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7-01

알라딘: 근대 한국, 제국과 민족의 교차로

알라딘: 근대 한국, 제국과 민족의 교차로

근대 한국, 제국과 민족의 교차로   소득공제
임지현, 정선태, 박노자, 황병주, 이나영, 이영재, 와타나베 나오키, 정다함, 홍양희, 오웬 밀러, 이진경, 윤성호, 손희주 (지은이), 비교역사문화연구소   책과함께   2011-07-01
정가 20,000원
판매가 18,000원 (10% 할인) + 마일리지 1,000원
세액절감액 810원 (소득공제 조건 충족시)
혜택 카드/간편결제 할인무이자 할부
배송료 무료
수령예상일 택배 주문시 7월 2일 출고 97.3%
전자책 전자책 출간알림 신청
무이자 할부 안내
* 2~6개월 무이자 : 농협, 비씨, 씨티, 삼성, 하나, 신한, 국민
* 2~7개월 무이자 : 현대
* 2~5개월 무이자 : 롯데

※ 제휴 신용카드 결제시 무이자+제휴카드 혜택 가능합니다.
※ 오프라인결제/Non ActiveX 결제(간편결제)/카카오페이/네이버페이/시럽페이등 간편결제/법인/체크/선불/기프트/문화누리/은행계열카드/ 알라딘 캐시와 같은 정기과금 결제 등은 행사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무이자할부 결제 시 카드사 포인트 적립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 본 행사는 카드사 사정에 따라 변경 또는 중단될 수 있습니다.
확인

보관함 담기
장바구니
바로구매
0
100자평 0편리뷰 0편
세일즈포인트 152
400쪽152*225mm760g
ISBN 9788991221840
주제분류신간 알림 신청
역사 > 역사학 > 역사비평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1:1 문의
 선물하기
 공유하기
이 책을 알라딘에 3,400원 (최상 기준)에 파시겠습니까?
중고
알라딘에 팔기
중고
회원에게 팔기
중고 등록
알림 신청

















관련 이벤트전체보기더보기

계간 창작과 비평 창비 타블로이드



21주년 특별선물! 그림자 팝업 램프, 썸머 블랭킷(이벤트 도서 포함, 국내서.외서 5...



이 시간, 알라딘 굿즈 총집합!


책소개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건국 60주년을 반(反)기념하기 위해 2008년 8월 국제학술회의 'Modern Korea at the Crossroads between Empire and Nation'을 개최하였다. 이 책은 국제학술회의의 성과물을 수정.보완한 것으로 임지현을 비롯해 박노자, 황병주 등 12명의 전문학자들이 트랜스내셔널한 시각에서 근대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분석한 것이다.

한국의 근대를 성찰할 때에 '제국주의'와 '민족주의'의 대립은 국가권력의 장으로 끊임없이 거론되어 왔다. 이 책에서는 한국의 근대 담론을 읽는 두 가지 키워드, '제국주의'와 '민족주의'라는 틀 안에서 그동안 제국주의의 피해자로만 인식해왔던 시각에서 벗어나 민족주의에 내재된 제국주의의 속성을 밝히고 제국과 식민지가 주고받는 상호 관계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12편의 개별 글들을 묶어 총 3부로 구성하였다. 1부 '제국을 욕망하는 역사적 상상'에서는 제국을 욕망하는 식민지인들의 시선에 대한 문제의식을 일정하게 공유하면서 서로 다른 문제들을 제기하고 있다. 2부 '반식민과 탈식민의 경계에서'는 식민과 탈식민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에 대해 문제의식을 담은 5편의 글을 묶었다. 3부 '트랜스내셔널 코리아'는 미국과 한국의 비교를 통해 탈식민적 상황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돕고 있다.접기
목차
‘반(反)기념’의 역사학을 위해



