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5-11

윤평중 교수 "대북관계, 통일에서 평화공존 기조로 바꿔야" - 책 '국가의 철학'

윤평중 교수 "대북관계, 통일에서 평화공존 기조로 바꿔야"


윤평중 교수 "대북관계, 통일에서 평화공존 기조로 바꿔야"
송고시간 | 2018/01/30 17:44
-----------

'국가의 철학' 출간…"국권과 시민권의 조화 필요"




윤평중 한신대 교수.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합리적 보수주의자로 알려진 윤평중 한신대 철학과 교수가 국가의 본질을 철학적으로 규명한 책 '국가의 철학'(세창출판사 펴냄)을 출간했다.

그는 이 책에서 2016∼2017년 촛불집회에 참석했던 사람들이 외친 '나라다운 나라'가 과연 무엇인지 답하고, 21세기 한국이 나아갈 길을 제시했다. 또 자신이 정립한 국가관을 바탕으로 도출한 남북관계의 해법을 이야기했다.


윤 교수는 30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임을 천명하고 시민이 주인이라고 말한 '촛불'은 한국 현대사의 극점이자 정수라고 할 수 있다"며 "시민들이 국가에 바랐던 것은 정의, 즉 공공성"이라고 말했다.

국가의 공공성은 고대부터 현대까지 많은 서양 철학자들이 강조한 사항이다. 정의 추구는 이상적인 국가가 갖춰야 할 중요한 덕목으로 평가됐다.


하지만 윤 교수는 국가의 또 다른 특징으로 특정 영토 내에서 물리적 폭력을 독점한다는 사실을 꼽는다. 국가는 정의를 실현한다는 명목으로 반정부단체에 폭력을 행사한다.

윤 교수는 "공공성 추구와 적나라한 폭력 실천은 국가가 직면한 영원한 딜레마"라며 "국가를 사유화한 정권을 비판한 촛불 정신은 공공성에 집중하다 보니 국가의 폭력적인 면을 과소평가한 측면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가 국가의 공공성과 함께 원초적 폭력을 중시하는 이유는 국가를 유지하는 데 군과 경찰이 필요하고, 외교 안보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윤 교수가 생각하는 바람직한 국가는 국가의 권리인 국권과 시민들의 권리인 민권이 조화를 이루는 나라다. 그는 이러한 상태를 '변증법적 국가이성'으로 규정한다.

"국가에도 이성이 있습니다. 한때 국권이나 국가이성에 주목한 사람들은 시민권 행사를 유보할 수 있다고 생각했어요. 유럽에서 이러한 생각은 국가 형성이 뒤처진 독일과 이탈리아에서 유행했죠. 시간이 흐르면서 강압적인 국가체제를 옹호하다가 결국 나치즘이 나왔습니다. 그러나 국가이성이라는 개념은 21세기에 맞게 적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국권과 민권의 상호 융합이 중요합니다."

한국은 다소 불완전하지만, 변증법적 국가이성이 작동하고 있다는 것이 윤 교수의 판단이다. 1987년 민주 항쟁을 기점으로 국권 중심에서 국권과 민권이 균형을 이루는 단계로 나아가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윤 교수는 남북관계도 국가이성의 관점으로 살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감성적이고 정서적인 접근을 배제하고 철저히 이성적인 시각으로 바라봐야 해법이 나온다고 역설했다.

그가 보기에 남한과 북한은 그동안 각자의 국가이성이 우월하다는 투쟁을 벌여왔다. 하지만 분단 이후 70여 년이 흐르면서 남북의 국가이성은 통합이 불가능한 단계에 이르렀다. 또 북한이 핵무기를 개발하고 군비를 확충하면서 미국도 섣불리 전면전을 벌일 수 없는 상태가 됐다.

