 상급단체의 설립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1989년 전국노동조합협의회의 준비를 위한 활동이 전개되었다.[9]

창립대회[편집]

1990년 1월 22일 수원의 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캠퍼스에서 전국노동조합협의회는 창립대의원대회를 열고 단병호를 초대 위원장으로 선출하였다. 이날의 창립대회는 원래 서울대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경찰이 원천봉쇄하는 탄압을 하자 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캠퍼스로 옮겨 치러졌으며 창립대회 직후 130여명의 노동조합 관계자들이 연행되었다.[10] 이날 전국노동조합협의회는 창립선언문에서 노동기본권[11]의 쟁취, 비민주시대의 청산 등을 자신들의 과제로 선언하였다.[12]

창립 이후 비합법적인 노동조합 상급단체의 역할을 해오던 전국노동조합협의회는 1995년 보다 넓은 노동자의 참여와 산업별 노동조합의 건설이라는 과제를 실현하기 위해 발전적으로 해체하고 민주노동조합총연맹을 결성하기로 한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시대[편집]

창립과 합법화 이전[편집]

1995년 11월 11일 민주노동조합총연맹이 창립되었다. 창립당시 862개의 단위 노조가 민주노총에 가입하였고 조합원 수는 42만여 명이었다.[13] 초대 위원장은 권영길, 수석부위원장은 단병호였다.

민주노총으로 결집한 우리는 인간다운 삶과 존엄성을 유지할 수 있는 노동조건의 확보, 노동기본권의 쟁취, 노동현장의 비민주적 요소 척결, 산업재해 추방과 남녀평등의 실현을 위해 가열차게 투쟁할 것이다. 나아가 우리는 사회의 민주적 개혁을 통해 전체 국민의 삶의 질을 개선함과 더불어 조국의 자주, 민주, 통일을 앞당기기 위해 가열찬 투쟁을 전개할 것이다. 이와 함께 우리는 국경을 넘어서서 전 세계 노동자의 단결과 연대를 강화하고 침략전쟁과 핵무기 종식을 통한 세계평화 실현을 위해 노력할 것이다.
 
— 창립선언문[14]

창립 당시 민주노총은 여전히 비합법 조직이었고 노동운동에 대한 정권의 시각 역시 변하지 않았다. 민주노총의 결성 준비가 한창이던 1994년 노동부 장관을 지낸 남재희는 다음과 같이 회고하고 있다.

(노동부 장관의 제의를 받자 고민을 많이 했는데) 내가 고민이 된다는 것은 당시의 정치분위기나 내가 짐작하는 YS정권의 노동정책 방향이 내 생각과는 맞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었다. …… 노태우 정권까지 노동정책은, 말하자면 치안정책이었다.……노 정권이 되어 좀 완화되기는 하였으나 치안 정책에는 변함이 없었다. 노동문제에 경찰, 검찰의 입김이 압도적이었고 경찰청장 출신이 잇달아 노동청장이 된 적도 있었다.
 
— 남재희[15]

김영삼 정부는 민주노총을 불법조직으로 바라보았으며 대화의 상대로 인정하려 하지 않았다. 1996년 당시 집권여당이던 신한국당은 노동법을 날치기 통과하였고 민주노총은 이에 총파업으로 맞섰다. 이 과정에서 민주노총 지도부의 많은 수가 수배자가 되었다.

합법화 이후[편집]

1999년 김대중정부에서 민주노동조합연맹은 합법적인 조직이 되었다.[16] 합법화 이후인 2000년 민주노동조합연맹의 조합원 수는 52만명으로 늘었다.[13] 민주노총의 창립은 대한민국 노동조합 운동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타협적인 성향을 갖는 한국노총의 영향력이 약화된 반면 보다 강경하고 투쟁적인 성향을 가진 민주노총의 영향력이 커졌다. 민주노동당이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에 국회의원을 배출하면서 민주노총의 위상은 더욱 커지게 되었다.[17]

2014년 12월, 민주노총은 상급노동단체 중 민주화 이후 처음으로 위원장을 가맹 조합원 전원의 직접 투표, 즉 직선제로 선출하였고 제8기 지도부 이후부터는 위원장 직선제 체제로 지도부 선출 방식을 개혁하였다.

역대 임원[편집]

1기 1대 임원[편집]

1995.11 ~ 1997.2
  • 위원장 : 권영길
  • 수석부위원장 : 양규헌
  • 부위원장 : 김영대, 단병호, 박문진, 배범식, 배석범, 정해숙, 허영구, 허장
  • 사무총장 : 권용목

2기 2대 임원[편집]

1998.3 ~ 1999.9
  • 위원장 : 이갑용
  • 수석부위원장 : 유덕상
  • 부위원장 : 이상춘, 허영구, 김영대, 이규재, 단병호
  • 사무총장 : 고영주

2기 3대 임원[편집]

1999.9 ~ 2001.1
  • 위원장 : 단병호
  • 수석부위원장 : 허영구
  • 부위원장 : 김영대, 양경규, 배종배, 유덕상, 이규재, 아상춘, 허영구
  • 사무총장 : 이수호

3기 4(1)대 임원[편집]

2001.1.1 ~ 2002.8
  • 위원장 : 단병호
  • 수석부위원장 : 허영구
  • 부위원장 : 김태일, 차수련, 배종배, 김예준, 박문진, 이규재
  • 사무총장 : 이홍우
  • 2002.5 ~ 2002.8 : 비대위원장 백순환(금속연맹)

3기 4(2)대 임원[편집]

2002.8 ~ 2004.1
  • 위원장 : 단병호
  • 수석부위원장 : 유덕상
  • 부위원장 : 신승철, 이향원, 홍준표, 김형탁
  • 사무총장 : 이재웅

4기 5대 임원[편집]

2004.4.1 ~ 2006.2
  • 위원장 : 이수호
  • 수석부위원장 : 강승규
  • 부위원장 : 오길성, 신승철, 김지예, 이혜선
  • 사무총장 : 이석행
  • 2005.10~2006.02 : 비대위원장 전재환 (금속연맹)
  • 2006.02~2006.02 : 비대위원장 남궁현 (건설연맹)

4기 6대 임원[편집]

2006.2 ~ 2007.2
  • 위원장 : 조준호
  • 수석부위원장 : 윤영규
  • 부위원장 : 김지희, 진영옥, 이태영, 허영구, 최은민
  • 사무총장 : 김태일

5기 7대 임원[편집]

2007.1.26 ~ 2009.2.9
  • 위원장 : 이석행
  • 수석부위원장 : 진영옥
  • 부위원장 : 허영구, 주봉희, 전병덕, 박정곤, 김지희, 김은주
  • 사무총장 : 이용식
  • 2009.2~2009.3 : 비대위원장 임성규 (공공연맹)

5기 8대 임원[편집]

2009. 04. ~ 2010. 01.
  • 위원장: 임성규
  • 수석부위원장: 정의헌
  • 부위원장: 배강욱, 반명자, 김경자
  • 사무총장: 신승철

6기 9대 임원[편집]

2010.1 ~ 2012.11
  • 위원장 : 김영훈
  • 수석부위원장 : 정의헌
  • 부위원장 : 정희성. 정혜경, 노우정, 양성윤, 정용건
  • 사무총장 : 강승철
  • 2012.11~2013.3 : 비대위원장 백석근 (건설산업연맹)

7기 10대 임원[편집]

2013.7 ~ 2014.12
  • 위원장 : 신승철
  • 수석부위원장 : 양성윤
  • 부위원장 : 주봉희, 이상진, 김경자
  • 사무총장 : 유기수

8기 11대 임원[편집]

2015.1 ~ 2017.12
  • 위원장 : 한상균
  • 수석부위원장 : 최종진
  • 부위원장 : 김경자, 정혜경, 김욱동, 김종인, 이상진
  • 사무총장 : 이영주

9기 12대 임원[편집]

2018.1 ~ 2020.7
  • 위원장 : 김명환
  • 수석부위원장 : 김경자
  • 부위원장 : 유재길, 정혜경, 이상진, 양동규, 봉혜영, 엄미경, 윤택근
  • 사무총장 : 백석근

10기 13대 임원[편집]

2021.1 ~
  • 위원장: 양경수
  • 수석부위원장 : 윤택근
  • 부위원장: 김은형, 박희은, 한성규, 양동규, 이양수, 이태의
  • 사무총장: 전종덕

조직[편집]

2019년 4월 기준 민주노총에는 총가맹조직이 16개 가입되어 있으며 조합원 수는 약 101만4845명이다.[18] 민주노동조합총연맹에 가입되어 있는 산하 조직은 다음과 같다.

