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1-16

Park Yuha 무라카미 하루키의 짧은 에세이 중 자신의 아버지에 대해 쓴 글

(1) Facebook


Park Yuha


(긴 글 주의)

무라카미 하루키의 짧은 에세이 중에 자신의 아버지에 대해 쓴 글
이 있다.

1917년생인 아버지가 일본의 전쟁에 동원되었다가 좋은 대학 출신(교토대학. 그런데 실제로는 아직 입학전이었다고)이라는 이유로 일찍 징집해제되었고 할아버지가 주지승이어서 승려가 될 뻔 했던 사람이었는데, 아무튼 하이쿠를 좋아하고 유머감각도 있었던 아버지가 그렇게 된 덕분에 자신이 존재 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 그러니 존재란 그저 우연이고 한방울 빗방울일 수 있다는.
그런데 중요한 건 이 얘기가 아니라 아버지가 남경학살로 악명 높은 16사단 20연대에 배치되었을지 모른다는 착각을 잠시 했기 때문에 아버지에 대해서 생각하는 일을 미뤘었다는 이야기, 하지만 배치됐던 16사단전체가 후에 필리핀에 배치 되어 거의 궤멸당하는 참혹한 전쟁을 치뤘기 때문에 아버지가 소집해제되지 않았으면 역시 자신은 없었을 거라는 이야기쪽이다.
그럼에도 아버지는 중국인 참수에 대해 말한 적이 있고, 그건 그저 옆에서 본 것인지 신참에게 그런 일을 시켜 이른바 ‘담력’을 키워주곤 했던 때라 직접 참여한 건지 여부가 애매한 말투였지만 매일아침마다 성의를 다 해 “전쟁에서 죽어간 사람들을 위해서”독경을 읊곤 했던 아버지를 바라 보면서, 그런 ‘아버지의 아들’로서의 자신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무라카미는 그 사건이 “병사이자 승려였던 그의 영혼에 크나큰 응어리가 되어 남아 있었던 것은 분명”하다고 쓴다. 그리고 그 아버지의 회상을 통해 자신의 마음 속에도 강렬하게 각인되었다고. 아들인 자신에게 “트라우마가 계승 “된 건데, 아버지가 지나가듯 그 얘기를 들려준 건 자신에게 전하고 싶어서였을 거라고.
그리고 이어서 이렇게 쓴다.
“사람의 마음은 그렇게 이어지는 것이고 또 역사라는 것도 그렇다. 본질은 계승이라는 행위 또는 의식 속에 있다. “


예전에 교토대 오구라기조 교수가 전후일본이 “애도”하며 살아왔다는, 그런 의미에서 “喪中“인 세월을 살아왔다는 이야기를 쓴 적이 있다. 그 얘기를 쓴 건, 우리사회의 분열은 애도를 하지 않은데서 오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에서였다.
 
내전으로 인해 백만명 넘는 사람들이 죽고 수백만 사람들이 부상을 입고 장애를 갖게 되었는데, 우리는 사실 그 사태에 대해서 제대로 애도한 적이 없다. 개인적으로건 사회적으로건.
애도란 그 죽음들을 이해해가는 과정이기도 하다. 그런데 우리는 그저 분노의 대상으로 삼거나(멸공!) 이미 당시 시작됐던 그런 분노에 대한 반대급부로 행해진 또다른 분노만을 면면히 이어왔고 이어가는 중이다. 여전히.
그러니 남북갈등은 둘째치고 남남갈등까지도 이렇게도
심각할 수 밖에.
 
그리고 그런 갈등과 분열을 오로지 일본 탓으로만 돌리고 있으니(물론 일제시대가 저항자와 협력자를 만들었다는 점에서 틀린 이야기는 아니다) 더더욱 우리 자신에 대해서는 생각하지 않아도 되는 구조 속에 우리는 있다.
 
오늘 나에게 일어나는 일이 하나의 원인으로만 일어나지 않는 것처럼, 역사 역시 수많은 복합적인 요소로 이루어진다. 그건 너무나 당연한 일인데도 “가장 큰”원인을 찾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다가 그건 어느새 절대적인, 유일무이한 원인으로 여겨지곤 한다. 한발 더 나아가 그와 다른’ 요소를 보는 건 그저 물타기로 간주하는 무지와 폭력도 거기서 시작한다.

