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31

As Many South Koreans Shun Marriage, Two Women Try to Redefine Family - The New York Times

As Many South Koreans Shun Marriage, Two Women Try to Redefine Family - The New York Times

As Many South Koreans Shun Marriage, Two Women Try to Redefine Family

Hwang Sunwoo and Kim Hana, who are single and live together, say South Korea’s laws should reflect the alternative unions that many of its people have chosen.

Hwang Sunwoo, left, and Kim Hana in Seoul. The two women, who have a best-selling book and a podcast, call themselves “a DIY family.”Credit...Woohae Cho for The New York Times



By Choe Sang-Hun


Reporting from Seoul
July 18, 2024


The event was to celebrate and discuss the book written by Hwang Sunwoo and Kim Hana, both 47, about their life together as single women in South Korea. But a man in the audience was there to offer criticism. He told the two women that they were making the country’s birthrate, already the world’s lowest, even worse. Their book, he argued, would encourage other women to follow suit.

“The irony was that the man, of our age, was unmarried himself,” Ms. Hwang said. “More people choose not to marry or not to have children, but it’s usually women to blame.”

South Korean society is deeply patriarchal and built around the traditional idea of family. Many government benefits — tax, housing, insurance and other incentives — are tailored for families. In return, families are expected to shoulder much of social welfare, such as caring for sick or elderly relatives.

Such longstanding norms may yet change. On Thursday, South Korea’s Supreme Court ruled that same-sex couples qualify for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s dependent coverage, a decision that rights activists hoped could pave the way for legalizing same-sex marriage in the country.

But with millions of South Koreans shunning the institution of marriage, the family-centered support system is rapidly unraveling. The nation’s quality of support network — measured by whether people have someone to rely on in a time of need — is the lowest among developed nations. South Korea also has the highest suicide rate among those nations.

For Ms. Kim and Ms. Hwang, who say they are not romantically involved with each other or anyone else, the solution is to redefine the concept of family. Their 2019 book, “Two Women Live Together,” has become a best seller, and their subsequent weekly podcast, “Two Women Talk Together,” attracts hundreds of thousands of listeners — giving voice to South Koreans, especially women, who have challenged the traditional family structure by forming cohabiting unions outside of marriage.

By law, a family in South Korea can only include spouses, parents and children. But with housing and education costs skyrocketing, nearly 42 percent of all households in the nation now comprise just one person.

Image
“Two Women Talk Together,” the weekly podcast from Ms. Kim and Ms. Hwang, has hundreds of thousands of listeners.Credit...Woohae Cho for The New York Times


Ms. Kim and Ms. Hwang describe themselves as “a DIY family.” Their way of life is an option for women who want neither singlehood nor a typical South Korean family — in which the husband spends only 54 minutes per day on household work but the wife spends more than three hours, even when both hold full-time jobs.


“We combine the freedom of being single and the benefit of living together,” Ms. Kim said.

Historically, a Korean woman’s duty was becoming “a wise mother and good wife.” When Ms. Hwang was younger, people asked her marital status “as casually as if they talked about the weather.” Today, middle-aged women are routinely addressed as “eomeonim” or “samonim” — honorifics for a woman with children or a wife — regardless of their marital or parental status.

Ms. Hwang and Ms. Kim’s book recounts how they live together despite their differences. When Ms. Hwang moved into the apartment they bought together in 2016, Ms. Kim, a minimalist, gasped at Ms. Hwang’s “natural disaster-size” heap of clothes and other belongings.

But they found each other complementary. Ms. Hwang, a former fashion magazine editor, loved to cook while Ms. Kim, a former copywriter, liked cleaning dishes. Both wrote books and kept cats, two for each. They loved to chat — a talent they successfully channeled into their podcast, where they discuss everything from books and movies to how to overcome anxiety and stay fit in middle age. They now make their living as authors and podcasters.

“The main takeaway is that it’s OK to be a woman in her 40s and not married,” Ms. Kim said. “It’s not a failed life.”

Kook Dongwan, 44, a visual artist in Seoul, said she enjoyed the podcast because “there is tons of content out there but not much of middle-aged women talking about their lives in a way fellow women can empathize.”

Yumi Choi, 37, said married people are overrepresented in mass media while people in alternative unions are marginalized.

“The surprising success of ‘Two Women Talk Together’ shows that there is a thirst for a platform respecting non-kin or unmarried households.”

Image
“We combine the freedom of being single and the benefit of living together,” Ms. Kim says. By law, a family in South Korea can only include spouses, parents and children.Credit...Woohae Cho for The New York Times


In 2022,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recommended legalizing civil unions to give unmarried couples, including those of the same sex, most of the tax and other benefits and legal protections of marriage, including medical power of attorney. Last year, a government survey found that a majority of South Koreans believed that if the country supported unmarried couples by introducing civil unions, it would help reverse its declining birthrate.

Ms. Hwang and Ms. Kim realized how South Korea’s social support system excluded unmarried cohabitants in everyday life when they were shopping for a car: They were denied the discount in insurance premiums available for married couples. They also could not benefit from cellphone service discounts and airline mileage sharing available to married couples.

No matter how long cohabitants have lived together, they cannot take a leave of absence from work to look after a sick partner as a married co-worker can. They also cannot become legal representatives for each other in medical emergencies, as spouses can.

“It’s a great challenge for South Korean democracy whether it can embrace diversity,” said Hwang Doo Young, an author of a book about civil partnerships. Mr. Hwang, no relation to Ms. Hwang, said the country urgently needed to introduce civil unions, given the rising number of people who die alone with no one caring for them.

But in Parliament, the mere idea of women not marrying or not having children has faced a backlash from traditionalists. During her confirmation hearing in 2019, Joh Sung Wook, then 55, who had been nominated to lead the Fair Trade Commission, was chastised by a conservative male lawmaker for being single with no child.

“If you had that, you would have been a perfect nominee,” said the lawmaker, Jeong Kab-yoon, then 69.

Last year, conservative lawmakers and the Justice Ministry opposed two bills on allowing civil unions, warning that they would “effectively legalize same-sex marriages.”

But the traditional family structure is losing appeal.

In a survey commissioned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in 2020, nearly 70 percent of respondents said that people who live together and share costs must be considered a family even if they are not bonded by marriage or blood ties. The ministry also found that unmarried partners were happier — and fairer in dividing household work — than married couples. A 2022 government survey found that nearly 81 percent of young South Koreans embraced the idea of unmarried cohabitation.

A few businesses, like the mobile telephone carrier LG Uplus, have begun offering a special bonus and vacation to workers who decided not to marry in order to match similar benefits for newlyweds.

Image
Ms. Kim and Ms. Hwang are public faces of a growing phenomenon in South Korea: the decline of traditional family structure.Credit...Woohae Cho for The New York Times


In 2022, a woman in her 40s made news by adopting her cohabitant, her junior by four years, as her daughter. That was the only way the two women could make themselves a legally protected family.

Ms. Hwang and Ms. Kim don’t plan to go that far. But it has become inevitable for South Korea to introduce civil unions, they said.

“It will happen by the time we get old,” Ms. Hwang said.


Choe Sang-Hun is the lead reporter for The Times in Seoul, covering South and North Korea. More about Choe Sang-Hun
A version of this article appears in print on July 19,

Israeli Soldiers Flaunt War Crimes on Social Media. Why Aren’t They Held Accountable? | Truthout

Israeli Soldiers Flaunt War Crimes on Social Media. Why Aren’t They Held Accountable? | Truthout

Israeli Soldiers Flaunt War Crimes on Social Media. Why Aren’t They Held Accountable?


In video after video, soldiers document their atrocities, marking a new era of impunity.
By Seraj Assi , TruthoutPublishedJuly 21, 2024An Israeli soldier gestures from an armored personnel carrier on the border with the Gaza Strip on July 17, 2024.Menahem KAHANA / AFP via Getty Images

==

Israel’s genocide in Gaza may go down as the first genocide in history where the perpetrators have documented, posted, shared and celebrated their crimes on social media.

Over the past 10 months, Israeli soldiers in Gaza have taken photos and videos of themselves while they blew up homes and schools, and tortured captives.

To boast of their atrocities against civilians, Israeli forces have routinely filmed themselves demolishing residential blocks in Gaza, which they proceeded to share online. In June, an Israeli soldier filmed himself walking triumphantly amid the ruins and rubble of a destroyed neighborhood in Gaza, while boasting: “We were asked to clear the area. Blow it all up. What can I do, I’m an obedient soldier. Tomorrow there won’t be anything here.”


The most disturbing photos feature Israeli soldiers posing mockingly with belongings of slain Palestinians, mainly women’s underwear, or playing with Palestinian children’s toys and bikes.

Israeli soldiers have recorded themselves looting jewelry, clothes, and valuables from the homes of Palestinians they have bombed and ethnically cleansed in Gaza.



ICJ Tells Israel to End Occupation of Palestinian Territories, Pay Reparations
In an advisory opinion,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reaffirmed the Palestinian right to self-determination.
By Michel Moushabeck , TruthoutJuly 19, 2024

Many photos feature soldiers basking gleefully in the ruins of bombed homes, schools and hospitals. A recent photo, taken in the wake of a horrific massacre in Gaza City, shows a group of Israeli soldiers posing, some with smiles, in front of a destroyed hospital they had converted into a military base.

In some cruel instances, the soldiers filmed themselves inside occupied homes in Gaza: cooking food left uneaten by victims, drinking Arabic coffee, lying in bathtubs, urinating on the ruins of homes, or throwing food at demolished houses to mock starving Palestinians.

Many photos feature soldiers with defenseless Palestinian captives. An Israeli soldier recently shared a photo on his private Instagram account showing himself in a destroyed building in Rafah, hovering over kidnapped Palestinians in inhumane conditions, all blindfolded and handcuffed while lying on the floor.

By posting these photos, the soldiers wish to cast themselves in a heroic image back home. However, sometimes this can backfire. For instance, in December, an Israeli soldier was filmed holding a gun over a young Palestinian man, Hamza Abu Halima, from Shuja’iyya neighborhood in Gaza City. The soldier then posted the video online, and a screenshot taken from the video went viral. It showed Hamza, stripped of his clothes, facing the soldier fearlessly and defiantly. It made Hamza an icon of bravery and resilience, earning him the title “Lion of Gaza.” The soldier deleted the video.

Seeking to both dehumanize Palestinians and entertain Israeli spectators back home, soldiers share footage of themselves desecrating mosques and the Quran, vandalizing homes and shops, or mocking Palestinian suffering. One soldier was filmed destroying occupied Palestinian houses in Rafah, before posting the footage on his Instagram with the caption: “Renovations in Gaza.” Another was filmed shooting indiscriminately at Palestinian homes in Gaza while smoking a cigarette.

Some posts shared by soldiers celebrate the destruction of entire neighborhoods in Gaza, with burned homes and rubble in the background.

The posts are often accompanied with messages bearing genocidal contents and pledges to annihilate Gaza and ethnically cleanse Palestinians, which echo statements by top Israeli politicians and military leaders. Some of those posts show soldiers dedicating a destroyed Palestinian home to family members, friends and even celebrities. In one video, a soldier dedicated a demolished house in Khan Yunis to the Israeli singer Eyal Golan, who has called for the annihilation of Gaza. Another was filmed detonating explosives in Palestinian neighborhoods in Gaza while saying, “This is yours, mom.”

Sometimes, the soldiers attach patriotic Israeli music to the videos, or, more mockingly, traditional Palestinian music. In one instance, an Israeli soldier posted a mock advertisement for “his barbershop” in Gaza to the tune of an Israeli hip-hop song likening Palestinians to animals. The video shows a group of soldiers dancing while flanked by killed Palestinian civilians lying lifeless on the ground.

Meanwhile, thousands of Israelis have taken to Telegram groups to share Israeli military atrocities in Gaza. In the wake of an Israeli massacre in Rafah, some even took to Telegram channels to mock images of a beheaded Palestinian baby.

These photos and videos, which are widely shared on social media platforms such as Instagram and TikTok, represent a growing culture of impunity. Together, they bear witness to the brutality of Israel’s genocidal war in Gaza and its unfolding horror. These posts not only shatter the myth of “the most moral army in the world,” but show to what extent the dehumanization of Palestinians has been normalized in Israel.

When asked by The New York Times in February, the Israeli military said the conduct in some of these videos “is deplorable and does not comply with the army’s orders.”

But the attitude on display is by no means an aberration or anomaly among a few outliers; rather, it is a symptom of a collective mindset that views Palestinians as less than human, or as Israel’s Defense Minister Yoav Gallant has stated, “human animals.”

These kinds of posts have a wide following on social media, with some garnering hundreds of thousands of views and shares. “Each of these videos documents a war crime,” noted Al Jazeera in a review of footage shared by Israeli soldiers. Yet despite the self-documented atrocities –– the “most documented genocide in history,” to cite Palestinian UN Ambassador Riyad Mansour –– the soldiers will likely escape justice as they enjoy total immunity in Israel, where courts have a pathetic track record of prosecuting war crimes committed by Israelis.

Some of the soldiers who murdered Palestinian children have been hailed as heroes by the Israeli military and political leaders. In March, Israel’s National Security Minister Itamar Ben-Gvir saluted an Israel Defense Forces sniper who shot a 12-year-old Palestinian boy, saying the soldier “deserves an award.” Ben-Gvir has called on Israeli soldiers to kill children and women in Gaza. Bone-chilling reports by Israeli outlets reveal that soldiers have been told “it’s permissible to shoot everyone” in Gaza, children included.

This impunity is easy to imagine when Israeli leaders and politicians have routinely claimed that “there are no innocents in Gaza”; when Israeli Prime Minister Benjamin Netanyahu calls people in Gaza “children of darkness”; and when a supposedly “liberal” Knesset member says “the children of Gaza have brought this upon themselves.”

Israel has made no secret of its genocidal crimes against civilians in Gaza. Israeli politicians and top generals have openly suggested to nuking Gaza or annihilate it like Dresden and Hiroshima. One former Israeli lawmaker recently invoked Adolf Hitler as an inspiration for Israel’s plan to ethnically cleanse Palestinians in Gaza. Israeli politicians have openly celebrated their atrocities in Gaza. Following Israel’s destruction of north Gaza, Israeli Minister of Heritage Amichai Eliyahu mused: “The north of the Gaza Strip, more beautiful than ever. Everything is blown up and flattened, simply a pleasure for the eyes … We will hand over lots to all those who fought for Gaza over the years.”

Much of this genocidal rhetoric pouring from the upper echelon of the Israeli government was cited as damning evidence at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genocide hearing in January. Meanwhile,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ICC) is seeking arrest warrants against Netanyahu and Gallant, who have called for measures that starve Palestinians in Gaza, among other crimes. Israel’s Channel 14 reports that the ICC could issue arrest warrants against Netanyahu and Gallant within the next two weeks.

This is the same army the United States is funding and arming to the hilt, and lavishing with billions in tax dollars, unconditional diplomatic support and defense from criminal trial. The U.S. has even allowed tax deductions for Israeli settler groups who block humanitarian aid to Gaza.

