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2-06

One Left: A Novel : Soom, Kim, 김숨의 위안부 소설 『한 명』

One Left: A Novel : Soom, Kim, Fulton, Bruce, Fulton, Ju-Chan: Amazon.com.au: Books


One Left: A Novel Paperback – 15 September 2020
by Kim Soom (Author), Bruce Fulton  (Translator), & 1 more
4.6 out of 5 stars    12 ratings
See all formats and editions
Kindle
$14.57
Read with Our Free App
 
Hardcover
$160.99 
7 New from $160.00
 
Paperback
$37.38 
13 New from $36.20
During the Pacific War, more than 200,000 Korean girls were forced into sexual servitude for Japanese soldiers. They lived in horrific conditions in "comfort stations" across Japanese-occupied territories. Barely 10 percent survived to return to Korea, where they lived as social outcasts. Since then, self-declared comfort women have come forward only to have their testimonies and calls for compensation largely deni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Kim Soom tells the story of a woman who was kidnapped at the age of thirteen while gathering snails for her starving family. The horrors of her life as a sex slave follow her back to Korea, where she lives in isolation gripped by the fear that her past will be discovered. Yet, when she learns that the last known comfort woman is dying, she decides to tell her there will still be "one left" after her passing, and embarks on a painful journey.

One Left is a provocative, extensively researched novel constructed from the testimonies of dozens of comfort women. The first Korean novel devoted to this subject, it rekindled conversations about comfort women as well as the violent legacies of Japanese colonialism. This first-ever English translation recovers the overlooked and disavowed stories of Korea's most marginalized women.

Read less
Print length
224 pages
Language
English
Publisher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Next page

Female authors
Books written or inspired by women See more
Frequently bought together
One Left: A Novel+Tower+Seven Years of Darkness
Total Price:$92.48
Add all three to Cart
Some of these items ship sooner than the others.
Show details

This item: One Left: A Novel
by Kim Soom
Paperback
$37.38

Tower
by Myung-hoon Bae
Paperback
$22.11

Seven Years of Darkness
by You-jeong Jeong
Paperback
$32.99
 
Customers who viewed this item also viewedPage 1 of 6Page 1 of 6
Previous page
Please Look After Mom
Please Look After Mom
Kyung-Sook Shin
4.4 out of 5 stars 499
Paperback
$26.63
Seven Years of Darkness
Seven Years of Darkness
You-jeong Jeong
4.2 out of 5 stars 78
Paperback
$32.99
 FREE Delivery
Tower
Tower
Myung-hoon Bae
4.4 out of 5 stars 17
Paperback
$22.11
To the Warm Horizon
To the Warm Horizon
Choi Jin-young
3.5 out of 5 stars 2
Paperback
$30.57
The Disaster Tourist: Winner of the CWA Crime Fiction in Translation Dagger 2021
The Disaster Tourist: Winner of the CWA Crime Fiction in Translation Dagger 2021
Yun Ko-Eun
3.7 out of 5 stars 132
Hardcover
$22.12
 FREE Delivery
Next page
Product description
Review
All credit then, to author, translators and publisher for bringing this important book to us.

--London Korean Links

[A] landmark -- the first novel dedicated to depicting comfort women, a topic that invokes as much weariness as it does outrage among today's public. Though a work of fiction, Kim Soom's story is based on exhaustive research and testimonies given by actual comfort women...By rendering this topic in the form of a novel, Kim injects a new sense of emotional urgency in recognizing these very real and hauntingly painful experiences.

--International Examiner

[S]ynthesizes acute personal memories with painful history, straddling the line between fact and fiction. The result is a gut-wrenching narrative.

--Korean Herald

This Korean novel dramatizes, with indelible force, the utter dehumanization of women confined to authoritarian patriarchal imprisonment.

--The Arts Fuse

This is a painful, powerful literary indictment of the systemic subjugation of Korean comfortwomen, whose own #MeToo movement has yet to be fully reckoned with, decades after the fact.