그러면서 (굴욕적인)’식민지 시대는 없었다’ 는 식의 기억왜곡조차 일어난다. (임시정부 법통을 잇는다는 87년 헌법이 그렇다. 그렇다 보니 어떻게든 한일합방도 강제가 되어야 하는 것. 물론 나는 강제성을 부정하지 않는다. 다만 굳이 “불법”을 끌어와 그걸 확인하려 하는 근대국민국가의 문명주의적/남성주의적 사고를 반대할 뿐.).
 
하지만 역사를 생각한다는 건 어떤 맥락 속에서 자신이 태어났고 성장했고 그에 따라 “이런 나”가 만들어지고 존재하는지를 끝없이 들여다 보는 일이어야 한다. 계급과 지역과 성과 민족등이 거기에 관여하는 요소들이다. 하나의 요소만으로 존재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으니 나를 구성하는 건 하나일 래야 하나일 수가 없다.
일제시대란 말하자면 강제결혼 같은 것이다(훗날 ‘내선일체결혼’이 권장되는 건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그럼에도 아이들은 태어났고 그런 한 그 공간의 경제와 문화와 교육의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 그렇다면 거기에 ‘오욕’과 함께 존재 했던 수많은 일상에 대해 그 갈래갈래를 하나씩 펼쳐 보면서 ‘이해’하는 것 말고 도대체 어떤 ‘역사의식’이 가능할까.

그런데 해방이후 한국은 단 한 번도 그 오욕과 제대로 마주한 적이 없다. 그러다 보니 깨부숴야 할 어떤 것이 되고, 미처 깨부수지 못한 것들은 망각의 저편으로 보내져야 하는 어떤 것이 된다. 한국 전쟁이나 베트남 전쟁은 대부분 망각의 대상이 됐다. 미국이라는 타자가 등장할 때나 고작 곁다리로 상기될 뿐.

87년 민주화 투쟁이후 나온 “역사 바로세우기”라는 김영삼의 구호는 그런 점에서도 상징적이다. 총독부가 ‘파괴’된 건 바로 그 정점이었다 해야 할까. 실제로 그 전후로 많은 것이 잊혀졌다. 

하지만 이런 일들이 일어나는 건 결국 우리 안에서 역사가 지극히 관념적이고 ‘나’와 동떨어진 어떤 것으로 기능하기 때문이다. 오욕을 이겨내는 건, 나의 것으로 간주하고 제대로 마주 하는 태도밖에 없음에도 불구하고. 뭔가를 넘어서게 해 주는 건 언제나( 나와 상대를 이루는 요소들에 대한) 제대로 된 이해 뿐이다.
 
무라카미 하루키로 다시 돌아가자면, 그의 소설 구석구석에 역사—자신이 놓여 있는 공간과 시간의 맥락에 대한 이해-가 늘 자리하고 있는 건 그가 일상 속에서 역사를 살아내기 때문일 듯 하다. 그 사실을 나는 이 에세이를 읽고 명확하게 이해했다. 

(아침에 마침 역사와 일상에 대해 고영범 선생께서 비슷한 말씀을 했다).
 
‘서울의소리’같은 , 부정과 망각으로 이루어진 자기인식으로 똘똘 뭉친 이들이 한국사회에 존재하는 것도, 또 ‘’응징’까진 아니어도 역사를 ‘처벌’ 혹은 자기긍지의 회복을 위한 뭔가로 만 생각하는 이들이 많은 것도, 역사를 개인의 다층적 맥락에서 생각하지 않기 때문이다. 공적기억은 대개 그런 맥락들이 소거되면서 성립한다. 그래서 ‘처벌’이란 사실 역사와 마주하는 방식 중에 가장 쉬운 방식이다.
 
하지만 타자를 알기 위해선 먼저 자신부터 알아야 한다. 자신을 안다는 건 자신과의 대화. 자신과 대화할 줄 알게 되면 이해 불가해 보이는 타자와도 대화가 가능해진다. 그리고 그 타자를 알게 되면 이해 불가해 보였던 건 그저, 내가 알려고 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것도 알게 된다. 타자는 물론 자신조차.
 
나의 일본인지인 중에 아버지가 전쟁때 군인으로 참전했다는 사실을 두고 괴로워해 온 사람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회되면 다시 쓰겠지만 우리 사회에서 그런 상상을 해 본 사람은 아마 거의 없을 것이다.(일본 사회도 사실 마찬가지다)가해자도 고통스러워 한다는 사실을.
그런데 가해자의 고통이 발화되기 위해서는 용인 가능한 청자—공동체가 필요하다. 

우리는 일제시대때 피해 기억을 갖고 있는 사람들의 후손이기도 하지만, 그 일제시대 때 가해체험에 참여했던 사람들의 후손이기도 하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아버지가 본 참수현장에 있었던 건 조선인이었었을 수도 있다는 이야기.
 