Despite overwhelming evidence of Israeli war crimes and crimes against humanity in Gaza — much of which has been proudly provided by Israeli soldiers themselves — Congress has decided, with bipartisan blessing, to welcome Benjamin Netanyahu, a genocidal war criminal, who will address U.S. lawmakers for the fourth time on July 24. He is set to receive standing ovations, and likely more funds and weapons, and a license to massacre more Palestinians. This is plainly a bipartisan nod to genocide.

Unbound by the moral corruption of the U.S. political class, anti-genocide activists are calling for a mass mobilization to arrest Netanyahu for war crimes. Jewish Voice for Peace and dozens of partner organizations will issue a mass notice of citizen’s arrest for Netanyahu. Humanity itself is at stake. If there remains a shred of justice in this world, Netanyahu should be arrested for his war crimes on the Senate floor.

===
이스라엘 군인들이 소셜 미디어에서 전쟁 범죄를 과시한다. 왜 책임을 묻지 않는가? | Truthout
이스라엘 군인들이 소셜 미디어에서 전쟁 범죄를 과시합니다. 왜 책임을 묻지 않을까요? | Truthout

이스라엘 군인들이 소셜 미디어에서 전쟁 범죄를 과시합니다. 왜 책임을 묻지 않을까요?


비디오에서 군인들이 잔혹 행위를 기록하면서 새로운 면책 시대를 열었습니다. Seraj Assi , Truthout
작성 2024년 7월 21일 게시 2024년 7월 17일 가자 지구 국경에서 장갑차에서 손짓하는 이스라엘 군인. Menahem KAHANA / AFP via Getty Images ==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대량학살은 가해자들이 소셜 미디어에 범죄를 기록, 게시, 공유하고 기념한 역사상 최초의 대량학살로 기록될 수 있습니다. 지난 10개월 동안 가자지구의 이스라엘 군인들은 집과 학교를

폭파하고 포로들을 고문하는 동안 자신의 사진과 영상을 촬영했습니다 . 민간인에 대한 잔혹 행위를 자랑하기 위해 이스라엘군은 가자 지구의 주거 블록을 파괴하는 모습을 정기적으로 촬영 하여 온라인에 공유했습니다. 6월에 한 이스라엘 군인이 가자지구의 파괴된 동네의 폐허와 잔해 사이를 승리감에 차서 걷는 모습을 촬영하면서 "우리는 그 지역을 정리하라는 명령을 받았습니다. 다 폭파하세요. 제가 할 수 있는 게 뭐가 있을까요? 저는 순종적인 군인입니다. 내일은 여기에 아무것도 없을 겁니다."라고 자랑했습니다 . 가장 불안한 사진에는 이스라엘 군인들이 살해된 팔레스타인인의 소지품, 주로 여성 속옷을 가지고 조롱조로 포즈를 취 하거나 팔레스타인 어린이들의 장난감 과 자전거 로 놀고 있는 모습이 담겨 있습니다 . 이스라엘 군인들은 가자지구에서 폭격하고 인종 청소를 한 팔레스타인인들의 집에서 보석, 옷, 귀중품을 약탈하는 모습을 기록 했습니다.ICJ , 이스라엘에 팔레스타인 영토 점령을 종식하고 배상금 지불을 촉구 국제사법재판소는 자문 의견에서 팔레스타인의 자결권을 재확인했습니다.Michel Moushabeck 저 , Truthout 2024년 7월 19일 많은 사진에서 군인들이 폭격된 집, 학교, 병원의 폐허에서 즐겁게 몸을 녹이고 있는 모습이 담겨 있습니다.가자 시에서 끔찍한 학살이 있은 후 찍은 최근 사진에는 이스라엘 군인들이 파괴된 병원을 군사 기지로 개조한 뒤 미소를 띤 채 포즈를 취하고 있는 모습이 담겨 있습니다 . 잔혹한 사례에서 군인들은 가자지구의 점령된 주택 내부에서 스스로를 촬영했습니다. 피해자들이 먹지 않은 음식을 요리하고, 아랍 커피를 마시고 , 욕조에 누워 있고 , 집의 폐허에 소변을 보거나 , 굶주린 팔레스타인인을 조롱하기 위해 파괴된 주택에 음식을 던졌습니다 . 많은 사진에서 군인들이 무방비 상태의 팔레스타인 포로와 함께 등장합니다. 이스라엘 군인은 최근 개인 인스타그램 계정에 라파의 파괴된 건물에서 납치된 팔레스타인인 위에 맴돌며 비인도적인 환경에서 눈가리개를 하고 수갑을 채운 채 바닥에 누워 있는 자신의 사진을 공유 했습니다 .

군인들은 이 사진을 게시함으로써 고향에 있는 자신들을 영웅적인 이미지로 만들고 싶어합니다. 그러나 때로는 이것이 역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2월에 이스라엘 군인이 가자 시의 슈자이야 동네에 사는 젊은 팔레스타인인 함자 아부 할리마에게 총을 겨누고 있는 모습이 촬영되었습니다. 그 군인은 그 영상을 온라인에 게시했고, 영상에서 찍은 스크린샷이 바이러스처럼 퍼졌습니다. 함자는 옷을 벗은 채로 군인을 두려움 없이 그리고 도전적으로 마주하고 있었습니다. 그로 인해 함자는 용기와 회복력의 상징이 되었고, 그에게 "가자의 사자"라는 칭호를 얻게 되었습니다 . 그 군인은 영상을 삭제했습니다.

팔레스타인인을 비인간화하고 고향에 있는 이스라엘 관중들을 즐겁게 하려고 군인들은 모스크 와 꾸란 을 모독하고 , 집과 상점을 파괴하거나, 팔레스타인인의 고통을 조롱하는 영상을 공유합니다 . 한 군인은 라파에서 점령된 팔레스타인 주택을 파괴하는 모습이 촬영 된 후,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가자의 리노베이션"이라는 캡션과 함께 영상을 게시했습니다. 또 다른 영상은 담배를 피우며 가자지구의 팔레스타인 주택을 무차별적으로 쏘는 장면이 촬영

되었습니다. 군인들이 공유한 일부 게시물은 배경에 불타버린 주택과 잔해가 있는 가자지구의 전체 동네가 파괴된 것을 기념합니다.

게시물에는 종종 대량 학살 내용과 가자지구를 몰살하고 팔레스타인인을 인종 청소하겠다는 서약이 담긴 메시지가 함께 제공되어 이스라엘 최고 정치인과 군 지도자들의 성명을 반영합니다. 이러한 게시물 중 일부는 군인들이 파괴된 팔레스타인 주택을 가족, 친구, 심지어 유명인에게 바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한 영상에서 군인은 칸 유니스의 철거된 주택을 가자지구의 몰살을 촉구한 이스라엘 가수 에얄 골란에게 바쳤습니다. 또 다른 영상 은 가자 지구의 팔레스타인 동네에서 폭발물을 터뜨리면서 "엄마, 이게 당신 거예요"라고 말하는 장면 이 촬영 되었습니다. 군인들은 때때로 영상에 애국적인 이스라엘 음악을 넣거나, 더 조롱조로 전통적인 팔레스타인 음악을 넣습니다. 한 사례에서 이스라엘 군인은 팔레스타인인을 동물에 비유한 이스라엘 힙합 노래의 곡조에 맞춰 가자지구에 있는 "자신의 이발소"에 대한 가짜 광고를 게시했습니다 . 이 영상은 죽은 팔레스타인 민간인들 사이에서 춤을 추는 군인들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한편, 수천 명의 이스라엘인들은 텔레그램 그룹을 통해 가자지구에서 이스라엘이 저지른 잔혹 행위를 공유했습니다. 라파에서 이스라엘이 학살을 저지른 후, 일부는 텔레그램 채널을 통해 참수된 팔레스타인 아기의 이미지를 조롱하기도 했습니다.





Instagram 및 TikTok과 같은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 널리 공유되는 이러한 사진과 비디오는 점점 더 커지는 불처벌 문화를 나타냅니다. 이들은 함께 가자에서 이스라엘의 대량 학살 전쟁의 잔혹함과 그로 인한 공포를 증언합니다. 이러한 게시물은 " 세계에서 가장 도덕적인 군대 "라는 신화를 산산이 부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스라엘에서 팔레스타인인에 대한 비인간화가 어느 정도 정상화되었는지 보여줍니다.

2월에 뉴욕 타임스가 질문했을 때 이스라엘 군은 이러한 비디오 중 일부에서의 행동이 "비참하며 군대의 명령을 따르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드러난 태도는 결코 일부 이상치들 사이의 일탈이나 변칙이 아닙니다. 오히려 팔레스타인인을 인간 이하로 보는 집단적 사고방식의 증상입니다. 이스라엘 국방부 장관 요아브 갈란트가 말했듯이 "인간 동물"입니다.

이러한 종류의 게시물은 소셜 미디어에서 많은 팔로워를 보유하고 있으며 일부는 수십만 건의 조회수와 공유를 얻었습니다. 알자지라는 이스라엘 군인들이 공유한 영상을 검토하면서 "이러한 영상은 모두 전쟁 범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라고 언급했습니다 . 그러나 팔레스타인 유엔 대사 리야드 만수르가 인용한 "역사상 가장 많이 기록된 집단 학살"이라는 스스로 기록한 잔혹 행위에도 불구하고 , 군인들은 이스라엘에서 전적인 면책권을 누리고 있기 때문에 정의를 피할 가능성이 큽니다. 이스라엘 법원은 이스라엘인이 저지른 전쟁 범죄를 기소한 기록이 비참하기 때문입니다. 팔레스타인 어린이를 살해한 일부 군인은 이스라엘 군과 정치 지도자들에게 영웅으로 칭송받았습니다. 3월에 이스라엘 국가 안보부 장관 이타마르 벤-그비르는 12세 팔레스타인 소년을 쏜 이스라엘 방위군 저격수를 경례하며 , 그 군인은 "상을 받을 만하다"고 말했습니다. 벤-그비르는 이스라엘 군인들에게 가자지구에서 어린이와 여성을 죽이라고 촉구했습니다 . 이스라엘 매체의 소름 돋는 보도 에 따르면 군인들은 가자지구에서 어린이를 포함한 "모든 사람을 쏘는 것이 허용된다"는 말을 들었다고 합니다. 이스라엘 지도자와 정치인들이 일상적으로 "가자에는 무고한 사람이 없다"고 주장했을 때, 이스라엘 총리 베냐민 네타냐후가 가자 사람들을 " 어둠의 자식들 "이라고 부를 때, 그리고 소위 "자유주의" 크네셋 의원이 "가자 아이들이 스스로 이런 일을 초래했다" 고 말할 때, 이런 면책은 상상하기 쉽습니다. 이스라엘은 가자에서 민간인에 대한 집단 학살 범죄를 숨기지 않았습니다. 이스라엘 정치인과 고위 장군들은 가자 지구에 핵폭탄을 투하하거나 드레스덴과 히로시마처럼 섬멸할 것을 공개적으로 제안했습니다 . 한 전 이스라엘 의원은 최근 에





이스라엘이 가자지구의 팔레스타인인을 인종 청소하려는 계획에 영감을 준 아돌프 히틀러. 이스라엘 정치인들은 가자지구에서의 잔혹 행위를 공개적으로 찬양했습니다. 이스라엘이 북부 가자를 파괴한 후, 이스라엘 문화유산부 장관 아미차이 엘리야후는 " 가자지구 북부는 그 어느 때보다 아름답습니다. 모든 것이 폭파되고 납작해졌지만, 그저 눈으로 보기에 즐거움일 뿐입니다... 우리는 수년간 가자지구를 위해 싸운 모든 사람에게 많은 것을 넘겨줄 것입니다." 라고 말했습니다.

이스라엘 정부 상층부에서 쏟아지는 이러한 대량 학살적 수사의 대부분은 1월에 열린 국제사법재판소 대량 학살 심리 에서 비난의 증거로 인용되었습니다 . 한편, 국제형사재판소(ICC)는 가자지구의 팔레스타인인을 굶기는 조치를 요구한 네타냐후와 갈란트에 대한 체포 영장을 청구하고 있습니다. 이스라엘의 채널 14는 ICC가 앞으로 2주 안에 네타냐후와 갈란트에 대한 체포 영장을 발부할 수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 이것은 미국이 자금을 지원하고 무장시키고, 수십억 달러의 세금, 무조건적인 외교적 지원, 형사 재판으로부터의 방어로 낭비하는 동일한 군대입니다 . 미국은 가자에 대한 인도적 지원을 차단하는 이스라엘 정착민 그룹에 대한 세금 공제를

허용하기도 했습니다. 이스라엘의 전쟁 범죄와 가자에서의 반인륜 범죄에 대한 압도적인 증거에도 불구하고 - 그 중 대부분은 이스라엘 군인들이 자랑스럽게 제공했습니다 - 의회는 양당의 축복을 받아 7월 24일에 네 번째로 미국 의원들에게 연설할 대량 학살 전범인 베냐민 네타냐후를 환영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그는 기립 박수와 더 많은 자금과 무기, 그리고 더 많은 팔레스타인인을 학살할 수 있는 허가를 받을 예정입니다. 이것은 분명히 대량 학살에 대한 양당의 고개 끄덕임입니다. 미국 정치계의 도덕적 타락에 얽매이지 않은 반 대량 학살 활동가들은 전쟁 범죄로 네타냐후를 체포하기 위한 대규모 동원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 Jewish Voice for Peace 와 수십 개의 협력 기관이 네타냐후에 대한 시민 체포에 대한 대량 통지문을 발행할 것입니다. 인류 자체가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이 세상에 정의의 조각이 남아 있다면, 네타냐후는 상원에서 전쟁 범죄로 체포되어야 합니다.

===

알라딘: 제5공화국 강원택

알라딘: 제5공화국

(18) 제5공화국을 둘러싼 불편한 질문들
이한우 교장(논어등반학교)

2024-06-01 
80년 ‘서울의 봄’은 왜 실패했고
87년에는 민주화가 가능했는가?
10·26땐 사태 관망했던 국민들
경제성장으로 중산층 늘어나며
직선제 개헌에 동참 아이러니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강원택 교수가 문제작 《제5공화국》(역사공간)이란 책을 냈다. 강 교수와 마찬가지로 80년에서 87년 대부분을 학부와 대학원에 재학하면서 보낸 필자로서는 별다른 호기심 없이 그냥 한번 읽어보자는 기분으로 독서를 시작했다.

그러나 시작부터 이 책은 우리에게 불편한 질문을 던졌다.

“왜 80년 ‘서울의 봄’은 실패했고 87년에는 민주화가 가능했는가?”

80년 ‘서울의 봄’ 실패에 대해 우리는 분명한 답을 갖고 있다고 생각한다. 전두환을 앞세운 신군부 세력의 집권욕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편의주의적 책임 회피라는 것이 강 교수 주장이다.

강 교수가 여기서 던지는 질문은 “왜 1979년 10월 26일 유신체제가 종말을 고했음에도 불구하고 대학생들을 제외한 다수의 시민들은 사태를 관망했는가?”이다. 돌이켜보면 노동현장에서 다소 과격한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지만 실제로 일반 시민들은 87년 호헌철폐 직선개헌 때처럼 길거리에 나서지 않았다. 이에 대해 강 교수는 상당수 국민들은 최규하-신현확 유신 관료 집단의 점진적 변화에 기대를 걸었기 때문으로 풀이했다. 이는 사실상 지나간 박정희 시절에 대한 암묵적 지지와도 연결이 돼 있다.

