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9-07
反대한민국 문턱에 선 한국사 교과서 : 네이버 뉴스
[전문기자 칼럼] 反대한민국 문턱에 선 한국사 교과서 : 네이버 뉴스
신문A26면 1단 기사입력 2018-05-05
한국 현대사 교육의 '뼈대'를 바꾸려는 野心 드러내
제주 4·3사건 등 재해석으로 대한민국 정통성 약화시켜
北 인권 억압 등 가르치지 않아 '自國史 교육' 기본 목적 배신
이선민 선임기자
2020년부터 사용될 새 중학교 역사,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교육과정과 집필 기준을 둘러싼 논란을 보면, 2011년 9월 중학교 역사 교과서 집필 기준을 놓고 벌어졌던 논란이 반복되고, 일부 진전됐던 부분마저 원점으로 되돌아가고 말아 답답하다. 대한민국이 유엔총회에서 '한반도의 유일한 합법 정부'로 승인받았는지, '자유민주주의'와 '민주주의' 중 어느 쪽을 택해야 하는지에 관한 논쟁이 7년 만에 빼다 박은 듯 되풀이되고 있다. 이미 논란이 끝난 '한반도의 유일 합법 정부'마저 다시 등장한 데 아연실색하지 않을 수 없다.
1948년 12월 유엔총회 결의는 대한민국 정부의 관할 범위가 유엔한국임시위원단의 감시 아래 선거가 실시된 38도선 이남임을 밝히는 부분과 한반도에 수립된 두 개의 정부 중 '대한민국 정부를 한반도의 유일 합법 정부로 인정'한 부분으로 나눠져 있다. 그런데 고(故) 리영희 교수가 1991년 각각 별개의 사실을 말하는 두 부분을 슬쩍 연결해 대한민국 정부가 '38도선 이남에서 유일한 합법 정부'라고 처음 번역했다. 그의 오역(誤譯)은 금방 밝혀졌지만 본인은 끝내 정정하지 않았다.
이 주장은 일부 한국 현대사 전공 학자들의 고집으로 몇몇 검인정 교과서에도 들어갔다. 교육부의 수정 명령을 거부했던 해당 필자들은 교육부를 상대로 한 소송에서 패한 뒤 별 움직임이 없었다. 이 중 가장 강력히 반발했던 주진오 대한민국역사박물관장조차 올 2월 국회에서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대한민국이 한반도의 유일 합법 정부가 맞는다'고 했다. 그런데 이번에 정체불명인 '학회 추천 전문가'에게 자문한 것이라며 불사신(不死神)처럼 다시 살아난 것이다.
논란이 되는 교육과정과 집필 기준을 꼼꼼히 보면 이번 사태가 2011년보다 훨씬 더 심각한 게 확인된다. 새로 만들어지는 교과서가 어떤 표현을 넣고 빼는 차원을 넘어 한국 현대사의 '기본 틀' 자체를 바꾸려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우리 교과서의 골격이었던 '대한민국의 성립과 발전'이란 관점을 흔들고 '분단 체제의 형성과 극복'이란 새로운 관점을 도입했다. 원로 좌파 역사학자인 강만길 교수의 '분단 극복 사관(史觀)'이 교과서 속으로 들어온 것이다. 이제까지 기존 교과서의 틀 속에서 대한민국을 역사적으로 뒷받침하는 핵심 요소들을 공격하는 데 힘썼던 좌파 역사학계가 문재인 정부의 출범을 틈타 아예 현대사 교육의 뼈대를 바꾸려는 야심을 드러냈다고 할 수 있다.
본질적으로 남한과 북한을 대등한 관계로 보는 '분단 극복 사관'은 대한민국의 역사적 위상을 상대화해서 정통성과 정체성을 약화시킨다. 새 중·고교 교육과정은 한국 현대사를 '8·15 광복과 통일 정부 수립 노력'으로 시작하고 좌우 합작, 남북 협상, 제주 4·3 사건 등 대한민국 정부 수립에 반대한 움직임을 학습 요소로 제시한다. 이를 무릅쓰고 출범한 대한민국은 부정적으로 인식될 수밖에 없다. 이제 학생들은 제주 4·3 사건이 '최초의 통일 시도'였다고 배울 수도 있다. '6·25전쟁과 남북 분단의 고착화'란 단원에서 '남한의 반공주의와 독재' '북한의 사회주의 독재 체제'를 함께 배우는 학생들은 남북한이 똑같다고 생각할 것이다. '북한 정권 세습' '북한 주민 인권 억압' '북한 경제정책 실패' 등을 배우지 않는 학생들은 북한의 역사적 실상을 접할 기회를 갖지 못하게 된다.