--Bookmonger

It may seem cliché to state that a novel is necessary. But this one really is.

-- (01/01/2020)

Though it is fiction, Kim Soom's novel is steeped in fact. One Left dignifies its subjects as an authentic memorial that makes an indelible mark on history.

-- (01/01/2020)

[An] exceptional novel... Soom captures the agonizing legacy of a dark chapter from the recent past.

-- (01/01/2020)

The process of directly confronting the comfort women's hellish experiences is truly painful. However, because the novel is not a product of the author's imagination but in fact based on historical reality, we cannot turn our heads away. No, we must not.

--Donga Ilbo

Through this story the author restores a past that has been erased by history and emphasizes the historical memory of what must never be repeated or forgotten.

--Daejon Ilbo
About the Author
Kim Soom is the prize-winning author of six story collections and nine novels. One Left is her first novel translated into English. Bruce and Ju-Chan Fulton have received awards and critical acclaim for their translations of Korean fiction, including Words of Farewell: Stories by Korean Women Writers.

Start reading One Left: A Novel on your Kindle in under a minute.

Don't have a Kindle? Get your Kindle here, or download a FREE Kindle Reading App.

Female authors
Books written or inspired by women See more
Product details
Publisher ‏ : ‎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5 September 2020)
Language ‏ : ‎ English
Paperback ‏ : ‎ 224 pages
ISBN-10 ‏ : ‎ 0295747668
ISBN-13 ‏ : ‎ 978-0295747668
Dimensions ‏ : ‎ 13.72 x 1.52 x 21.34 cm
Best Sellers Rank: 688,749 in Books (See Top 100 in Books)
===]
One Left
 Want to Read
Rate this book
1 of 5 stars2 of 5 stars3 of 5 stars4 of 5 stars5 of 5 stars
One Left
by Kim Soom, Bruce Fulton (Translation), Ju-Chan Fulton (Translation), Bonnie Bongwan Cho Oh (Foreword)
 4.54  ·   Rating details ·  85 ratings  ·  17 reviews
During the Pacific War, more than 200,000 Korean girls were forced into sexual servitude for Japanese soldiers. They lived in horrific conditions in "comfort stations" across Japanese-occupied territories. Barely 10 percent survived to return to Korea, where they lived as social outcasts. Since then, self-declared comfort women have come forward only to have their testimonies and calls for compensation largely deni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Kim Soom tells the story of a woman who was kidnapped at the age of thirteen while gathering snails for her starving family. The horrors of her life as a sex slave follow her back to Korea, where she lives in isolation gripped by the fear that her past will be discovered. Yet, when she learns that the last known comfort woman is dying, she decides to tell her there will still be "one left" after her passing, and embarks on a painful journey.

One Left is a provocative, extensively researched novel constructed from the testimonies of dozens of comfort women. The first Korean novel devoted to this subject, it rekindled conversations about comfort women as well as the violent legacies of Japanese colonialism. This first-ever English translation recovers the overlooked and disavowed stories of Korea's most marginalized women. (less)
GET A COPY
KoboOnline Stores ▾Book Links ▾
ebook, 192 pages
Published September 14th 2020 by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Original Title한 명
ISBN0295747676  (ISBN13: 9780295747675)
Edition LanguageEnglish
Other Editions (4)
One Left 
한 명 
One Left 
One Left
All Editions | Add a New Edition | Combine
...Less DetailEdit Details
FRIEND REVIEWS
Recommend This Book None of your friends have reviewed this book yet.
READER Q&A
Ask the Goodreads community a question about One Left
54355902. uy100 cr1,0,100,100 
Ask anything about the book
Be the first to ask a question about One Left