그러나 군부는 구군부와 신군부로 분열되었고 12·12사태는 신군부가 구군부에 대해 우위를 확보하는 결정적인 계기였다.

여기서 강 교수는 두 번째 쟁점을 던진다. 당시 최규하 대통령은 일방적 희생자가 아니라 상황을 오판하고서 오히려 신군부에 적극 협조했다는 사실이다. 이 점을 강 교수는 당시 최 대통령의 담화나 회견문 그리고 관련자 인터뷰를 통해 소상히 드러내고 있다. 물론 큰 흐름이야 바뀌지 않았겠지만 “그가 민주화를 위한 정치 일정을 조속히 밝히고 과도정부의 수반으로서의 역할을 다하고자 했다면 신군부의 권력 장악은 쉽지 않았을 것”이라는 강 교수 진단은 그래서 눈길을 끈다.

이어 강 교수는 80년 ‘서울의 봄’ 실패에 대한 김영삼, 김대중의 책임론 또한 제기한다. 두 사람은 당시 상황을 낙관해 국민들의 민주화 열망을 분산 소진시키고 결국은 신군부 집권을 향한 길을 열어주었다는 것이다. 통상 양김에 대한 책임론은 87년 대선과 관련해서만 제기되었다. 그러나 ‘양김 분열=신군부 정권 장악’이라는 80년의 구조는 '양김 분열=신군부 출신 노태우 당선'이라는 87년의 구조와 너무 흡사하다. 이 점 또한 우리가 80년대를 이야기하면서 쉽게 간과한 대목이다.

이번 책에서 또 하나 주목해야 할 부분은 1985년 2월 12일에 실시된 제12대 총선거에 대한 심층 분석이다. 특히 주목해야 할 점은 이때는 선거를 앞두고 김영삼, 김대중이 손을 잡았다는 사실이다. 정권이 극소수를 제외하고는 모두 정치활동 규제를 풀어주기도 했지만 결국 양김이 손을 잡음으로써 신한민주당의 ‘선거 혁명’이 가능했다.

그런데 오히려 질문은 다른 방향에서 던질 수 있다. “왜 전두환 정권은 총선을 앞두고 과감한 해금 조치를 취했을까?”

이유는 크게 두 가지이다. 하나는 지난 4년간 경제발전이라는 치적을 바탕으로 정국 운영에 대한 자신감이 있었기 때문이다. 또 하나는 결국 오판으로 드러났지만 신당 창당을 부추겨 야권 분열을 노렸던 것이다. 즉 집권 여당에서는 김영삼, 김대중 씨가 지원하는 신민당이 민한당에 이어 제3당이 되면 민한당에 흡수됨으로써 강경노선이 힘을 잃게 될 것이라고 계산한 때문이었다. 오산이었다. 강경노선은 오히려 큰 힘을 얻었다. 그 노선이란 다름 아닌 ‘대통령 직선제 개헌’ 주장이다. 하긴 돌이켜보면 이 주장에 반론을 제기하기가 힘들다.

그리고 이때 처음으로 한국 정당은 학생운동 세력과 손을 잡았다. 이른바 ‘386 세력’이 비로소 태동하게 된 것도 이때부터이다.

강 교수는 이때부터 일반 시민들이 대거 야당 주장에 지지를 보내기 시작했다고 본다. 그것이 80년과는 전혀 다른 사태 진행이 이뤄진 이유라는 것이다.

변혁보다는 정치개혁을 통한 사회 안정이 당시 시대를 읽어내는 저류라고 본다. 그래서 강 교수는 87년 체제가 탄생할 수 있었던 원동력은 학생운동이라기보다는 직선개 개헌을 주장하고 마침내 이를 관철해 낸 김영삼, 김대중의 야당이라고 단언한다. 바로 이 점이 80년과는 결정적으로 달랐던 국면이기도 하다.

전두환의 제5공화국은 그 기간 자체만 놓고 보면 정치적 왜곡에도 불구하고 경제적, 사회적 발전을 이루어냈고 중산층 70% 시대를 열어놓았다. 그러나 바로 그 70% 중산층의 각성된 정치의식은 더 이상 왜곡된 정치를 수용할 수 없었으며 그렇게 ‘5공’은 자기들이 길러낸 중산층에 의해 무너져내렸다.

이한우 교장(논어등반학교)




제5공화국 강원택 (지은이) 역사공간 2024-05-18
정가32,000원

세일즈포인트 1,030
전두환정부/노태우정부 주간 7위


536쪽
제5공화국은 한국 정치사에서 어떤 의미일까. 이 책은 제5공화국의 정치사적 의미를 찾아보고자 한 시도다. 제5공화국 시기가 한국 정치사에서 갖는 의미는 매우 크다. 한국의 권위주의체제의 특성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오늘날 한국 정치의 구조와 통치 형태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도 중요하다. 그러나 그동안 이 시기에 대한 학술적 연구는 충분히 이뤄지지 못해서, 이 시기가 한국 정치사에서 사실상 공백으로 남아 있었던 것은 아쉬운 일이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이 한국 현대사의 공백을 메워주는 학술적 움직임을 활성화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책을 내면서 7
여는 글. 제5공화국은 한국 정치사에서 어떤 의미일까 14

제1장. 유신체제의 몰락과 남겨진 유산
유신체제의 붕괴: 혼돈 22
유신 관료: 최규하와 신현확 37
김종필과 민주공화당 58
야당: 김영삼과 김대중 72

제2장 신군부의 부상
군부 내 파벌 갈등 102
12·12 사태 119
김재규 재판 158
전두환 중앙정보부장 서리 173
5·17 계엄 확대와 군사정부의 구성 184
최규하 대통령 214

제3장 제5공화국의 출범과 정치제도
제5공화국 헌법의 제정 240
국가보위입법회의 246
정당 창당과 선거 259

제4장 제5공화국의 주요 정책
경제 274
외교 293
대북 관계 331

제5장 정치적 억압
언론 338
대학 349

제6장 광주항쟁
부마항쟁과 광주항쟁 360
광주항쟁의 정치적 결과 383

제7장 정치적 대안 세력의 등장
야당의 복원 398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403
사회경제적 변화와 중산층 435
분노의 폭발과 요구의 타결 451

제8장 ‘87년 체제’의 확립 473
맺는 글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494
미주 503
참고문헌 515
접기



추천글
문화일보: 문화일보 2024년 5월 31일자
중앙일보: 중앙일보 2024년 6월 1일자
더보기



저자 소개
지은이: 강원택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제5공화국>,<한국 정치론>,<기본소득의 사회과학> … 총 102종 (모두보기)
현재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이다.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석사를 마친 후 영국 런던정경대학(LSE)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정치학회 회장, 한국정당학회장을 역임했다. 『한국정치론』, 『한국의 선거 정치 2010-2020: 천안함 사건에서 코로나 사태까지』, 『한국 정치의 결정적 순간들』, 『대한민국 민주화 이야기』, 『통일 이후의 한국 민주주의』 등 다수의 책과 논문이 있다.




출판사 제공 책소개

제5공화국은 한국 정치사에서 어떤 의미일까

이 책은 제5공화국의 정치사적 의미를 찾아보고자 한 시도다.
제법 오랜 시간이 흘렀지만, 제5공화국은 여전히 회색지대로 남아 있다. 많은 이들의 기억 속에 그 시기는 ‘흐리고 탁한 색채’로 그려져 있고, 학술적으로는 여전히 본격적인 평가작업이 이뤄지지 못한 ‘사각지대’로 남아 있다.
어두운 기억과 부정적인 평가가 많다고 해도, 제5공화국 동안 우리 사회는 그 나름의 변화를 겪었다. 그 변화는 그 이후 시대에 영향을 미쳤고, 오늘 우리의 삶에도 흔적을 남기고 있다. 역사는 단절적이지 않다. 제5공화국을 외면하거나 부인한다고 해서 그 시기 동안 이뤄진 정치적‧경제적‧사회적 변화는 사라지지 않는다. 이 책은 이런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민주화로 가는 여정의 중요한 변곡점, 제5공화국

이 책은 8년여에 달하는 제5공화국의 역사를 시기적으로 나눠 기술하되, 각 시기가 갖는 특성에 주목하며 논의를 전개한다.
첫 번째 주제는 유신체제가 남긴 정치적 유산에 대한 것이다. 10‧26 직전 박정희 체제의 주요 인적 구조, 통치 형태의 특성을 분석하고 그것이 그 후 정치적 전개에 미친 영향에 대해 논의한다.
두 번째는 군사정권의 특성에 대한 것이다. 이와 관련된 시기는 10‧26 직후 전두환과 신군부의 부상, 12‧12사태, 5‧17 이후 설립된 군사정부 시기까지를 포함한다. 이 장에서는 기본적으로 신군부가 갖는 군사정권으로서의 특성을 살피면서, 궁극적으로는 한국 군부정치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5‧16군사정변 전후의 상황과 비교하여 논의한다.
세 번째는 제5공화국의 정치체제에 대한 것이다. 여기서는 헌법이나 정당법 개정 등 법적 개정뿐만 아니라 여야 정당의 창당, 정치인의 정치 금지와 충원, 국가보위입법회의 시절 개정하고 제정한 여러 법적‧제도적 장치에 대해 살펴본다.
네 번째는 제5공화국의 주요 사건에 대한 것이다. 시간별로 사건을 나열하기보다 제5공화국의 특성을 상징하는 사건을 정치, 경제, 사회 차원에서 중점적으로 논의한다.
다섯 번째는 제5공화국의 억압체제에 대한 것이다. 그동안 민주화운동이라는 관점에서 이 주제를 다뤘다면 여기서는 역으로 억압체제라는 관점에서 바라보고자 한다. 특히 유신체제와 비교하면서 제5공화국의 군부 권위주의체제의 억압적 속성을 분석한다.
여섯 번째는 87년 체제의 형성과 관련된 것이다. 한국의 민주화는 민주화운동 세력과 제5공화국 세력 간의 합의로 이뤄졌고, 그 결과 체제 전환의 과정 역시 두 세력 간의 논의를 통해 진행되었다. 이러한 특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이 87년 헌법 개정 과정이다.
마지막 주제는 제5공화국의 역사적 의미에 대한 평가이다. 제5공화국 시기는, 1979년과 비교할 때, 우리 사회가 민주주의를 절박하게 소망하도록 만들었고, 군부 권위주의에 대한 강한 거부와 적대감을 사회구성원 다수가 공유하게 만들었다.

제5공화국 시기가 한국 정치사에서 갖는 의미는 매우 크다. 한국의 권위주의체제의 특성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오늘날 한국 정치의 구조와 통치 형태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도 중요하다. 그러나 그동안 이 시기에 대한 학술적 연구는 충분히 이뤄지지 못해서, 이 시기가 한국 정치사에서 사실상 공백으로 남아 있었던 것은 아쉬운 일이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이 한국 현대사의 공백을 메워주는 학술적 움직임을 활성화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접기
===
5공이 키운 중산층이 5공을 무너뜨렸다
연구서 '제5공화국' 쓴 강원택 교수

유석재 기자
입력 2024.05.29.

연구서 ‘제5공화국’을 쓴 강원택 교수는 “5공을 ‘해리 포터’에 나오는 볼드모트처럼 언급하지 않거나 기피하면 현대사의 중요한 실체를 놓치게 될 것”이라고 했다. /남강호 기자
연구서 ‘제5공화국’을 쓴 강원택 교수는 “5공을 ‘해리 포터’에 나오는 볼드모트처럼 언급하지 않거나 기피하면 현대사의 중요한 실체를 놓치게 될 것”이라고 했다. /남강호 기자
“1981년부터 1987년까지 이어진 제5공화국 시기는, 역설적이지만 한국 민주주의가 뿌리를 내리는 데 큰 기여를 했습니다. 5공을 거치고 나서야 한국 국민은 비로소 군부 권위주의를 거부하고 민주주의를 유일한 통치 원리로 받아들였기 때문이죠.”

28일 연구실에서 만난 강원택(63)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가 새로 낸 500여 쪽 분량의 연구서 ‘제5공화국’(역사공간)에 대해 말했다. 학문적으로 여전히 사각지대에 남아 있는 5공의 정치사적 의미를 본격적으로 파헤친 책이다. ‘왜 민주화가 왜 1979년에는 불가능했고 1987년엔 가능했는가?’라는 의문에서 출발한 연구다.

“10·26은 권력 내부의 파열이었을 뿐 대중이 저항한 결과가 아니었습니다. 관료와 군부라는 유신 체제의 구조적 힘은 여전히 건재했죠.” 최규하·신현확의 유신 관료 집단과 정승화의 구(舊)군부 사이 협력이 유지됐더라면 대통령과 총리가 권력을 나누는 이원정부제 형태로 헌법이 개정될 수도 있었으나, 12·12로 전두환의 신군부가 군권을 장악한 뒤 모든 권력을 빨아들였다.

강 교수는 “이른바 ‘서울의 봄’이 실패한 원인을 전두환 1인의 권력욕에서만 찾을 수는 없다”고 했다. ‘피해자’로 인식된 최규하 대통령은 그가 보기엔 신군부에 의존해 자신의 집권 연장을 노렸고, 야권 지도자 김영삼·김대중은 지나친 낙관주의와 분열에 대한 책임이 있다는 것이다. 또한 당시 국민 대다수는 유신 체제를 힘들어하면서도 정치적 변혁을 원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5공 시기를 거치며 세 가지 큰 변화가 생겨났다. “1987년 6월 항쟁만으로 민주화가 이뤄진 것은 아닙니다.” 첫째, 1980년 5월 광주의 비극은 정부와 군부가 더 이상 물리적 강제력으로 시위 사태를 해결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했다. 둘째, 1985년 2·12 총선으로 약진한 야당은 ‘대통령 직선제 개헌’이라는 실현 가능한 목표를 제시했다.

그리고 셋째, ‘탄탄해진 중산층’이 더 이상 권위주의 체제를 받아들이지 않고 민주화 운동에 동참했다는 것이 결정적이었다. 중산층 성장의 배경에는 최고 13.4%(1983)까지 올랐던 경제성장률, 물가 안정과 경상수지 개선, 도시화와 교육열이 존재했다. 올림픽 유치와 함께 5공 정부의 업적으로 볼 수 있는 것이었으나, 정부의 의도와는 달리 모두 ‘민주화’를 촉진하는 역할을 했다.

그러나 5공 정부의 억압적 통치의 결과 사회운동권 세력들 중 일부가 종북 성향을 띠거나 기존 사회 질서를 뒤집으려는 극단주의로 나아간 것도 사실이다. “이는 전두환 정권이 남긴 또 다른 나쁜 유산”이라고 강 교수는 말했다. 그는 “제5공화국을 암흑과 저항의 시기로만 볼 게 아니라 당시의 현실을 제대로 들여다봐야 민주화를 위해 달려온 숨 가쁜 여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유석재 기자
유석재 기자  

===
답글작성
21
2
로그인 해주세요.
우리도한번
2024.05.29 09:38:40
역사는 결과를 가지고 평가하면 된다. 지금 대한민국의 존재는 이승만대통령이 그리고 산업화의 시작은 박정희 대통령이 그리고 본격적 발전은 전두환 대통령이 실현시켰다. 김영삼은 국가 부도 김대중은 북한 핵개발 실현 노무현은 본인 자살 문재인은 김정은 대변인 노릇~

답글작성
7
0
뱃심가득
2024.05.29 09:56:52
5공의 공은 7이요 과는 3이다. 문재인은? 공은 없고 과만 10 인거지.

