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물러서면 나를 쏴라"···6·25 전쟁 영웅 백선엽 장군 별세 - 중앙일보
"내가 물러서면 나를 쏴라"···6·25 전쟁 영웅 백선엽 장군 별세
[중앙일보] 입력 2020.07.11
기자채인택 기자
SNS 공유 및 댓글SNS 클릭 수55카카오톡페이스북트위터카카오스토리SNS 공유 더보기
“이제 더는 물러설 곳이 없다. 여기서 밀리면 바다에 빠져야 한다. 우리가 밀리면 미군도 철수한다. 그러면 대한민국은 끝이다. 사단장인 내가 앞장서겠다. 내가 두려움에 밀려 물러서면 나를 쏴라.”
1950년 낙동강 전선 다부동전투서
부산교두보 지켜 역전의 전기 마련
공산주의 침략 막고 평양 첫 입성
미군과 함께 지휘, 한미동맹 상징
창군 주역…전후엔 전력확충 앞장
전역 뒤 외교관 활동, 교통부장관도
기업인으로 화학공업 육성도 주도
대한민국 가치, 국방 중요성 강조
고 백선엽 예비역 대장.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10일 오후 11시35분 서울대병원에서 100세를 일기로 노환으로 별세한 백선엽 예비역 대장은 6·25전쟁 초기인 1950년 8월 낙동강 전선의 고지에서 후퇴하는 부하들에게 이렇게 외쳤다. 그런 백 장군이 권총을 빼 들고 앞으로 달려나가자 부하들도 일제히 그를 따랐다.
당시 국군 1사단장(준장)이던 백 장군은 국군 역사에서 적진으로 직접 돌격한 유일한 장군이 됐다. 국군과 유엔군은 8월 3일~29일 경상북도 칠곡군 다부동에서 이런 처절한 전투로 적의 예봉을 꺾었고 이어진 9월 15일 인천상륙작전으로 전세를 뒤집었다. 대한민국이 사력을 다해 공산주의의 침략 야욕을 꺾은 과정이다.
1사단은 그해 10월 18일 평양에 처음 입성했으며 그달 말에는 평안북도 영변·운산에서 진격 속도를 조절해 매복한 중공군의 기습을 피할 수 있었다. 1사단은 전력을 유지한 채 물러나 계속 싸울 수 있었다.
1950년 6.25 전쟁 당시 미 제1군단장 밀번 소장에게 작전 상황을 보고중인 당시 백선엽 사단장. [중앙포토]
백 장군은 당시 더글러스 맥아더(1880~1964, 극동연합군 최고사령관, 이하 6·25전쟁 때 직함)를 비롯한 미군 최고 지휘부와 어깨를 나란히 하고 싸웠다.
월턴 워커(1889~1950, 주한 미8군 사령관), 매슈 리지웨이(1895~1993, 극동연합군 최고사령관), 프랭크 밀번(1892~1962, 1군단장), 제임스 밴 플리트(1892~1992, 8군 사령관), 맥스웰 테일러(1901~87, 8군 사령관) 등 제2차 세계대전을 승리로 이끌었던 전쟁 영웅이다. 그는 이들의 전술과 리더십, 그리고 군대 운용체계를 국군을 강군으로 키우는 자양분으로 흡수했다.
최근까지 주한미군 지휘부가 한국에 부임할 때마다 백 장군을 관례적으로 예방해온 이유다. 이들은 전쟁사에 나오는 선배 군인들의 생생한 일화를 백 장군으로부터 들었다.
미군은 주한미군 평택기지에 ‘백선엽 홀’도 만들었다. 백 장군은 자연스럽게 한·미동맹을 상징하는 인물로 떠올랐다. 굳게 다문 입과 날카로운 눈매의 그는 평소 “나 자신을 연마하고 전쟁을 준비하는 것이 군인의 길”이라고 강조해왔다.
지난해 11월 22일 로버트 에이브럼스 주한미군사령관(왼쪽)이 한국 나이로 100세 생일을 맞이한 고 백선엽(99) 장군(예비역 대장) 생일 하루 전날 서울 용산구 전쟁기념관 백 장군의 사무실을 방문해 함께 기념촬영 하고 있다. 주한미군은 페이스북에 방문 사진을 올리고 "100번째 생일을 축하한다"며 "백 장군은 진정한 전사이자 지도자이며 오늘날에도 우리에게 영감을 주고 있다"고 밝혔다. [주한미군 페이스북 제공]
백 장군은 1920년 11월 23일 평안남도 강서군 덕흥리에서 2남 1녀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동생 인엽(1923~2013년·60년 육군 중장 예편·선인학원 설립자)씨가 태어난 2년여 뒤 부친이 별세하자 모친은 평양으로 이주했다.
백 장군은 약송소학교를 거쳐 39년 평양사범학교를 마쳤다. 그 뒤 교사생활을 하다 이듬해 만주국(31~45년 존재했던 일제의 종속국가)의 군 간부 양성소인 중앙육군훈련처(펑톈(奉天)군관학교)에 들어갔다. 41년 12월 9기로 마치고 견습 사관을 거쳐 소위로 임관했다. 43년 주로 조선인으로 이뤄진 간도특설대에 배치돼 근무하다 해방을 맞았다.