최근의 조직 변화[편집]

2009년 4월 10일 인천지하철공사노조, 인천국제공항공사 노조 등이 민주노총을 탈퇴하였다. 반면, 2009년 9월 23일 통합공무원노조가 새로운 출범과 함께 민주노총에 가입했다.[19] 또한 우체국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노동조건 개선을 위해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공공노조)에 우편지부를 만들어 가입하였다.

내부 규약[편집]

강령[편집]

  1. 우리는 자주적이고 민주적인 노동조합 운동의 역사와 전통을 계승하고, 인간의 존엄성과 평등을 보장하는 참된 민주 사회를 건설한다.
  2. 우리는 노동자의 정치 세력화를 실현하고 제민주 세력과 연대를 강화하며, 민족의 자주성과 건강한 민족 문화를 확립하고 민주적 제권리를 쟁취하며 분단된 조국의 평화적 통일을 실현한다.
  3. 우리는 미조직 노동자의 조직화 등 조직 역량을 확대 강화하고, 산업별 공동 교섭, 공동 투쟁 체제를 확립하여 산업별 노동조합을 건설하고 전체 노동조합 운동을 통일한다.
  4. 우리는 권력과 자본의 탄압과 통제를 분쇄하고 노동 기본권을 완전 쟁취하며, 공동 결정에 기초한 경영 참가를 확대하고 노동 현장의 비민주적 요소를 척결한다.
  5. 우리는 생활 임금 확보, 고용 안정 보장, 노동 시간 단축, 산업 재해 추방, 모성 보호 확대 등 노동 조건을 개선하고, 남녀 평등 실현 등 모든 형태의 차별을 철폐하고 안전하고 쾌적한 노동 환경을 쟁취한다.
  6. 우리는 독점 자본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중소 기업과 농업을 보호하며, 사회 보장, 주택, 교육, 의료, 세제, 재정, 물가, 금융, 토지, 환경, 교통 등과 관련한 정책과 제도를 개혁한다.
  7. 우리는 전 세계 노동자와 연대하여 국제 노동 운동 역량을 강화하고 인권을 신장하며, 전쟁과 핵무기의 위협에 맞서 항구적인 세계 평화를 실현한다....

기본 과제[편집]

  1. 우리는 자주적이고 민주적인 노동조합 운동의 역사와 전통을 계승하고 이를 발전시킨다.
  2. 우리는 인간의 존엄성과 평등이 보장되는 참된 민주 사회를 건설한다.
  3. 우리는 노동자의 정치 세력화를 실현하고 제민주 세력과의 연대를 강화한다.
  4. 우리는 언론, 출판, 집회, 결사, 시위, 사상의 자유 등 민주적 제권리를 쟁취한다.
  5. 우리는 민족의 자주성을 확립하고 분단된 조국의 평화적 통일을 실현한다.
  6. 우리는 산업별 공동 교섭, 공동 투쟁 체제를 확립하고 산업별 노동조합을 건설한다.
  7. 우리는 미조직 노동자를 조직하고 전체 노동조합 운동을 통일한다.
  8. 우리는 권력과 자본의 탄압을 분쇄하고 교사, 공무원의 단결권 등 노동 기본권을 완전 쟁취한다.
  9. 우리는 자본의 합리화 전략에 따른 노동 통제와 노동 강도 강화를 저지한다.
  10. 우리는 공동 결정에 기초한 경영 참가를 확대하고 노동 현장의 비민주적 요소를 척결한다.
  11. 우리는 생활 임금과 주 40시간 노동제를 쟁취하고 유급 휴일, 유급 휴가를 확대한다.
  12. 우리는 남녀, 직종, 학력, 기업, 국적간 차별을 철폐하고 동일 노동 동일 임금을 쟁취한다.
  13. 우리는 해고와 실업을 방지하고 완전 고용과 고용 안정을 쟁취한다.
  14. 우리는 산업 재해와 직업병을 추방하고 쾌적하고 안전한 작업 환경을 쟁취한다.
  15. 우리는 남녀 평등을 실현하고 모성 보호를 확대하여 여성의 평생 일터를 쟁취한다.
  16. 우리는 사회 보장 제도와 주택, 교육, 의료 제도를 개혁하여 전 국민의 인간다운 삶을 쟁취한다.
  17. 우리는 국내외 독점 자본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중소 기업과 농업을 보호, 육성한다.
  18. 우리는 세제, 재정, 물가, 금융, 토지, 환경, 교통 등과 관련한 제도와 정책을 개혁한다.
  19. 우리는 퇴폐적인 문화를 척결하고 건강한 민족 문화를 확립한다.
  20. 우리는 전 세계 노동자와 연대를 강화하고 전쟁과 핵무기 위협에 맞서 세계 평화를 실현한다.

의사결정 구조[편집]

민주노총의 최고의결기구는 조합원총회이다. 그러나 조합원총회의 소집은 극히 이례적이며 중요한 의결을 이루는 정기적인 의결기구는 대의원대회이다. 상시적인 활동은 중앙위원회와 중앙집행위원회, 상임집행위원회의 의사결정에 의해 이루어진다. 위원장은 각종 회의를 소집하고 의장이 된다. 제반 사무 업무는 사무총장이 총괄하는 사무국을 통해 이루어진다.[20]

2010년 1월 28일의 신임 지도부 선거 결과 한국철도공사 출신의 김영훈이 위원장으로 기아자동차 출신의 강승철이 사무총장으로 당선되었다. 선거결과는 제49차 대의원대회에서 확정 발표되었으며 이날 4명의 부위원장이 함께 선출되었다.[21]

주요 활동[편집]

노사정 대타협[편집]

IMF 구제금융사건 이후 김대중의 국민의 정부는 외환위기의 타결책으로 사회적 대타협을 제안한다. 김대중 정부는 노사정위원회를 구성하고 사용자 측의 노동유연성 재고를 위한 정리해고의 도입과 노동자 측의 노동기본권의 확대를 골자로 하는 노사정 대타협을 추진하였다. 민주노총은 제1기 노사정위원회에 당시 배석범 위원장이 대표로 참석하였다. 배석범 위원장은 정리해고를 받아들이는 대신에 공무원과 교원의 노동조합 결성권리를 인정받았다. 이 합의는 이후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의 합법화로 이어졌다. 그러나, 민주노총은 대의원대회를 통해 구조조정과 정리해고를 인정한 배석범 위원장을 불신임하였다.[22]

새로 위원장에 당선된 이용갑 민주노총 위원장은 노동자의 일방적인 희생을 강요하는 결정에 찬성할 수 없다고 선언하고 노사정위원회 불참을 선언하여 정부, 한국노총과 한국경영자총협회 만이 참여한 가운데 노사정 대타협이 이루어졌다. 이로 인해 기업은 경영난에 따른 구조조정을 이유로 정리해고를 감행하여 노동조합과 갈등이 고조되었다. 한편 정리해고는 노동조합의 조직률을 떨어뜨려 노동조합 자체의 힘을 약화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1999년, 노동조합의 조직률은 11.7%까지 떨어졌다.[17]

산별노조 운동[편집]

