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0-02

공선옥·김별아 작가, 가부장제 위선 고발 - 여성신문

공선옥·김별아 작가, 가부장제 위선 고발 - 여성신문

공선옥·김별아 작가, 가부장제 위선 고발
신유리 / 객원기자
승인 2013.04.23

죽음에도 지지 않는 사랑 ‘불의 꽃’, 노래가 된 울음 ‘그 노래는 어디서 왔을까’

불혹을 넘긴 두 명의 중견 여성 작가(왼쪽부터 공선옥, 김별아)가 신작을냈다.



중견 여성 소설가 두 명이 무게감 있는 작품으로 문단의 주목을 받고 있다. 김별아 작가의 ‘불의 꽃’과 공선옥 작가의 ‘그 노래는 어디서 왔을까'가 그 주인공이다. 두 소설 모두 여성의 삶을 통해 가부장 시대의 모순을 폭로한다.



“전 관찰사 이귀산의 아내 유(柳)씨가 지신사 조서로와 통간(通奸)하였으니 이를 국문하기를 청합니다”(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 21권). 김별아는 이 하나의 문장을 가지고 한 권의 책을 써냈다. 세종 5년, 대신의 아내로서 다른 남자와 음탕한 짓을 했다는 죄로 한 여인이 저잣거리에서 참형을 당한다. 여인은 전 관찰사의 아내 유녹주, 그녀와 사통한 남자는 개국공신의 장남이자 왕명을 출납하는 지신사 조서로였다. 불꽃처럼 타올랐던 사랑을 택해 죽음을 눈앞에 둔 유씨 부인은 이렇게 자복한다. “사랑이라는 중죄라 기꺼이 죽습니다. 어리석고도 아름다운 죄가 내가 세상에 남기고 가져갈 유일한 것입니다.” 소설은 이렇게 끝이 나고, 오늘에 이르기까지 풀리지 않은 물음을 던진다. 도덕으로 통제한다고 사랑이 없어질까.

그런가 하면 공선옥의 ‘그 노래는 어디서 왔을까’는 1980년 5월 16일, 광주의 하루를 뺀 나머지 날들을 소소히 일러줌으로써 그날의 참상을 들춰내는 방법을 택한다. 새마을운동이 한창이던 1970년대 시골 마을, 놀음에 돈도 잃고 일자리마저 잃은 아버지와 언어장애를 가진 어머니를 둔 정애가 있었다. 아버지가 집을 비우자 믿었던 동네 사람들은 정애네 가축을 훔쳐가고 폭력을 행사한다. 급기야 엄마마저 죽자 졸지에 가장이 된 정애를 동네 물 흐린다며 도시 광주로 등을 떠밀어 보낸다. 그리고 그해 광주에서 정해는 군인들에게 짓밟혀 ‘혼이 없는 몸’이 되어버린다.

도시는 영문도 모른 채 삼청교육대에 끌려갔다가 실성한 사람, 그날 총을 든 군인이었지만 불구로 남은 사람들이 함께 살아가는 곳이다. “세상이 돌아부렀는디 사람인들 온전헐 수 있간디.” 작가는 등장인물의 입을 빌려 미친 세상에서 미치지 않고 어떻게 살 수 있냐고 항변한다. 울음을 대신해 웃던 아빠, 울지 않고 담배를 피우던 묘자 할머니처럼 광주 사람들은 아무도 듣지 않아 울음 대신 노래를 부를 수밖에 없었다고 말이다.






(왼쪽부터) 김별아 작가의 ‘불의 꽃’, 공선옥 작가의 ‘그 노래는 어디서 왔을까’ 표지



역사는 강자들의 힘을 대변하고, 문학은 약자의 입이 되어주곤 한다. 두 소설은 정반대의 방법을 취했지만 글을 빌려 힘없이 당했던 실제 삶을 들려주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김별아는 사랑한 죄로 죽음의 대가를 치러야 했던 한 여인의 삶을 통해 사회의 틀이 사랑을 구속할 수 없음을 고발하고, “사랑은 단지 삶의 다른 이름일 뿐”이라고 말한다. 공선옥은 국가와 같은 거대 권력의 탄압으로 맥없이 비참하게 망가져야만 했던 개인의 삶을 고발하고, “광주는 1980년에 머물지 않고, 왕따나 비정규직 등 다른 모습으로 수없이 드러난다”고 말한다.

김별아 작가는 등단한 지 올해로 20년, 공선옥 작가는 23년이다. 그 사이에 두 사람은 아내가 되고, 어머니가 되었다. 그리고 그 사이 10여 편이 넘는 장편소설들을 써냈다. 두 작가는 특히 여성을 다룬 글을 많이 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드라마 ‘미실’의 원작으로 유명한 김별아 작가는 ‘조선 여성 3부작-사랑으로 죽다’ 를 집필 중이며, ‘불의 꽃’은 ‘채홍’에 이은 그 두 번째 작품이다. 이 시리즈는 조선의 유교적 윤리와 제도에 희생된 여성을 조명하고 있다. 공선옥 작가는 사회에 의해 다양하게 왜곡되는 여성성이나 모성애를 작품에 꾸준히 담아왔다.



▲공선옥

1964년생. 전북 곡성 출생. 1991년 창작과 비평지 ‘씨앗불’ 로 데뷔. 단편소설 ‘장마’로 제4회 여성신문 여성문학상. 작품 ‘내가 가장 예뻤을 때’ ‘영란’ ‘시절들’ ‘유랑가족’ ‘꽃 같은 시절’ ‘명랑한 밤길’ ‘오지리에 두고 온 서른살’ ‘수수밭으로 오세요’ ‘붉은 포대기’ 등



▲김별아

1969년생. 전북 정읍 출생. 1993년 실천문학 ‘닫힌 문 밖의 바람소리’로 데뷔. 장편소설 ‘미실’로 제1회 세계문학상 수상. 작품 ‘채홍’ ‘가미가제 독고다이’ ‘열애’ ‘백범’ ‘논개’ ‘영영이별 영이별’ ‘축구전쟁’ ‘내 마음의 포르노그라피’ ‘개인적 체험’ 등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