1부 제국을 욕망하는 역사적 상상

근대계몽기 ‘국민’ 담론과 ‘문명국가’의 상상: 《태극학보》를 중심으로 _정선태

민족의 위대성과 타민족의 정복: 안확의 민족담론 _박노자

황군의 사랑, 왜 병사가 아니라 그녀가 죽는가: 〈조선해협〉, 기다림의 멜로드라마 _이영재

근대 한국의 역사 서술과 타자화된 여진족 _정다함



2부 반식민과 탈식민의 경계에서

식민지 시기 ‘현모양처’론과 ‘신여성’ _홍양희

식민지 조선의 ‘만주’ 담론과 정치적 무의식: 문학평론가 임화의 1940년대 전반의 논의를 중심으로 _와타나베 나오키

해방공간과 전석담의 역사 인식: 근대 국민국가로의 이행과 마르크스주의 역사학 _오웬 밀러

박정희 체제 근대화 담론의 식민성 _황병주

탈식민주의 페미니스트의 기지촌 ‘여성’ 읽기 _이나영



3부 트랜스내셔널 코리아

이주노동자 운동과 트랜스내셔널 코리아 _이진경

누가 민족문학을 두려워하랴: 트랜스내셔널리즘 시대의 민족문학론 _윤성호

해외동포를 겨냥한 초국가적 정책: 문화 정체성 형성, 세계화, ‘같은 민족’으로서의 ‘동포’라는 개념 _손희주



찾아보기

접기
책속에서
P.6
식민지 희생자 의식에서 비롯된 궁정 역사학
궁정 역사학의 국가주의적 코드는 기실 새로울 것도 없다. 국가적 정통성을 뒷받침해온 근대 역사학 주류의 부끄러운 역사에서 그것은 별반 새삼스러운 일도 아니다. 문제는 이 국가주의적 역사 해석이 위로부터 강제되었을 뿐만 아니라, 아래로부터의 동의를 이끌어내는 헤게모니적 효과를 지니고 있다는 점이다. 한반도의 경우, 우리 모두 식민주의의 희생자였다는 널리 퍼져 있는 역사(무)의식과 접목되면서 국가주의적 역사 해석의 헤게모니적 효과는 더욱 증폭되어 왔다. 남이나 북이나 또다시 식민주의의 희생자가 되지 않기 위해서는 먼저 국가를 강화해야 한다는 권력의 논리가 해방 직후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상당한 호소력과 설득력을 행사해왔다.〈‘반(反)기념’의 역사학을 위해〉중에서
P.37
전 국가적 차원에서의 ‘국민 만들기’
국가권력의 온존을 위해서 국가 안보를 과장하다 보면 개인의 인권이 심각하게 침해될 소지가 높다는 점은 조금도 고려되지 않는다. 다만, ‘국가’를 초월적 정당성을 지닌 조직으로 상정하고, 여기에서 이탈하는 개인들을 ‘비국민’으로 가차 없이 배제하는 지적 메커니즘만이 작동하고 있을 따름이다. 개인주의가 이기주의와 ‘자연스럽게’ 동일시되는 지점에서 근대사상의 굴절 또는 왜곡을 목격할 수 있거니와, 이는《태극학보》에서만 찾아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장응진을 비롯한 많은 필자들의 사상적 토대가 되었던 기독교도 예외 없이 ‘국민 만들기’에 적극적으로 동원된다. 기독교 사상의 한국적 변용의 일례라 할 수 있다.
〈근대계몽기 ‘국민’ 담론과 ‘문명국가’의 상상〉중에서
P.57
조선인 민족성에 대한 논의
안확은 ‘조선인 민족성’의 일곱 가지 “근본적 특성” 가운데 하나로 “평화 낙천”을 언급했다. 조선인을 멸시하는 일본인들이 들먹이는 ‘겁나(怯懦)’를 그는 “평화”라는 긍정적 측면으로 대체, 승화시킨 것이다. 그에게는 “술과 웃음, 농담, 호탕함”을 수반했던 농민들의 “낙천적 평화로움”은 ‘싸움’이나 ‘흥정’ 등 자기 의사 관철의 적극적인 방편을 전혀 쓰지 않는 것을 의미하지 않았다. 그가 본 조선인들은 “쾌활하고 활동적이고 매우 간섭적”이었다. 즉 타인의 일을 소극적으로 방관하지 않고 늘 만류, 조언 등의 형태로 “쾌활하게” 말려드는 것을 좋아한다는 것이었다. 활발하고, 호탕하고, 만사에 적극적인 조선인들이 죽음에 대해서도 특별한 공포가 없고 죽은 자와 산 자가 같은 세상에서 공생한다고 생각한다는 것은 안확이 본 조선인의 “평화적 낙천 정신”이었다.〈민족의 위대성과 타민족의 정복〉중에서
P.143-144
‘교린’이라는 틀 속에 숨겨진 민족주의의 욕망