LISTS WITH THIS BOOK
Pachinko by Min Jin LeeGrass by Keum Suk Gendry-KimOne Left by Kim SoomWhite Chrysanthemum by Mary Lynn BrachtComfort Women and Sex in the Battle Zone by Ikuhiko Hata
Comfort Women Literature
42 books — 8 voters
Becoming by Michelle ObamaBorn a Crime by Trevor NoahMy Sister, the Serial Killer by Oyinkan BraithwaiteA Promised Land by Barack ObamaMexican Gothic by Silvia Moreno-Garcia
52 Book Club 2022: #50 A Person Of Color As The Main Character
316 books — 49 voters


More lists with this book...
COMMUNITY REVIEWS
Showing 1-16
 Average rating4.54  ·  Rating details ·  85 ratings  ·  17 reviews

Search review text


English ‎(16)
More filters | Sort order
Sejin,
Sejin, start your review of One Left

Write a review
yelenska
Jun 05, 2021yelenska rated it it was amazing
Shelves: jap-korea-china-viet
this book honestly destroyed me and im glad that I got to the end because I don't know how much more I could take. so heartbreaking to read this, both as a human being and (especially) as a woman. my head and my heart hurt from thinking of the constant abuse these girls went through.

Kim Soom was the first person to write a book about this touchy subject and she did with a lot of sensitivity. clearly, she documented herself very well so that she could give an accurate testimony of what comfort women (girls!) went through. however, before going into this, you must know that she doesn't beat around the bush: descriptions are very vivid. just like you would expect from Korean literature, violence is everywhere and the author does not try to hide it. not at all.

here's to hoping that their next lives will be filled with less horror and more joy. 💕 (less)
flag9 likes · Like  · 2 comments · see review
Queralt✨
Jan 12, 2021Queralt✨ rated it really liked it  ·  review of another edition
Shelves: japan, korea, fem-asian-authors
I have to be honest, I wish I hadn't read this at all.

It's a very important book and I had never read about comfort women (not this graphically and not with such exact depictions of what their lives were like during and after - upon a bit of digging, turns out this is one of the first books about comfort woman every written in fiction and translated), but, damn, I sleep easy at night knowing that the monsters in horror books are not real. I had to stop reading a few times because I was horrifie ...more
flag7 likes · Like  · comment · see review
Susan
Sep 16, 2020Susan rated it it was amazing
This is such an important novel. I’ll be reviewing it in the Asian Review of Books in the weeks to come.
flag4 likes · Like  · comment · see review
Arlene
Sep 24, 2020Arlene rated it it was amazing
Recommends it for: Any adult reader
Recommended to Arlene by: Friend
“One Left” is a chilling literary work describing the horrific abuses of “comfort women” in World War II. The protagonist, a fictional Korean survivor of seven years in Japanese military brothels, is now in her 90’s, living in present day South Korea. The structure of the novel takes the reader back and forth from the protagonist’s vivid memories of her captivity, to her current isolated life of fear that her past will be discovered. Throughout the novel, the atrocities are expressed through the voices of dozens of “comfort women” survivor testimonies, with extensive references to the primary sources. This important novel brings to attention the lesser known stories of a generation of marginalized Korean women, and is a valuable contribution to Korean literature in translation. (less)
flag3 likes · Like  · comment · see review
Katie Coren
May 08, 2021Katie Coren rated it really liked it  ·  review of another edition
As a child she believed the most frightening things were natural disasters that involved darkness, draught, or flooding. But after she turned 13 she learned the most frightening things are human beings.

This is not a book for the faint of heart. But this is an important book.

Kim Soon tells the story of an unnamed woman, the "one left", who at age 13 was kidnapped while collecting snails by the river. Forced into sexual slavery as a "comfort woman" for Japanese soldiers, she was just one of hundreds of thousands of young women and children, many of whom died in the most horrific ways imaginable. If a woman was lucky enough to survive, she was left with the after effects of the decade-ish long physical and mental abuses, many unable to lead normal lives, whether from shame or complications from things like syphilis.

Is it a sin if you're the only one who survives? Even if the place survived is hell?

