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육(저자) | 작가들 | 2018-04-30
정가 12,000원
판매가 10,800원 (10%, 1,200원 할인) | 무이자 할부
마일리지
600점(5%) + 멤버십(3~1%) + 5만원이상 구매시 2,000점
183쪽 | 128*188mm (B6) | 183g | ISBN : 9788993038248
------------------
한반도통일역사문화연구소의 '통일역사문화신서' 첫 번째 책. 감리교회의 목사가 접경지대인 인천 교동도에서 목회활동을 하다가 마을 주민들간의 뿌리 깊은 반목을 목도하고, 그 연원을 찾아 한국전쟁 전후 벌어진 민간인학살의 진실을 추적하는 진실과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의 조사관으로 활동했던 경험을 10년간 고뇌하면서 성찰적인 내용의 수기로 엮은 책이다.
한때 트라우마를 겪기도 했던 서산.태안지역 민간인학살 사건의 조사경험과 함께 인천, 강화지역 민간인학살사건을 성찰적으로 되새겨보면서, 민간인 학살의 끔찍한 실상을 독자들에게 환기하고(1부), 민간인 학살의 가해자와 피해자이 어떻게 살아왔고 살아가고 있는지를 증언하면서(2부), 오늘날까지도 해소되지 않은 채 계속되고 있는 한국사회의 '학살의 문화'에 대한 성찰을 촉구(3부)하는 수기 형식의 짧은 글들로 채워져 있다.
--------------
들어가는 말 … 8
1. 학살의 기억
어떻게? … 19
금광굴과 쇠스랑 … 20
황촌리 … 23
솜틀다리 … 25
창자를 부여잡은 여인 … 28
내 손에 피를 묻히지 않으련다 … 29
불에 태운다고… … 31
살인에 익숙한 자들 … 32
그렇게까지! … 34
인간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 … 36
5.10선거와 학살 … 37
생선 썩은 냄새 … 38
씨를 말려야 속이 시원한가? … 39
9살 어린이를 학살하다 … 41
어린이 학살 … 43
전도부인의 죽음 … 48
아기 울음 … 51
조씨라는 소녀 … 52
불은면 고씨댁 할머니 … 53
우물 속으로 뛰어든 여인 … 55
대한청년회 소속 기독교인들의 경험 … 56
A, B, C와 인천 CIC … 58
이것도 재판인가? … 60
김석영 … 62
2. 피해자와 가해자
엎어진 조각배에 걸린 생명 … 65
만리포 해당화 … 69
형들의 죽음과 어린 청년의 국가 부정 … 71
관찰자로 돌변한 가해자들 … 74
기쁜 마음으로 … 80
늘 오가던 길 … 82
황씨 아줌마의 아픔 … 83
질문을 할 때마다 … 85
원수를 사랑하라 … 87
거룩한 재판관처럼 … 94
지혜로운 증언자의 소망, 화해 … 98
마른 눈물 … 105
간암 환자의 담배 … 107
북 치던 할머니 … 109
교동교회의 풍금 … 113
수장과 화장 (水葬과 火葬) … 114
인천 대한청년단 단장 … 116
김병식처럼 … 117
사찰과 형사 … 118
서산.태안 부역혐의자 학살 장소 … 120
3. 지금 여기, 학살의 문화
종북, 빨갱이, 좌익 … 125
두 아들을 잃은 어머니의 묘비 … 128
김씨 할아버지의 트라우마 … 131
우리에게 심겨진 불신 … 135
죄의식 … 136
이념이 만든 사람 … 139
학살은 과거사인가? … 143
두려움 … 144
기억이 나질 않는다 … 148
태안면 … 150
두 가지 기념 방식 … 152
해군 SIS 1기생의 영웅 만들기 … 154
서북청년회 출신 사찰계 형사 … 156
신념이 만든 사람 … 159
죽음의 고통을 공감하지 못하는 사람들 … 161
학살인가 전투인가? … 163
보복학살을 조장한 치안국과 군검경합동수사본부 … 165
분류와 학살 … 171
나오는 말
우리는 학살의 문화로부터 단절되었는가? … 176
「들어가는 말」 중에서
나는 실패한 목회자이다.
두 번씩이나 교인들과의 갈등을 겪었고, 두 번 모두 목사직을 그만두었다.