기업별 노동조합, 특히 대기업 노동조합의 경우 정규직의 고용안정에 직결된 사항에는 민감하게 대응하지만 중소기업이나 비정규직 노동자의 처우 개선에는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는 등 여러 문제가 있어왔다. 이에 민주노총은 산업별 노동조합으로 노동조합을 재편하고 산업별 교섭을 강화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 하고 있다. 2003년 이후 민주노동조합연맹의 핵심 산별노조인 전국금속노동조합이 금속산업사용자협회와 산별교섭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조합원수 16만명에 이르는 완성차 4개사의 노동조합이 이에 불참하는 등 산별 중앙교섭에 참여하는 인원이 17%에 불과해 산업별 노동조합 운동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기도 하다.[23]

비정규직 문제[편집]

민주노총은 비정규직의 축소와 차별 철폐를 위한 사업을 펼치고 있다. 2005년부터 비정규직 권리보장법을 청원하였으며[24] 2008년에는 비정규·장기투쟁사업장을 순회투쟁하고 노동청 앞에서 농성 전개하는 직접행동을 선언하기도 하였다.[25]

2010년 선거 과정에서 부위원장 후보로 나선 정승호는 "자기 사업장 비정규직 문제도 해결하지 못하면서 '비정규직 철폐'를 얘기하지는 말자"고 민주노총의 관성을 지적했다.[26] 하지만 공공기관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의 노동조합인 전국공공운수노동조합의 경우 전국우편지부가 2012년에 생기는 등 비정규직노동자들의 목소리도 민주노총에서는 존재하고 있다.

복수노조 추진[편집]

1997년 노사정위원회의 합의는 복수의 노동조합 상급단체를 인정하면서도 한국노총의 요청을 받아들여 사업장 단위의 복수 노동조합은 인정하지 않았다.[27] 민주노총은 이러한 노사정위원회의 결정에 노동자의 단체결성권을 제한한다는 이유로 반대하며 복수노조 설립 인정을 요구하였다.[23] 이후 2011년 7월부터 복수노조는 합법화되었다.

정치 활동[편집]

2002년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선거에 초대 위원장이었던 권영길이 후보로 나선 이후 민주노총은 진보정치 실현을 위한 지원을 하고 있다. 민주노동당이 설립된 이후 민주노총은 민주노동당에 대해 배타적인 지지를 선언하고 있다.[28]

그러나 민주노총의 이러한 민주노동당 지지에도 불구하고 실제 조합원의 정치의식 변화에는 실패하고 있다는 비판이 있다. 진보의 입장에서 2008년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의 실패를 평가한 《절망 사회에서 길찾기》는 민주노총이 한국노총과의 정책 연대에 골몰한 나머지 표를 구걸하고 민주노동당이 노동자를 대표하기 보다는 "그들을 대신하여 정치를 하는" 것으로 인식되어 노동자를 주체가 아닌 객체로 전락시킨데 원인이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28]

진보신당 연대회의가 민주노동당에서 분당된 이후에도 민주노총의 공식 입장은 민주노동당에 대한 배타적 지지를 고수하고 있다. 그러나, 2009년 12월 임성규 위원장은 "이대로 가면 2010년 지방선거 이후 두 진보신당이 모두 낮은 지지율로 전락할 것이며 민주노동당이 진보신당에 압도당할 것"이라 발언하며 두 정당의 통합을 촉구한 바 있다.[29]

최근 현황[편집]

쟁점[편집]

  • 2010년 1월 현재 민주노총과 정부, 경총간의 최대 쟁점은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노조법) 개정안 시행령의 제정이다. 정부와 경총은 복수노조 설립인정의 유예와 노동조합 전임자에 대한 임급 지급의 금지를 골자로 하는 시행령을 입법예고하였고 민주노총은 이에 크게 반발하고 있다.[30]

선거[편집]

  • 2010년 1월 28일 민주노총은 제49차 대의원대회를 통해 지도부 선거 결과 위원장에 김영훈 등 신임 지도부의 당선을 확정하였다.[21]


논란 및 비판[편집]

2008년 성범죄[편집]

경찰관 폭행 및 재물손괴 등[편집]

2019년에는 현대중공업 노조가 주주총회장을 점거하고 폭력행위를 저질렀다. 5월 22일 집회에서는 경찰관을 폭행해 경찰관 19명이 이가 부러지거나 손목 인대가 늘어나는 등 부상을 입었다. 5월 27일, 울산지방법원은 현대중 노조에 대해 주주총회장 점거 시 5000만원을 배상하도록 했음에도 불구하고, 노조는 법원의 판결을 무시하고 주총장까지 점거했다. 주총장 점거 과정에서 유리창을 깨트리면서 회사 측 경비원 1명이 중상, 6명이 경상을 입었다.[31]

비노조원 집단 폭행 및 차량 손괴 등[편집]

2021년 7월 1일부터 SPC그룹이 파리바게뜨 노조와해를 지시하였다는 것이 밝혀졌다.[32] 민주노총 소속 운송기사들은 항의의사를 표출하는 과정에서 노조원이 아닌 무고한 운송기사를 집단으로 폭행하였고[33], 파리바게뜨 트럭에 손괴를 입혔다.[34] 노조원이 아닌 점주들은 운송 피해를 호소하였다.[35]

북한 공작원 접선 국가보안법위반[편집]

국가정보원은 10여년 간 수사를 거쳐[36] 최고위층 간부가 북한(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부터 지령을 받고 반국가활동을 했다는 혐의 등으로 2023년 1월 18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통칭 '민주노총') 본부 사무실을 경찰과 압수수색했다.[37]

노조 간부 A씨는 2017년 캄보디아, 2019년 베트남에서 북한 문화교류국 공작원을 만나 공작금을 받고 지하조직 결성 등에 대한 지령을 전달받았고 한국으로 돌아와 보건의료 노조와 광주 기아차 소속 노조원을 포섭해 하부 조직을 만든 뒤 반정부 활동에 나섰다. 다른 3명의 간부들은 별도의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북한 공작원을 접촉해 활동하였다.[36] 이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전현직 간부들은 북한 대남공작기구인 문화교류국(옛 225국) 공작원을 접촉해 활동 지령을 받고 자금을 수수하였다.[38]

투쟁 방식에 대한 비판[편집]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은 과거의 집회와 시위 위주의 단체행동을 바탕으로 한 투쟁방식으로 비판받고 있다. 특히 경찰버스 파손 및 경찰 물품 탈취 등의 폭력시위 혐의로 손해액을 전부를 배상하라는 판결을 받는 등 총연맹의 반정부 폭력시위가 비판을 받고 있다.[39]

이런 투쟁 방식으로 산하 노조가 잇따라 탈퇴하기도 하였다. 이에 대해 한국노동연구원 석좌연구위원 최영기는 “민노총도 이제 투쟁 방식을 바꿀 때가 됐다”며 “국정운영 기조의 변화를 명분으로 총파업을 한다는 것은 조합원들에게 설득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40]며 정치투쟁 중심인 노동운동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특히 “현재의 집단행동과 같은 강경투쟁이 아닌 여론의 지지를 얻고 정부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소프트 파워를 꾸준히 축적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41]

2010년 11월에는 서울에서 열리는 G20 정상회의와 관련하여 민주노총은 행사기간중 대규모 시위를 준비중이라고 밝혔다. 당시 한국노총은 G20은 국가대사인 만큼 시위를 하지 않겠다고 밝힌바 있다.[42]

또한 1995년 민주노총 탄생에 주도적 역할을 했던 서울지하철노조가 민주노총에서 탈퇴하기로 결정했다. 향후 서울지하철노조는 다른 노조들과 함께 6월경 제3노총 설립에 나설 예정이다. 서울지하철노조는 지난 1987년 노조 설립 이래 '파업철'이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로 대표적인 민주노총 산하 강성노조였다. 그러나 4월 27일부터 29일까지 민주노총 탈퇴 여부를 묻는 찬반 투표결과 전체 조합원의 약 53%가 찬성하여 민주노총에서 탈퇴하게 되었다. 이와 관련 정연수 서울지하철노조 위원장은 "그동안 노동운동은 상층 지도부의 기득권 유지를 위한 정치이념투쟁과 귀족 노동운동에 매몰돼 왔다"며 민주노총의 노선을 비판했다.[43]