근대 한국사학의 ‘교린’이라는 틀은, 여진에 대해 ‘가해자’일 수 있는 조선을 선의의 ‘피해자’로 묘사함으로써 조선이 근대화 과정 속에서 피해자였다는 입장을 계속 주장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였고, 동시에 문화적으로는 조선이 훨씬 앞선 문화를 전파해줌으로써 이들이 선진문명을 받아들이는 데에 도움을 주었다는 점을 강조해왔다. 그러한 점에서 ‘교린’이라는 학문적 틀은, 근대 한국사학이 고구려, 고려를 ‘제국’으로 파악하면서 여진을 타자화했던 시각과 겉은 다르게 보일지도 모르지만, 본질적으로는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조선 전기의 조선-여진 관계를 ‘교린’이라는 틀로 이해하려는 시각은, 겉으로는 조선을 외침의 ‘피해자’로 묘사해오면서도 그 불투명한 내부에 조선이 15세기에 여진에 대해 추구했던 정책들의 침략적 속성을 은폐하려는, 민족주의의 위선과 욕망을 숨기고 있는 학문적 틀이라는 비판을 받을 만하다고 생각된다.〈근대 한국의 역사 서술과 타자화된 여진족〉중에서
P.199
현모양처론의 전통적 재현
현모양처 논리가 전개되는 보다 중요한 방식은 조선 민족의 발전이라는 민족주의적 정서에 호소하는 것이었다. 이는 민족개량론자인 이광수의 처, 허영숙의 글에 가장 잘 드러난다. 직업이 의사인 그녀는 조선의 대표적 신여성이자 현모양처론자였다. 허영숙은 민족의 개량, 발전, 자립이라는 측면에서 현모양처의 역할에 주목했다. 그의 논리 구조는 다음과 같다. 조선을 다시 세우고 그 조선을 유지할 수 있는 강한 민족이 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조선 민족을 구성하는 분자인 각개의 여성과 남성, 그 국민이 힘이 있게 되어야한다. 민족의 힘은 그 민족의 육체적 건강과 지능과 덕성이라는 세 가지 요소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므로 이를 향상시키는 것이 민족의 힘을 기르는 첩경이다. 그런데 이 세 가지는 아동기에 그 기초가 만들어진다. 바로 여기에서 자녀 양육자이자 교육자인 어머니의 중요성이 제기된다는 것이다.〈식민지 시기 ‘현모양처’론과 ‘신여성’〉중에서
더보기
추천글
조선일보: 조선일보 Books 북Zine 2011년 7월 9일자 '한줄 읽기'
저자 소개
지은이: 임지현 저자파일  신간 알림 신청
최근작 : <기억 전쟁>,<촛불 너머의 시민사회와 민주주의>,<지그문트 바우만을 읽는 시간> … 총 30종 (모두보기)
서강대학교에서 역사학과 철학을 전공하고, 동 대학원에서 〈마르크스·엥겔스와 민족문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양대학교 사학과를 거쳐 현재 서강대학교 사학과 교수이며, 트랜스내셔널인문학연구소 창립 소장이다. 바르샤바 대학, 하버드-옌칭연구소, 프랑스 고등사회과학원, 베를린 고등학술원, 파리 2대학, 빌레펠트 대학, 히토츠바시 대학 등에서 초청·방문 교수를 지냈으며, 현재 ‘글로벌 히스토리 국제네트워크(NOGWHISTO)’ 회장, ‘토인비재단’과 ‘세계역사학대회’ 등 국제학회의 이사로 있다. 폴란드 근현대사와 유럽 지성사에서 출발해 트랜스내셔널 히스토리로 학문적 관심을 넓혀온 그는 ‘일상적 파시즘’, ‘대중독재’, ‘국사의 해체’, ‘희생자의식 민족주의’ 등의 독창적 연구를 통한 신선한 문제의식으로 한국 지식사회의 담론장을 흔들었다. 현재 그는 민족주의적 기억을 탈영토화해 초국적 연대를 지향하는 동아시아의 기억 문화를 탐색하는 데 학문적 실천의 주안점을 두고, ‘역사가’에서 ‘기억 활동가’로 변신을 꾀하고 있다. 수십 편의 학술논문 외에 《마르크스·엥겔스와 민족문제》, 《민족주의는 반역이다》, 《오만과 편견》, 《세계사 편지》, 《우리 안의 파시즘》(공저), 《역사를 어떻게 할 것인가》 등을 펴냈고, 《근대의 국경과 역사의 변경》, 《대중독재》 1~3, 《프랑스 혁명사 3부작》 등 다수의 책을 엮고 우리말로 옮겼다. 국외에서는 《Palgrave series of mass dictatorship》 총서(총 5권)를 책임 편집했으며, 미국·일본·독일·폴란드·프랑스 등 해외 유명 저널에 50여 편의 논문을 기고했다.
지은이: 정선태 저자파일  신간 알림 신청