더 큰 문제는 한국사 교과서의 개악(改惡)이 시작에 불과할 수 있다는 점이다. 교과서에서 먼저 '자유민주주의'를 빼고 나면 다음에는 대한민국의 기본 이념을 담고 있는 헌법의 '자유민주적 기본 질서'도 바꿔야 한다는 주장으로 이어질 것이다. 2011년에도 좌파 역사학자들은 자유민주주의가 반공(反共)과 남북 대립을 강조하기 위해 썼던 용어라며 사용을 극력 반대했다. 진보 헌법학자들도 서독 기본법의 강한 반공주의가 스며 있는 '자유민주적 기본 질서'에 거부감을 보여 왔다. 남북 화해 분위기가 고조되는 상황 변화를 이용해 이런 주장을 다시 내세울 가능성이 있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자국사(自國史) 교육의 기본 목적은 자기 나라의 역사적 정통성을 다음 세대에게 전수하는 것이다. 지금 진행 중인 새 한국사 교과서는 사실 왜곡과 외면을 통해 '반(反)대한민국'의 문턱을 넘으려 하고 있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지난 2월 "(자유민주주의 등이 삭제된) 집필 기준 시안에 동의하지 않는다. 총리가 동의하지 않으면 정부 입장이 아닌 것"이라고 말했다. 이 총리의 발언이 식언(食言)이었는지 아닌지는, 곧 교육부의 심의 절차에서 드러날 것이다.
[이선민 선임기자 smlee@chosun.com]
[조선닷컴 바로가기]
[조선일보 구독신청하기]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좋아요9
훈훈해요0
슬퍼요0
화나요3
조선일보 기사제공
신문조선일보 신문게재기사만
전체 댓글7새로고침
소셜 로그인네이버트위터페이스북
댓글 입력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게시물은 이용약관 및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건전한 토론문화와 양질의 댓글 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또는 특정 계층/민족, 종교 등을 비하하는 단어들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현재 입력한 글자수0/전체 입력 가능한 글자수300
등록
댓글 정렬 옵션 선택
순공감순
선택됨최신순
공감비율순
BEST댓글 운영 기준 안내
jayo****댓글모음
결론은 민주주의란 말이 식상하단 말이니여, 쉬운얘기를 왜이리 길게 썻는지
2018-05-07 10:25:27접기요청
답글0
공감/비공감공감0비공감0
kore****
나라의 앞날을 걱정하는 마음을표현의자유라고 막말하는것이 걱정입니다
2018-05-05 22:27:01접기요청
답글0
공감/비공감공감0비공감1
kndc****댓글모음
리영희는 원래 북한국민이지 한국국민이 아니다. 유엔은 남한만 국가로 인정하였다. 북한은 유엔이 인정하지 않은 사실상의 국가였을 뿐이다. 유엔이 한반도의 총선을 관장하며 수립한 나라가 대한민국이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유엔은 나중에 북한을 국가로 인정하는데, 노태우가 김일성이 유엔에 동시가입을 했기 때문이다. 그 이후로 유엔의 시각에서는 한국과 북한은 항상 두 개의 독립국가였다. 그러나 양국의 헌법은 자국만이 한반도의 유일한 국가라고 국민들을 계속 속여왔다.
2018-05-05 10:46:55접기요청
답글0
공감/비공감공감0비공감0
ksd5****
친일반민족행위자 후손이 운영하며 창간이래 단한줄의 기사도 진실이없고 왜곡 조작 선동 호도 보도만을 일삼아온 보수를 사칭한 사이비적폐언론 개조선일보 글머슴놈이 봉급이나 타먹으려고 헛소리 주절대는구나 ㅉ
2018-05-05 10:42:36접기요청
답글1
공감/비공감공감3비공감6
mail****
친북 역사학자들이 주사파 등위에 올라탔구나. 균형있는 역사인식 결핍.
2018-05-05 09:32:37접기요청
Subscribe to:
Post Comments (Atom)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