The story's protagonist is now in her 90s living alone and undocumented in her nephew's dilapidated house. When a news segment runs a story on the last comfort woman who is finally coming forward with the grim details of what happened to her and the countless others like her during WWII, our lead realizes she, too, must come forward. After 70 years of silence, she must also give voice to what happened - to the atrocities that occurred - to say, "I'm a victim too".

One Left held nothing back. Nothing. It was a d i f f i c u l t book to read. Even at less than 200 pages I found that I had to put it down a few times to let what I read settle. This both is and is not a work of fiction, and having known little to nothing about the subjugation and trafficking of Korean women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ion of Korea during WWII, I was left completely mortified. I say this is an important book for many reasons, least of all due to the fact that to this day there is strong denial regarding these atrocities. Even today, in our "me too" age, victims of abuse have a hard time coming forward due to things like backlash, painful interrogations etc.; it was even harder in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for these comfort woman to come forward. They had no voice then. It is well past time they did.

4/5 ⭐
There were times this felt more like an academic text rather than a novel: at best it read like a mash-up of the two. This was actually addressed in the Afterword - they had a difficult time finding a publisher in part to this. I think the story could have been more immersive if it had swayed more towards a "novel" side rather than fictionalized rendition of the true story of comfort women.
This is not a book I want to read again, but I'm glad I did. There's some big-time trigger warnings for this one, but if you can manage it, I recommend you add it to your TBR.

"From a distance it is all too easy to consign awareness of historical outrages to a dim corner of our consciousness. Not until we are confronted with direct evidence of a disaster... are we forced to acknowledge the magnitude of the trauma and the urgency of the need for healing."

📚For more, check out my Instagram📚 (less)
flag2 likes · Like  · comment · see review
Miriam
Jul 29, 2021Miriam rated it really liked it
This novel uses the testimony of actual "comfort women" to create a horrifyingly accurate "fictional" picture of the experiences of the young girls (children as young as 12 or 13) who served as sex slaves for the Japanese military personnel during WWII. While this book was hard to read, it was well-written (even through translation), and gave witness to an important historical tragedy. (less)
flag2 likes · Like  · comment · see review
Amanda
Feb 24, 2021Amanda rated it it was amazing
Powerful, heavy, and heartbreaking.
flag2 likes · Like  · comment · see review
Stephen A.
Oct 11, 2020Stephen A. rated it it was amazing
“One Left” is a powerful Korean novel written by author Kim Soom. It tells the stories of a number of young Korean girls - some as young as 11 or 12 years old - who were pressed into sexual slavery by the Japanese military during the Pacific War. The girls were either forcibly kidnapped or their parents were lied to about where their girls would be taken and what they would be doing when they got there. After being transported to a “comfort station” in Manchuria, the girls suffered a hellish lif ...more
flag1 like · Like  · comment · see review
Paul
Jun 07, 2021Paul rated it really liked it  ·  review of another edition
Incorporating endnotes throughout that reference real-life accounts, Kim's novel offers one of the first South Korean retellings of the "comfort women" atrocity, where 200,000 young girls were forcibly removed from cities and villages and taken to Japanese military locations, and then forced into 40-70 acts of sexual servitude each day. Only 20,000 survived that bondage, and most were mute as to the violence when they returned home, choosing easier stories that glossed the infertility and syphilis that they now carried in them.
While the first half minutely tracks this horrific legacy, Kim's book also tracks the psychological devastation that lingers, where South Korean narratives of shame led to a consistent act of silence until the 1990s, and where even women's testifying to the brutality that they suffered led to friends and families retreating from them. Here, the main character realizes that the final survivors are all dying and soon there will be none (unless she speaks up) left. It doesn't go where you expect, but recommended to anyone who also considers the work of Tadeusz Borowski, Han Kang, or Anna Akhmatova.