최근작 : <지배의 논리 경계의 사상>,<백석 번역시 선집>,<1898, 문명의 전환> … 총 37종 (모두보기)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현재 국민대학교 글로벌 인문대 한국어문학부 교수로 재직하며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저서로 《개화기 신문 논설의 서사 수용 양상》, 《심연을 탐사하는 고래의 눈: 한국 근대문학의 형성과 그 외부》, 《근대의 어둠을 응시하는 고양이의 시선: 번역·문학·사상》, 《지배의 논리 경계의 사상》 등이 있으며, 역서는 《동양적 근대의 창출: 루쉰과 소세키》, 《일본 문학의 근대와 반근대》, 《가네코 후미코: 식민지 조선을 사랑한 일본 제국의 아나키스트》, 《일본어의 근대》, 《도조 히데키와 천황의 시대》, 《기타 잇키》, 《쇼와 육군》, 《영속패전론》(공역), 《속국 민주주의론》 등이 있다.
지은이: 박노자 저자파일  신간 알림 신청
최근작 : <전환의 시대>,<한국지성과의 통일대담>,<러시아 혁명사 강의 (리커버 에디션)> … 총 87종 (모두보기)
노르웨이 오슬로 국립대학교 한국학과 교수. 한국 고대사와 불교사 등을 연구했고 지금은 근대사, 특히 공산주의 운동사에 몰입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당신들의 대한민국』(1·2) 『우승열패의 신화』 『주식회사 대한민국』 등이 있다.
지은이: 황병주 저자파일  신간 알림 신청
최근작 : <호모 에코노미쿠스, 인간의 재구성>,<박정희 시대의 새마을운동 (반양장)>,<한국현대 생활문화사 세트 - 전4권> … 총 17종 (모두보기)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관이다. 한국 현대사를 전공했고 한국의 근대적 변화 과정, 특히 자본주의와 자유주의의 역사적 형성 과정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1970, 박정희 모더니즘』, 『백 년 동안의 진보』를 함께 썼고, 주요 연구로는 「1960년대 지식인의 68운동 담론」, 「해방 공간 한민당의 ‘냉전 자유주의’와 사유재산 담론」, 「1950~60년대 엘리트 지식인의 빈곤 담론」, 「해방 이후 우익정치의 계보학과 주체 형성」 등이 있다.
지은이: 이나영 저자파일  신간 알림 신청
최근작 : <2015 위안부 합의 이대로는 안 된다>,<제국의 변호인 박유하에게 묻다>,<조국 근대화의 젠더정치> … 총 4종 (모두보기)
미국 University of Maryland(College Park)에서 여성학으로 박사학위 취득. George Mason University 여성학과 교수를 거쳐 현재 중앙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부설 전쟁과여성인권센터 운영이사, 여성가족부 일본군 위안부 유네스코 등재 자문위원 등을 지냈고, 현재 일본군‘위안부’연구회 총무. 주요 논문으로 “한국사회의 중층적 젠더 불평등: ‘평등 신화’와 불변하는 여성들의 위치성”, “The Korean Women’s Movement of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Navigating between Nationalism and Feminism” 등. 주요 연구주제는 섹슈얼리티, 페미니즘 이론, 젠더와 민족주의, 탈식민주의.
지은이: 이영재 저자파일  신간 알림 신청
최근작 : <아시아적 신체>,<근대 한국, 제국과 민족의 교차로>,<제국 일본의 조선영화> … 총 3종 (모두보기)
성균관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영화 월간지 <KINO> 기자로 일했으며 도쿄대 총합문화연구과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에서 프로그래머로 일했고 현재는 성균관대, 서울대 등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제국일본의 조선영화>(현실문화연구, 2008), <帝國日本の朝鮮映畵>(三元社, 2013), <トランスナショナルアクション映畵>(東京大學出版會, 2016), East Asian Cinemas1939-2018(Kyoto University Press and Trans Pacific Press, 2019, 공저) 등이 있다.
