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미 카터 전대통령 사거에 붙여>
2017년 쯤인지, 나는 광주mbc의 요청으로 새로이 발굴된 5.18자료에 대한 감정의견을 위해 방송사를 방문한 적이 있다.
미국방부 국제안보담당 차관보 닉 플랫의 회의메모가 나타난 것이다. 그는 1980년 5월 22일 백악관 관계기관 대책회의에 참석, 육필 기록을 남긴 것이었다. 당시 백악관 회의록자체는 극비였고 세월이 흘러 미기자 팀 셔록의 정보공개청구에 따라 공개된다. 관련 문서 일체를 <체로키파일>이라 부른다.(아래 댓글 참조)
기록을 열람하는 중 나는 취재기자로부터 이런 얘기를 전해 듣고, 영상도 보았다. 곧 5.18 당시 미국의 역할관련 카터의 입장을 청취하기 위해 -내 기억이 맞다면- 이희호여사등 관계 요로의 주선을 통해 카터의 주일 출석교회를 방문했다. 하지만 현장에 도착하자 그는 인터뷰를 회피하기 위해 뒷문으로 도피해 버렸다는 것이다.
카터 전대통령의 사거를 두고 그의 선한 영향력을 기리는 데 나는 아무 이의가 없다. 하지만 카터는 광주학살의 최종결정권자였고 그런 한에 있어 최종책임자였다.
인권외교의 대명사였던 카터, 하지만 그의 재선이 걸린 1980년 11월 대선을 앞두고 이란혁명에 이어 광주항쟁마저 확산된다면 가뜩이나 무능하다는 평가를 받던 그의 외교력은 회복불능의 평가속에 재선은 물건너 갈 상황이었다.
5.22일 백악관 관계기관 대책회의 결론을 당시 안보보좌관 브레진스키는 "선질서 후정치발전"으로 요약했다. 즉 이는 도청 시민군에 대한 사형선고에 다름아니었다.
광주항쟁 직후 그해 6월 카터는 인권과 민주를 지키기위해 불가피한 조치였다는식으로 자신의 결정 즉 광주 시민학살과 전두환의 쿠데타를 정당화했다.
나는 카터가 생전에 광주시민에게 진심으로 사과해야 한다고 봤다. 그래야 그의 인권대통령 이미지가 진정성을 갖는다. 하지만 끝끝내 그는 광주에 대한 사과를 거부했고, 그런 채로 한세기에 걸친 생의 나머지를 살았다. 시간이 부족하지는 않았다. 또 당시 그의 결정이 잘못된 것임을 모르지도 않았을 것이다.
그는 자신의 재선을 위해 광 주시민의 목숨과 한국 민주주의를 판돈으로 걸었지만 결국 실패했다.
그가 한반도 전쟁위기에서 의미있는 역할을 한 것은 기리자. 하지만 그가 광주학살의 최종책임자였다는 것은 반드시 기록하자. 그것이 역사정의다.
All reactions:464강길모, Jay H. Sean and 462 others
24 comments
83 shares
Like
Comment
Share
Most relevant
AuthorHae-Young Lee
https://youtu.be/1JiaESZYU_I?si=vPrwtygyZBADQwLr
YOUTUBE.COM
[손석희의 앵커브리핑] 우연인지 의도적인지…'코드명 체로키'[손석희의 앵커브리핑] 우연인지 의도적인지…'코드명 체로키'
All reactions:464강길모, Jay H. Sean and 462 others
24 comments
83 shares
Like
Comment
Share
Most relevant
AuthorHae-Young Lee
https://youtu.be/1JiaESZYU_I?si=vPrwtygyZBADQwLr
YOUTUBE.COM
[손석희의 앵커브리핑] 우연인지 의도적인지…'코드명 체로키'[손석희의 앵커브리핑] 우연인지 의도적인지…'코드명 체로키'
[손석희의 앵커브리핑] 우연인지 의도적인지…'코드명 체로키'
JTBC News
4.18M subscribers
71,089 views May 25, 2017
미국시각 1980년 5월 22일 오후 4시 미 백악관 상황실.
광주에서 첫 집단 발포가 벌어진 직후에 미국 정부의 주요 인사들이 모인 이른바 관계기관 대책회의가 열렸습니다.
이 회의는 철저히 미국의 안보 논리에 의해서 진행됐고 미국은 그 직전에 있었던 신군부의 발포행위를 받아들였습니다.
누군가는 이를 '시민군에 대한 사형선고' 라고 표현했습니다. 광주 시민의 생사를 결정한 것이나 다름없는 이 회의에 걸린 시간은 불과 75분이었습니다.
그 사이에 광주 시민들은 하루만 더 버티면 미국이 도우러 올 것이라고 믿었으니…아이러니, 즉 예상과는 반대의 비극적 결말은 이미 준비되고 있었던 셈입니다.