답글작성
6
1
웨스트포인트
2024.05.29 10:55:52
그리운 전 두환 대통령, 자상하시고 검소하셨던 이 순자 여사. 5공 시절은 그야말로 한국인들에게 축복이었다. 전 두환 대통령의 유해를 국립묘지에 안장하고 광주 금남로와 전남대에 전 두환 대통령 기념관을 호남인들이 모금해서 건립하도록해라.

답글
1
5
2
고선환
2024.05.29 12:34:55
파출소 불 지르고 무기고 털고 교도소 공격하는 것이 민주화냐?

답글작성
2
1
mylup
2024.05.29 09:32:55
5공의 대표적순기능입니다.

===
왜 1979년이 아닌 1987년에 민주화가 됐나···전두환 정권 다룬 학술서 ‘제5공화국’ 출간
입력 : 2024.06.06
정원식 기자

왜 1979년이 아닌 1987년에 민주화가 됐나···전두환 정권 다룬 학술서 ‘제5공화국’ 출간
1980년부터 1987년까지 존속했던 제5공화국은 본격적 학술연구의 ‘사각지대’로 꼽힌다. 5공화국과 관련한 정치학계의 연구는 주로 전두환 정권에 대한 저항의 역사에 초점을 맞춘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강원택 서울대 정치학과 교수는 최근 펴낸 <제5공화국>(역사공간)에서 전두환 정권의 정당성을 인정하고 싶지 않은 연구자들의 마음이 제5공화국에 대한 학문적 관심을 제한했다면서 “(민주화 이전 시기인) 제5공화국 동안 우리 사회가 겪은 사건과 경험을 간과해서는 민주화뿐 아니라 공고화의 원인을 제대로 설명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한다.

책에서 강 교수는 “제5공화국의 시기는 한국 사회가 군부 권위주의 체제로부터 항구적으로 벗어나는 데 역설적으로 매우 중요한 시간이었다”고 평가한다. 이와 관련해 제기되는 중요한 질문은 ‘왜 한국은 박정희 전 대통령이 사망한 1979년이 아니라 1987년에 민주화를 이뤘나’라는 것이다.

강 교수는 1980년 광주민주화 운동과 1985년 2월12일에 치러진 12대 국회의원 선거가 민주화 여정에서 중요한 변곡점을 이뤘다고 지적한다.

1979년 10·26 이후 급격한 정치적 변혁을 우려한 국민 다수는 신군부의 지배를 수용했으나, 광주민주화운동을 거치면서 군부 지배를 끝내야 한다는 민주화의 열망이 커졌다. 광주민주화운동은 또 물리적 강제력에 의한 통치가 얼마나 큰 반발에 처할 수 있는지 보여줌으로써 1987년 6월항쟁 당시 전두환 정권이 군사력 동원을 주저하게 한 계기가 됐다.

2·12 총선은 제5공화국 시기 진행된 도시화와 중산층의 부상 등 사회경제적 변화가 정치적 재편으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총선 결과 신생 정당 신한민주당(신민당)이 관제 야당들을 제치고 제1야당으로 부상하는 돌풍을 일으켰다. 그 배경에는 20세~39세 유권자 비중의 증가, 도시화의 진전, 대학생 숫자 증가 등이 자리잡고 있었다. 신민당은 ‘직선제 개헌’이라는 다수 국민이 수용 가능한 민주화의 목표를 제시함으로써 “반권위주의의 대중적 저항을 주도해갈 정치적 구심점” 역할을 해냈다.

제도권 야당의 역할을 강조하는 강 교수의 이 같은 주장은 1987년 민주화가 학생운동과 노동운동이 결합한 ‘운동에 의한 민주화’라고 평가한 최장집 고려대 명예교수의 논의(<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와 상반된다. “학생운동과 노동운동이 민주화 운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은 사실이지만, 자유화된 정치 질서에서의 잠재적 대안 세력으로서, 최대 다수의 지지를 이끌어낼 수 있는 정치적 어젠다를 제시하고, 그것을 통해 민주화를 향한 힘을 결집한 중심체는 제도권 야당인 신한민주당이었다.”

<제5공화국>은 한국학중앙연구원(한중연) ‘한국학 대형기획 총서 사업’ 중 하나인 ‘20세기 한국학술총서’의 첫 성과다. ‘20세기 한국학술총서’는 향후 식민지, 분단과 전쟁, 권위주의, 산업화 등 20세기 현대사를 주제로 2029년까지 총 50권의 총서를 펴낼 계획이다.
===

『권력과 사상통제』(김동춘) - 교수신문




‘사상통제’ 史에 매서운 비판의 칼날...김동춘 교수 역작 나왔다 - 교수신문

‘사상통제’ 史에 매서운 비판의 칼날...김동춘 교수 역작 나왔다
김재호
승인 2024.07.30



화제의 책_『권력과 사상통제』(김동춘 지음 | 역사공간 | 660쪽)

#1. 최근 미국으로 유학 간 한 중국인 여학생이 온라인에 중국식 사회체제를 비판했다. 사상의 자유가 없다고 지적한 것이다. 이에 대해 중국 공안이 유학생을 위협했고, 그 유학생의 아버지까지 동원해 동영상을 내리고 귀국하라고 종용했다. 아버지는 중국의 국가이념을 교육하는 교수이다. 유학생은 자신이 중국으로 돌아가면 감옥에 갇힐 것이라며, 가족들이 곤란에 처해지겠지만 현실을 알려야겠다고 다짐했다.

#2. 7월 23일 킨텍스에서 열린 국민의힘 전당대회에서 사회를 본 아나운서들이 다음과 같이 말했다. “지금까지 박수를 치지 않은 분들이 꽤 계신다. 어디서 오셨냐. 이분들은 정체를 밝힐 수 없는, 어떤 간첩이라던가.”, “전라북도? 따로 (호명) 해야 되나요?”(「“박수 안 치면 간첩…아니 전북?” 국힘 전당대회 ‘지역 비하’ 뭇매」, <서울신문>, 2024.07.24) 여당의 전당대회에서 나온 발언이라니, 21세기 대한민국의 현실은 여전히 사상통제가 지배적이다.

위의 두 번째 사례는 ‘한국은 사상통제의 긴 터널에서 빠져나왔나’(『권력과 사상통제』의 부제)라는 질문에 ‘아니오’라는 답변이 적합함을 알려준다. 한국만이 아니라 전 세계가 아직도 사상을 억압하고 있는 현실이다. 김동춘 성공회대 명예교수(정치사회학)의 『권력과 사상통제』(역사공간 | 660쪽)을 읽으며 이 세계를 사상의 자유 측면에서 다시금 보게 된다.

특히 정치혐오가 만연해 있다. 그 이유를 되새겨봐야 할 때다. “지금 우리가 목도하는 한국 정치 퇴행의 주요 원인은 바로 사상과 양심의 자유를 허용하지 않는 정치체제에서 기인한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사상의 자유가 어느 정도인지 학점을 매기자면 F에 가깝다. 재수강을 해야 할 판이다.

김동춘 성공회대 명예교수(정치사회학)의 『권력과 사상통제』(역사공간)는 역작이다. 
이 책은 대학 교양수업의 교재로 사용되면 좋을 것이다. 사진=김재호




비판·역사적 측면에서 정말 독한 책

『권력과 사상통제』는 정말 독하다. 김동춘 교수가 비판의 칼날을 벼르고 별러 반공주의의 폐단을 고발했다. 두 가지 측면에서 그렇다. 첫째, 파시즘과 전체주의, 극단적 보수 우익에 대한 비판이 매섭다. 역사를 기반으로 철학·정치학·사회학·법학 등의 측면에서 칼을 갈았다. 한국을 중심으로 서술돼 있지만 칼날은 전 세계를 향한다. “그런데 체제의 이념, 국가의 공식교육 내용을 비판하는 국민들, 혹은 ‘비(非)국민’으로 지목한 사람들을 감시, 사찰하거나 구속, 수사하지 않는 나라, 그 정도까지는 아니더라도 그런 사람들에게 직업 선택, 진학, 승진, 각종 권리 행사 등에서 전혀 불이익을 주지 않는 그런 ‘자유로운’ 나라가 지구상에 있을까?”

둘째, 한국 내 사상의 억압이 너무 끔찍했다는 측면에서 독하다. “(비전향 장기수) 최석기는 죽기 전 열흘 동안 밤낮을 가리지 않고 맞았다. 조폭들은 찢어지고 상처가 난 부위를 때리고 또 때렸으며, 머리와 가슴, 배 등을 주먹, 발, 쇠파이프, 각목 등으로 마구 폭행했다. 최석기는 사망 직전까지 기만증(자기도 모르게 1∼15분 동안 잠에 빠지는 현상), 실어증에 걸리기도 했다.”, “...작은 창문이 있어도 그나마 북향이라 33년 동안 보름달을 한 번밖에 보지 못한 경우도 있었다.” 김동춘 교수는 이를 “1970년대 교도수 특별사동의 지옥도”라고 표현했다.

한국에서 유난히 사상통제가 심했던 이유는 뭘까? 그건 바로 사상의 뿌리가 약했기 때문이다. 정통성 없는 권력 찬탈은 반대급부로 폭력을 휘두르게 된다. 방귀 뀐 놈이 성내는 식이다. “사상범 통제방식은 국가의 성격과 이념, 그리고 상황적 역사적 요인에 의해 좌우되므로 국가의 최고 결정권자나 기존 지배집단이 느끼는 위험의 정도에 따라 처벌 수위가 좌우될 것이다.”, “결국 국가로서는 사상범 전향이나 갱생이 최종 목표가 아니라 이들을 체제 선전의 도구로 적극 활용하는 것이 더 중요한 목표였다.”



>>> 이 책 구매하러 가기




『권력과 사상통제』 대 『제5공화국』
위·아래로부터의 역사와 정교한 분석

『권력과 사상통제』는 강원택 서울대 교수(정치외교학부 정치학전공)의 『제5공화국』의 대척점에 서 있다. 두 책 모두 한국학중앙연구원의 대역사(大役事)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출간됐다. 전자가 직접 좌익수·관련자들을 만나며 발로 뛴 아래로부터의 현장이 중심이라면, 후자는 통치 권력자들의 회고록·사회경제적 통계 자료 등 위로부터의 회상이 중심이다. 물론 둘 다 정치사회(사)적인 측면에서 정교한 분석을 하고 있다.


두 책의 주장도 엇갈린다. 전자가 한국을 옥죈 사상의 억압사를 파헤쳤다면, 후자는 군부 독재의 민주주의에 대한 역설적 기여를 정책·경제·외교 등에 방점을 찍어 드러냈다. 아울러, 『권력과 사상통제』가 사상의 억압에 대한 뿌리를 건드리며 현재까지 진화하고 있는 통시적인 접근을 하고 있다면, 『제5공화국』은 저자의 핵심 주장에 대한 근거에 집중하며 정교한 분석을 통한 공시적인 접근을 하고 있다. 두 책 모두 학술적으로 의미가 상당하다.


‘운동권·과학기술·남녀’의 사상통제는 없을까

다만 아쉬운 건 다음과 같다. 첫째, 민족주의나 사회주의 사상가들이나 운동권 역사에서도 사상통제의 측면이 있지 않았을까 하는 점이다. 혹은 거꾸로 반공주의나 자유민주주의 내에서 사상통제는 없었는지 한 장 정도 할애해서 같이 다뤘더라면 훨씬 더 균형감이 있었을 것이다.

물론 책 제목이 암시하듯 『권력과 사상통제』는 권력이 휘두른 사상통제에 집중한다. 특히 전 지구적 자유주의 헤게모니의 횡포를 촘촘히 추적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수 정당 내에서의 특정 노선 독점이나 민주화 이후 비대해진 노조 권력과 정규직과 비정규직 차별의 문제 등에서 나타나는 진화한 사상통제도 분석이 됐더라면 좋았겠다. 이것은 이 책을 토대로 후배 학자들이 눈여겨보아야 할 지점일 것이다.

둘째, 과학기술 권력으로 인한 사상통제도 다뤘더라면 좀 더 대중적 학술서가 되었을 것이다. 이 글의 시작에서 밝힌 #1 사례에서처럼 21세기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기술이 곧 권력이다. 기술권력은 어떻게 개별 유저들을 사상적으로 통제하고 있는 것일까. 아울러, 과학기술계 내에서나 교육계 내의 사상통제도 파헤치면 어떨까.

기술권력은 기업으로부터 나온다. 『권력과 사상통제』의 에필로그에는 사상의 자유의 측면에서 ‘기업 사회’에 대한 비판이 짤막하게 있기는 하다. “표현의 자유와 저항권이 없는 기업 내에서 근로자는 ‘시민’이 아니다. 시민권·공론·의사소통 등 정치적 기본권과 관련된 모든 사항은 기업의 문 앞에서 멈춘다.”

셋째, 남녀 간 더욱 양극화하고 있는 이념논쟁과 사상통제의 측면이 부족하다. 가부장 한국사회에서 차별받아온 여성의 유리천장과 사상통제도 중요한 지점이다. 특히 데이트 폭력으로 인한 여성의 사망 사고도 빈번한 요즘이다. 반대로 최근 불거진 ‘집게손가락’ 논란과 한국의 병역문제와 역차별 문제 등도 남녀 권력과 사상통제의 측면에서 다뤄질 수 있을 것이다.

너무 많은 주문을 하는 건 그만큼 『권력과 사상통제』가 인상적이었기 때문이다. 더욱이, 사상통제가 드리운 어둠의 그림자는 지금도 진화하고 있기 때문에 그 얼개를 추적하는 학자들이 분발해주길 기대한다.

『권력과 사상통제』는 오랫동안 김동춘 교수의 역작으로 남을 것 같다. 그만큼 김 교수의 내공이 모두 투입된 책이다. 『권력과 사상통제』가 대학가의 교양수업에 활용되면 좋겠다. 사상의 자유를 고양하는 것이야말로 대학의 사명이기 때문이다.

김재호 기자 kimyital@kyosu.net
Tag#김동춘#김동춘성공회대#사상통제#역사공간#권력과사상통제#김동춘명예교수#사상억압#성공회대사회과학부#좌익#좌익수
===

권력과 사상통제 
김동춘 (지은이) 역사공간 2024-05-31

정가 36,000원

세일즈포인트 1,135
정치학/외교학/행정학 주간 28위
664쪽


청년기였던 유신체제하에서 ‘반공주의’의 폭력성을 경험한 저자는, 이후 1990년대 비전향 장기수들과의 만남, 반사회안전법 투쟁, 2000년대 진실화해위원회 피학살자 진상규명과 조사활동 등을 통해 한국에서 정치사상범 대상의 전향공작과 ‘의심되는 국민’에 대한 사찰과 감시, 연좌제 등은 모두 냉전과 만성적인 전쟁체제의 산물이라는 점을 분명히 확인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 책에서 필자는 사상통제를 의도한 법과 명령이 나타나게 된 배경과, 비판적 사상이나 활동을 통제하고 그런 인물을 강제로 국가에 순응, 복종시키기 위한 정책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분석하며, 국민이라는 단일한 생각을 가진 실체를 유지하기 위한 문화정책을 담론 분석으로 밝힌다. 그리고 이러한 법, 제도, 교육을 일제강점기, 그리고 냉전 초기의 다른 나라의 경우와 비교한다.