이로 인한 고통은 온전히 나와 가족, 그리고 교인들의 몫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갈등이 학살에 대한 연구는 물론 기독교와 학살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나의 학살연구는 2003년부터 강화와 교동지역 희생사건을 조사하면서 시작되었다.
2007년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에 들어가 부역혐의희생사건을 조사하였다.
12월 태안군 모항리를 방문하여 주민들을 만나면서 뾰족한 유리파편이 수 없이 박혀 있는 두터운 장벽을 대하고 있다는 느낌이 들었다.
상처가 깊은 곳에 희생자가 많다는 생각이 떠올랐다.
겨울비가 내리는 날 모항리에 있는 가족묘를 방문하였다.
두 아들이 학살된 지 며칠 후 타살된 50대 어머니의 묘지 앞에 섰다.
1시간여를 비를 맞으며 서 있었다.
도대체 왜 두 아들을 잃은 어미를 죽였을까?
정말 그 이유를 알고 싶었고, 고민 끝에 전수조사를 하기로 하였다.
2008년 2월부터 그해 6월 말까지 태안군과 서산시 팔봉면·지곡면·해미면·고북면 등 12개 읍면을 조사했다. 그러나 육체적 한계로 인지면·음암면·부석면·성연면·대산읍 조사는 하지 못했다.
4개월 동안 4백여 명으로 부터 학살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다.
구술자들은 녹음기만 틀면 하나같이 자신이 겪은 일을 털어 놓았다.
어떤 이는 저녁 7시부터 새벽 1시까지 자신이 경험한 학살의 고통을 토해냈다.
가해자들의 정신적 고통도 작은 것은 아니었다.
그들의 진술을 들으면서 이런 사건이 발생한 이유를 파악할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피해자 유족과 주민들이 ‘어떻게 그럴 수가 있는가?’를 질문했다면 가해자들의 진술 속에는 이에 대한 답을 갖고 있었다.
조사결과 서산·태안에서 최소 2,500여 명의 주민들이 희생되었다.
개전 직후 3백여 명의 국민보도연맹원, 인민군 점령시기 약 350명의 우익인사와 군경가족, 수복 이후 1,865명의 부역혐의자들이 학살되었다.
조사결과를 토대로 「서산·태안부역혐의희생사건」의 보고서를 작성했다.
그러나 이 보고서는 사건의 존재여부와 사건의 경과, 위원회의 입장을 담은 것에 불과하였다.
정작 중요한 무엇인가가 규명되지 않았다는 생각을 금할 수가 없었다.
우물 속으로 뛰어든 여인*
1950년 가을 강화 온수리 양조장에 구금되어 있던 한 여인이 우물 속으로 뛰어들었다.
전쟁 전 두 남자가 이 여인을 좋아했다.
여인은 두 사람 중 한 남자와 결혼하였다.
여인과 결혼을 하지 못한 청년은 한국전쟁 당시 우익 치안대원이 되었다.
그는 여인을 부역혐의자로 체포했다.
여인은 온갖 성고문을 당했다.
견디다 못해 우물로 뛰어들어 자살을 시도했던 것이다.
그러나 그녀는 우물에서 건져져 다시 고문을 당했다.
여러 날이 지나서야 풀려나 집으로 돌아갔다.
그녀는 모진 삶을 어떻게 살아갔을까?
*각주 : 1950년 수복 이후 강화군 선원면 온수리에서 발생한 사건. 이곳에서 분류된 부역혐의자들 수십 명은 1951년 1월경 우체국과 양조장에 수감되어 있다가 사슬재에서 학살되었다.
우리에게 심겨진 불신*
그는 나를 학살 현장으로 안내했다.
고북면에서 해미 방면 장승고개에 있는 밭, 지서 뒤 구덩이를 손가락으로 가리킨다.
부역혐의자들이 유치되었던 창고와 지서도 안내해 주었다.
지서 앞에 이르러서는 다시 그 이야기를 반복했다.
그가 기억하는 가장 두려운 사건, 그것은 역시 친구가 친구를 죽인 사건이다.
그의 트라우마였다.
인간에 대한 불신과 두려움이었다.
아무도 믿을 수 없다는 것이었다.
