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1-30

한국 유치원의 태동부터 오늘의 유치원까지 - 에듀뉴스

한국 유치원의 태동부터 오늘의 유치원까지 - 에듀뉴스

교육공동체아이들 세상
한국 유치원의 태동부터 오늘의 유치원까지유치원 110년 역사 한눈에 살펴보기
조현경 기자 | cho@edunews.co.kr



승인 2013.10.16 17:48:15


[에듀뉴스] 유치원은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기관이다. 과거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가정에서 유아교육이 이뤄졌고 근대의 신교육이 실시되기 전까지는 서당이 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해왔다.

‘유아교육개론’(양서원)에 따르면 고려시대에 세워진 서당은 조선시대까지 계승되면서 신교육이 실시되기 전까지 서민들의 가장 보편적인 교육기관의 역할을 맡아왔다. 서당의 입학 연령은 7~8세부터 15~16세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했지만 7세가 35%, 8세가 23%로 7~8세가 전체의 58%를 차지했으며 만 4세 1.63% 5세의 경우 10.23%가 서당에 다니면서 조기교육을 받았다.



유치원이 본격적으로 소개되기 시작한 것은 일제 점령기 때였다. 근대화된 유아교육기관인 유치원은 어려운 시기에 소개돼 한반도의 격변하는 역사와 함께 발전했다. 유치원 초창기에는 어린이문화와 민족교육운동이라는 역할을 했으며 광복 이후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면서부터는 대한민국의 교육제도 속에 뿌리를 내리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며 체제와 제도를 정비해왔다.

우리나라 유치원의 역사는 약 110여년에 걸쳐 정치·경제·사회적 변화에 따라 성장해왔다. 시대적으로 살펴보면 △유치원 성립기 △유치원의 제도적 기반 확립기 △유치원의 내적 기반 확립기 △유치원 확장기 △유치원 공교육화 추진기로 나눠볼 수 있다. 각 시기마다 유치원 역사상 중요한 사건을 중심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한국 유치원의 시작 ‘이화유치원’
◇ 유치원 성립기…1897~1945년

근대의 형식적인 교육기관으로서의 유치원은 일본인들에 의해 소개됐다. 우리나라에 세워진 최초의 유치원은 1897년 일본인들이 일본인 자녀들을 교육하기 위해 부산에 세운 ‘부산유치원’이다. 이 유치원은 일본인 자녀만 입학할 수 있었고 일본인 교사에 의해 교육이 이뤄졌다. 두 번째 유치원은 ‘인천 기념공립 유치원’이다. 이 또한 1900년 일본 황태자의 결혼을 축하하기 위해 인천에 세워진 일본인 자녀들을 위한 유치원이었다.

1908년 4월 2일에는 유치원에 관한 최초의 명문화된 규정인 ‘고등여학교령’이 순종황제 칙령으로 공포됐고 이로 인해 최초의 여자 공교육기관인 관립 한성고등여학교가 설립됐다. 고등여학교령 제10조에는 ‘고등여학교에 부속유치원을 설치할 수 있다’는 법적 근거가 제시돼 이후 1914년 이화유치원, 1915년 정신유치원, 1916년 중앙유치원, 1917년 배화유치원 등 초기 유치원들이 여학교 부속유치원으로 설립되는 근거가 됐다.



우리나라 어린이를 위한 최초의 유치원은 1909년 함경북도 경성군 나남읍에 설립된 ‘나남유치원’으로 원아는 한국인 60명이며 교사는 일본인이었다. 1911년에는 충무에 진명유치원이, 1913년에는 서울 인사동에 경성유치원이 설립됐다. 경성유치원은 한국인에 의해 설립된 한국인 어린이를 위한 최초의 유치원이지만 친일파 부유층의 자녀만이 입학할 수 있는 귀족 유치원으로 일본의 풍습, 습관과 일본어를 가르쳤다.

1914년에는 미국인 선교사 브라운리가 이화학당 부설 이화유치원을 설립했다. 이화유치원은 한국 어린이를 위해 유아교육 전문가가 교육한 최초의 유치원으로 진정한 의미에서의 한국 유치원의 시작이라고 볼 수 있다.

1915년에는 최초의 유아교사 양성기관인 이화유치원 사범과가 설립돼 유치원 교사교육의 기틀을 마련했다. 이화유치원 사범과의 교육방식은 이화유치원에서의 교육실습을 강조하는 도제형태였다. 이화유치원 사범과는 1922년에 설립된 중앙유치원 사범과, 1927년에 설립된 숭의보육과 함께 우리나라 초창기 유아교사 양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16년에는 중앙대학교 부속유치원의 모태인 중앙유치원이 설립됐다. 특히 중앙유치원은 3·1독립운동의 민족대표 33인 중 한 사람인 박희도에 의해 만들어졌다는 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대한민국 정부 설립 이후 교육법이 제정되기 전에 유치원교육에 관한 유일한 법적규정은 1922년 개정된 ‘조선교육령’이다. 제1차 조선교육령은 1911년에 처음 공포됐지만 당시에는 유치원에 대한 규정이 없었고 개정된 2차 조선교육령에 유치원교육의 목적, 내용, 원아 수, 설비 등에 대한 사항이 포함돼 있었다.