지은이: 와타나베 나오키 저자파일  신간 알림 신청
최근작 : <임화문학 비평>,<전쟁과 극장>,<근대 한국, 제국과 민족의 교차로> … 총 5종 (모두보기)
일본 무사시대학 교수. 전공은 한국 근현대문학. 1965년 도쿄 출생. 일본 게이오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한 후에 일본 출판사에서 편집자로 근무했다. 1994년에 동국대학교 대학원에 입학, 1998년 여름에 동 대학원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고려대학교 국제어학원 초빙전임강사를 거쳐서 2005년부터 무사시대학에서 가르치고 있다. 2011년에 UC San Diego에서, 2018년에 고려대학교에서 각각 Visiting scholar를 역임했다. 2017년 2월에 「임화 문학론 연구」로 동국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최근 한국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표상 공간의 담론 형성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The Colonial and Transnational Production of “Suicide Squad at the Watchtower” and “Love and the Vow””(Cross-Currents, Vol.2, No.1,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3)가 있으며, 공저로 <전쟁과 극장?전쟁으로 본 동아시아 근대 극장의 문화정치학>(소명출판, 2015), <전쟁하는 신민, 식민지의 국민문화>(소명출판, 2010), <이동하는 텍스트, 횡단하는 제국>(동국대 출판부, 2011), <근대한국, 제국과 민족의 교차로>(책과함께, 2011) 등이 있다.
지은이: 정다함 저자파일  신간 알림 신청
최근작 : <근대 한국, 제국과 민족의 교차로> … 총 1종 (모두보기)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 HK연구교수. 주요 논저로는 〈조선 초기 野人과 對馬島에 대한 藩籬·藩屛 인식의 형성과 敬差官의 파견〉(《동방학지》141), 〈麗末鮮初의 동아시아 질서와 朝鮮에서의 漢語, 漢吏文, 訓民正音〉(《한국사학보》36), 〈‘事大’와 ‘交隣’과 ‘小中華’라는 틀의 초시간적인 그리고 초공간적인 맥락〉(《한국사학보》42) 등이 있다.
지은이: 홍양희 저자파일  신간 알림 신청
최근작 : <일제의 식민지배와 재조일본인 엘리트>,<트랜스내셔널 지구공동체를 향하여>,<‘성’스러운 국민> … 총 11종 (모두보기)
한양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했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전공은 가족사와 젠더사/여성사이다. 2018년 현재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논저로는 『조선풍속집: 제국의 경찰이 본 조선풍속』(역서, 민속원, 2011), 『고아, 족보 없는 자: 근대, 국민국가, 개인』(편저, 책과함께, 2014), 『성(聖/性)스러운 국민: 젠더와 섹슈얼리티를 둘러싼 근대 국가의 법과 과학』(편저, 서해문집, 2017), 「식민지시기 ‘의학’ ‘지식’과 조선의 ‘전통’: 쿠도(工藤武城)의 “婦人科學”적 지식을 중심으로」(『의사학』22-2, 2013), 「A Dangerous Tradition: Chohon Discourses and Population Management in Colonial Korea」(Acta Koreana, 2016) 등이 있다.
지은이: 오웬 밀러 저자파일  신간 알림 신청
