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1-31

자본주의, 과연 대안 없는 현실인가 : 책&생각 : 문화 : 뉴스 : 한겨레모바일

자본주의, 과연 대안 없는 현실인가 : 책&생각 : 문화 : 뉴스 : 한겨레모바일

자본주의, 과연 대안 없는 현실인가

등록 2018-11-30 06:01
수정 2018-11-30 19:28
텍스트 크기 조정

자본주의 리얼리즘-대안은 없는가
마크 피셔 지음, 박진철 옮김/리시올·1만3000원

“자본주의가 그렇게 싫으면 북한에나 가라.”

포털의 댓글 같은 데에서 종종 보이는 이 말은 읽는 이로 하여금 한없는 우울에 빠져들게 한다. 그조차도 사실이 아니지만, 자본주의가 아닌 것은 ‘북한’ 말고는 떠올릴 수 없는 이 시대의 강력한 규정성을 되새기게 만들기 때문이다. 철학자 슬라보이 지제크는 “자본주의의 종말보다 세계의 종말을 상상하는 것이 더 쉽다”고 했던가.

<자본주의 리얼리즘>은 영국의 철학자·비평가인 마크 피셔가 2008년 펴낸 책으로, 국내에는 처음 소개되는 그의 저작이다. 2000년대 초 ‘케이-펑크’(k-punk)라는 블로그를 운영하며 비판적 지식인으로 두각을 드러냈던 지은이는, 이 책에서 ‘자본주의 리얼리즘’이라는 열쇳말로 이 시대의 병폐를 진단한다. 마거릿 대처가 “대안은 없다”고 말한 뒤, 영국 ‘신’노동당이 그 말을 “자기-충족적 예언”으로 만들어버린 바로 그 시대다.

‘자본주의 리얼리즘’이란 말에서 ‘리얼리즘’은 “어떤 만연한 분위기에 더 가까운 것”이다. 그것은 “문화의 생산뿐 아니라 노동과 교육의 규제도 조건 지으며, 나아가 사고와 행동을 제약하는 일종의 보이지 않는 장벽으로 작용한다.” 때문에 우리는 “자본주의가 나쁜 것이라고 믿는 동안에도 계속해서 자유롭게 자본주의적 교환에 가담할 수 있다.” 특히 지은이는 이 자본주의 리얼리즘이 “좌파의 병리 현상”이라고 콕 집어 이야기하는데, 이를 낳은 신자유주의 프로젝트를 완성시킨 것은 결국 영국 ‘신’노동당이나 미국 클린턴 정부 등의 ‘타협’이었기 때문이다. 지은이는 과거에는 ‘정치적 대안’이란 게 있었지만, 오늘날은 그것이 완전히 고갈되었음을 직시해야 한다고 말한다.

’케이-펑크’(k-punk)라는 블로그 활동으로 유명한 영국의 작가 마크 피셔. 2017년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출처 Verso 출판사 누리집
그렇다면 정말로 대안은 없단 말인가? 지은이는 라캉의 정신분석학처럼, 리얼리즘(현실)에 대항하는 것은 그 기저에 있는 실재를 환기시키는 일이라고 말한다. 그는 두 가지 쟁점을 강조하는데, 하나는 ‘정신 건강’이고 또 하나는 ‘관료주의’다. 심리학자 올리버 제임스는 <이기적 자본가>에서 점점 높아지는 정신적 고통의 비율이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 양식과 연관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는 겉보기엔 자본주의가 잘 작동하는 것 같아도, 실제론 엉망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관료주의 역시 자본주의의 작동 방식이 실상은 자본주의적이지 않다는 것을 드러낸다. 이 둘이 지배하는 주된 문화 영역인 교육은, 자본주의 리얼리즘의 문제가 극명하게 드러나는 현장이다.

피셔는 이 책 이후 <내 삶의 유령들-우울증, 유령학, 잃어버린 미래>와 <기괴함과 오싹함>이라는 두 권의 저작을 출간했으나, 2017년 초 갑자기 스스로 목숨을 거두었다. 오랫동안 우울증으로 고통받았던 그의 죽음은, 그가 책 속에서 언급한 커트 코베인의 죽음처럼 ‘자본주의 리얼리즘’에 대한 가장 강력한 고발처럼 느껴진다.

최원형 기자 circle@hani.co.kr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