====
Transcript
[음악]
예 뉴스룸의 앵커 브리핑을
시작하겠습니다 미국 시각 1980년
5월 22일 오후 4시 미국 백악관
상황실 광주에서 첫 집단 발포가
벌어진 직후에 미국 정부의 주요
인사들이 모인 이른바 관계기관
대책회의가 열렸
이 회의는 철저히 미국의 안보 논리에
의해서 진행됐고 미국은 그 직전에
있었던 신군부의 발포 행위를
받아들였습니다 누군가는이를 시민군에
대한 사형 선고라고
표현했습니다 광주 시민의 생사를
결정한 것이나 다름없는이 회의에 걸린
시간은 불과
75분이 그 사이에 광주 시민들은
하만 더 버면 미국이 도우러 올
것이라고
믿었으니 아이러니 즉 예상과는 반대의
비극적 결말은 이미 준비되고 있었던
셈입니다 당시 그 회의의 정황을 보다
자세히 기록한 메모에 가장 많이
등장하는 이름은 오랜 독재 끝에
전재산이 단돈 29만 원밖에 안
남았다고
주장했던 그리고 최근에 전에서는 한발
더 나가 나는 김의 물이라고 장 하고
있는 당시의 젊은
권력자 그리고 최근에이 메모를 발견한
이들은 역시
아이러니컬하게도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에 시민들에 의해서 불에 타
버렸던 한 방송사의
기자들이 엊그제 앵커브리핑은 역사는
우연이란 옷을 입은 필연으로
나타난다는 말을 인용해 드렸지만
이러한 역사의 아이러니는 또 어떻게
설명될 수 있는 것인가
그래서 덧붙이는
[음악]
이야기 종교가 없는 사람들에게도
익숙한이 노래 어메이징 그레이스는
아메리카 대륙의 주인이었던 체로키
인디언들이 불러왔던 노입니다
코드명 로키 미국이 1980년 5월을
전후한 한반도 위기 관리를 위해서
조직했던 비상 대책 틈의 이름이기도
합니다 그들은 대한민국의 광주를
이야기하면서 우연인지
의도적인지 자신들이 학살한 인디언
부족 체로키의 이름을 코드명으로
사용했습니다 오늘의 앵커
브리핑이었습니다
===
===
5·18 그리고 ‘체로키’
입력 : 2015.05.18
5·18 그리고 ‘체로키’
입력 : 2015.05.18
이해영 | 한신대 국제관계학부 교수
https://www.khan.co.kr/article/201505182035065
근 200년이 지나서였다. 2010년 5월 미합중국이 체로키를 비롯, 5개 미 인디언 부족들에게 자신들의 ‘잘못된 정책’과 폭력행위에 대해 공식 사과한 게 말이다. 그 이전 2009년 12월 오바마 대통령은 ‘원주민 사과 결의안’에 서명했다. 대통령이 서명한 결의안은 이렇게 밝히고 있다. “미합중국 국민을 대신해 미합중국 시민들에 의해 원주민들에게 가해진 폭력, 학대와 멸시에 대해 모든 원주민들에게 사과합니다.” 이로써 서부의 영웅 존 웨인은 무법자가 되었다.
국가폭력에 대한 국가의 사과는 우리도 마찬가지다. 사건 발발로부터 반세기가 지난 2003년 10월 대통령 노무현은 “저는 4·3진상조사위원회의 건의를 받아들여 국정을 책임지고 있는 대통령으로서 과거 국가권력의 잘못에 대해 유족과 제주도민 여러분에게 진심으로 사과와 위로의 말씀을 드립니다.” 그렇다, 이렇게 노무현 대통령은 사과했다.
광주 5·18 역시 1988년 이후 ‘광주 민주화운동’이라는 공식 명칭을 달고, 이제 광주는 우리만의 광주가 아니라 아시아 평화·인권운동의 상징으로 자리매김되고 있다. 그런데 여기 인과 사슬에서 빠진 고리가 있다. 미국이다, 아니 미국의 사과다. 제주 4·3만 보더라도 미·소 간 동서냉전이 베를린 봉쇄를 전후 그 고점을 향해 치달을 때, 동아시아의 변방 제주에서 항쟁이 일어났다. 이후 벌어진 제주 홀로코스트는 강경진압을 최종 지휘한 미군정에 우선적인 책임이 있다.
미국에 있어 1979년 ‘한국위기’란 1979년 10·26부터 5·18을 거쳐 전두환이 정권을 잡고 미 레이건 대통령을 예방하는 그때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이 기간의 한·미관계, 특히 5·18에서 미국의 역할을 그나마 촘촘하고 객관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는 것은 이른바 ‘체로키 파일’이 있어서다. 우리가 이 극비문서들에 제대로 접근할 수 있게 된 것은 오롯이 미 언론인 팀 셔록 덕분이다. 10·26이 발발하자 당시 미 국무장관 밴스는 코드명 ‘체로키’라는 일종의 관계기관 대책회의를 편성해 서울의 미대사관과 동시간으로 상황을 공유하고자 했다. 백악관, 국무부, 국방부, CIA, 미합참 등 최고위급 관계자에게만 접근이 허락된 이 망을 당시 대통령 지미 카터도 잘 알고 있었다.