최근작 : <근대 한국, 제국과 민족의 교차로> … 총 1종 (모두보기)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Robinson College, Cambridge University)의 연구 펠로우(Research Fellow). 주요 논저로는 〈시전-국가 간 거래와 19세기 후반 조선의 경제 위기-면주전 상인을 중심으로〉(《조선후기 재정과 시장》), “Marxism and East Asian History: From Eurocentrism and Nationalism to marxist Universalism”(Marxism 21, Vol. 7, No. 3), Selected Writings of Han Yongun: From Social Darwinism to ‘Socialism with a Buddhist Face’(London, global Oriental, 2010) 등이 있다.
지은이: 이진경 저자파일  신간 알림 신청
최근작 : <문학을 부수는 문학들>,<서비스 이코노미>,<근대 한국, 제국과 민족의 교차로> … 총 4종 (모두보기)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학 문학학과 한국문학과 비교문학 전공 부교수. 『서비스 이코노미』를 썼다. 식민지시대 민족주의 문화와 정치, 포스트식민시대 한국의 군사주의와 개발, 젠더와 민족의 재현, 한국의 아시아인 노동-이주, 한국(인)의 디아스포라 등을 연구한다.
지은이: 윤성호 저자파일  신간 알림 신청
최근작 : <Transgressive Spatial Imagination in the 20th-Century American Novel>,<언더독의 글쓰기>,<근대 한국, 제국과 민족의 교차로> … 총 3종 (모두보기)
서울대학교 영문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미국 매사추세츠대학 영문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양대학교 영문과 교수이다. 첫 저서 『언더독의 글쓰기: 아시아계 미국문학의 지형학』으로 2012 한국영어영문학회 학술상을 수상했다. ‘미국’이라는 복잡다단한 기호의 의미를 이해하고 미국문화의 핵심에 다가서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지은이: 손희주 저자파일  신간 알림 신청
최근작 : <근대 한국, 제국과 민족의 교차로> … 총 1종 (모두보기)
서강대학교 사학과 조교수. 주요 논저로는 “Casting Diaspora: Cultural Production and Korean Identity Construction”, “Cultural Identity, Diasporic Art, and Segyehwa: Yong Soon Min and Nathalie Lemoine” 등이 있다. 현재 디아스포라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비교역사문화연구소 저자파일  신간 알림 신청
최근작 : <기억과 전쟁> … 총 6종 (모두보기)
한양대 비교역사문화연구소(RICH: Research Institute of Comparative History and Culture)는 '제국과 민족', '자본과 노동', '독재와 민주주의', '근대와 탈근대'등 한국 사회의 이론적 쟁점과 현실적 이슈들을 비교사의 관점에서 고찰한다는 취지로 설립되었다. 연구소의 다양한 프로젝트들은 서구의 역사적 경험을 '보편'으로 설정하고 그 거울에 비추어 한반도의 특수한 역사적 경험을 '특수'로 자리매김하는 유럽중심주의적 비교사의 틀을 넘어서, 한반도와 동아시아 그리고 서구의 역사를 '얽혀 있는 역사(Histoire Croisee)'라는 관점에서 접근한다.
출판사 제공 책소개
‘근대 한국, ‘제국’과 ‘민족’의 교차로’라는 이 책의 제목은 식민지 지배의 경험이 식민자와 피식민자를 어떻게 연결시키고 또 어떻게 상호 영향을 주었는가를 모색한다는 의미를 안고 있다. 제국이 식민지를 만들고 지배한 측면도 있지만, 제국 자체가 식민지 지배라는 제국적 프로젝트의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제국과 민족, 식민자와 피식민자는 상호적이다. 제국으로부터 식민지로의 문화적 전이, 제국과 식민지의 공모성, 피식민지인들에 의한 ‘공모의 전유’, 주변부 민족주의와 서구중심주의의 인식론적 공모관계 등 제국과 식민지가 주고받는 상호 관계는 근대의 세계사적 전개라는 큰 맥락에서 고찰할 수밖에 없다.
-본문 중에서