저자가 모은 수많은 국가폭력과 사상통제 관련 사례, 이에 대한 날카로운 분석과 비판은, 현재 한국 사회의 지배구조, 법치의 내용, 정치적 갈등의 기반, 사회통합 원리에 대한 통찰이다. 또 21세기 한국 사회가 보다 자유롭고 평등한 사회로 나아가려면 어떤 점을 청산, 극복해야 하는지에 대한 전망이다.
접기



목차


책머리에 7
여는 글 한국 사상통제의 풍경
좌익수 대상의 귀순 전략 19
출판과 독서도 국가의 안전과 존립을 위협? 35
공직 후보자 사상검증 폭력 47
제1부 사상통제 연구를 위한 서설
1. 사상통제 관련 쟁점과 접근방법론
사상통제 관련 이론적 쟁점 63
사상범 통제의 목적과 방법 81
사상통제의 정치·사회적 배경 95
접근방법론: 지구 권력의 장과 국가 권력의 장 110
2. 사상통제의 전사(前史): 조선과 일제강점기
조선의 사상통제 119
‘천황제’라는 근대 국가? 군부 파시즘과 지배체제 124
제2부 사상통제의 장(場, champ)과 집행
1. 권력의 장과 사상통제: 전쟁과 폭력
냉전이라는 지구 권력의 장 141
6·25한국전쟁의 권력 장과 정치사상통제 160
정전체제와 남한 권력의 장 174
데탕트 이후 권력의 장: 준전시체제로서의 유신체제 181
2. 선전, 담론, 교육의 장
‘불순’의 담론 190
국체·국시 담론 197
3. 사법의 장: 국가보안법과 기타 사상통제법
한국 사법의 장, 형법 제정 집행의 담론과 정치 219
제정, 공포된 적 없는 국방경비법의 정치범 통제 224
한국 사상통제의 법제화, 국가보안법 228
사상통제 강화법으로서 반공법 249
유신체제하의 긴급조치 256
1990년 헌재의 국가보안법 한정합헌 결정의 의미 259
4. 행정집행의 장: 사상통제의 집행
사상통제의 주역으로서 경찰 266
‘국가 위 국가’로서 공안첩보기관 281
공안검찰의 정치성과 사상통제 293
전체주의 공간, 한국의 감옥 300
신체와 정신 통제기관으로서 군대, 학교, 공장 306
제3부 사상통제의 여러 장면
1. 전향공작
전향공작의 대상: 정전 이후의 좌익수 313
전향공작의 과정 326
전향공작의 특징과 전향거부의 논리 371
2. 사찰과 감시: 반공국민 만들기
요시찰인 사찰 396
재소 및 석방 좌익수 사찰: 보안관찰 417
국민감시체제 422
5·16쿠데타 이후 간첩 색출과 국민 상호감시 433
3. 교육과 이데올로기 선전
국가의 학교교육 통제 440
학생운동 사찰과 학생 사상통제 452
검열: 언론, 영화, 서적 통제 464
제4부 사상통제의 배경, 특징과 그 함의
1. 군사정부의 응징적 사상통제의 배경
안보 위기와 체제 경쟁 473
한국 지배세력의 주관적·심리적 위기의식 483
사상통제의 정치적 이익 491
2. 한국 사상통제의 특징
일제강점기와 남한의 전향정책: 공통점과 차이점 498
동북아시아의 정치사상범 통제 505
3. 사상통제로 본 한국의 근대성
사상의 자유가 없는 자유민주주의 한국 513
동북아시아의 근대 국가 520
맺는 글 사상통제와 21세기 한국 사회 528
미주 535
참고한 문헌과 자료 618
접기



추천글
중앙일보: 중앙일보 2024년 7월 6일자 '책꽂이'
한겨레: 한겨레 2024년 7월 12일자 학술지성 새책



저자 소개
지은이: 김동춘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최근작 : <권력과 사상통제>,<결정적 순간>,<쿠오바디스 대한민국> … 총 75종 (모두보기)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을 졸업하고 같은 대학 사회학과에서 「한국 노동자의 사회적 고립」이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비판적 사회학자로 학계와 시민운동 진영에서 활동하면서 『역사비평』 편집위원, 『경제와 사회』 편집위원장, 참여연대 정책위원장, 참여사회연구소 소장을 역임했고,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상임위원으로 활동했다. 현재 성공회대학교 명예교수다. 제20회 단재상과 제15회 송건호 언론상을 수상했다.
지은 책으로는 『반공자유주의』, 『대한민국은 왜?』, 『한국인의 에너지, 가족주의』, 『사회학자 시대에 응답하다』, 『이것은 기억과의 전쟁이다』, 『전쟁과 사회』, 『미국의 엔진, 전쟁과 시장』, 『독립된 지성은 존재하는가』, 『분단과 한국사회』, 『한국 사회과학의 새로운 모색』, 『한국사회 노동자 연구』, 『고통에 응답하지 않는 정치』, 『시험능력주의』 등이 있다.
접기




Officials in North Korea seek medicine for Kim Jong Un's health problems related to obesity, Seoul says

Officials in North Korea seek medicine for Kim Jong Un's health problems related to obesity, Seoul says

Officials in North Korea seek medicine for Kim Jong Un's health problems related to obesity, Seoul says 
Kim, 40, known for heavy drinking and smoking, comes from a family with a history of heart problems.
North Korean leader Kim Jong Un in Sinpo on July 15. KCNA via AFP - Getty Images








July 30, 2024, 6:15 PM GMT+9:30 / Updated July 30, 2024, 9:25 PM GMT+9:30
By Stella Kim and Mithil Aggarwal


SEOUL, South Korea — Kim Jong Un is more obese than ever, and his deputies are looking for foreign medicines to treat him for high blood pressure and diabetes, South Korean officials said Tuesday.

“He could have been suffering from medical conditions that are difficult to deal with the currently available medicine,” South Korean lawmakers Lee Seong-Kwuen and Park Sunwon said at a joint briefing, quoting Seoul’s spy agency, 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or NIS.


Kim, 40, weighs about 308 pounds, they said, adding that the agency believes it is his heaviest ever. That puts him at a “high risk” of heart disease, they said, adding that he has been showing signs of high blood pressure and diabetes since his early 30s.


“We concluded that his health issues are likely due to stress, smoking and drinking,” the NIS was quoted as saying by Lee, of the ruling People Power party, and Park, of the opposition Democratic party.

If the conditions are left untreated, they added, Kim could be affected by hereditary cardiovascular diseases, as both a grandfather and his father, who ruled the reclusive communist regime before him, died of heart issues.

Kim was looking for “alternative medicinal substances,” the lawmakers said, which has prompted speculation that he was suffering from conditions that cannot be treated immediately.

Kim, whom the NIS previously estimated to be 5 feet, 7 inches tall, appeared to have lost about 44 pounds just three years ago.

State media video at the time also showed a leaner Kim, raising concerns about his health, but observers said the weight loss was most likely due to a diet change by Kim, who wanted to improve his physique and increase public loyalty.

But recent video showed Kim has most likely regained weight.








Putin and Kim Jong Un sign strategic partnership, deepening ties
01:36

While there is no way for outsiders to know Kim’s exact health, Seoul’s spy agency has reli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iques and forensic video analysis to investigate his condition.

Kim’s health remains a top concern abroad, as he has not formally anointed a successor in the nuclear-armed nation, which is increasing its confrontation with the U.S. and its treaty ally South Korea. He has also been bolstering his personality cult, trying to cement his status as the ruler of the regime and win public support amid economic woes.

Despite the lack of a formal announcement, the NIS believes Kim’s preteen daughter, Kim Ju Ae, is most likely the heir apparent, with most of her public appearances involving attending military activities with her father.

She is believed to be 10 or 11 years old and first appeared in 2022 alongside Kim as they watched an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test and subsequently attended a massive military parade.


Still, the NIS says, it is possible she might be replaced by her other siblings.

도쿄의 중국인들은 왜 ‘5·18 광주’를 이야기할까 박민희 2024-07-30

도쿄의 중국인들은 왜 ‘5·18 광주’를 이야기할까

도쿄의 중국인들은 왜 ‘5·18 광주’를 이야기할까
[박민희의 차이나 퍼즐] 06 _탈출(潤)하는 중국인들
기자 박민희
 2024-07-30


도쿄에서 중국의 미래를 고민하는 많은 이들은 단기간에 현실을 바꿀 쉬운 해법을 기대하지 않는다. 그보다는 함께 변화의 싹을 키워나가고 중국, 일본, 그리고 한국의 더 많은 이들이 마음의 벽을 허물고 힘을 보태기를 바라고 있었다.


중국의 저명한 작가인 쉬즈위안이 도쿄 긴자에 1년 전 문을 연 ‘단샹제 서점’에 걸려 있는 ‘50명의 아시아 사상가들’, 량치차오, 루쉰, 마루야마 마사오, 에드워드 사이드 등과 함께 이광수, 윤동주, 박경리의 이름도 있다.

몇 달 전, 일본에서 만난 한 중국 유학생의 말이 마음속을 계속 맴돌았다. 그는 많은 중국의 저명한 학자들, 언론인들이 일본에 머물고 있다며, “지금이 마치 청 말 같다”고 했다. 100여년 전 위기에 빠진 청 제국을 변화시키려던 개혁가, 혁명가들이 일본으로 향했다. 량치차오(양계초), 쑨원, 루쉰을 비롯해 많은 중국인이 일본에서 조국의 미래를 고민했다. 신해혁명으로 청 제국을 무너뜨린 중국동맹회가 1905년 결성된 곳도 지금의 도쿄 오쿠라호텔 자리다.

2022년 봄, 혹독한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상하이가 봉쇄되자 중국인들이 ‘룬’(潤)을 시작했다. 영어로 ‘도망치다’(run)와 발음이 비슷한 ‘룬’은 해외로 탈출한다는 뜻의 유행어가 되었다. 그중 가장 많은 이들이 일본으로 향했다. 저명한 역사학자인 친후이 전 칭화대 교수, 양쿠이쑹 화둥사범대 교수, 노벨평화상 수상자인 고 류샤오보의 부인인 시인 류샤 등이 일본에 머물고 있다. 지난 6월4일 천안문(톈안먼) 시위 무력 진압 35주기에는 일본 국회의사당 안에서 중국인, 일본인들이 함께 추모 행사를 열었다. 매년 홍콩에서 열리던 추모 행사가 열리지 못하게 된 지금, 도쿄의 천안문 추모 행사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지난 19일 도쿄 와세다대학 근처, 중국인들이 매주 모여 강연과 토론을 하는 작은 공간을 찾았다. 2022년 일본으로 이주한 인권변호사 우레이가 지난해 12월 문을 연 곳이다. 
  • 우레이는 “많은 중국인이 현실에 낙담하고 있다. 중산층은 파산했고 다들 막막해한다. 왜 이렇게 되었는지, 우리는 어디로 가야 하는지가 토론의 핵심 주제”라고 말했다. 
  • 그는 이곳의 강좌와 토론회에 참여하는 도쿄의 중국인들이 일종의 공동체를 만들고 있다고 했다. 
  • 심리상담, 어린이들을 위한 놀이 활동도 한다고 했다. 
  • “우울증을 겪는 사람이 적지 않다. 제로 코로나 봉쇄 등으로 갑자기 사업이나 가게가 망하고, 불시에 찾아오는 공안의 괴롭힘을 겪다가 중국을 떠나온 사람들이다. 갑자기 외국 생활을 하려니 힘들어하는 아이들을 위한 모임도 많이 한다.”

억울한 일을 당한 이들을 위한 변호를 많이 했던 우레이는 중국 당국이 사회 전반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고 있지만, 중국 사회 아래(저층)의 ‘지하 운동’은 더 활발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사회의 모순이 커지면 저항도 커지기 마련이다. (중국 당국의 통제 밖에 있는) ‘지하교회’ 신도는 중국공산당 당원보다 많다. 인권변호사들이 법정 앞에서 직접 휴대전화로 억울한 사연을 생방송하면 20만명이 접속해 보기도 한다.”


우레이는 책장에서 제주 4·3과 1980년 광주민주화운동에 대한 책을 꺼내 들었다. 이곳에 모이는 중국인들이 한국의 민주화에 대해서도 많은 토론을 한다며, 1980년 광주가 한국의 민주화에 미친 영향과 천안문 사건의 의미를 비교하기도 했다
‘택시운전사’나 ‘화려한 휴가’ 같은 광주민주화운동 관련 한국 영화도 보았다고 했다. 
한국 민주화에 대한 관심은 당연히, 중국의 변화에 대한 염원과 연결되어 있다.
 그는 “20세기 초에 량치차오를 비롯해 많은 이들이 꿈꿨던 중국의 개혁, ‘과학과 민주’라는 과제는 아직도 미완성이다. 그것은 역사이기도 하고 현실의 과제이기도 하다”고 했다.

도쿄로 이주해 중국인들의 토론과 강좌를 운영하는 인권변호사 우레이가 인터뷰 도중 제주와 4·3에 대한 책을 책장에서 꺼냈다.

도쿄의 유명한 서점 거리인 진보초의 한 건물 2층에도 비슷한 공간이 있다. 2022년 도쿄로 이주한 법학자 자오궈쥔이 지난해 12월 ‘이방인’(局外人)이란 간판을 걸고 운영하는 작은 도서관 겸 강연과 토론 공간이다. 
고 류샤오보와도 함께 활동했던 그는 “한 사람의 손에 권력이 집중되고 중국의 개혁개방이 크게 후퇴하고 있다”면서 특히 두 자녀가 중국의 무비판적 애국주의 교육에 세뇌될 것이라는 우려가 중국을 떠난 중요한 이유라고 말했다. “역사에 대해 제대로 가르쳐야 하는데, 중국은 다 옳고 미국이나 다른 나라는 모두 나쁘다는 흑백의 교육을 하고 있다.”

그는 중국의 현실에 힘들어하는 이들에게 일본이 ‘생존공간’이 되고 있다고 했다. “중국 내 정치, 경제 압박이 너무 크고 지식인들의 자유로운 활동은 불가능해졌다. 이전에는 홍콩이 중요한 생존공간이었는데 이제 홍콩이 완전히 통제되면서, 한자로 생활할 수 있고 문화도 친숙하며 중국 대륙에서 너무 멀어지지도 않는 일본으로 자유를 원하는 사람들이 모이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딱 한번 한국에 가봤는데 일부러 광주를 찾아갔다”며 “한국이 민주화를 해낸 것이 부럽다”고 했다.

법학자인 자오궈쥔은 진보쵸에서 ‘이방인’ 도서관 겸 토론 공간을 열고 있다.

‘랴오왕주간’, ‘봉황주간’ 등에서 활발하게 활동했던 언론인이자 작가인 자자( 賈葭)도 2022년 2월 도쿄로 왔다. 그는 2016년 시진핑 주석 사임을 요구하는 글을 쓴 이후 중국에서 자신의 이름으로는 기사를 쓸 수 없게 되었다. 일본에 온 이후 해외 언론에 기사를 쓰고, 일본의 문화, 역사를 소개하는 유튜브도 운영한다.