고북면 민간인 학살사건을 목격한 김씨의 증언
1950년 10월 어느 날 고북면 남정리 이씨 할아버지는 집 앞에 있다가 형이 잡혀가는 것을 목격하였다 형은 집 아래 숙부네 집에서 치안대에게 체포되어 지서로 연행되었다,
1950년 10월 24일 고북면 지서 뒤 구덩이에서 가슴에 총상을 입은 형의 시신을 수습했다.
“나는 우리 형에게 누가 손가락질을 했는지 알아.
우리 동네 사람이야.”
2008년까지 그들은 한동네에서 함께 살고 있었다.
이씨 할아버지에게 사람에 대한 신뢰가 남아 있었을까?
전쟁과 학살은 마을 사람들에게 두려움과 불신을 심어 놓았다.
그런 사회가 그렇게 흘러 오늘에 이르렀다.
*각주 : 1950년 10월경 고북면 지서 뒤 웅덩이에서 처형된 이씨 동생의 증언
저자 : 최태육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어떻게 그럴 수가 있는가>
소개 : 1965년 3월 경기도 여주에서 태어나 서울에서 자랐습니다. 감리교신학대학과 신학대학원을 졸업하였습니다. 강화 교동에서 목회를 하다가 전쟁과 학살이 교인들의 신앙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2007년 목회를 접고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조사관으로 활동하면서 민간인학살의 참상을 알게 되었고, 목원대학교에서 학살과 기독교의 관계를 연구해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지금은 사단법인 한반도통일역사문화연구소 소장으로 시무하면서 신학교에서 강의를 하고 있습니다.
---------------
인천 교동도에서 목회하다 목격한 한 동네 주민들간의 반목!
그 뿌리인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학살을 직접 조사한
한 목회자의 침통한 질문이 담긴 수기!
“어떻게 그럴 수가 있는가?”
“지금 우리는 학살의 문화로부터 단절했는가?”
4·27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남·북 화해시대에 접어드는 시기에 새삼 돌아보는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학살의 고통
- 우리 사회의 지독한 이념 대립과 학살의 문화에 대한 성찰
감리교회의 목사가 접경지대인 인천 교동도에서 목회활동을 하다가 마을 주민들간의 뿌리 깊은 반목을 목도하고, 그 연원을 찾아 한국전쟁 전후 벌어진 민간인학살의 진실을 추적하는 진실과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이하 ‘진실·화해위원회’)의 조사관으로 활동했던 경험을 10년간 고뇌하면서 성찰적인 내용의 수기로 엮은 책을 출간됐다. ‘학살의 문화에 대한 어느 목회자의 수기’라는 부제를 단 최태육 목사의 <어떻게 그럴 수가 있는가>(도서출판 작가들)이다.
저자 최태육 목사는 북녘땅 황해도와 바다를 사이에 두고 지척거리에 위치한 강화 교동도에서 1990년대 목회활동을 전개하면서 한 마을에 살고 있으면서도 서로를 원수 대하듯 하는 마을 주민들을 목격하게 된다. 반목하는 주민들을 만나 아무리 설득하고 하느님의 말씀을 전해도 마을 사람들의 마음속에 응어리진 그 어떤 고통과 원한이 해소되지 않는 것을 목격하면서, 최태육 목사는 마을 주민들의 반목이 단순히 개인들간의 사사로운 원한관계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한국전쟁의 와중에 벌어진 엄청난 규모와 끔직한 학살이 빚은 고통과 원한이라는 것을 알게 되면서 목회활동을 중단하고 노무현 정부에서 설립한 진실·화해위원회의 조사관으로 들어가 직접 한국전쟁의 민간인학살의 진실을 조사했다.
조사관이 되기 전에 이미 교동도에서 벌어진 부역혐의자학살사건과 강화지역에서 일어난 1·4후퇴 직후 발생한 민간인학살사건을 조사했던 최 목사는 진실·화해위원회에 들어가 서산과 태안지역에서 벌어졌던 민간인학살사건을 약 3년간 조사하고 서산·태안부역혐의희생사건 진실규명 조사보고서(2009. 3)를 작성했다. 노무현 정부가 설립한 진실·화해위원회는 우리 현대사 전반의 반민주적·반인권적 사건 등에 대한 진실을 밝혀내기 위해 2005년 5월 31일 여·야 합의로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기본법」이 제정됨에 따라 설립된 독립적인 국가기관이었다. 그러나 진실·화해위원회는 2008년 2월 이명박 정부의 출범과 함께 조사활동을 지속하지 못하고 2010년을 끝으로 서둘러 활동을 종료하면서 한국전쟁 전후 벌어진 민간인학살의 전모를 온전히 밝히지 못한 채 사라졌다.
