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램지어 위안부 망언'에 NYT 등 미 유력언론도 관심
기사입력 2021.02.27.
NYT 램지어 망언 사태 다뤄
학계 2000여명 논문 비판 가세
日학자 "하버드는 美최고 학교"
마크 램지어 망언을 보도한 뉴욕타임스.[뉴욕타임스 홈페이지 캡처]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하버드대 로스쿨의 마크 램지어 '미쯔비시' 일본법 교수의 '위안부 논문' 파문에 대해 뉴욕타임스(NYT) 등 미 주류 언론들이 가세해 보도하는 등 논란이 갈수록 확산하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26일(현지시간) '어떤 하버드 교수가 전시 성노예에 대해 매춘부로 불렀다가 반발을 샀다'는 제목의 서울발 기사에서 램지어 교수의 논문이 한국은 물론 미국 학자들 사이에서 격렬한 반응을 일으켰다고 보도했다.
해외 역사학자들은 일제히 램지어 교수의 주장이 광범위한 역사적 증거를 무시하고 일본 극우 교과서와 비슷하다면서 논문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고 NYT는 전했다.
논문 내용을 비판하는 학자들의 연판장에 2000명 이상이 서명하고, 하버드대 학생들이 비판 성명을 내는 등 학계의 반응이 크다는 점도 다뤄졌다.
NYT는 램지어 교수는 자신의 논문에 대한 증거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어 학계에서 결함이 있는 논문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 17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93) 할머니가 참가한 하버드대 아시아태평양 법대 학생회(APALSA) 주최 온라인 세미나도 비중 있게 다뤘다.
신문은 "두 세대로 나누어지고, 7000 마일이나 떨어진 학생들과 생존자가 줌에서 만나 광범위하게 반박당한 하버드 교수의 주장을 가르침의 순간으로 바꾸자는 공동의 목표를 논의했다"면서 할머니의 이야기도 상세히 전했다.
NYT는 램지어 교수와의 인터뷰를 요청했으나 거절당했다. NYT는 대신 램지어 교수가 일본 산케이 신문의 해외판 선전지 저팬 포워드에 기고한 글에서 "한국 위안부들의 주장은 역사적으로 허위"라고 주장했다고 전했다.
램지어 교수 지지 서한에 서명한 일본의 우파 역사학자 중 한 명인 가츠오카 간지는 NYT에 자신은 램지어 논문 초록만 읽어봤다면서도 여성들이 돈을 받고 일한 것이라며 "매춘부라는 용어가 적절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하버드대는 미국 최고의 학교"라고 덧붙였다.
NYT의 보도는 미 저명 시사주간지 뉴요커가 석지영 하버드대 로스쿨 종신교수의 기고문을 통해 '램지어 사태'의 전말과 관련 동향을 상세히 전달한 직후에 이뤄졌다.
지난달 말 일본 언론을 통해 램지어 교수의 위안부 논문이 처음 일반에 알려진 후 이날 뉴요커와 NYT 보도 전까지 4주 동안 하버드대 교내 신문 '크림슨'과 소수의 인터넷 매체 외에는 이 사안을 다루는 미국 매체가 없었다.
soohan@heraldcorp.com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하버드대 로스쿨의 마크 램지어 '미쯔비시' 일본법 교수의 '위안부 논문' 파문에 대해 뉴욕타임스(NYT) 등 미 주류 언론들이 가세해 보도하는 등 논란이 갈수록 확산하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26일(현지시간) '어떤 하버드 교수가 전시 성노예에 대해 매춘부로 불렀다가 반발을 샀다'는 제목의 서울발 기사에서 램지어 교수의 논문이 한국은 물론 미국 학자들 사이에서 격렬한 반응을 일으켰다고 보도했다.
해외 역사학자들은 일제히 램지어 교수의 주장이 광범위한 역사적 증거를 무시하고 일본 극우 교과서와 비슷하다면서 논문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고 NYT는 전했다.
논문 내용을 비판하는 학자들의 연판장에 2000명 이상이 서명하고, 하버드대 학생들이 비판 성명을 내는 등 학계의 반응이 크다는 점도 다뤄졌다.
NYT는 램지어 교수는 자신의 논문에 대한 증거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어 학계에서 결함이 있는 논문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 17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93) 할머니가 참가한 하버드대 아시아태평양 법대 학생회(APALSA) 주최 온라인 세미나도 비중 있게 다뤘다.
신문은 "두 세대로 나누어지고, 7000 마일이나 떨어진 학생들과 생존자가 줌에서 만나 광범위하게 반박당한 하버드 교수의 주장을 가르침의 순간으로 바꾸자는 공동의 목표를 논의했다"면서 할머니의 이야기도 상세히 전했다.
NYT는 램지어 교수와의 인터뷰를 요청했으나 거절당했다. NYT는 대신 램지어 교수가 일본 산케이 신문의 해외판 선전지 저팬 포워드에 기고한 글에서 "한국 위안부들의 주장은 역사적으로 허위"라고 주장했다고 전했다.
램지어 교수 지지 서한에 서명한 일본의 우파 역사학자 중 한 명인 가츠오카 간지는 NYT에 자신은 램지어 논문 초록만 읽어봤다면서도 여성들이 돈을 받고 일한 것이라며 "매춘부라는 용어가 적절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하버드대는 미국 최고의 학교"라고 덧붙였다.
NYT의 보도는 미 저명 시사주간지 뉴요커가 석지영 하버드대 로스쿨 종신교수의 기고문을 통해 '램지어 사태'의 전말과 관련 동향을 상세히 전달한 직후에 이뤄졌다.
지난달 말 일본 언론을 통해 램지어 교수의 위안부 논문이 처음 일반에 알려진 후 이날 뉴요커와 NYT 보도 전까지 4주 동안 하버드대 교내 신문 '크림슨'과 소수의 인터넷 매체 외에는 이 사안을 다루는 미국 매체가 없었다.
soohan@heraldcorp.com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