그는 올해 천안문 35주년에 일본에서 2천~3천명의 중국인들이 자발적으로 추모 활동에 참여했다면서, ‘역사의 기억을 보존하는 공간’으로서 일본의 역할을 주목한다. “이전에는 홍콩이 ‘중국의 기억저장장치(USB)’라고 불렸지만, 이제는 그런 역할이 불가능해진 상황에서 일본의 의미가 더욱 커졌다”는 것이다. 그는 “한국에서 광주민주화운동에 대해 그토록 많은 작가가 글을 쓰면서 망각되지 않도록 한 의미가 컸다고 생각한다”며 “역사가 후퇴하는 시기에도 우리가 계속 기록하고 망각하지 않아야 한다. 천안문도 많은 중국인들은 국내에서는 알지 못하고 해외에 나온 뒤에야 알게 된다. ‘광주’가 한국인들에게 가졌던 의미처럼, 천안문도 중국인들에게 계몽의 전환점이 된다”고 했다. 그는 중국의 비판적 지식인들이 일본에서 하는 활동의 의미에 대해 “아직은 싹을 틔우는 맹아의 상태이고, 이 싹이 어떻게 자라나 중국 사회에 영향을 줄 수 있을지는 지켜봐야 한다”면서도 “중국의 변화에 대비하면서 계속 준비해 나가야 한다”고 했다.

도쿄로 이주한 중국 언론인이자 작가인 자자

아코 도모코 도쿄대 교수는 ‘아시아 공동체’를 강조하면서, 중국의 비판적 지식인들과 일본 사회를 잇는 다리가 되어주는 인물이다. 그는 사회학자로서 오랫동안 중국 농촌 현장 등을 다니며 연구를 해왔고, 중국의 휘황한 발전 뒤에 있는 문제들에도 관심을 가졌다. 중국의 여러 비판적 지식인, 노동운동가, 페미니스트 활동가들을 일본에 초대해 깊은 교류를 해왔다.
광고


지난 18일 도쿄대에서 만난 아코 교수는 “어제도 중국에서 ‘여행’ 명분으로 도쿄에 온 중국인 학자들과 비공개회의를 했다”며 “이들은 해외로 나온 뒤에야 비로소 자유로운 공기를 호흡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했고, 경제 침체, 지방정부 재정난, 민족주의적 선동, 대만과 관련한 전쟁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었다”고 했다.

중국 당국은 일본이 중국인들의 ‘해방구’가 되는 것을 어느 정도 용인하고 있다고 아코 교수는 지적했다. “제로 코로나 정책을 거치면서 중국의 감시 시스템이 완성되었고, 서로 계속 의심해야 하는 심리적 압박과 신뢰의 위기가 심각해졌다. 이전에는 웨이보 같은 인터넷 공간에서는 어느 정도 솔직히 이야기를 할 수 있었고 그것이 사회의 압력을 배출시키는 ‘가스 빼기’ 역할을 했지만, 이제는 그런 공간마저 줄어들었다. 중국 당국은 사회의 불만이 폭발하지 않도록 가스를 배출할 ‘배출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해 중국인들이 일본으로 향하는 것을 용인하고 있다.”

아코 도모코 도쿄대 교수가 18일 도쿄대 코마바 캠퍼스에서 인터뷰하고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공간에서 중국 예술가들도 ‘피난처’를 찾기도 한다. 지난 5월에는 난징의 가수 리즈가 일본의 여러 도시에서 공연을 했는데, 많은 중국 팬들이 이 공연을 보려고 일본에 왔다. 리즈는 천안문 광장에 대한 은유를 담은 ‘광장’ ‘부자유’ 등의 비판적 노래 때문에 몇년 전부터 중국 내에서는 공연 허가가 나오지 않는다. 관객들은 중국으로 돌아갔을 때 문제가 되지 않도록 휴대전화를 따로 보관하고 공연 영상이나 사진을 찍지 않는 조건으로, 몇년 만에 외국 땅을 빌려 어렵게 진행된 공연을 관람했다. 리즈 외에도 공연 허가를 받기 어려워진 중국의 인디밴드들, 토크쇼 진행자들도 최근 일본에서 공연을 하고 있다.

도쿄에서 중국의 미래를 고민하는 많은 이들은 단기간에 현실을 바꿀 쉬운 해법을 기대하지 않는다. 그보다는 함께 변화의 싹을 키워나가고 중국, 일본, 그리고 한국의 더 많은 이들이 마음의 벽을 허물고 힘을 보태기를 바라고 있었다.

8월 도쿄에서도 가장 번화한 긴자 한복판에 ‘단샹제 서점’(單向街 書店)이 문을 연 것은 큰 화제가 되었다. 중국의 유명한 비평가이자 작가인 쉬즈위안과 일본인 친구들이 함께 운영한다. 주말에는 중국인들과 일본인들을 대상으로 한 여러 강연이 진행되는데, 중국인 유학생과 지식인이 많이 모인다. 쉬즈위안의 영향으로 중국에서 일부러 이곳을 찾아오는 사람들도 많다. 서점 대표를 맡고 있는 마쓰모토 아야는 “긴자는 역사와 현대가 교차하는 곳이고 많은 사람이 만나고 교류할 수 있는 곳이라서 이곳에 서점을 열었다”며 “처음 열었을 때는 거의 중국인 손님만 있었는데 지금은 중국인 절반, 일본인 절반이 되었다”고 했다. 그러면서, “동아시아의 문화 교류를 바라고 있는데 한국인은 거의 찾아오지 않는다”고 아쉬워했다. 서점을 둘러보니 70% 정도는 중국어로 쓰인 책이지만, 한켠에는 한국 서적만을 모아놓은 코너도 있다. 아시아의 50명 사상가를 선정해 크게 붙여놓았는데, 중국의 량치차오, 루쉰, 일본의 나쓰메 소세키, 마루야마 마사오와 함께 이광수, 윤동주, 박경리의 이름이 눈에 들어 왔다.

중국의 현실을 외부에서 알기도, 중국인들과의 마음을 터놓는 소통도 점점 어려워지는 시대에, ‘망명자’들과의 만남은 중국을 제대로 이해하고 동아시아의 진정한 공동체를 향해 함께 나아갈 수 있는 길을 다시 생각하게 했다. 20세기 초 량치차오와 루쉰의 고민을 1980년 광주와 1989년 천안문으로 이어가고, 함께 더 나은 동아시아로 나아가기를 꿈꾸는 이들이 그곳에 있다.



도쿄/글·사진 박민희 선임기자 minggu@hani.co.kr

박민희 기자
국제뉴스와 외교에 대해 오랫 동안 취재하고 쓰고 있습니다. 중국과 중앙아시아 역사를 공부했고 한반도와 세계의 변화에 관심이 많습니다. 베이징 특파원으로 중국 곳곳을 다니며 취재했고 중국에 대한 책들을 쓰고 번역했습니다. 어지러운 시대에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는 일들을 여러분과 함께 토론하고 싶습니다.
구독페니 웡 외교장관 “한-호주, 입장 비슷한 중견국…도전에 대응해 협력할 국가”
도쿄의 중국인들은 왜 ‘5·18 광주’를 이야기할까

Bernie Sanders on why he hasn’t endorsed Kamala Harris yet Jul 27, 2024


4:54 / 8:27

Bernie Sanders on why he hasn’t endorsed Kamala Harris yet

MSNBC


1,293,050 views  Jul 27, 2024 
 #BernieSanders #KamalaHarris #2024election

Sen. Bernie Sanders joins Ali Velshi to discuss why he has yet to endorse Kamala Harris for president, the new energy around the Democratic ticket, and more. 

===
Transcript

Back in 2020, kamala harris
Was 1 of 7 sitting senators
Who charged joe biden for the
Presidential nomination.
Four years later, harris is the
De facto nominee and all the
Other senators have endorsed
Her campaign with one
Exception, bernie sanders.
Earlier this week, the
Independent vermont senator and
Progressive icon told reporters
On capitol hill, "i will do
Everything i can to be sure
That she becomes president."
But, stopped short of formally
Endorsing her.

Bernie sanders joins me now.
Senator, good to see you, i
Want to talk politics.
First, i have to tell you, my
Dad in toronto, 89-year-old
Father, had a heart valve
Replacement surgery and wanted
Me to make sure you knew that
The only thing he paid for in
Our single-payer universal
Healthcare system was parking.

>> [ laughter ] that's -- well,
I would hope that everybody in
This country here is that,
Because we remained the only
Major country on earth not to
Guarantee healthcare for all
People.
A lot to be learned from the
Canadians.
>> which would be great, if
That could be on the next
President's agenda, it would
Involve more than winning the
White house.
But, it would be great if we
Could get to that point.
Whatever model one wants to
Choose, they are all kind of
Better than ours.
So, what is it that you would
Like to get, in order to get
Your endorsement?
What sort of commitments are
You looking for, from vice
President harris?
>> well, look, i am going to do
Everything i can to defeat
Donald trump, clearly the most
Dangerous president in our
History.
Somebody who doesn't believe in
Democracy, the right of women
To control their own bodies.
We don't talk about it enough.
This guy thinks climate change
Is a hoax, in the midst of us
Experiencing the warmest day on
Earth, on record.
So, he has got to be defeated.
What i am worried about -- as
You know, for a long time -- is
It pains me, as somebody who
Comes from a working-class
Family, that right now,
Majority of working-class
People support the republicans,
Who did -- could care less
About the needs of working-
Class families.
I think that has a lot to do
With the fact that the
Democratic party has, over the
Decades, turned its back on
Working people.

I think an important exception
To that is joe biden.
Joe has been the first
President in american history
To walk on a picket line,
Appointed a really strong
Secretary of labor, good
People, national labor
Relations board, and i think
Has put together the most
Progressive agenda and
Accomplishments of any
President in modern history.

But, what i hope we can do in
This campaign is let the
Working class of this country,
White, black, latino, understand
-- that we understand the pain
They are experiencing.

We are looking at massive
Income and wealth inequality.
For the truth of the economy
Now, people on top are doing
Phenomenally well, 60% of
People are living paycheck to
Paycheck.
We talked about healthcare, our
Healthcare system is broken,
Dysfunctional, we've got half
Of our elderly people trying to
Get by on $30,000 or less.
We have a childcare system,
Totally broken.
We have got to start paying
Attention to the needs of the
Working class of this country
And stand up to powerful,
Special interests, who have
Enormous power, not only in the
Republican party, but i have to
Say in the democratic party, as
Well.
>> clearly, you have this list
Because you can run it off, off
The top of your head.

Are there particular Commitments you want from Kamala harris that you felt Like you had from joe biden?
>> well, as you know, president
Biden supported a 100 day
Agenda, said the first 100
Days, he would do things like
Expanding social security Benefits.
All right?
25% of our people, elderly
People on social security,
Living on $15,000 a year.
We can do that by lifting the Cap on taxable income, and Extend the life of social
Security by 75 years.
Medicare -- well, look, between You and me, as we well know,
The congress is not ready to Move to medicare for all, which I support.
But, you know what you could
Do, and what president biden Wants to do?
Expand medicare to cover Dental, hearing, and vision.
We can raise the minimum wage To a living wage
we can cancel All student debt.
We can put a cap on rising rent

In this country and build Millions of units of affordable Housing.
We can deal with the childcare Crisis.
We can do those things and More, and make it clear to the
Working class that we are Prepared to take on the big
Money interests, who never had It so good.

And, by the way, in the midst
Of all of this, ali, we have to
Start talking about a corrupt Political system as a result of Citizens united, where elon Musk is now trying to buy the Election for trump, $45 million A month -- too many billionaires Are controlling the political Process.

We have to and that, we have to
Overturn citizens united and
Moved to public funding of
Elections, in my view.
>> so, there is nothing in
Anything you said that would
Suggest you would spend a
Minute thinking about donald
Trump as a presidential
Candidate, so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working
Really hard to overcome donald
Trump's election as president,
And endorsing kamala harris?
>> all right, well, look, you
Know where i am right now?
I am in manchester, new Hampshire.
We just had a great town
Meeting here, talking about the
Need to elect the vice President.

We were in west lebanon, i am
Going to be in bangor maine
Tomorrow, portland, maine.
But i think it is important for
Some of us to say, look, we
Know there is a lot of big
Money in the democratic party.
We want to make sure that the
Vice president is listening to
The working class of this
Country, to progressives, as
Well, and brings forth very
Specific ideas.

These are not radical ideas.
Expanding medicare by lifting
The cap, expanding social
Security, building housing,
These are not radical ideas.
>> no.
>> and i would hope very much
That we get some specificity on
Them.
>> in order to get that
Specificity, is that
Conversation happening in real
Time right now?

Are you in that conversation
With the vice president, or are
Your people in conversation
With the vice president's
Campaign?
>> well, i have spoken to the
Vice president and i look
Forward to speaking with her
Again in the near future.
Yes, that conversation is going
On.
>> got it.
Talk to me about what that Would do for you, differently?
In other words, you getting
Those assurances, you are going
Out there, telling people in
The places you just named that
They have to vote for the vice President.
What will happen when you get The insurance that you want?
Which i expect you will get.

>> i hope i do get them, i do.
But, look, we cannot -- this
Country cannot, in my view,
Just tolerate donald trump Getting elected, so i am out There, i work hard, and i am Going to do everything i can to Make sure that harris is our Next president.

요양원은 믿을 만한 곳일까? 처참한 '노인학대'의 현실 - 오마이뉴스

요양원은 믿을 만한 곳일까? 처참한 '노인학대'의 현실 - 오마이뉴스


프리미엄 소셜 코리아 ㅣ 237화
요양원은 믿을 만한 곳일까? 처참한 '노인학대'의 현실
[소셜 코리아] 아동학대 예산의 1/10에 불과... 조사인력·예산 대폭 늘려야
사회
전용호(soko)

24.07.24
 
한국의 공론장은 다이내믹합니다. 매체도 많고, 의제도 다양하며 논의가 이뤄지는 속도도 빠릅니다. 하지만 많은 논의가 대안 모색 없이 종결됩니다. 소셜 코리아(https://socialkorea.org)는 이런 상황을 바꿔 '대안 담론'을 주류화하고자 합니다. 

구체적으로는 ▲근거에 기반한 문제 지적과 분석 ▲문제를 다루는 현 정책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을 거쳐 ▲실현 가능한 정의로운 대안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소셜 코리아는 재단법인 공공상생연대기금이 상생과 연대의 담론을 확산하고자 학계, 시민사회, 노동계를 비롯해 각계각층의 시민들과 함께 만들어가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기사에 대한 의견 또는 기고 제안은 social.corea@gmail.com으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기자말]



▲ 우리 사회는 노인학대에 매우 둔감하다. 아동학대는 심각하게 여기고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반면 노인학대는 ‘어쩔 수 없다’는 식이다. ⓒ 셔터스톡
 
노인학대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노인학대 신고접수 건수가 2019년 1만 6071건에서 2023년 2만 1936건으로 급격히 늘었다. 이중에서 실제 학대로 판정된 건수는 2019년 5243건에서 2023년 7025건으로 증가했다. 대부분의 학대는 가정에서 발생하지만 중증의 노인이 거주하는 시설의 학대는 그 양상이 매우 심각해서 언론의 주목을 자주 받는다.