기획 의도

‘반(反)기념’의 역사학을 위해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건국 60주년을 ‘반(反)기념’하기 위해 2008년 8월 8일부터 8월 9일까지 국제학술회의 ‘Modern Korea at the Crossroads between Empire and Nation’을 개최하였다. 이 책은 국제학술회의의 성과물을 수정ㆍ보완한 것으로 임지현을 비롯해 박노자, 황병주 등 12명의 전문학자들이 트랜스내셔널한 시각에서 근대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분석한 것이다. ‘반기념’이라는 것은 ‘과거를 잊어버리자’, 혹은 ‘기념하지 않겠다’는 의미가 아니라 그동안 국가 권력의 정통성을 옹호하는 데에만 치중했던 궁정역사학에서 벗어나자는 의미를 담고 있다. 대한민국에는 해방 이후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식민주의의 희생자가 되지 않기 위해 국가를 강화하려는 논리가 팽배했다. 식민지의 기억은 지우고 싶은 기억이면서 동시에 해방 이후 한반도에 탈식민적 권력의 자산으로 작동해왔다. 임지현은 이런 식민주의의 희생자 의식에는 제국에 대한 동경이 무의식적으로 감추어져 있다고 지적한다. 제국의 힘에 대한 동경과 힘이 없어 제국이 되지 못하고 식민지로 전락할 수밖에 없었던 데 대한 회환이 희생자 의식의 밑바닥에 숨어 있다는 것이다. 이 책은 이러한 제국을 욕망하는 식민지인들의 시선에 대한 일정한 문제의식을 공유하면서 서로 다른 문제들을 제기하는 것으로 시작하고 있다.

한국의 근대와 근대성 새로이 고찰 시도
한국의 근대를 성찰할 때에 ‘제국주의’와 ‘민족주의’의 대립은 국가권력의 장으로 끊임없이 거론되어 왔다. 이 책 《근대 한국, ‘제국’과 ‘민족’의 교차로》에서는 한국의 근대 담론을 읽는 두 가지 키워드, 제국주의와 민족주의라는 틀 안에서 그동안 제국주의의 피해자로만 인식해왔던 시각에서 벗어나 민족주의에 내재된 제국주의의 속성을 밝히고 제국과 식민지가 주고받는 상호 관계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다만 임지현이 지적한 바와 같이 여전히 식민지에서 제국으로 전이된 문화적 작용이 누락된 채 제국에서 식민지로의 일방적 문화 전이가 주요 분석 대상이고 트랜스내셔널 역사학을 지향하면서도 대체로 한반도에 집중하여 분석하였다는 점에서는 아직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트랜스내셔널 인문학 연구 프로젝트의 생산기지로 꼽히는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가 트랜스내셔널한 시각에서 근대 한국을 바라보고 식민지의 과거와 탈식민의 현재에 대해 고찰하려고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는 학술서라 할 것이다.