코드명 ‘체로키’는 당연 미국의 국익을 위해 존재했다. 밴스는 1979년 2월 주한 미대사관에 보낸 비밀전문에서 미국의 국익을 이렇게 정의했다.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유지함으로써 ‘지속 성장하고 있는 한국과의 경제관계를 통해 최대한의 경제적 이득’을 취하는 것. 그리고 ‘자유, 민주적 정치과정의 발전을 통해 인권환경 개선’을 도모하는 것.
예상치 못한 10·26에도 이러한 미국의 전략적 목표가 변경·수정된 적은 없다. 하지만 당시 호메이니가 이끈 이란혁명으로 카터 정부가 수세에 몰려 있는 상황에서 ‘또 하나의 이란’은 안된다는 것이 미 행정부 및 의회의 지배적인 분위기였다. 물론 겉으로야 ‘인권외교’를 표방했지만 1980년 대선을 앞두고 표가 아쉬웠던 카터 정부로서 또 한번의 외교적 실패는 무조건 피해야 할 일이었다.
제주 4·3이 동서냉전의 희생양이라고 한다면, 광주 5·18은 동서 신냉전의 제물이었을지도 모른다. 체로키 파일 속 극비문서를 보면, 당시 미 국무부 동아·태차관보 홀브룩과 주한 미대사 글라이스틴과 같은 ‘강경파’가 상황을 주도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이와 관련, 당시 미 국무부 인권담당 차관보였던 팻 데리언의 증언에 따르면, 카터 행정부 말기 ‘국가안보 히스테리’가 대통령을 비롯해 행정부를 장악하고 있었고, 광주에 대한 미국의 결정도 여기에서 비롯됐다고 한다.
시론구독
노무현 서거 6주기를 맞아
어린이가 행복한 ‘놀이터’
‘공포정치’로 김정은이 무너질까
광주 관련 미국의 개입의혹은 5월22일 오후 4시(한국시간 5월21일 오전 7시) 백악관 상황실에서 열린 ‘정책검토회의’ 회의록을 보면 움직일 수 없는 사실이 된다. 참석자는 국무부, 백악관, 국방부, CIA, 합참, NSC 등의 최고위 관계자들이었다. 결론은 ‘필요한 최소한의 무력 사용’을 통한 광주에서의 질서회복이었다. 한국에도 잘 알려진 안보보좌관 브레진스키가 이를 ‘단기적으로 지지, 장기적으로 정치발전 압력’이라고 요약했다. 또 회의에서는 광주 외부로 상황이 확산될 때를 대비해 필리핀 북방에 위치한 미항모 시코럴호의 방향 변경을 ‘일본해’ 쪽으로 지시한다. 시코럴이 부산항에 들어왔다는 소식을 듣고, 고립된 자신들을 구출하러 왔다는 생각에 도청 지도부는 환호했다지 않는가.
체로키는 백인이 학살한 미원주민 부족이다. 그 이름을 딴 코드명 ‘체로키’는 우리 현대사에서 가장 어두웠던 시절, 미국의 한국에 대한 개입의 기록이다. 200년 전과 다를 바 없이 ‘잘못된 정책’인 광주개입에 대해 이제 미국이 사과해야 한다.
https://www.khan.co.kr/article/201505182035065
근 200년이 지나서였다. 2010년 5월 미합중국이 체로키를 비롯, 5개 미 인디언 부족들에게 자신들의 ‘잘못된 정책’과 폭력행위에 대해 공식 사과한 게 말이다. 그 이전 2009년 12월 오바마 대통령은 ‘원주민 사과 결의안’에 서명했다. 대통령이 서명한 결의안은 이렇게 밝히고 있다. “미합중국 국민을 대신해 미합중국 시민들에 의해 원주민들에게 가해진 폭력, 학대와 멸시에 대해 모든 원주민들에게 사과합니다.” 이로써 서부의 영웅 존 웨인은 무법자가 되었다.
국가폭력에 대한 국가의 사과는 우리도 마찬가지다. 사건 발발로부터 반세기가 지난 2003년 10월 대통령 노무현은 “저는 4·3진상조사위원회의 건의를 받아들여 국정을 책임지고 있는 대통령으로서 과거 국가권력의 잘못에 대해 유족과 제주도민 여러분에게 진심으로 사과와 위로의 말씀을 드립니다.” 그렇다, 이렇게 노무현 대통령은 사과했다.