그러나 우리 사회는 노인학대에 매우 둔감하다. 아동학대는 심각하게 여기고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반면 노인학대는 '어쩔 수 없다'는 식이다. 이를 학계에서는 '연령차별주의'(ageism)라고 비판한다.



특히 경제성장에 집착하는 한국 사회는 미래 경제 생산인구인 아동에 대한 학대는 심각하게 바라보지만 노인학대는 언론의 관심거리로 소모할 뿐 해결 의지가 약하다. 단적으로 중앙정부의 아동학대 예산(1008억 원)과 노인학대 예산(123억 원)의 차이를 보면 바로 알 수 있다. 물론 아동학대 예산도 선진국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지만 노인학대 예산은 아동학대 예산과 비교해 고작 10분의 1 수준이다.

"불과 123억 원으로 정부는 노인학대를 해결할 의지가 있는가" 묻고 싶다. 전국에 불과 38개의 노인보호전문기관이 어떻게 240개가 넘는 기초지자체에서 발생하는 학대 사건을 조사하고 적발할 수 있는가? 노인보호전문기관은 만성적인 상담 인력 부족과 잦은 이직 등으로 조사의 공적인 전문성을 쌓기도 어렵다.

노인이 되면 점차 신체적·정신적 기능이 저하하면서 다른 사람의 '돌봄'이 필요하게 된다. 학자들은 '존엄한 노후'를 강조하지만 실상은 정반대다. 우리나라의 노인장기요양보험은 요양보호사 중심의 아주 기본적인 일상 돌봄만을 제공한다. 따라서 노인의 신체적·정신적 기능이 빠르게 퇴화하면서 학대 행위자에 대항할 수 있는 능력은 약화하고 점점 더 학대에 노출된다.

노인복지학계는 노인이 최대한 집과 지역사회에서 살아야 한다(aging in place)고 주장하지만 실제로 제공되는 돌봄 서비스가 미흡한 데다 자녀들의 부양의지마저 약화함에 따라 노인은 조기에 요양원이나 요양병원과 같은 시설에서 노후를 보낼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시설은 과연 믿을 만한 곳인가? 2023년에 요양원과 같은 생활시설의 학대는 571건, 요양병원의 학대는 115건으로 조사됐지만 실제는 훨씬 많을 것이다. 지금 체계에서는 찾아내지 못하는 '학대의 제도적 사각지대'가 광범위하기 때문이다. 무엇이 문제인가.

노인학대의 제도적 사각지대, 적극 관리해야



▲ 요양병원 등의 시설은 그 자체의 엄격한 폐쇄성으로 인해 학대가 잘 적발되지 않는다. ⓒ unsplash

 
첫째, 상당수의 시설은 노인이 처음 입소할 때부터 잠을 자지 않거나 치매 증상이 나타나면 약물을 투입해서 노인을 제지할 수 있다는 것에 동의하는 보호자의 사인을 받고 있다. 이를 근거로 공식·비공식적으로 수면제나 신경안정제를 투여해서 노인을 약물로 통제하고 있다.

특히 요양원은 약물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요양병원은 약물의 처방 및 투입이 너무 용이해서 '약물에 의한 학대'가 만연할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학계에서도 실태조사나 대응 정책 연구가 별로 없을 정도로 약물 학대에 대한 인식 수준이 낮다.

둘째, 시설은 서비스와 인력 등이 구조적으로 미흡하기 때문에 노인은 실제 거동능력에 비해 빨리 침대에 누워만 있는 와상상태가 된다. 그래서 음식 제공과 대소변 관리 등의 기본적인 서비스만을 겨우 받으면서 사실상 '방임 학대'에 처할 가능성이 높다.

상당수의 요양병원은 의료적 치료에 치중하다 보니 노인을 위한 사회적 활동 프로그램은 별로 없다. 대부분의 요양원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상근 의사가 부재하고 간호사를 구하기도 어려워서 간호조무사나 요양보호사가 주로 업무를 한다. 그러다 보니 간호인력과 요양보호사들이 콧줄 교체와 같은 각종 불법 의료행위를 할 수밖에 없다.

셋째, 요양병원은 완벽한 제도적 사각지대다. 시설은 그 자체의 엄격한 폐쇄성으로 인해 학대가 잘 적발되지 않는다. 내부인력의 고발이 있거나 보호자가 자주 시설을 방문해서 감시기능을 해야 하는데, 코로나 이후 감염을 핑계로 보호자의 면회를 엄격하게 통제하는 시설이 많다.

그나마 요양원에 대해서는 노인보호전문기관에서 학대 조사를 하고 기초지자체에서 행정처분을 할 수 있지만 요양병원은 법적으로 행정처분 권한을 가진 행정기관이 없다. 면허가 없는 간병인이 사적으로 채용되어 근무하면서 학대 발생 가능성이 높지만, 조사권한을 가진 보건소는 매우 소극적이다. 설령 조사를 해도 행정조치를 내릴 수 없기 때문이다. 보건복지부는 도대체 왜 이런 제도적 공백을 방치하고 있는가?

넷째, 서구에서는 경제적 학대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경제적 학대가 2023년에 352건으로 3.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재산이나 현금 등을 가져가는 경제적 학대는 노인의 기본적인 삶을 빼앗아 가지만 대응체계가 거의 없고 드러나지 않은 사례도 많을 것으로 보인다.

시설에 있는 치매노인에게 지급되는 기초생활수급비나 기초연금 등을 요양원 직원이 몰래 가져가는 일도 일어난다. 특히 요양원은 노인의 자금관리를 시설장이나 부장 등의 관리직이 직접 담당하는 경우가 많아서 낮은 직급의 요양보호사들이 발견해서 신고하기도 어렵다. 노인들은 현금이 있으면 베개 속이나 사물함에 넣어두는 경우가 많아서 경제적 학대의 손쉬운 먹잇감이 되고 있다. 그러나 보건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은 노인의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체계 마련에 소극적이다.

요컨대 정부가 발표하는 노인학대 통계는 실제 현장에서 발생하는 노인학대의 빙산의 일각일 가능성이 높다. 노인학대의 제도적 사각지대인 '약물 학대, 방임 학대, 병원 학대, 경제적 학대' 등에 대한 실태를 체계적으로 조사해서 학대로 포함시키고 적극 관리해야 한다. 이를 위해 노인학대 예산을 대폭 증액해서 중앙노인보호전문기관을 비롯한 전국의 노인보호전문기관의 인력과 예산을 확실히 늘려줘야 한다. 이러한 조처는 노인의 존엄한 노후를 위한 최소한의 장치일 것이다.



▲ 전용호 / 인천대 사회복지학과 교수(소셜 코리아 편집위원) ⓒ 전용호
필자 소개 : 이 글을 쓴 전용호 인천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소셜 코리아> 편집위원이며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부회장을 맡고 있습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노인복지정책, 노인돌봄, 장기요양, 사회서비스 전달체계 등입니다. 
저서로 <영국의 사회보장제도>(공저), <복지국가 쟁점 2>(공저)가 있습니다.
덧붙이는 글 이 글은 <소셜 코리아>(https://socialkorea.org)에도 게재됐습니다. <소셜 코리아> 연재 글과 다양한 소식을 매주 받아보시려면 뉴스레터를 신청해주세요. 구독신청 : https://socialkorea.stibee.com/subscribe

出口クリスタ - Wikipedia

出口クリスタ - Wikipedia

데구치  크리스타

출처: 무료 백과사전 '위키피디아(Wikipedia)'
출구 크리스타
2020년 촬영
기본 정보
라틴 문자DEGUCHI Christa
국가캐나다 국기 캐나다
출생지일본의 국기 일본 나가노현 시오지리시
생년월일1995년 10월 29일 (28세)
신장160cm
선수 정보
계급여자 57kg급
소속일본생명 [1]
단위삼단
세계 랭킹1위 8170pts(23/11/27) [2] [3]
JudoInside.com에 대한 자세한 정보
획득 메달
캐나다 국기 캐나다
유도
올림픽
2024 파리57kg급
세계 유도 선수권
2019 도쿄57kg급
2023 도하57kg급
실버2024 아부다비57kg급
구리2018 바쿠57kg급
월드 마스터스
2022 예루살렘57kg급
그랜드 슬램
2018 파리57kg급
2019 파리57kg급
2019 예카테린부르크57kg급
2020 파리57kg급
2023 울란바토르57kg급
실버2023 안탈리아57kg급
일본의 국기 일본
유도
그랜드 슬램
구리2013 도쿄57kg급
세계 주니어
실버2014 포트 로더데일57kg급
구리2013 류블랴나57kg급
세계 주니어 단체
2013 류블랴나57kg급
2014 포트 로더데일57kg급
2024년 7월 30일 현재
템플릿 보기

데구치 크리스타 (데구치 크리스타, 1995년 10월 29일 )는, 일본 의 나가노현 시오지리시 출신의 캐나다 의 여자 유도가 . 조립은 오른쪽 조립. 특기기는 대외 깎기 . 2016년까지는 전일본의 강화 지정 선수였다 [4] . 존경하는 유도가는 패산 히토미 . 아버지는 캐나다 출신의 영어 강사. 3세 연하인 여동생의 데구치 켈리 도 캐나다 대표 선수의 유도가 [5] [6] . 맥주, 동물 [7] 과 종합 격투기 를 좋아하고, 조르주 생피에르 의 팬이기도하다 [8] . 좋아하는 TV 게임은 「콜 오브 듀티[7] . 2024년 파리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경력

편집 ]

아버지가 가라테 를 추천하는 것도 어머니는 유도 를 추한 적도 있어, 3세 때 할머니의 이발소의 단골이었던 사범이 있는 성심관 도장에서 유도를 시작했다 [4] [8] [9] . 도장의 연습은 어려웠지만, 몸을 움직이는 것을 좋아했기 때문에 처음에는 즐겁게 보였다. 그러나 초등학교 고학년 무렵에는 할아버지 집에서 함께 ' 미토 황문 '( TBS TV )을 보고 저녁을 마친 뒤 도장에 다니는 날들이 우울해 보였다고 한다. 덧붙여 부모님은 평상시 영어 로 대화하고 있어 집안에서는 캐나다와 같았다고 한다 [10] [11] . 또, 이 당시는 현내 최강의 쓰 가네 메구미 와 3번 정도 대전하는 것도, 체격으로 압도되어 적지 않았다. 초등학교 6년 때에는 전국 초등학교 학년별 유도대회 45kg급에 출전했지만 예선리그에서 패했다 [5] . 시오지리 시립 언덕 중학교 로 가면 쓰가네 메구미와 함께 되었다. 1년 때에는 전국 중학교 유도 대회 44kg급으로 3위를 차지했다. 2년 때는 48kg급으로 베스트 16정지였다. 3년 때에는 52kg급에 출전해, 향장 중학 2년의 요네자와 여름 돛 에 GS 에 들어가고 나서 유효하고 패하는 것도 3위가 되었다 [4] .

마츠상 학원 고등학교 에 진학하면, 전일본 카데 에서는 요네자와에 합기로 패해 2위였지만, 인터하이 에서는 미야자키 일대 고등학교 3년의 시다메 사랑을 유효로 깨고, 1학년으로 해서 우승을 장식했다 [12] . 고교 선수권 개인전에는 계량으로 실격이 되어 출전할 수 없었지만, 단체전에서는 팀 메이트의 쓰가네 메구미와 함께 활약해 3위가 되었다 [4] .

2년이 되면 계급을 57kg급으로 올리지만, 인터하이에서는 2회전에서 제쿄 고등학교 1년의 니시오 나오코에 유효하고 패했다. 단체전에서는 팀 3위에 공헌했다. 고등학교 선수권 개인전에서는 결승에서 니시오를 꺾고 우승하지만, 단체전에서는 결승에서 후쿠오카의 경애고등학교 와 대전하여 78kg 초급의 오카 사생에게 합기로 패해 2위에 끝났다 .

3년이 되면 전일본 선수권 에 57kg급의 선수이면서 출전하지만, 3회전에서 합합 경비 보장 의 타치모토 아이 에게 시작 조기의 합기로 패했다. 인터하이 개인전에서는 결승에서 경애고등학교의 요시다시 에 가랑이 로 패했다. 전일본 주니어 에서는 결승에서 요시다를 오우치카리로 꺾고 우승했다. 이 때, 장래는 일본에서의 치열한 대표 싸움을 피해 캐나다 대표로서 올림픽 을 목표로 한다고 말했다 [6] . 그러나, 그 후 주위의 설득도 있어, 일본 대표를 목표로 하는 생각으로 마음 바뀌었다고 한다 [5] .

2013년 세계 주니어 에서는 준준결승에서 캐나다의 카트린 보쉬만 피날 에 어깨차 의 유효로 패하지만, 그 후 패자 부활전을 이겨 3위를 차지했다. 단체전에서는 결승의 프랑스 전에서  승을 하는 등 팀의 우승에 공헌했다 [13] [14] .

강도관배 에서는 준결승에서 고마츠 의 우타카 나에 에 대외 깎기 로 패하지만 3위가 되었다. 그랜드 슬램 도쿄 2013 에서는 준결승에서 세계 2위인 미국의 마르티 말로이 로부터 먼저 억누르고 기술을 취하면서, 팔좌십자고로 역전패를 피우지만, 3위 결정전에서는 세계 챔피언인 브라질 의 라파엘라 실바 로부터 등반 투투 로 유효를 취하는 등 우세하게 경기를 진행해, 마지막은 반칙승을 거두어 3위가 되었다 [15] .

12월 그랑프리 제주 에서는 결승에서 루마니아 의 코리나 카프리올리우 를 합기로 꺾는 등 올 한 승에서 시니어 국제대회 첫 우승을 장식했다 [16] .

2014년 2월 유럽 오픈 로마 에서는 결승에서 실바와 대전하자, 기술 있어를 선취하면서 역전의 한 패를 피해 2위로 끝났다 [4] .

야마나시 학원 대학 에 진학하면, 1년의 4월에는 체중별의 첫전에서 국사관 대학 의 야마모토 안에 유효하고 패해 3위였다 [17] . 이어지는 전일본 선수권에서는, 3회전에서 JR동일본 의 시라이시의 어딘가에 출족 지불 로 패했다. 체중 무차별로 싸워지는 이 대회에는 앞으로 출전하지 않을 것이라고 한다 [18] . 6월 우승대회 에서는 우승을 장식했다. 9월의 전일본 주니어에서는 결승에서 미츠이 스미토모 해상 의 타마키 복숭아 에 기술 있어 패해 2위에 끝났다. 학생 체중별로는 3위였다. 10월의 2014년 세계 주니어 에서는 준결승까지 올 한 개로 이기기도, 결승에서 옥치에 대외 깎기로 한 패를 피해 2위에 끝났다 [19] [20] . 단체전에서는 준결승의 러시아 전에서 달리아 메제츠카야 에게 한 패를 했지만, 결승의 프랑스전에서는 한 승으로 팀 우승에 공헌했다 [21] [22] . 11월의 강도관배에서는 7위에 머물렀다 [4] .

