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7-19

알라딘: 연극과 영화를 통해 본 북한 사회 - 북한의 대중문화, 살림지식총서 408



알라딘: 연극과 영화를 통해 본 북한 사회 - 북한의 대중문화, 살림지식총서 408




[eBook] 연극과 영화를 통해 본 북한 사회 - 북한의 대중문화, 살림지식총서 408 | 살림지식총서 408
민병욱 (지은이)살림2012-06-08

























전자책 미리 읽기 종이책으로 미리보기


종이책
3,300원 2,970원 (160점)
전자책정가
1,900원


종이책 페이지수 96쪽

책소개
살림 지식총서 408권. 북한의 다양한 연극과 영화를 중심으로 그들의 사회가 어떤 이데올로기를 가지고 문화를 형성, 발전시켜왔는지 살펴볼 수 있는 책이다. 예술이 곧 정치 이념이며, 혁명의 주제만이 통용되는 고집불통의 문화. 하지만 이러한 불변의 문화를 살펴보는 동안, 역설적이게도 우리는 현재 대중문화의 참된 의의를 되새기고, 대중문화의 자율성에 대해 더욱 심도 깊은 논의를 나누게 될 것이다.


목차


예술의 종류
연극의 종류와 제작, 검열
「피바다」식 혁명가극과 5대 혁명가극
「성황당」식 혁명연극과 5대 혁명연극
민족가극의 재발견
경희극과 극 작품들
영화의 종류와 제작, 보급
민족예술영화와 「아리랑」
다부작 영화와 「조선의 별」
정탐물 영화와 가족영화
다부작 「민족과 운명」과 가벼운 장르 영화
탈북자가 뽑은 최고의 북한 영화



책속에서



P. 4 북한에서 예술이란 사회현실을 반영하고 사람들을 사상 정서적으로 교양하는 사회적 이데올로기다. 곧 예술은 주체사상을 교양하는 사회적 도구다. 예술이 이데올로기적 도구로 작동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사람과 그 생활을 현실 그대로의 모습대로 그리는 과정, 즉 ‘형상화’ 과정이다. 이는 달리 표현하면 형상대상, 형상수단, 형상방식의 ... 더보기
P. 11~12 여기서 더 중요한 것은 가요를 가극화하는 내용이다. 이는 혁명적 대작의 내용을 말한다. ‘혁명적 대작을 더 많이 창작하자(1963.11.5).’에서 말하는 ‘혁명적 대작’은 역사적 사건을 줄거리로 조선혁명의 발전과 함께 투쟁 속에서 자라나는 주인공들의 전형적인 모습을 그려낸 것이다. 특정한 묘사방식이나 형상 수단에 관계없이 소설,... 더보기
P. 48~49 영화예술론에서는 영화의 사회적 소통과정을 ‘영화문학의 창작 → 영화예술의 제작 → 국가 및 당의 보급’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소통과정은 당 조직의 지시에 따라 행정조직을 거쳐 사회단체로 전달되면서, 그 작가가 구성원으로 소속되어 있는 집단에 의해 이루어진다. 당 조직은 영화예술과, 예술지도과, 선동과를 하부조직으로 가지고 있... 더보기



저자 및 역자소개
민병욱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2016년 현재 부산대학교 국어교육과 및 대학원 예술문화와 영상매체 협동과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1983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문학평론에 당선하여 문학 평론과 연극 평론 활동을 하면서 문화예술축제에 관련된 일들에 참여하기도 했다. 1991년 동 대학교 대학원에서 <1920년 전반기 한국 희곡문학의 연극기호학적 연구>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 이후 중국 중앙민족대학교, 일본 동북대학교, 태국 방콕대학교, 슬로베니아 류블랴나 대학교에 방문교수 혹은 자문교수 등으로 재직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문화예술비평 활동을 ... 더보기


최근작 : <오래된 미래도시>,<부산 희곡 문학의 재발견>,<이슬람에 두고 온 이야기> … 총 35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주체사상을 교양하는 사회적 도구
연극과 영화를 통해 북한 사회를 들여다보다

▶ 내용 소개
우리의 예상과는 달리 북한에서도 연극이나 영화 제작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다만 그 제작의 지향점이 보통의 경우와 많이 다르다. 북한의 예술은 사회현실을 반영하고 사람들을 사상 정서적으로 교양하는 사회적 이데올로기로 작용하며, 고(故)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혁명적이며 사회주의적인 내용을 담고 있으므로 하여 사람들을 주체의 혁명 세계관으로 튼튼히 무장시키며, 우리 시대의 인간 전형을 내세워 사람들로 하여금 어떻게 살고 일하며 투쟁해야 하는가를 가르쳐줌으로써 당원들과 근로자들의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되는 투쟁의 무기, 생활의 교과서가 되어야 한다."는 말에서 북한 예술의 지향점을 찾을 수 있다. 결국 북한의 모든 대중문화에는 북한의 정치이념이 스며들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책 <연극과 영화를 통해 본 북한 사회>는 북한의 다양한 연극과 영화를 중심으로 그들의 사회가 어떤 이데올로기를 가지고 문화를 형성, 발전시켜왔는지 살펴볼 수 있는 책이다. 예술이 곧 정치 이념이며, 혁명의 주제만이 통용되는 고집불통의 문화. 하지만 이러한 불변의 문화를 살펴보는 동안, 역설적이게도 우리는 현재 대중문화의 참된 의의를 되새기고, 대중문화의 자율성에 대해 더욱 심도 깊은 논의를 나누게 될 것이다.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