이후 유치원과 원아 수가 점차 늘어났다. 1921년까지 전국에 47개의 유치원이 설립됐고 원아 수는 2685명에 이르렀다. 1920년대는 3·1운동 이후의 문화정치와 회유적인 교육정책으로 인해 사립학교들이 활기를 찾았고 유치원 보급도 현저하게 늘어났기 때문이다.

하지만 1930년대에는 유치원교육의 본질에 대한 고찰과 논의 없이 양적으로만 늘어났다는 회의와 자성의 움직임이 일어나 유치원 무용론이 제기되기도 했다.

◇ 대한민국 ‘교육법’ 공포
◇ 유치원의 제도적 기반 확립기…1945~1968년

광복 후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면서 유치원 업무를 관장한 곳은 문교부의 보통교육국 초등교육과였다. 1949년에는 대한민국의 ‘교육법’이 공포됐으며 유치원의 교육 목적, 유치원의 교육 목표, 취원 연령 등 유치원에 관한 내용이 들어있었다. 하지만 구체적인 시행규칙은 아직 마련되지 않은 상황이었다.

1950년에는 국립이나 공립유치원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국립유치원 설치 계획’을 발표했지만 6·25전쟁 발발로 실행되지 못했다. 이후 1952년에는 전쟁으로 인해 미뤄졌던 ‘교육법 시행령’이 제정돼 유치원 설립인가와 원아 수, 보육과목, 보육일수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수 있었다.



1962년에는 ‘유치원 시설기준령’이 공포된 뒤 1963년에 시행됐다. 이 기준령은 유치원의 위치, 시설과 설비, 원구 및 교구, 소방시설 등에 대한 최소한의 필요 설치 기준을 규정함으로써 그간 무질서하게 설치 운영되던 유치원의 교육환경을 개선하고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법적 근거가 됐다.

이와 같이 6·25전쟁 이후 1960년대까지는 교육법과 교육법 시행령, 유치원 시설 기준령과 같은 규정이 제정돼 유치원의 제도와 행정적인 기반을 마련한 시기였다. 하지만 외형적인 정비가 이뤄진 것에 반해 질적인 발전은 미약해 유치원교육과정 제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었다.

◇ 최초의 공립 유치원 설립
◇ 유치원의 내적 기반 확립기…1969~1980년

1969년에는 국가수준의 유치원교육과정이 처음으로 제정된 시기다. 우리나라에 유치원이 소개된 지 70년이 지난 후에야 이뤄진 일로 유치원교육이 흥미 중심, 경험 중심, 생활 중심의 교육이 돼야 한다는 점을 밝힘으로써 유치원교육의 내적 기틀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1970년 중반에 이르러 국가경제가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국민의 생활이 안정되고 사회구조 와 가족기능도 변화하면서 유아교육의 중요성이 일반인에게까지 퍼져나갔다. 국제적으로도 유네스코에서는 1970년에 ‘세계 교육의 해’를 선포했고 미국의 헤드 스타트 운동, 영국의 플라우든 보고서 등 활발한 유아교육 확대 운동이 전개됐다.



국내·외적으로 유아교육의 중요성이 확대됨에 따라 1976년 최초의 공립유치원이 서울 4곳과 부산 1곳에 설치됐다. 또한 1969년 제1차 국가수준 유치원교육과정이 제정되고 이후 10년 만인 1979년에 2차 유치원교육과정이 개정됐다.

이와 함께 사회와 정책의 변화에 따라 1981년(3차), 1987년(4차), 1992년(5차), 1998년(6차), 2007년(2007년 개정 유치원교육과정)에 개정됐고 2013년에는 표준보육과정과 통합된 3~5세 누리과정이 제정됐다.

◇ ‘유아교육진흥법’ 제정
◇ ‘유치원 확장기…1981~2004년

1980년대 제5공화국이 들어서면서 정부는 유아교육을 국가의 주요 시책으로 삼고 그 중요성을 언급했으며 이를 계기로 유아교육은 발전의 전환기를 맞이했다.

1980년 당시에 새마을 협동유아원의 업무를 관장하고 있던 내무부는 218개원의 새마을 협동유아원을 설립했고 1981년에는 대통령이 새해 국정연설에서 취학 전 교육강화방침을 발표함에 따라 보건사회부 산하의 어린이집을 흡수하면서 ‘새마을 협동유아원’이라는 이름을 ‘새마을 유아원’으로 바꿨다.