또 한국 전쟁에서의 가해자가 바로 그 조선인이었을 수도 있다는 가정을 견디는 용기도 우리에겐 필요하다. 

한국 사회가 애도를 하지 않았다면, 아마도 그건 그 가해자의 탓이라기보다, 사회 탓이다.
패전이후 일본으로 돌아온 병사들은 300만이 넘었다. 쫓겨 돌아온 민간인을 합치면 700만 가까이 된다. 당시 인구의 10분의 1.
 
이들이 이후 어떻게 보냈는지가 전후일본을 아는 열쇠이기도 하다. 긍정적으로든 부정적으로든.

무라카미는 말한다. 존재감 없는 한 방울이지만 “그걸 계승해 간다는 한방울로서의 책무”가 있다고. 그 한방울이 어딘가로 스며들어 안 보인다 해도 “집합적인 무언가로 환치되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고.

















223You, 崔明淑, Chee-Kwan Kim and 220 others

20 comments

  • May be an image of 1 person and book
    1
    • Like
    • Reply
    • 1 h
    Park Yuha replied
     
    1 reply
    1 h
  • 松村健
    아들이 추천해서 최근 읽었습니다.
    1
    • Like
    • Reply
    • 1 h
    松村健 replied
     
    2 replies
    1 h
  • Hyonggun Choi
    여기서도 저기서도 “공적기억”을 화두로 잡고 계시군요. 공감합니다. 자기와의 대화없이 응징과 처벌로만 몰아가는 “공적기억” 이것 때문에 우리가 더 오랫동안 아플 수도 있겠습니다.
    2
    • Like
    • Reply
    • 1 h
  • Ivo Kwon
    개개인의 다양한 삶과 다양한 아픔을 관조하기 보다는 어떤 도덕률로 내리누르고 평가하기 좋아했던 오랜 시대의 유산 같기도 합니다. "개인"이 없었던 세계의 비극을 또 보게 됩니다.
    6
    • Like
    • Reply
    • 1 h
    Park Yuha replied
     
    1 reply
    1 h
  • 이용애
    하루키 소설 기사단장 죽이기에서 남경학살 이야기가 나오더군요.
    2
    • Like
    • Reply
    • 1 h
    • Park Yuha
      이용애 네. 예전부터 메인테마가 아니어도 자주 전쟁얘기를 소재로 써 왔어요.
      2
      • Like
      • Reply
      • 1 h
  • Junmin Lee
    우리에게도
    김성칠 선생같은 분이 계십니다.
    찾아보면 더 많지 않을까요?
    2
    • Like
    • Reply
    • 1 h
    • Park Yuha
      이함 네, 물론 개인적으로는 역사와 좀 더 폭넓게 마주한 분들이 있지요. 하지만 사회적으로는 아직 그런 인식이 거의 없다고 봅니다.
      1
      • Like
      • Reply
      • 1 h
  • Junmin Lee
    참,
    36년의 시간을
    예전에는 일제시대
    지금은 일제강점기 이렇게 부르는데 이걸 지금도 일제시대가 맞는 표현이라는 분들이 계시고 교수님도 여전히 일제시대를 사용하시는데 어떤 이유신지, 또는 그 차이를 어떻게 보시는지요?
    1
    • Like
    • Reply
    • 1 h
    • Park Yuha
      이함 그냥 습관입니다.^^
      일제 강점기 라는 말은 90 년대 이후 표현이고 저는 70 년대에 교육을 받은 사람이니까요
      • Like
      • Reply
      • 1 h
    • Park Yuha
      덧붙이자면 그 단어도 이미 하나의 인식이 들어간 말이지요. 하지만 굳이 의식해서 안 쓴 건 아닙니다.
      • Like
      • Reply
      • 1 h
    • Chee-Kwan Kim
      박유하 조선보다 더 오랜 식민지 치하에 있던 대만에선 공식적으로 ‘일본시대’라고 부르더군요. 저는 물론 개인적으로 일제 강점기란 말을 일체 쓰지 않습니다.
      1
      • Like
      • Reply
      • 56 m
      • Edited
    • Park Yuha
      김치관 그런데다 아마도 99% 확률로 신용하 선생의 조어일 듯요.^^
      1
      • Like
      • Reply
      • 42 m
  • Yoon Seong
    애도에 관한 부분에서...잠시 멈춰 생각해보았습니다.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교수님💕
    1
    • Like
    • Reply
    • 1 h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