In its willingness to have multiple (less)
flag1 like · Like  · comment · see review
Anastasia
Oct 28, 2020Anastasia rated it it was amazing
This is a wonderfully written novel that depicts the reality many Korean comfort women faced. Through the use of well-timed flashbacks, readers are shown the horrible living conditions and and scenes of mistreatment in stark detail. Many specific details are directly from real testimonies of victims, which in my opinion makes this novel even more significant. I would highly recommend this to anyone interested in learning more about Korean history as well as anyone interesting in sexual violence during war. (less)
flag1 like · Like  · see review
Tori Allen
May 01, 2021Tori Allen rated it it was amazing
200,000 Korean women were kidnapped and forced into sexual slavery for Japanese soldiers during WWII and only 20,000 are claimed to have survived... it was a fiction, literary piece with hard facts and first-hand stories placed throughout. Overall, a hard read - both because of the styling and the context - and I found myself spacing out at times, BUT still a remarkably well written book on a rare yet important topic.
flag1 like · Like  · comment · see review
Sreemoyee Sarkar
Jun 30, 2021Sreemoyee Sarkar rated it it was amazing  ·  review of another edition
An excruciatingly painful truth.
Most savage outcome of a war.
Men behaving beyond redemption.

It high time we accept and rewrite history with the actual truth instead of the fake glorification of uniformed men and their medal-flaunting leaders.
flag1 like · Like  · comment · see review
Adanna Onwuka
May 02, 2021Adanna Onwuka rated it it was amazing  ·  review of another edition
Beautiful and sad

Well written story that makes you cry and understand the life of comfort women. It is really sad and beautiful.
flag1 like · Like  · comment · see review
Nancy Jorgensen
Oct 29, 2021Nancy Jorgensen rated it it was amazing  ·  review of another edition
A Crucial Reckoning

Some stories are too terrible to be told. Perhaps that is why it took seventy-five years for One Left, by Kim Soom, to be written. Hers is the first Korean novel about Korean women captured as sex slaves during the Pacific War. Of 200,000 women and girls, stolen and enslaved, only 20,000 returned alive. It took decades for the cruelties to be acknowledged and the victims remembered. And, as is often true in sexual abuse, the sufferers’ own guilt and shame also perpetuated the silence.

As One Left begins, the 93-year-old protagonist hears a story on television introducing the only remaining comfort woman in Korea. The protagonist, called simply “she”, has never revealed her own survivor status. But now, if the woman on television dies, she will be the only one left.

She lives with her cat Nabi in a house that belongs to her nephew. The house, with an outdoor faucet and latrine, sits on a mere fifty-nine square yards of land. In an opening scene, she discovers a dead magpie lying next to her shoes—two Korean symbols that reappear throughout the story. As she wanders the streets, interacting in her neighborhood, we meet a beauty parlour woman; convenience shop owners; and an old man who cares for his disabled son by selling copper junk and captured kittens.

The kittens reappear too, serving as one of the story’s metaphors: “Just like the girls became the property of a haha, okusan, obason, or otosan after they were snatched and taken away while weeding the field, picking cotton, fetching water from the village well, returning home from washing laundry in the stream, heading to school or tending to their ailing father.”

Each of the protagonist’s present-day interactions sparks a flashback to Manchuria, where she was forced to work. In these interludes, we meet her friends—other girls taken, as young as thirteen, to service Japanese soldiers. In the 1930s and 1940s, these Korean girls were promised factory jobs, or simply kidnapped. Transported via truck or train, once in Manchuria they were forced to have sex with soldiers, physically abused for breaking the rules, induced into opium addiction, surgically maimed, and required to wash and reuse condoms. Their superiors charged them for food, menstrual pads, hot water, and heat, until, buried in debt, the girls could never buy their way out.

As a reader, I search novels for comparisons to my own life. In this case, my privileged circumstances bear no resemblance to the horrors exposed in the book. So, instead, I read to learn and empathize. There was much here to absorb about misogyny, cruelty, and hegemony.