허세욱 병원비 지불 논란[편집]

2007년 3월 29일 참여정부의 한미FTA에 반대하여 허세욱이 분신한 사건이 있었다. 이후 민주노총은 치료비 모금 운동을 벌였다. 2007년 3월 29일 노무현정부의 한미FTA에 반대하여 분신한 허세욱의 분신 이후 치료비 모금 운동을 벌여 7000여만원을 모았으나 민주노총은 수술비 등 경제적 부담은 본인들이 책임지겠다는 각서를 작성하였다.[44]

그러나 민주노총은 병원비를 지불하지 않았고, 4월 3일 한강성심병원측은 민주노총에 지불 책임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날 민주노총 대변인 우문숙은 “각서까지 쓴 실질적인 보호자 민주노총을 허세욱이 사망하던 순간까지 배제시켜 놓고 이제 와서 병원비를 내라는 병원 측의 처사를 이해할 수 없다며 “허씨를 위해 모금한 7000여만원 중 장례비용을 제외한 나머지 6700여만원을 추모사업에 쓰기 위해 모두 허세욱 추모사업회에 기증했다고 주장했다.[44] 병원 관계자는 “7000여만원의 모금액 중 치료비를 지불하고 나머지 돈으로 추모사업을 하는 게 맞지 않느냐며 소송을 해서라도 치료비를 받겠다고 대응하였다.[44]

2007년 9월 1일 조선일보는 민주노총이 고인의 유지와 상관없이 일부 유족과 병원측이 민주노총과 민주노동당을 배제하고 장례를 진행한다는 이유로 치료비 지급을 하지 않는 처사를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특히 조선일보는 당시 민주노총 대변인이었던 우문숙 대변인이 모금액 가운데 사용한 돈 500여만 원의 용처에 대해서 “쓰긴 썼는데 어떤 비용으로 들어갔는지는 정확히 모르겠다”고 발언했다고 보도했다.[45]

민주노총은 조선일보가 관련 사실을 왜곡 보도하고 있다는 반박 성명을 발표하였다. 민주노총은 반박 성명에서 병원측이 먼저 대책위원회의 제안을 거부하고 치료와 장례의 과정에서 대책위원회를 배제하였으며 심지어는 사망한 사실도 알려주지 않아 치료비를 지급할 수 없었다고 조선일보의 보도를 반박하는 한편[46] 모금액은 이후 허세욱 열사 기념 사업을 위해 쓰일 것이라 밝혔다. 또한 당시 이용식 민주노총 사무총장은 조선일보가 500여만 원의 용처에 대해 보도한 것은 “조선일보 기자가 민주노총 대변인과의 전화통화에서 민주노총이 모금한 금액을 잘못 알아듣고 현재 남은 잔액과 단순비교해 완전히 잘못된 기사를 썼다”고 밝히며 우문숙 대변인이 그와 같은 발언을 한 적이 없다고 지적하였다.[47]

2008년 민주노총은 유족 및 병원과 합의하여 치료비 잔액을 부담하였다.[48] 2008년 4월 15일 허세욱 기념관이 문을 열었다.[49]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대외적인 약칭이 ‘민주노총’임에도 불구하고 일부 대한민국의 언론에서는 ‘민노총’이라는 약어를 완고하게 사용하고 있으나,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에서는 ‘민주노총’이라는 약칭만을 인정하고 있다.
  2.  “노동조합 조직현황”. 《www.moel.go.kr》. 2023년 10월 8일에 확인함.
  3.  “10기 13대 임원”. 《nodong.org》. 2023년 10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4.  서중석, 한국현대사, 웅진지식하우스, 2006, 281쪽, ISBN 89-01-04959-7
  5.  서해문집, 내일을 여는 역사 24호, 2007, 224~226쪽
  6.  임, 영일 (1995년 5월). “해방 50년 기념 기획 : 문학으로 본 한국현대사 50년 1980년대 <노동의 새벽>-노동해방운동의 고양과 그 이후-”. 《역사비평》 (민족문제연구소).
  7.  박원순, 국가보안법연구 2, 역사비평사, 2008, 275-276쪽, ISBN 89-7696-303-2
  8.  심상정, 당당한 아름다움, 레디앙, 2008년, 50쪽, ISBN 89-959952-2-X
  9.  민주노총 홈페이지의 약사.[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10.  한국과학기술원 인문사회과학부 이상경교수의 홈페이지 자료.[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11.  노동3권으로 불리는 노동자의 권리.노동자가 노동조합을 결성하여 단결하는 단결권, 자본가와 협상하는 단체교섭권,협상이 안 될 경우에 파업등으로 저항하여 권리를 쟁취하거나 지키는 단체행동권이 이에 해당함.
  12.  노동정보화사업단 자료실의 전노협 창립선언문.
  13. ↑ 이동:  계명대학교 출판부, 한국역사의 이해, 2008년, 290쪽, ISBN 89-7585-068-4
  14.  창립선언문 Archived 2010년 2월 1일 - 웨이백 머신, 민주노동조합연맹 홈페이지
  15.  남재희, 아주 사적인 정치 비망록, 민음사, 2007, 163쪽, ISBN 89-374-2566-1
  16.  [1]
  17. ↑ 이동:  강인수 외, 한국경제의 이해, 2006, 교보문고, 296-297쪽, ISBN 89-7085-650-1
  18.  민주노총 조직현황 Archived 2018년 1월 29일 - 웨이백 머신,민주노총 홈페이지
  19.  "공무원노조 정치투쟁 단호 대처"
  20.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강령 규약집 제28차 개정 Archived 2011년 11월 21일 - 웨이백 머신, 2009년 1월 21일 45차 대의원대회
  21. ↑ 이동:  속보- 민주노총 제49차 정기대의원대회 개최 Archived 2011년 9월 26일 - 웨이백 머신 노동과 세계 2010-1-29
  22.  이상호, 거기 너 있었는가, 열린 숲, 2008, 287-288쪽, ISBN 89-959188-2-9
  23. ↑ 이동:  김선빈, 상생의 경제학, 삼성경제연구소, 2009, 366쪽, ISBN 89-7633-393-4
  24.  고 전용철씨 추모 촛불 문화제, 뉴시스, 2005-12-4
  25.  민주노총, 비정규직 철폐 위해 직접행동 나선다, 민중의 소리
  26.  민주노총, '김영훈號' 출범…"MB보다 오래 하겠다", 프레시안, 2010-1-28
  27.  당대, 시민과 사회, 2003년 하반기, 294쪽, ISBN 89-8163-088-7
  28. ↑ 이동:  산지니, 절망 사회에서 길찾기, 2009, 97쪽, ISBN 89-92235-32-1
  29.  민주노총 위원장 "선거 뒤에 진보신당이 민노당 압도할 것" - 오마이뉴스
  30.  “철도·금속노조 등 중심 노조법 반대 4월 투쟁”, 한겨레, 2010-1-29
  31.  “[단독영상]민노총 現重 노조, 이번엔 주총장 점거·본사 강제 진입…경비원 한명 실명 위기”.
  32.  “파리바게뜨 노조 "SPC, 돈까지 써가며 노조 와해 지시".
  33.  “[단독] “5~6명이 피멍 들게 때려”...민노총, 파리바게뜨 트럭 막고 한밤 폭행”.
  34.  “[단독]민노총, 이번엔 박치기로 화물차 유리창 박살… 일당 기사들은 웁니다”.
    “파리바게뜨車 연료선 절단테러…경찰, 용의자 3명 특정했다 [영상]”.
  35.  “어처구니없는 勞勞 싸움에 '빵 대란'…파리바게뜨 매장 사장님들 발동동”.
  36. ↑ 이동:  이채현 (2023년 1월 18일). "민노총 간부, 해외서 北 공작원 만나 공작금 받아". 《TV조선》.
  37.  구민성 (2023년 1월 18일). “국정원, 민노총 사무실 4곳 동시 압수수색…간부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 《TV조선》.
  38.  고도예·전주영·김기윤 (2023년 1월 19일). ““민노총 핵심간부들, 北지령받아 반정부조직 시도””. 《동아일보》.
  39.  김승현 (2009년 12월 11일). “민노총, 집회 중 경찰버스 파손 100% 물어줘야”. 중앙일보. 2009년 12월 28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40.  민노총이라는 표현은 민주노조의 투쟁 맥락을 모르는 표현이다.
  41.  잇단 악재에 흔들리는 민노총 서울경제신문, 2009-06-17
  42.  엄수아 (2010년 11월 9일). “고흥길 "민노총, G20 난장판 만들 시위 취소하라". 뷰앤뉴스. 2010년 11월 25일에 확인함.
  43.  “서울지하철노조의 민노총 탈퇴와 새로운 노조운동”. 조선일보. 2011년 5월 1일. 2011년 5월 2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44. ↑ 이동:   분신 허세욱씨 병원비 민노총 지불 거부 논란 문화일보 2007-09-03일자
  45.  병원비 모금해놓고 안내는 민노총, 조선일보, 2007-9-1
  46.  "<조선> 왜곡보도가 허세욱 두 번 죽였다", 오마이뉴스, 2007-9-4
  47.  민주노총, 조선일보 허세욱장례비 보도 반박[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중앙일보, 2007-9-7
  48.  위키백과 속 민주노총은?[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레디앙,2010-1-4. 이 기사에는 위키백과의 이전 편집 내용이 사실관계가 바르지 않다는 지적도 함께 실려 있다.
  49.  15일 허세욱 기념관 공개 ... 열사의 삶 한눈에, 민중의 소리, 2010년 1월 29일 읽어봄