주요 내용

문화적으로 전이된 제국을 향한 욕망
이 책은 12편의 개별 글들을 묶어 총 3부로 구성하고 있다. 1부 ‘제국을 욕망하는 역사적 상상’에서는 제국을 욕망하는 식민지인들의 시선에 대한 문제의식을 일정하게 공유하면서 서로 다른 문제들을 제기하고 있다. 정선태는《태극학보》를 중심으로 근대계몽기 국가와 국민이 상상되는 방식을 추적한다. 흥미로운 것은 미국과 일본으로부터 한반도로의 문화적 전이뿐만 아니라 개발독재 시대의 국민교육헌장으로 이어지는 식민과 탈식민을 잇는 문화적 전이도 발견된다는 점이다. 박노자는 청일전쟁의 승리에 도취한 니토베 이나조(新渡戶稻造)가 고안한 ‘무사도’가 양계초의《음빙실문집》을 거쳐 안확의 고구려 ‘무사정신’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추적한다. 이영재는 징병재 선전영화〈조선해협〉에서 남성의 출정이 애인과의 사랑을 완성하기 위한 일로 묘사되고 있는 등 국가의 부름이 남녀 모두에게 국민에의 길을 의미하는 것으로 묘사되고 있음을 분석하고 있다. 정다함은 식민지기 제국에 대한 욕망이 노골적으로 드러나기 보다는 ‘타국의 침략을 받았으나 정작 자신들은 침략을 모르는 평화로운 민족’이라는 역사 서사와 결합하기도 한다고 주장하며 조선-여진 관계를 중심으로 이를 고찰한다.

식민과 탈식민의 연속성에 문제제기
2부 ‘반식민과 탈식민의 경계에서’는 식민과 탈식민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에 대해 문제의식을 담은 5편의 글을 묶었다. 홍양희는 제국주의 침략과 식민지라는 역사적 조건에서 현모양처 여성상이 전통적 여성상으로 재구성되는 과정과 원인에 대해 분석한다. 와타나베 나오키는 문학평론가 임화의 이식문화론을 통해 한국 문학이 자율적으로 발전해왔다기보다 외국 문학의 모방과 의식의 제작 주체로서의 조선의 이중성을 분석한다. 오웬 밀러는 마르크스주의 역사 서술조차도 민족주의와 서구 중심주의의 인식론적 공모관계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는 비판적 관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다. 황병주는 박정희 개발독재 체제의 근대화 담론에 내재된 선진성에 대한 열망과 후진국 콤플렉스에 대해 고찰한다. 이나영은 해방 이후 남한에서의 기지촌 여성의 호명 방식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젠더를 매개로 한 식민주의와 민족주의의 암묵적 동조관계가 해방 이후 기지촌 여성을 재구성하는 데 작동했는가에 대해 추적한다.

탈식민적 상황에 대한 새로운 이해 제시
3부 ‘트랜스내셔널 코리아’는 미국과 한국의 비교를 통해 탈식민적 상황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돕고 있다. 이진경은 미국과 한국이 모두 인종주의적 위계질서에 따라 차등화되고 불평등한 노동력 수급 정책을 유지하면서 그 불평등의 구조를 문화적 영역에 한정해서 해결하려는 ‘인종차별적 국가의 다문화주의’라는 특징을 공유하고 있다고 분석한다. 윤성호는 한국 민족문학, 특히 백낙청의 민족문학론을 미국의 트랜스내셔널리즘에 대한 비판적 관점에서 살펴본다. 손희주는 점차 인종이 다양화되고 있는 가운데 여전히 학계 담론이나 언론 등에서는 민족국가의 단일성과 민족문화 정체성을 강조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한국이 세계화를 지향하는 초국가적인 맥락 속에서 동포라는 개념이 민족국가라는 이데올로기하에서 국가적 개발과 이익을 위해 어떻게 활용되었는지에 대해 고찰한다.접기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