진실·화해위원회의 종료 이후 다시 목회자로 돌아온 최태육 목사는 목회활동을 하면서도 서산, 태안 지역 민간인학살 조사과정에서 만난 끔직한 학살의 진실과 아직도 해결되지 않는 생존자들의 갈등과 반목, 여기에 더해 기독교가 학살에 깊이 관여한 역사적 사실을 직시하는 한편, 국가 차원에서 민간인 학살 문제를 온전하게 해결하지 못하면서 우리 사회에 남게 된 ‘학살의 문화’를 고통스럽게 응시하면서 뒤늦게 박사과정에 들어가 '남북분단과 6·25전쟁 시기 민간인집단희생과 한국기독교의 관계연구'로 2014년 박사학위를 받았다. 최태육 목사는 2017년의 촛불집회와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을 계기로 분출하는 이념의 대립과 친북, 용공 논란이 모두 한국전쟁 때 벌어진 민간인 학살의 문화가 국가적 차원에서 온전히 해결되지 않았기 때문에 나타나는 문제라고 인식하고 이덕주 감리교신학대학 교수를 비롯한 교회사 연구자들과 함께 통일시대에 대비하는 역사문화 연구 및 북한과의 문화교류 활동을 모색하는 연구소 설립 작업에 착수해 2018년 2월 ‘한반도통일역사문화연구소’를 설립해 소장으로 재직하면서 연구활동에 매립하고 있다.
한반도통일역사문화연구소의 ‘통일역사문화신서’ 첫 번째 책으로 출간된 이 책 <어떻게 그럴 수가 있는가>는 한때 트라우마를 겪기도 했던 서산·태안지역 민간인학살 사건의 조사경험과 함께 인천, 강화지역 민간인학살사건을 성찰적으로 되새겨보면서, 민간인 학살의 끔찍한 실상을 독자들에게 환기하고(1부), 민간인 학살의 가해자와 피해자이 어떻게 살아왔고 살아가고 있는지를 증언하면서(2부), 오늘날까지도 해소되지 않은 채 계속되고 있는 한국사회의 ‘학살의 문화’에 대한 성찰을 촉구(3부)하는 수기 형식의 짧은 글들로 채워져 있다.
최태육 목사가 이 책에서 독자들에게 건네고자 하는 것은 결국 역사적 진실을 외면하지 말고, 그 참혹한 역사의 진실에 대해 아파하고 공감하면서 ‘학살의 문화’로부터 벗어나야 하지 않겠느냐는 속울음이 담긴 질문과 외침일 것이다. 4·27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화해시대에 돌입하는 우리 사회가 깊이 되새겨야 할 질문이기도 하다.
“전쟁이라는 극한 상황에서 목적은 모든 수단을 정당화했다. 그래서 결국 우리가 얻은 것은 무엇인가? 살해와 죽음이다. 감당할 수 없는 상처이다. 68년이 지나도 수그러들지 않는 적대감이다. 수단을 가리지 않고 이겨야 한다는 배타적 경쟁이다.
한반도가 물려받은 유산은 무엇인가? 전쟁의 문화이다. 삐져나오는 창자를 부여잡은 여인을 보고 불쌍하다는 마음보다 살해해야 한다는 판단이 앞서는 죽임의 문화이다. 피해의식으로부터 끊임없이 에너지를 얻는 적대감이다.
68년 동안 이 적대감은 한반도의 모든 사건에 프레임을 구축하였다. 우리는 프레임 속에서 생각하고 행동하게 되었다. 반공, 반미와 같은 국가이데올로기는 물론, 교회·학교·공장과 같은 집단, 그리고 개인의 생활에서도 적대와 배타적 경쟁이라는 프레임을 만들어 놓았다. 그것이 우리의 문화가 되었다.”
- '나오는 말 - 우리는 학살의 문화로부터 단절되어 있는가?' 중에서
------------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