외부 링크[편집]


===
일어한역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출처 : 무료 백과 사전 "Wikipedia (Wikipedia)"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민주노총
각종 표기
한글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
민주노총
한자 :전국민주 勞動組合總聯盟 /
민주勞總
발음 :정근민주노동 조합정영정/
민주노천
템플릿 보기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젠코쿠민슈로우도미아이소렌메이)은 한국 노동 조합 의 내셔널센터 이다. 1995년의 설립 당초부터 반미·반일·친북조선으로 폭력 등의 과격한 시위와 파업을 하는 [1] 세계적으로도 유수의 ​​전투적 노동조합으로 알려져 있다. 약칭은 민주노총, 민노총 [2] .

노동조합이 지지기반의 하나인 문재인 정권시대부터 조합원 수 약 120만명이라는 한국 내에서는 최대 규모의 노동조합이 되었다 [1] [3] [4] . 본부는 쿄고 신문 사내 에 있다.

이 단체는 정의당 , 노동당 , 녹색당 , 민중당 과 같은 한국 좌파 · 혁신 정당을 지지하고 있다 [5] . 한편 박근혜 대통령 퇴진 시위를 기획하는 등 국민의 힘 과 같은 한국 보수 정당 에게는 매우 강하고 비판적이다. 좌파 정권이기 때문에 밀월이었던 문재인 정부란, 2021년에는 코로나연에서 금지된 대규모 시위를 행한 죄에 톱 체포된 이후는 “자신들을 탄압하고 있다” 와 대립 관계가 되어 맹비난하고 있다 [6] [7] . 나중에 문정권이라는 좌파정부 시대에도 북한으로부터 일본과 한국정부의 대립을 부추라고 명령받았던 것으로 밝혀졌다 [1] .

기본 데이터 편집 ]

조직 현황 편집 ]

  • 총 조합 수(지부 포함): 2,032 조합
  • 조합원수 : 693,662명
  • 총 회원 조직: 16 조직
  • 조합원 대 비산별 전환율: 80%
    • 산별노조수:23개
    • 산별 조합원수:547,430명
  • 지역본부와 지구협의회
    • 지역 본부: 16개
    • 지구협의회:44개
  • 직가입노조수와 조합원수
    • 직가입노조:107개
    • 조합원수: 14,434명

출처: 조직현황 (조직현황) , 민주노총 홈페이지(2014년 2월 28일 열람)

임원 편집 ]

8기 11대(2015년 1월~)의 임원

  • 위원장 : 한상균( 한상균 )
  • 부위원장(6명)
    • 최정진( 최종진 )
    • 김경자( 김경자 )
    • 정혜경 ( 정혜경 )
    • 김욱동( 김욱동 )
    • 김종인( 김종인 )
    • 이상상 ( 이상진 )
  • 사무총장 : 이영주( 이영주 )

출처: 8기 11대 (8기 11대 임원 소개) , 민주노총 홈페이지(2015년 3월 27일 열람)

설립 경위 편집 ]

元々、韓国の労働組合のナショナルセンターとして軍政が育てた労資協調路線の韓国労働組合総連盟(韓国労総)が存在した。しかし、1987年民主化宣言以降、韓国労総の労資協調姿勢に反発する労働運動が活発化。1995年11月11日に当局非公認のまま結成され、労働法改正後の1999年11月22日に晴れてナショナルセンターとして認可された。

政治的姿勢[編集]

政治姿勢としては金大中をも含めた保守・中道派に対して批判的な姿勢を保ち、金大中政権下での新自由主義路線に対しても実力行使で反撃、2001年大宇自動車(現:GM大宇)争議への白色テロに対しても徹底抗戦を貫いた。また2000年4月には立場の近い在野勢力と共に民主労働党(民労党)を結成、支持母体となった。しかし、2008年には民主労総現職・前職役員の党員が集団離党するなどの動揺も見せた[8]2002年大統領選挙2007年大統領選挙では民労党候補を全面的に支援した。

2011年12月に民労党と国民参与党及び進歩新党脱党派によって結成された統合進歩党(進歩党)には、チョ・ジュノ前委員長が共同代表として入党した[9]第19代総選挙に際し、比例代表では進歩党を支援したが、地域区においては進歩新党の一部候補も支援した[10]。総選挙後、比例代表候補予備選における不正事件が発覚し、真相究明をする過程で党権派党員による暴力事態が発生するとこれを非難する姿勢を示した[11]。また、労総中央委員会が決めた党刷新案が受け入れられなかったことを受け、進歩党支持を撤回する姿勢も示したが、5月17日の中央委員会で革新非常対策委員会(進歩党の非党権派が結成した党運営機関)による党刷新が実現するまでの間は支持を撤回する「条件付き支持撤回」を決定した[12]

姜基甲を代表とする新党権派による指導部が発足し党刷新が図られたが、不正選挙の当事者とされる議員2名の除名が7月の議員総会で否決されたことを受け、民主労総は中央執行委員会を8月14日未明まで行い、統合進歩党への支持を撤回することを決定した。統合進歩党の最大支持組織である民主労総が支持を撤回したことで、新党権派による新党結成方針が加速されるものと推測される[13]

12月に行われる大統領選挙では、民主労総として独自候補を擁立する動きもあったが断念した。役員は野党圏の有力候補であった文在寅民主統合党)と安哲秀(無所属)、それぞれの候補者キャンプに合流する動きが続いた。そして野党圏候補が文在寅に一本化(安哲秀は立候補辞退)されたことで、民主労総は「政権交代」を目標に文在寅を消極的に支持する姿勢を採った[14]。ただ、2018年以降からは再び文在寅(ムン・ジェイン)政府など自由主義勢力を強い口調で批判している。2019年以降からは文在寅自由主義政府を取り壊さなければならないという、非常に強硬な立場を取っている。[15]

日本の三里塚芝山連合空港反対同盟(北原派)とは共闘関係にある[16]

不祥事・批判・親北スパイ行為摘発[編集]

大企業・正規職労働者中心の労働組合として年収約9200万ウォン(約920万円)など既得権に執着するうちに強硬闘争中心路線を歩むようになり、結局は労働者間の格差を広げたという批判がある。文在寅政権で経済社会労働委員会委員長に2017年8月に任命されて、全国労働組合協議会事務総長や民労総金属連盟委員長、民主労働党代表など、民主労総にも設立から関わってきた文成賢は「30年間、私なりに正義だと信じながら労働運動をしてきたが、今になってみると正義ではないこともあった。それには民労総にも責任がある」と述べ、民労総が最低賃金算入範囲や全国教職員労働組合の合法化など個々の事案に絡めて政府に要求することに、「大きな枠組みでの社会的対話を拒否するのは間違っている。対立と確執ではなく、和合と共生の労使関係を築くため、民労総は最善を尽くすべきだ」「民労総はこれまでの慣行と決別し、新たな未来に向かって行かなければならない」と批判した[2]