45년 광복을 맞자 평양에서 당시 평안남도 인민 정치위원회를 이끌던 민족지도자 조만식 선생의 비서로 일했다. 그해 9월 소련군을 따라 귀국한 김일성이 10월 10일 조선공산당 북조선 분국을 조직하자 조 선생의 권유에 따라 12월 서울로 월남했다.
경북 칠곡군 다부동전적기념관 내 고 백선엽 장군 호국구민비. [송봉근 기자]
46년 군사영어학교를 졸업하고 국방경비대 부위(중위)로 임관한 뒤 창군 작업에 나섰다. 5연대 A중대장과 1대대장을 거쳐 47년 연대장을 맡았다.
48년 10월 여수·순천 사건 뒤 군에 침투한 공산주의자를 색출하는 숙군(肅軍) 작업을 지휘하다 남조선노동당 조직책으로 체포돼 사형을 선고받은 박정희 전 대통령(17~79년, 재임 62~79년, 당시 소령)의 사면에 기여했다.
49년 7월 광주 주둔 5사단장을 거쳐 50년 4월 서부전선 최전방을 담당하는 1사단장을 맡은 것은 운명이었다. 경기도 시흥의 육군보병학교에서 ‘고급간부 훈련’을 받기 위해 출근하려던 순간 개전 소식을 듣고 곧바로 사단 사령부로 복귀했다. 1128일에 걸친 6·25전쟁의 시작이었다.
개전 당일 서울 신당동 집에서 헤어진 모친과 부인, 그리고 세 살 된 딸과는 51년 4월 2군단장에 임명돼 이승만 대통령에게 신고하려고 부산의 임시 경무대를 방문했을 때 비로소 만났다. 그는 생전에 가족에 대한 미안함을 “어쩔 수 없었다”는 말로 대신했다.
이승만 대통령 내외는 제임스 밴플리트 장군이 머물던 미 8군사령부의 단골손님이었다. 서울 동숭동 옛 서울대 문리대 자리에 있었던 사령부에서 밴플리트는 이 대통령 내외를 극진히 대접했다. 대통령 내외가 1952년 크리스마스 이브에 사령부를 방문한 자리에서 밴플리트 장군 (맨 오른쪽 ) , 백선엽 장군 (맨 왼쪽 ) 과 함께 기념 촬영을 했다. [ 백선엽 장군 제공 ]
전쟁 중 제1사단장, 제1군단장, 휴전회담 초대 한국대표, 야전전투사령관, 제2군단장 등을 맡았다. 지리산 공비 토벌을 담당한 백야전사령관 시절엔 보육원을 세워 부모를 잃은 어린이들을 돌봤다. 고아들은 그를 “아버지”로 부르며 평생 인연을 이어갔다.
만 32세이던 52년 7월 육군참모총장에 올라 훈련·보급 체계 개혁과 상이군경 복지 향상, 군사유학 강화 등으로 군 현대화를 이끌었다. 10개 상비사단을 창설하고 10개 예비사단 조직을 추진해 전력을 확충했으며 53년 1월 국군의 첫 대장에 올랐다.
53년 7월 27일 정전협정 조인식에 한국대표단으로 참석하고 53년 8월 8일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에도 기여했다. 6·25 전쟁의 시작과 끝을 함께한 셈이다.
더글러스 맥아더 유엔군 총사령관이 1951년 3월 중순에 국군 1사단 사령부로 찾아 왔다. 지프에 앉은 맥아더 사령관 ( 왼쪽 ) 이 당시 1사단장이던 백선엽 장군과 악수를 하며 대화하고 있다. 그는 당시 71세의 고령이어서 웬만하면 차에서 내리기 싫어했다. [ 백선엽 장군 제공 ]
54년 2월 1야전군을 창설하고 초대 사령관을 맡았으며 미군이 맡았던 휴전선 관리 임무를 인수해 최전방 자체 방어의 기틀을 다졌다. 57년 5월 육군참모총장으로 복귀하고 59년 연합참모본부 의장을 맡아 무기체계 현대화에 주력했다. 국군이 세계적 강군이 된 기틀을 닦았다.
60년 5월 전역하고 그해 7월 주중화민국(현재 대만) 대사를 시작으로 외교관의 길을 걸었다. 61년 7월 주프랑스·네덜란드·벨기에 대사를 맡았고 62년 주가봉·토고·세네갈·카메룬·차드·모리타니 대사를 겸임하다 65년 캐나다 대사로 옮겼다.
69년 10월 교통부 장관에 올라 서울 지하철 1기 건설의 기초를 마련했다. 71~80년 공기업인 충주·호남비료 사장과 이를 합병한 한국종합화학 사장을 지내며 화학공업 발전의 기반을 닦았다.
그 뒤 6·25전쟁 기념사업과 회고록 집필, 강연 등 젊은 세대에게 대한민국의 가치와 국방의 중요성을 알리는 활동을 펼쳐왔다. 광복으로 되찾은 조국을 지키기 위한 치열한 삶이었다.
채인택 국제전문기자 ciimccp@joongang.co.kr
[출처: 중앙일보] "내가 물러서면 나를 쏴라"···6·25 전쟁 영웅 백선엽 장군 별세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