2년이 되면 4월 체중별로는 초전에서 우타카에게 지도 2로 패했다. 6월 우승대회에서는 전 경기에 승리하는 등 팀 우승에 공헌했다 [23] . 9월의 전일본 주니어에서는 준결승으로 후지학원 고등학교 2년의 후나 쿠보 하루카 에게 내랑 의 유효로 패해 3위였다. 10월의 체중별 단체 에서는 준결승에서 국사관대학과 대전하고 야마모토 안즈를 한 손으로 꺾자 결승의 제쿄대학 전에서도 승리하지만, 팀은 패해 2위에 머물렀다 [24] . 11월의 강도관배에서는 준결승에서 고마츠의 이시카와 자 에 횡사 방고로 패하는 것도 3위가 되었다 [25] . 2년까지는 “도중에 기분이 끊어지거나, 경기가 싫어지는 경우도 많았다”고 한다 . 한편, 고등학교까지는 오우치카리를 자랑하고 있었지만, 대학에 들어가고 나서는 연구되어 별로 걸리지 않게 된 적도 있어, 대외깎기가 자랑스러워졌다 [8] .

3년이 되면, 4월의 체중별에서는 초전에서 요시다에 지도 1로 패했다. 6월 우승대회에서는 결승 환 태평양대학 전에서 한 승을 하는 등 팀의 3연패에 공헌했다 [26] . 10월의 학생 체중별에서는 결승에서 대학의 1년 선배인 츠루오카 내설을 합기로 꺾은 것을 시작해, 올 한 개 승리해 우승을 장식했다 [27] . 11월의 강도관배에서는 2회전에서 류야 대학 1년의 무라이 유이에 유효하게 패했다 [28] .

이 패전을 계기로 올림픽 대표를 목표로 캐나다 국적을 선택하기로 결정했다. 「주위에서 『일본에서 제일이 되고, 올림픽에서 이기니까 의미가 있지 않나?』라고 말해져 일리 있구나, 라고. 하지만, 20대에 강도관배의 2회전으로 져 놓고 있어 , 올림픽은 나올 수 없잖아요.” 실은 고등학교 2년 때부터 캐나다 대표의 초청이 있었지만, 그 당시는 그다지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러나, 강도관배의 반년전에 캐나다의 여자 대표 코치의 사샤 메메드비치가 찾아와, 부모를 섞어 면담한 것으로, 캐나다 대표로 하는 것도 있을까 마음이 흔들리게 되었다. 또한 주위의 대부분은 캐나다 대표를 추천하면 부모도 어느 쪽이든 상관없다고 말했다 [10] [11] . 2017년 3월에는 보다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고등학교 때부터 초대받고 있던 캐나다 대표로 도쿄 올림픽 출전을 목표로 하는 것이 공표되었다 [9] [29] .

4년 때에는 6월 우승대회 결승 쓰쿠바대학 전에서 결승점을 꼽는 등 전 경기를 한 승로 팀 4연패에 공헌했다. 이 시점에서 이미 캐나다 국적을 선택했다 [30] [31] . 10월의 학생 체중별로는 결승에서 도카이 대학 2년의 다케우치 스즈를 대외 깎기의 기술 있어 꺾고 2연패를 완수했다 [1] . 이어 캐나다 대표로는 첫 3년 만의 국제 대회가 된 그랜드 슬램 아부다비 2017 에 출전하지만, 첫 경기에서 세계 챔피언인 몽골 의 돌지슬렌 스미야 와 대전하면 GS에 들어간 후 기술 를 가지고 가 패했다 [32] . 그랜드 슬램 도쿄 2017 에서는 초전에서 러시아의 아나스타샤 콘키나에 역전의 한 패를 입었다 [33] . 2018년 2월 유럽 오픈 오디베러스 에서는 올 한 승에서 우승하여 4년 3개월 만에 국제 대회에서 승리하게 됐다 [34] . 이어 그랜드 슬램 파리 2018 에서도 결승에서 요시다를 합기로 꺾는 등 올 한 개 이기고 우승했다 [35] [36] . 본인은 스스로의 특징을 ‘깨끗하고 순발력’이 있는 유도라고 생각하고 있다. 대학의 감독인 야마베 신토시 는, 「이 계급(57kg급)에서는 파워가 있어, 하반신을 깎는 힘도 길고 있습니다」, 동급생으로 주장의 츠키노 쥬리는, 「조립해 던지는 정통파. 라고 각각 지적하고 있다 [10] .

2018년 4월부터는 일본 생명 의 소속이 되어, 평상시는 일본 국내에서 연습에 임하게 되었다 [9] . 판남 선수권 에서는 준결승에서 동료인 제시카 크림카이트 에 반칙을 이기는 등 올 한 번 승리해 우승했다 [37] . 5월 그랑프리 후후호트 에서는 준결승에서 타마키 복숭아를 대외 깎기로 꺾자 결승에서도 크림카이트를 송금조 로 꺾는 등 올 한 승으로 우승했다 [38] . 7월 그랑프리 자그레브 에서는 ​​초전에서 러시아 나탈리아 골로미도와에게 기술을 취할 수 있지만 준준결승까지 모두 한 승을 했더니, 준결승에서는 미쓰이 스미토모 해상의 후나쿠보를 합기로 이겼다. 결승에서는 크림카이트에 반칙을 이겨 우승을 장식했다 [39] . 8월의 그랑프리 부다페스트 에서는 준준결승에서 실바에게 한손 조리개(IJF 발표는 송금조)로 패하기도, 그 후의 3위 결정전에서 우타카를 오우치 깎기로 이겼다. 덧붙여 이번 준준결승에서 패한 것으로, 올해에 들어서고 국제 대회에서 계속해 온 한 승에서의 연승 기록이 26으로 멈췄다 [40] . 9월 2018년 세계선수권 에서는 준결승에서 요시다에 내 가랑이 기술로 패했지만, 3위 결정전에서 독일 테레자 슈톨 에게 합기로 역전 승리해 3위를 차지했다 [41] . 덧붙여 캐나다 대표가 되어 호성적을 거둘 수 있게 된 이유를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캐나다의 팀 내에서는 굉장히 기분의 전환이 빠르고, 져도 화내지 않는다. 다음, 노력하자! 이것만 결과가 나오는 것도, 기술면보다, 멘탈면 쪽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패해도 다음이 있다』가 되면, 필요 이상으로 걱정할 필요도 없고, 그러니까, 결승에 진출할 확률도 오르고 있다고 생각합니다」[11] . 11월의 그랜드 슬램·오사카 에서는 준준결승에서 타마키에 반칙 패하면, 그 후의 3위 결정전에서는 후나쿠보에게 후퇴로 패해 5위였다 [42] . 12월의 월드 마스터스 2018 에서는 초전에서 옥치에 부락 으로 패했다 [43] .

2019년 2월 그랜드 슬램 파리 2019 에서는 준준결승에서 옥치를 대외 깎고, 준결승에서 한국 의 김지수 를 골목 으로 꺾자, 결승에서는 클림카이트를 기법으로 꺾고 이번 대회 2연패했다 [44] . 3월 그랜드 슬램 에카테린부르크 에서는 준결승에서 포르투갈 테르마 몬테이로 , 결승에서 대만 의 연진수 를 꺾는 등 모두 한 승 에서 우승했다 [45] . 4월 판남 선수권에서는 결승에서 실바를 꺾고 이번 대회 2연패했다 [46] . 7월 캐나다에서 첫 개최가 된 IJF 월드 유도 투어 의 그랑프리 몬트리올 에서는 결승에서 크림 카이트를 송 칼리 [47] 보우 앤 애로우 초크 [48] 로 꺾는 등 모두 한 승 우승했다 [49 ] . 계속되는 그랑프리 자그레브에서는 ​​엔트리 하는 것도 다리의 부상으로 출전을 회피해 불전패가 되었다 [50] . 8월에 도쿄 에서 개최된 2019년 세계선수권 에서는 준준결승으로 프랑스의 사라·레오니·시지크에 기술 있어를 선취되는 것도 역전 승리하는 등 올 한 개 승리해 결승까지 진행하면, 요시다를 GS로 들어가고 계곡 [51] 에서의 기술로 꺾어 캐나다의 선수로서 처음으로 세계 챔피언이 되었다. 이 때, 「설마 우승할 수 있다고는. 놀란 대로입니다」라고 말했다 [52] [53] . 9월에는 나가노현으로부터 현 영예상이 수여되었다 [54] . 12월 월드마스터스 2019 에서는 2회전에서 북한 의 김진아 에게 기술로 패했다 [55] .

2020년 2월 그랜드 슬램 파리 2020 에서는 결승에서 돌지슬렌을 파투 의 기술로 꺾고 이번 대회 3연패했다 [56] . 6월에는 캐나다 국내의 라이벌인 크림카이트와 올림픽 대표 결정전(2승한 쪽이 대표)을 실시하게 되어 있었지만, 신형 코로나 바이러스 의 영향으로 연기되었다 [57] .

2021년 3월의 그랜드 슬램 트빌리시 2021 에서는 준결승에서 현지 조지아 의 에 테리 리파르테리아니 에게 골짜기에서 역전 패하여 3위였다 [58] . 4월의 그랜드 슬램 안탈리아 2021 에서는 결승에서 크림카이트에 반칙을 이겨 우승했다 [59] . 덧붙여 캐나다 유도 연맹의 제너럴 매니저 인 니콜라스 길은 , 신형 코로나 바이러스에 의한 캐나다 국내의 공중 위생 규칙으로 연습이 무제한 금지되고 있는 사정에 의해, 출구와 크림 카이트의 직접 대결에 의한 대표 결정전은 취소해, 6월 헝가리 부다페스트 에서 개최되는 2021년 세계선수권 에서 상위 에 진입한 분을 올림픽 대표로 선출하는 것을 공표했다. 출구는 세계선수권에 출전할 예정은 없었다고 한다. 만약 세계 선수권이 중지가 되거나, 양자가 동순위였을 경우는, 지금까지의 실적을 고려해 선출된다(출구는 이 시점에서 크림 카이트에 6전 전승이었다) [60] [61] . 6월 2021년 세계선수권에서는 준결승에서 옥치에 GS에 들어간 뒤 대외 권입 기술로 패하면 3위 결정전에서도 슈톨에게 불권으로 패해 5위로 끝났다. 한편 라이벌 크림카이트는 이번 대회 결승에서 옥치를 꺾고 우승했다. 이 결과 캐나다 대표 전형 규정에 따라 출구는 도쿄 올림픽 대표의 자리를 놓치게 되었다. 경기 후에 자신의 트위터 에서 "스타트 라인에 서도 못했습니다 .

2022년 4월 그랜드 슬램 안탈리아 2022 에서는 준결승에서 시직에 합기로 패했고, 그 후의 3위 결정전에서도 이스라엘의 팀나 넬슨 레비 에게 반칙패를 빚어 5위였다 [65] . 7월 그랑프리 자그레브에서는 ​​결승에서 리파르테리아니를 오우치카리에서 꺾고 우승했다 [66] . 8월에는 영국 연방경기대회 에 출전해 우승했다 [67] . 10월의 2022년 세계선수권 에서는 3회전에서 복병인 몽골의 루하그바트고·엔프리렌에 내 가랑이로 패했다 [68] . 11월 그랜드 슬램 바쿠 2022 에서는 결승에서 포르투갈의 테르마 몬테이로를 반칙으로 이기고 우승했다 [69] . 12월의 그랜드 슬램 도쿄 2022 에서는 2회전에서 테이쿄대학 2년의 오모리 주리 에 기술로 패했다 [70] . 이어 월드 마스터스 2022 에서는 준준결승에서 요시다에 반칙승을 하면 결승에서도 시직을 합기로 꺾고 우승했다 [71] .

2023년 2월 그랜드 슬램 텔아비브 에서는 준결승에서 우크라이나의 달리아 빌로디드 와 대전하면 기술을 취한 후 상대가 서 자세에서 겨드랑이를 걸어 왔기 때문에 반칙을 이기지만 결승에서 크림 카이트에 기술을 잡혀 2위였다. 덧붙여 크림카이트에는 7전째로 처음 패했다 [72] . 3월의 그랜드 슬램 안탈리아 2023 에서는 결승에서 실바에 기술로 패해 2위였다 [73] . 5월의 2023년 세계선수권 에서는 결승에서 후나쿠보에게 오우치 깎기로 기술을 취한 후 체락으로 꺾는 등 올 한 개 승리해 우승했다 [74] [75] . 6월 그랜드 슬램 울란바토르 에서는 결승에서 크림카이트에 반칙을 이겨 우승했다 [76] . 8월의 월드마스터즈 2023 에서는 초전에서 몬테이로에게 팔좌완고로 패했다 [77] . 9월 팬아메리칸 오세아니아 선수권 에서는 결승에서 실바를 꺾고 우승했다 [78] . 10월의 그랜드 슬램 아부다비 2023 에서는 결승에서 크림카이트에 반칙 패를 하고 2위였다 [79] . 12월의 그랜드 슬램 도쿄 2023 에서는 결승에서 브라질의 제시카 리마를 대외 깎기로 꺾고 우승했다 [80] [81] .

2024년 2월의 그랜드 슬램 파리 2024 에서는 3회전에서 옥치를 기법으로 꺾는 등 결승까지 진행되는 것도 현지 프랑스의 파이자 목달 에게 등반 투패로 패해 2위였다 [82] . 이어 그랜드 슬램 바쿠 2024 에서는 준준결승에서 빌로디드에 반칙승을 하는 등 결승까지 진행되면 코소보 의 노라 자코바 에 부전 승리해 우승했다 [83] . 3월 그랜드 슬램 트빌리시 2024 에서는 준준결승에서 슬로베니아 카야 카이젤 에 내랑에서 패하기도, 그 후의 패자 부활전을 이겨 3위가 되었다 [84] . 이어 그랜드 슬램 트빌리시 2024에서는 준결승에서 목달에 합기, 결승에서 리마를 오우치카리에서 꺾고 우승했다 [85] . 4월의 팬아메리칸 오세아니아 선수권에서는 결승에서 실바에 반칙 패를 하고 2위였다 [86] . 5월의 그랜드 슬램 아스타나 에서는 준결승에서 후나쿠보, 결승에서 실바에 각각 반칙을 이겨 우승했다 [87] [88] . 그 10일 후인 2024년 세계선수권 에서는 준결승에서 옥치를 능숙하게 꺾지만, 결승에서는 한국의 호미미 에게 12분 이상의 싸움 끝에 반칙패를 입고 2위에 머물며 이번 대회 2연패는 되지 않았다 [89] . 6월에는 대표전형 기준으로 크림카이트를 웃돌아 파리올림픽 대표에 정식으로 결정했다. 52㎏급의 선수인 여동생의 출구 켈리와 함께 자매 출전이 되었다 [90] .

2024년 7월 파리 올림픽에서는 7월 29일 열린 여자 57kg 결승에서 한국 대표 호미미 와 대전, 연장전 끝에 오른쪽 무릎을 다치면서 상대 지도 3회로 승리 금메달을 획득했다 [91] . 캐나다 대표 선수의 유도 올림픽 금메달은 남녀 통상 처음이며 [92] , 또 일본의 나가노현 출신자로 여름 올림픽의 개인 종목의 금메달 획득도 남녀 통상 처음이었다 [9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