全国民主労働組合総連盟化繊労組ダンキン支会長がSPCグループが運営するダンキンドーナツの製品を非衛生的な環境製造・生地に異物混入という内容の情報提供映像を捏造して、KBCに公益申告者の振りして報道させた自作自演していたことが発覚した[17]

元々反日親北的組織であったが、2023年1月の本部への捜査で北朝鮮から反日や日韓対立の扇動など各種指令を受けていたことが判明した。同年3月末には、東南アジアなどで北朝鮮工作員と直接接触で指令を受け、反韓国政府活動を行ったとして、国家保安法違反容疑で、、中枢幹部や元幹部ら4人が逮捕された[1]

指導部と関連諸問題・組織構成[編集]

指導部不在の長期化[編集]

2012年10月、労総改革の一環として2013年から実施される予定であった委員長の直接選挙制が三年延期[18]された責任を取ってキム委員長が辞任表明した[19]。11月の正式辞任[20]後、民主労総はチョン副委員長を中心とする職務代行体制に移行したが、直接選挙制問題で直後に辞任。12月にペク・ソックン建設産業連盟委員長を中心とした非常対策委員会体制となった[21]

2013年1月の定期代議員大会では役員直接選挙制2年延期を骨子とした改正規約案が可決した。これにより2月末の代議員大会で第7期指導部を代議員による間接選挙制で選出し、2015年から任期が始まる第8期指導部については組合員による直接選挙制で選出される事となった[22]。しかし、3月に行われた代議員大会は議決定足数不足で流会、4月23日の代議員大会は定足数を上回って成立したものの選挙人名簿に署名した代議員の数が選挙成立に必要な定足数を超えなかったため、投票が成立しなかった[23]。指導部空白状態が長期化した結果、代議員大会の信頼失墜と労総内部の対立激化を招く結果となり、空白状態の更なる長期化を招く事態となった[24]

7月18日に行われた臨時代議員大会にて第7期役員選挙が行われ、決選投票の末、起亜労組出身で民主労総副委員長を務めたシン・スンチョルが委員長に、建設連盟政策室長を務めたユ・ギスが事務総長にそれぞれ当選し、8ヶ月余り続いた指導部空白状態に終止符をうった[25]

組合員の直接選挙による新執行部発足[編集]

紆余曲折を経て、民主労総は2014年10月2日に選挙公告を発表、委員長と首席副委員長、事務総長を組合員の直接選挙で選出する選挙がおこなわれることになった[26]

選挙には4つのグループが立候補[27]し、12月9日に投票が行われたものの4グループのいずれも半数を超える得票を獲得できず、ハン・サンギュンを委員長候補とする政派連合選挙本部(民主労総最大政派の全国会議と中央派、国民派の一部による候補者グループ)とチョン・ジェファンを委員長候補とする左派グループ(労働者階級政党推進委と労革推、労働者連帯、労働戦線など左派グループによる候補者グループ)による決選投票が行われることになった[28]。26日に行われた決選投票の結果、ハン・サンギュン候補者グループが勝利[29]し、2015年1月から第8期指導部体制がスタートした[30]

加盟単産[編集]

加盟単産は16団体。主な所属単産は、現代労組・全国教職員労働組合・ソウル市地下鉄労組など。

  • 全国建設産業労働組合連盟
  • 全国公共運輸労働組合連盟
  • 全国公務員労働組合
  • 全国教授労働組合
  • 全国教職員労働組合 
  • 全国金属労働組合
  • 全国大学労働組合
  • 全国民間サービス労働組合連盟
  • 全国保健医療産業労働組合
  • 全国金融事務労働組合連盟
  • 全国民主環境施設一般労働組合連盟
  • 全国IT産業労働組合連盟
  • 全国言論労働組合連盟
  • 全国女性労働組合連盟
  • 全国化学繊維労働組合連盟
  • 韓国非正規職教授労働組合

出典:2010년 11월 현재 조직현황(2010年10月現在の組織現況)、民主労総ホームページ(2011年5月31日閲覧) 

脚注[編集]

  1. a b c d 紀雄, 桜井 (2023年4月7日). “<特報>脈々と続く故金日成主席の日韓離間指令…福島デマで韓国の反日あおる”. 産経ニュース2023年9月4日閲覧。
  2. a b 「韓国の労働運動、こんなことなら30年もやるんじゃなかった」民労総出身の文成賢労使政委員長「労働運動が労働者間の格差広げた」「民労総にも責任がある」」『』。2018年7月28日閲覧。
  3. ^ 민노총 제1 노총 등극…첫 요구는 “새판 짜자”중앙일보. (2019年12月26日)
  4. ^ 민주노총 ‘제1노총’ 첫 등극…“노·정관계 새판 짜는 계기 돼야” 한겨레. (2019年12月25日)
  5. ^ 全国民主労働組合総連盟 - 613地方選挙民主労総と進歩制、政党の地方選挙の共同要求案と民主労総候補、支持候補発表の記者会見
  6. ^ 全国民主労働組合総連盟 - 文在寅政府民主労総への弾圧に対する立場
  7. INC, SANKEI DIGITAL (2021년 9월 17일). “ 【극장형 반도】 문정권에 ‘밀월’ 거대 노조가 보복 선언 “대통령 선 흔들림” ”. 산케이 뉴스 . 2021년 10월 3일 열람.
  8. ↑ “민주노총 전직·현직 간부, 민주노동당 집단 이당” . 레이버넷 . (2008년 2월 20일) 2012년 7월 16일 열람.
  9. ↑ “조준호, 통합진보당 대표에... 이가병, 진보신당에 입당” . 레이 버넷(원문 참세상 ) .
  10. ↑ “민주노총 지지 후보 34명 중 통합 진보당은 31명” . 레이버넷(원문 참세상) . (2012년 3월 23일) 2012년 7월 16일 열람.
  11. “민주노총 “통합진보당의 폭력사태는 용인할 수 없다... 후속조치를 논의”” . 레이버넷(원문 참 세상 ) .
  12. ↑ “민주노총, 통합 진보당 '조건부 지지철회'를 결정” . 레이버넷(원문 참세상 ) .
  13. ↑ “민주노총 통합 진보당에 대한 지지를 철회” . KBS 월드 라디오 . (2012년 8월 14일) 2012년 8월 14일 열람.
  14. ↑ “개점 휴업의 민주노총, 대통령 선거 방침이 영화 감상'?” . 레이버넷(원문 참세상 ) .
  15. 민노총 "문재인 정권 퇴진 투쟁 벌이겠다"… 3일 만에 논평 낸 파란색 유감이다") . 한국경제 . (2019년 6월 4일)
  16. “ 민주노총 50년의 산리츠카 농지 사수투쟁에 대한 연대 메시지 ”. 『전진』 . 혁명적 공산주의자 동맹 전국위원회 (2016년 7월 18일). 2019년 5월 13일 열람.
  17. “ "민노총이 던킨 도너츠 '이물질' 제보 영상 조작" ” (朝鮮語). n.news.naver.com . 2021년 10월 3일에 확인함.
  18. ↑ “민주노총, 직접 선거제 3년 연기를 결정” . 레이버넷(민중언론 참세상) . (2012년 10월 30일) 2013년 5월 2일 열람.
  19. ↑ “민주노총 위원장, 직접 선거제의 책임으로 사퇴 표명” . 레이버넷(민중언론 참세상) . (2012년 10월 10일) 2013년 5월 2일 열람.
  20. ↑ “김용훈 위원장 사임” . 레이버넷(민중언론 참세상) . (2012년 11월 7일) 2013년 5월 2일 열람.
  21. ↑ “민주노총, 비상대책위 구성… 백석근 비대위원장을 확정” . 레이버넷 . (2012년 12월 11일) 2013년 5월 2일 열람.
  22. ↑ “민주노총, 임원 직접 선거제의 2년 연기를 결정” . 레이버넷(민중언론 참세상) . (2013년 1월 26일) 2013년 5월 2일 열람.
  23. ↑ “민주노총위원장 선거, 또 중지” . 레이버넷(원문 참세상) . (2013년 4월 23일) 2013년 5월 2일 열람.
  24. ↑ “끝없이 추락하는 민주노총, 지도부 공백 6개월” . 레이버넷(민중언론 참세상) . (2013년 4월 23일) 2013년 5월 2일 열람
  25. “민주노총위원장에게 신승철 당선…“강력한 투쟁으로 희망을”” . 레이버넷(민중언론 참세상) . (2013년 7월 18일) 2013년 7월 20일 열람.
  26. ↑ “한국:민주노총, 첫 임원 직접 선거제 선거 일정에 돌입” . 레이버넷 . (2014년 10월 2일) 2015년 3월 28일 열람.
  27. ↑ “한국:민주노총 4 범전 임원 직접 선거, 각 후보의 주요 공약은?” . 레이버넷(원문 참세상 ) .
  28. ↑ “한국:민주노총 임원 직접 선거제, 결선 투표에” . 레이버넷 . (2014년 12월 10일) 2015년 3월 29일 열람.
  29. ↑ “민주노총 첫 직선위원장에 한상균 전 쌍용자동차지부장이 당선” . 한겨레 . (2014년 12월 26일) 2015년 3월 29일 열람.
  30. ↑ “한국:민주노총신임집행부 “박근혜의 폭주를 총파업 투쟁으로 멈춘다”” . 레이버넷( 원문 참세상 ) .