1982년에는 유아교육을 확대하고 육성하기 위해 ‘유아교육진흥 종합계획’을 수립했고 같은 해 12월 31일에는 ‘유아교육진흥법’을 제정, 공포했다. 이는 유아교육 관련 독립 법안이 처음으로 마련됐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유아교육에 대한 국가적인 관심에 힘입어 보통교육국 내에 ‘유아교육 담당관실’이 신설됨으로써 문교부 내에 유아교육을 총괄하는 부서가 처음 설립됐으며 시·도 교육위원회에 유아교육 담당 장학사들이 배치됐다.



또한 당시 4원화돼 있었던 유아교육체제를 정비해 이원화했다. 보건사회부 관할의 어린이집, 농촌진흥청 관할의 농번기 탁아소, 내무부 관할의 새마을 협동유아원과 민간 유아원 등의 보육 관련 시설이 ‘새마을 유아원’으로 통합됨에 따라 우리나라 유아교육기관은 문교부가 주관하는 유치원과 내무부가 주관하는 새마을 유아원으로 이원화됐으며 모두 유아교육진흥법의 적용을 받았다.

유아교육진흥법 제정 이후 유아교육은 급속히 확대돼 공·사립유치원이 확충됐는데 특히 농·어촌지역은 초등학교 유휴교실을 이용한 병설유치원을 확대, 1983년에는 공립유치원의 수가 2562개원에 이르렀다.

1991년에는 교육법 제146조 및 148조에서 ‘보육’이 ‘교육’으로 용어가 변경됐으며 유치원 취원 연령이 만 4세에서 3세로 낮춰졌다. 1991년 영유아보육법이 제정 공포되면서 새마을 유아원은 1993년까지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으로 전환하도록 했고 1994년부터는 새마을 유아원이 사라지게 됐다. 이로 인해 유아교육은 교육법과 유아교육진흥법에 의한 유치원, 영유아보육법에 의한 어린이집으로 이원화 체계가 구축됐다.

1993년에는 ‘2000년대를 향한 유아교육 장·단기 발전 방안’을 발표했다. 구체적인 내용은 유치원의 기간 학제화, 종일반 운영의 활성화, 초등학교와의 연계교육 강화, 유아교사 자격기준 강화, 5세 유아 무상교육, 3세 유아 교육정착, 교사 인건비 지원 등이었다.

1997년 이후 유아교육은 공교육 체제 확립을 위한 유아교육 개혁을 추진했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법’을 여러 차례 국회에 상정하고자 했지만 보육시설과의 갈등 등으로 인해 무산됐다.

그 결과 1998년에 유아교육진흥법을 개정, 취학 전 1년간의 유치원 무상교육을 명시하는 것으로 유치원 공교육화의 시작을 알리게 됐고 2003년에는 유치원에서도 종일제를 실시해야 한다는 사회적 요구가 잇따름에 따라 공립유치원에서 교육과 보육을 통합한 에듀케어를 시범 운영하게 됐다.

◇ ‘유아교육법’ 제정, ‘3~5세 누리과정’ 실시
◇ ‘유치원 공교육화 추진기…2004~현재

2004년 1월 29일 법 제정 논의를 공론화하기 시작한 지 7년 만에 ‘유아교육법’이 제정, 공포됐다. 유아교육법의 제정은 그간 교육법에서 정한 초·중등교육법의 적용을 받아오던 유치원이 초·중등학교와 분리된 학교법에 의해 적용을 받게 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후 유아교육진흥법과 초·중등교육법에 있던 유치원 관련 내용들은 독립된 ‘유아교육법’에 모두 포함됐으며 유아교육진흥법은 폐지됐다.

또한 2004년 이후 유치원은 ‘유아교육법’, 보육시설은 ‘영유아보육법’의 적용을 받고 있으며 별도의 교육과정과 교사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유아들에게 있어 교육과 보육이 별개가 될 수 없으며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2005년 유아교육과 보육 관련 업무를 함께 행하는 국책연구기관인 ‘육아정책개발센터’(2009년 육아정책연구소로 개칭)를 설립하게 됐다.



유아교육법의 시행에 따라 유아교육의 공교육 기반을 마련했으며 농·어촌지역은 물론 도시지역에도 초등학교 병설유치원과 단설유치원이 증설됐다. 2007년부터는 유아교육의 공공성 확보와 유아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공립유치원을 중심으로 시범적으로 유치원평가를 시행했으며 2011년부터는 3년 단위로 2주기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아울러 2010년 2월 교육과학기술부(현 교육부)는 유아교육선진화 방안을 발표해 유아교육에 대한 사교육비를 경감하고 선진화된 유아교육제도 구축을 통한 질 높은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정책을 선정 추진하고 있다. 이 일환으로 2012년부터는 만 5세 모든 유아들의 학비를 무상지원하고 있으며 3~4세 유아들까지 학비지원 대상을 확대하기에 이르렀다. [참고]유아교육개론(양서원)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