The novel unearths a litany of atrocities, documented by Kim Soom’s extensive research. Chapter by chapter, graphic details come directly from testimonies of real-life comfort women. Information is identified by a footnote with sources listed at the end of the book.

Without melodrama, using the straightforward power of truth, Kim Soom reveals the barbarities. Yes, it is fiction, but corroborated by facts. “He told her to swallow his semen.”—“The bullet passed through her uterus. It didn’t kill her, but it left her like a rotten pumpkin down there.”—“To keep them from escaping, he had strung electric wire around the compound.”

One Left, translated by Bruce and Ju-chan Fulton, employs artful and evocative language, creating striking visual images: “As soon as she saw the girls emerging from the cargo bin, she started counting heads, like a rancher taking inventory of his livestock.”—“The sun was setting and the afterglow was blood red.”

Woven in and around wartime flashbacks and modern present-day, the woman on television reappears. Her story spurs the protagonist to consider. Was she right to remain silent? Is it time to speak up? Or is she still afraid of stigmatization and social exile?

How can she divulge the truth? And what would be the consequences? No one knows she was captured at thirteen to be a sex slave. No one knows that every day, men visited her by the dozen. Fifty on Sundays.

With her end-of-life looming, she faces decisions and dilemmas. How long will her money last? Will a proposed demolition destroy her home? Will her nephew move her to a nursing home? Will she die alone with her secret? Or decide to share the truth?

Twenty-first-century newspapers report on human trafficking. There is an international #MeToo movement. Women and girls account for 99% of sex industry victims. The statistics are shocking, but they can seem removed from daily life. But, in One Left, I experienced these abominations in my gut—the broken bones, ripped vaginas, and perpetual hunger—through Kim Soom’s compelling character.

This story is strewn with themes of memory and guilt, domination and abuse, the human instinct toward self-preservation, and faith in gods and humanity. Through this fictionalized account of true events, readers gain insight about those who committed crimes, those who abetted the criminals, and the long-lasting effects of sex crimes. I read the 224 pages in just a few days, but weeks later, its images haunt me. (less)
flagLike  · comment · see review
Ramon Zarate
Dec 03, 2021Ramon Zarate rated it it was amazing
These young Korean women were so dehumanized, abused, and forcibly forgotten by Japan in recent history; it's absolutely unforgivable and I'll never regard Japan with the same whimsical fascination and awe. Which is probably the most hypocritical and pithy thing I could say as an American, whose country was founded on equally atrocious actions. Regardless, these women deserve to be known and acknowledged, and ultimately respected and taken care of. This book serves that purpose well, and although its contents can be brutal and heart wrenching it gives these women the chance to be heard. (less)
flagLike  · comment · see review
Alex
Nov 09, 2021Alex rated it really liked it
Shelves: historical-fiction, world-war-eras, philosophy-pedagogy-pseudostories

Horrifying, gripping, and significant.

It's honestly a necessary read for anyone who believes themselves to be conscious of the modern era's enlightened moral values... I'm only giving it a 4 because it's not actually an enjoyable read, it's a necessary and exquisitely crafted one, but not a pleasant one... (less)
flagLike  · comment · see review
===

Susan Blumberg-Kason 20 September 2020 Fiction
“One Left” by Kim Soom



AKorean nonagenarian learns on the news that the last remaining “comfort woman” is on her deathbed. The narrator, unnamed until the end of the book, is determined to meet this last victim: she wants to know if she knew the woman from 70 years earlier. She also wants to assure her that she’s not in fact the last one left. The narrator has never told anyone about her past—not even her siblings and their children; it’s finally a chance to talk about it.

Kim Soom’s One Left is, as surprising as it may seem given the enduring topicality of the subject matter, reportedly the first Korean novel published centered around the girls and women forced into sex slavery during World War II. Commonly (and euphemistically) called “comfort” women, many were no more than thirteen or fourteen when they were either sold or kidnapped into sexual slavery. Some were as young as eleven or twelve. “Comfort” of course had nothing to do with the trauma and terror these girls lived through then and for the rest of their lives, if they survived. Most did not.