관련 항목 편집 ]

외부 링크 편집 ]


===

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s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KCTU
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s
Founded11 November 1995
HeadquartersSeoul, South Korea
Location
Members
1,134,056 (2020)[1]
Key people
Kim Myung-hwan, Chairman
AffiliationsITUC
Websitewww.kctu.org (English)
www.nodong.org (Korean)
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s
Hangul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Hanja
全國民主勞動組合總連盟
Revised RomanizationJeon-guk Minju Nodong Johap Chongyeonmaeng
McCune–ReischauerChn'guk Minju Nodong Chohap Ch'ongynmaeng

The 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s (KCTU), literally translated as National Confederation of Democratic Trade Unions, also known as Minju-nochong (Korean민주노총; an acronym for "KCTU" in Korean), is a national trade union centre in South Korea officially established in 1995. Its predecessor was the National Council of Trade Unions (NCTU), established in 1990 as an independent, democratically operated alternative to the Federation of Korean Trade Unions.

Following the 2016–17 South Korean protests (Candlelight Demonstrations), the KCTU has seen accelerated growth in union enrollment, reaching 1,134,056 members in 2020 and making it the second largest industrial union confederation in Korea.[1]

History[edit]

After the liberation from Japanese rule in 1945, and Park Chung Hee's subsequent coup d'état in 1961, there existed only one legal trade union federation in Korea, the Federation of Korean Trade Unions (FKTU). Park's regime was truly authoritarian, and suppressed the activities of all political and business leaders it deemed corrupt. Park restructured the unions, permitting only those he and his regime regarded as "loyal" to their cause.[2]: 284 

As a result, for almost two decades under the military regime of President Park, the FKTU was substantially weakened and subordinated to the repressive state, as well as the family-owned conglomerates or Chaebol, which dominated and monopolized the industries in South Korea and expanded incessantly with government help. As a result, the labor movement became very fragmented. It continued to operate through localized unions, such as the miners, textile workers, anti-government activists, and various Catholic groups.

By the 1990s, with the demise of the military regimes, the Chaebol groups began to reassert themselves with the introduction of automation production processes, decentralized factory location of production sites, and began to relocate production to overseas, which worsened the situation for organised labour.

Gaining strength and support[edit]

To sever the relationship from the FKTU, whom many regarded as a government proxy for their subordination to the military regimes, various national federations of the chaebol-based unions emerged, including the Kia and Hyundai Group, as well as regional unions, such as the Masan and Changwon Unions Association. In the public sector, the National Teachers Union was formed in 1989, to counter the perceived authoritarian nature of education in Korea.[2]

However, many trade unions felt the need to consolidate and overcome the fractured nature of the trade unions at the national level. As a result, they formed a national organization, the 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s (KCTU) in 1995. Subsequently, their membership increased from 861 unions and 391 000 members in December 1995 to 896 unions and 490,000 members in December 1996. The KCTU had become a formidable force, regarding themselves as an indispensable "check" to the power of the state, employers, and the FKTU.[2]

Rise of the 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s[edit]

Despite the internal struggles and factionalism of KCTU, their methods were nonetheless highly effective. In the early 1990s, there was a shift from domestic growth to national competitiveness: one of the major economic policies of Korea became "growth first, and distribution later." The KCTU regarded this as detrimental to the interests of the workers, and adopted the counter-policy of "strike first, bargain later." Korean workers used strikes as a weapon to seek political change, better working conditions, and for higher wages.[3]

In 1996, a significant event occurred that catapulted the KCTU to both the national and world stage. The New Korea Party, led by President Kim Young Sam, unilaterally passed and amended labor laws without the presence of the opposition party in the middle of the night, in a six-minute session. In essence, the amended laws made it significantly easier for the employers to lay off the workers at will. The amended laws did not allow federal unions at either the local or the national level. This made the 500,000 member KCTU illegal. It was not legally recognized until 2002. These provisions prompted the KCTU to successfully mobilize 150,000 Korean workers and FKTU leaders, who previously displayed a pro-government propensity, to strike together.[3]: 149 

As a result of the government's decision to amend labor laws, President Kim Young Sam and his administration were censured by the OECD for their failure to honor the reforms which were promised to the people of South Korea, and for displaying "backwardness" with respect to labor-law reform. International organisations, including the International Confederation of Free Trade Unions and International Metal Workers Unions both criticized and condemned the actions of the Korean government.[3]

The foreign union representatives held joint news conferences with Korean unions, closely observed the strikes, and held various demonstrations outside Korean diplomatic missions abroad. Despite the overwhelming rebuke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chose to adhere to their initial decision and even threatened to arrest the strikers. It has been estimated that the three weeks' strikes cost $3.4 billion in lost production.[3]

President Kim Young Sam, recognizing the growing popular support for the KCTU, decided to revise the laws and to meet with opposition leaders. In March 1997, parliament passed a more diluted version of the labor laws and the President's chief economic adviser, who was the proponent of the earlier laws, was fired along with other advisers. Finally, during a meeting with the opposition leaders, President Kim stated that the KCTU would be legalized.

Conflicting results of the January 1997 strike[edit]

The results of the January strike varied. Ostensibly, the strike was of historic significance - it was extremely well managed and organized on a national level, and achieved lasting legal reform. It was successful in both political and economic terms. But more importantly, for the first time, labor had emerged as a leading social force in South Korea. The KCTU obtained their long-sought recognition by the government. Furthermore, they were granted the right to form multiple unions at the industry level (although they were prevented from forming unions amongst the teachers and public servants).

Conversely, many people believed that the revised law was very deficient in its substance. For example, the employers still retained their right to lay off workers at their discretion, after only a two-year deferment. The "no work, no pay" rule and no payment to full-time union leaders was still applicable in the revised laws, including the flexible workday policy in an effort to reduce wages.[4] Hence, the employers were able to strengthen their power while the workers lost protection from lay-offs and the job security they sought so desperately.