윤 교수는 "이제는 대북관계에서 통일이 아니라 평화공존을 추구해야 한다"며 "무엇보다 전쟁이 발생하지 않도록 정국을 잘 관리하면서도 국방력을 최대한 강화하고 대북 접촉을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남한은 국권과 민권이 조화를 이룬 민주공화국이지만, 북한은 사유화된 나라입니다. 더 차분하고 당당하게 북한을 대해야 합니다. 분단은 100년간 더 계속될 수도 있어요. 당장 성과를 내기보다는 초장기전을 준비해야 합니다."





psh59@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2018/01/30
----------






세창 석학인문강좌. 나라다운 나라를 탐색하는 정치철학인 '국가의 철학'은 정의에 대한 탐구와 함께 국가라는 이름의 폭력 주체에 대해서도 '동시에 함께' 논의해야만 한다. 그래야만 온전한 '국가의 철학'이 가능하다. 사사로운 이해관계보다 공동 목표를 더 중시하는 시민들이 모여 수호하는 자유, 평등, 정의의 정치공동체가 바로 공화국이다. 이 책이 논증하는 '국가의 철학'은 곧 '21세기 공화정의 정치철학'을 의미한다. '국가의 철학'은 21세기 한반도의 총체적 도전에 대한 철학적 응전이다.





_책머리에: 왜 '국가의 철학'인가 ― '나라다운 나라'를 위하여·4

제1장 21세기에도 국가이성(國家理性)은 유효하다
1. 21세기 국가이성과 한일관계·29
2. 마루야마와 헤겔로 국가이성 읽기·39
3. 변증법적 국가이성과 '정치적인 것'·49

제2장 국가주의적 국가이성에서 변증법적 국가이성으로
1. 주인과 노예의 인정투쟁(認定鬪爭)·63
2. 안중근의 동양평화론은 변증법적 국가이성의 모델이다·71
3. 사회진화론과 한중관계·80

제3장 변증법적 국가이성으로 남북관계를 조망하다
1. 국가철학으로서의 국가이성론·103
2. 남북 국가이성의 통합은 불가능하다·109
3. 송두율의 북한철학, 국가이성을 망각하다·118
4. 변증법적 국가이성 없이 한반도 평화도 없다·133


제4장 한반도 현대사의 철학적 성찰
1. 분단과 전쟁의 헌법철학·143
2. 마키아벨리즘으로 본 한반도 현대사 ― 변증법적 국가이성과 공화정·159
3. 공동체주의에서 공화주의로 ― 매킨타이어와 찰스 테일러·172
4. 공화정의 철학 ― 한나 아렌트와 촛불시민혁명·195
5. 공화정의 길, 대한민국의 꿈·219

제5장 종합토론·239

_참고문헌·297
_찾아보기·305



==================



저자 : 윤평중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촛불 너머의 시민사회와 민주주의>,<국가의 철학>,<주체 개념의 비판> … 총 23종 (모두보기)
소개 :
1956년생. 미국 남일리노이 주립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한신대학교 대학원장 및 학술원장 역임. 캘리포니아 대학교(버클리) 역사학과 방문학자, 미시간 주립대학교 철학과 객원교수, 뉴저지 럿거스 대학교 정치학과 풀브라이트 학자로 연구. 2012년 이후 현재까지 조선일보에 ‘윤평중 칼럼’을 쓰고 있고 2014년 이후 지금까지 KBS 객원해설위원. 현재 한신대학교 철학과 교수. 저서로 『푸코와 하버마스를 넘어서』 『포스트모더니즘의 철학과 포스트마르크스주의』 『담론이론의 사회철학』 『논쟁과 담론』 『극단의 시대에 중심잡기』 『...


=======


모든 철학은 자기 시대의 아들이다. 이 책 『국가의 철학』은 21세기 민주공화국 대한민국의 사상과 나라 혼(魂)을 묻는다. '나라다운 나라'를 이루는 핵심 이념을 탐구하려 한다. 하지만 우리 스스로 나라다운 나라를 만들어 간다는 촛불의 숭고한 공적 행복감에는 중대한 빈틈이 존재한다. 촛불의 이상주의적 유포리아가 도덕과 힘의 복합체인 국가의 진실을 경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 공백이 채워지지 않는 한 촛불은 불완전하다.
나라다운 나라를 탐색하는 정치철학인 '국가의 철학'은 정의에 대한 탐구와 함께 국가라는 이름의 폭력 주체에 대해서도 '동시에 함께' 논의해야만 한다. 그래야만 온전한 '국가의 철학'이 가능하다. 사사로운 이해관계보다 공동 목표를 더 중시하는 시민들이 모여 수호하는 자유, 평등, 정의의 정치공동체가 바로 공화국이다. 이 책이 논증하는 '국가의 철학'은 곧 '21세기 공화정의 정치철학'을 의미한다. '국가의 철학'은 21세기 한반도의 총체적 도전에 대한 철학적 응전이다.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