광주 5·18 역시 1988년 이후 ‘광주 민주화운동’이라는 공식 명칭을 달고, 이제 광주는 우리만의 광주가 아니라 아시아 평화·인권운동의 상징으로 자리매김되고 있다. 그런데 여기 인과 사슬에서 빠진 고리가 있다. 미국이다, 아니 미국의 사과다. 제주 4·3만 보더라도 미·소 간 동서냉전이 베를린 봉쇄를 전후 그 고점을 향해 치달을 때, 동아시아의 변방 제주에서 항쟁이 일어났다. 이후 벌어진 제주 홀로코스트는 강경진압을 최종 지휘한 미군정에 우선적인 책임이 있다.
미국에 있어 1979년 ‘한국위기’란 1979년 10·26부터 5·18을 거쳐 전두환이 정권을 잡고 미 레이건 대통령을 예방하는 그때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이 기간의 한·미관계, 특히 5·18에서 미국의 역할을 그나마 촘촘하고 객관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는 것은 이른바 ‘체로키 파일’이 있어서다. 우리가 이 극비문서들에 제대로 접근할 수 있게 된 것은 오롯이 미 언론인 팀 셔록 덕분이다. 10·26이 발발하자 당시 미 국무장관 밴스는 코드명 ‘체로키’라는 일종의 관계기관 대책회의를 편성해 서울의 미대사관과 동시간으로 상황을 공유하고자 했다. 백악관, 국무부, 국방부, CIA, 미합참 등 최고위급 관계자에게만 접근이 허락된 이 망을 당시 대통령 지미 카터도 잘 알고 있었다.
코드명 ‘체로키’는 당연 미국의 국익을 위해 존재했다. 밴스는 1979년 2월 주한 미대사관에 보낸 비밀전문에서 미국의 국익을 이렇게 정의했다.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유지함으로써 ‘지속 성장하고 있는 한국과의 경제관계를 통해 최대한의 경제적 이득’을 취하는 것. 그리고 ‘자유, 민주적 정치과정의 발전을 통해 인권환경 개선’을 도모하는 것.
예상치 못한 10·26에도 이러한 미국의 전략적 목표가 변경·수정된 적은 없다. 하지만 당시 호메이니가 이끈 이란혁명으로 카터 정부가 수세에 몰려 있는 상황에서 ‘또 하나의 이란’은 안된다는 것이 미 행정부 및 의회의 지배적인 분위기였다. 물론 겉으로야 ‘인권외교’를 표방했지만 1980년 대선을 앞두고 표가 아쉬웠던 카터 정부로서 또 한번의 외교적 실패는 무조건 피해야 할 일이었다.
제주 4·3이 동서냉전의 희생양이라고 한다면, 광주 5·18은 동서 신냉전의 제물이었을지도 모른다. 체로키 파일 속 극비문서를 보면, 당시 미 국무부 동아·태차관보 홀브룩과 주한 미대사 글라이스틴과 같은 ‘강경파’가 상황을 주도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이와 관련, 당시 미 국무부 인권담당 차관보였던 팻 데리언의 증언에 따르면, 카터 행정부 말기 ‘국가안보 히스테리’가 대통령을 비롯해 행정부를 장악하고 있었고, 광주에 대한 미국의 결정도 여기에서 비롯됐다고 한다.
시론구독
노무현 서거 6주기를 맞아
어린이가 행복한 ‘놀이터’
‘공포정치’로 김정은이 무너질까
광주 관련 미국의 개입의혹은 5월22일 오후 4시(한국시간 5월21일 오전 7시) 백악관 상황실에서 열린 ‘정책검토회의’ 회의록을 보면 움직일 수 없는 사실이 된다. 참석자는 국무부, 백악관, 국방부, CIA, 합참, NSC 등의 최고위 관계자들이었다. 결론은 ‘필요한 최소한의 무력 사용’을 통한 광주에서의 질서회복이었다. 한국에도 잘 알려진 안보보좌관 브레진스키가 이를 ‘단기적으로 지지, 장기적으로 정치발전 압력’이라고 요약했다. 또 회의에서는 광주 외부로 상황이 확산될 때를 대비해 필리핀 북방에 위치한 미항모 시코럴호의 방향 변경을 ‘일본해’ 쪽으로 지시한다. 시코럴이 부산항에 들어왔다는 소식을 듣고, 고립된 자신들을 구출하러 왔다는 생각에 도청 지도부는 환호했다지 않는가.
체로키는 백인이 학살한 미원주민 부족이다. 그 이름을 딴 코드명 ‘체로키’는 우리 현대사에서 가장 어두웠던 시절, 미국의 한국에 대한 개입의 기록이다. 200년 전과 다를 바 없이 ‘잘못된 정책’인 광주개입에 대해 이제 미국이 사과해야 한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