Limitations of the KCTU[edit]

1997 was a devastating year for both the people of South Korea and the country when an economic crisis happened. By November 1997, many conglomerates including Hanbo, as well as several chaebol groups, were bankrupt. In addition, numerous banks became insolvent. In spite of both the Bank of Korea and the government's effort to curtail the economic turmoil, the exchange rate and the stock market went into a free-fall. Korea was in danger of defaulting on its foreign debt obligations.[5] On December 3, 1997,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decided to give its largest ever bailout package to South Korea, consisting of $57 billion. Included in the package, various harsh conditions were attached.[6]

The IMF demanded stringent requirements. In addition to restructuring its financial and corporate sectors, Korea was to "liberalize" its markets - it needed to open up its markets in such a way that would benefit the foreign investors. In an effort to secure the jobs of the workers, KCTU implemented a nationwide signature campaign for the guarantee of jobs for workers and sought to punish the people responsible for the devastating economic crisis. Moreover, they organized approximately 30,000 people at a rally and demanded political reforms and sought protection from the impending arbitrary layoffs, hence the General Strike of 1997. The General Strike was supported by the blue collar and white collar workers, including the financial sector and clerical workers.[6]

The strike was also supported by the general population, and despite the state control of the media, the Internet acted as a conduit in providing real time information to the outside world, for the first time. Despite the efforts of the KCTU in organizing the General Strike, the results were very disappointing. Whether it was imposed by the IMF or by the government, the bailout requirements gave significant discretion to the chaebol with respect to laying off the workers. Moreover, those upper and mid-level workers who had failed to unionise in fear of losing their jobs, were caught completely off guard. The economic crisis also compelled the government to enact laws without seeking the input from the unions, exacerbating the ongoing conflicts. As a result of the mandated restructure by the IMF, labor disputes inevitably escalated from 78 in 1997, to 129 in 1998.[7]

Criticism of the KCTU[edit]

Within three years of its existence, KCTU managed significant achievements, including legally recognized by the government and gained substantial national prominence. With more than half a million members and its ability to mobilize tens of thousands of workers at any given time, KCTU was now a legitimate force that could not be ignored. Nevertheless, voices of discontent within the union were growing.[8]

On January 14, 1998, the Labor Management Government Tripartite Council was formed, as mandated by the IMF. It was a concerted effort on all three parties to equally "share" the pain and suffering associated with the economic crisis. As a part of the "share" of the union, KCTU leadership conceded the redundancy layoffs in the case of emergency affecting the companies, something that the union members had consistently rejected. And consequently, the union members of the KCTU voted out the leadership who they deemed were responsible for the grave mistake and elected a hard liner, Lee Kap-Yong as their new president.[8]

In response to the economic crisis, KCTU membership levels had also declined. It fell by 9 per cent or 40,783 members, between January and October 1998. To mitigate further layoffs by the employers, KCTU affiliates have engaged in strike action at the Hyundai Motor Company in August and September 1998. Although the company had intended to layoff 1500 employees, as the result of more than a month of stoppage during which some union members went on hunger strikes and national support was given by other trade unions, Hyundai was compelled to reduce the numbers being laid off to 277.[2]: 288  But nevertheless, they could not prevent the membership of KCTU from declining.

One of the more important dynamics of labor has been left in obscurity thus far, the treatment of the female workforce in Korea. In this respect, all trade unions including, KCTU were criticized in unison for their lack of interest of the female workers. Their failure to address the concerns of harsh working conditions and numerous labor rights violations are extremely unfortunate and incomprehensible. KCTU was also criticized for being indifferent to the issue of employment of the disabled and for not showing efforts to improve the equal working rights of the disabled.[9]

The trade unions in South Korea had been historically repressed by their governments for almost five decades. From the creation of the First Republic of Korea, from President Syngman Rhee and subsequent military generals who ruled for the next thirty years, all suppressed the unions and deliberately dishonored the constitution of the country, for the sake of the "progress" of the nation. However, with the inception of KCTU in 1995, South Korea and its people began to see a glimpse of hope. They in essence, profoundly changed the dynamic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pitalists, state, and the workers. KCTU, from its meager start successfully solidified themselves as an indispensable partner with respect to the workers’ rights of Korea.[10]

From an illegal entity, they were invited by their government to be a "partner" in the national decision-making process. Stated differently, they were recognized as a formidable force that could no longer be ignored. The culmination of their status came during the presidential election of 1997, when KCTU now the second largest union, nominated Kwon Young-Gil, as the fifth presidential candidate of South Korea.[10]

Despite their achievements, they had their share of deficiencies that included internal fragmentation, decline in their memberships, and the neglect of female workforce in Korea. Therefore, although KCTU had elevated the political and social status of organized labor, ironically, they were impelled to accept various labor changes that would ultimately harm and hinder the worker's positions in Korea.

2013 police raid[edit]

On 22 December 2013, hundreds of riot police raided the KCTU's headquarters in Seoul injuring hundreds. Six senior KCTU leaders were arrested for supporting a national railway strike which the government declared "illegal".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Trade Union Confederation and the International Transport Workers’ Federation: "The government of South Korea and its anti-union behaviour is again in the spotlight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ts actions run contrary to its obligations to the ILO and also the labour standards in trade agreements with the US and the EU. Further, the government is failing to fulfill its original commitment to the OECD, upon accession, to respect international labour standards."[11]

Other issues[edit]

The KCTU is a labor union with a prominent leftist tendency and has traditionally supported the labor movement of foreign workers living in the South Korea. In 2001, a labor union of only foreign workers under the KCTU was formed, which is said to be the first in South Korean history.[12] The KCTU is currently actively voicing its voice on the issue of human rights violations of foreign workers.[13]

See also[edit]

History:

References[edit]

  1. Jump up to:a b "FKTU becomes S. Korea's biggest umbrella union in 2020: gov't"Yonhap News Agency (in Korean). 30 December 2021. Retrieved 30 December 2021.
  2. Jump up to:a b c d Seung-Ho Kwo; Michael O'Donnell (1999). "Repression and struggle: the state, the chaebol and independent trade unions in South Korea". Journal of Industrial Relations41 (2): 272–294. doi:10.1177/002218569904100204S2CID 154625751.
  3. Jump up to:a b c d Bae Johngseok; Chris Rowley; Dong-Heon Kim; John J. Lawler (1997). "Korean industrial relations at the crossroads: the recent labour troubles". Asia Pacific Business Review3 (3): 148–160. doi:10.1080/13602389700000009.
  4. ^ Armstrong, Charles K., ed. (2002). Korean Society: Civil Society, Democracy, and the State. Asia's transformations (2nd ed.). Psychology Press. pp. 84–85. ISBN 9780415263887.
  5. ^ Kim, Sunhyuk (2000). The Politics of Democratization in Korea: The Role of Civil Society.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pp. 126–127. ISBN 978-0-8229-5736-2.
  6. Jump up to:a b Kyoon, Kim Jin (2000). "Rethinking the new beginning of the democratic union movement in Korea: from the 1987 Great Workers' Struggle to the construction of the Korean Trade Union Council ( Chunnohyup ) and the 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s (KCTU)". Inter-Asia Cultural Studies1 (3): 499. doi:10.1080/14649370020009979ISSN 1464-9373S2CID 143983452.
  7. ^ Chang, Yunshik; Seok, Hyun-ho; Baker, Donald, eds. (2008). Korea Confronts Globalization. Routledge Advances in Korean Studies. Routledge. p. 113. ISBN 9781134046942.
  8. Jump up to:a b Armstrong, Charles K., ed. (2002). Korean Society: Civil Society, Democracy, and the State. Asia's transformations (2nd ed.). Psychology Press. p. 86. ISBN 9780415263887.
  9. ^ "민주노총도 못 챙긴 장애인 고용". 7 January 2021.
  10. Jump up to:a b Oh, John Kie-chiang (1999). Korean Politics: The Quest for Democrat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Press. p. 218. ISBN 978-0-8014-8458-2.
  11. ^ Korean Police Attack KCTU Headquarters
  12. ^ "외국인노동자 노조 첫 결성". 28 May 2001.
  13. ^ "민주노총 제주 "모 공연장 외국인 노동자 인권침해 심각"". 25 October 2022.

External links[edit]


===


===


===


===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