The translators explain in an afterword that this subject has been so painful for Koreans that perhaps the whole country has suffered PTSD and could not address it in anything other than non-fiction. This novel is evidently the exception that proves the rule.

One Left: A Novel, Kim Soom, Bruce Fulton (trans), Ju-Chan Fulton (trans)

Kim bases her narrative on real testimonies of victims. The narrator estimates that 30,000 men violated her over the seven years she was held captive in Manchuria. She has never been able to marry or have children, a fate that befell many of the survivors. They are so broken—physically and emotionally—that they can’t risk more loss should others learn of their past. But there are so few survivors. It’s estimated that 200,000 Korean girls were forced into sex slavery by the Japanese army and only 20,000 survived at the end of the war. The narrator goes over this math in her mind decades after the war concluded. For many reasons, victims stayed silent until 1991 when Kim Haksun, the first woman to speak up, told the world about her teenage years.

Even as a ninety-three year old woman, the narrator can never forget the hell she lived through in a shabby building in Manchuria.


Resting her broom against the veranda, she squats next to the moth. The moth looks like a uterus. Her uterus, the army of ants sinking their tiny teeth into it and holding on for dear life reminding her of the line of Japanese soldiers jostling one another while awaiting their turn with her. She begins to gag.



Kim’s powerful storytelling similarly renders a portrait of the barbarism of the war.


The soldiers had just returned from the battle and smelled like cow dung. Their red, crater-like eyes still bore a bloodthirsty tinge, and they were rabid as hunting dogs.





One Left is not the first novel about “comfort women”; it is the first Korean novel, and unlike at least some novels published on the subject in English, there are no soft edges, no Japanese caught up in a war they didn’t believe in, no attempts at rescue. The narrator never encounters even one soldier who asks after her.

When the war is over, it takes the narrator years to return home. Numerous other Korean girls and women were killed by their Japanese handlers before the Soviet army moved into the areas with “comfort stations”. If there’s no evidence, there is no war crime.


It may seem cliché to state that a novel is necessary. But this one really is.

The narrator lacks names for where she had lived during the war and what she was forced into doing. She even lost her own name. Once in Manchuria, haha, the term for mother in Japanese, gave the Korean girls Japanese names. These names would change whenever haha pleased.

But as the narrator heads to the hospital to see the last victim, her name comes back to her: P’unggil. Her name is P’unggil.


Back when she was P’unggil, she was just another young teen.
As a child she believed the most frightening things were natural disasters that involved darkness, drought, or flooding. But after she turned 13 she learned the most frightening things are human beings.



It may seem cliché to state that a novel is necessary. But this one really is.
Susan Blumberg-Kason is the author of Good Chinese Wife: A Love Affair with China Gone Wrong.

=====
한 명   김숨 (지은이)
현대문학2016-08-05


288쪽
편집장의 선택
"그들이 증언하고 김숨이 옮겨 적다 "
"세월이 흘러, 생존해 계시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가 단 한 분뿐인 그 어느 날을 시점으로 하고 있음을 밝힙니다." 이 이야기를 묘사하는 소설은 조심스럽다. 한 명밖에 남지 않았다는 보도, 둘이었는데 간밤 한 명이 세상을 떠났다는 보도를 그녀가 본다. 그리고 나직이 중얼거린다. 여기 한 명이 더 살아있다고.

그렇게 평생 자신의 존재를 숨겨온 그녀가 자신의 삶을 증언하기 시작한다. 열세 살, 다슬기를 잡다 만주로 끌려간 소녀의 삶은 지독할 정도로 선명한 서술로 구체화된다. "소녀들이 저마다 울면서 피빨래를 하고 있었다", "군인들은 열세 살이던 그녀를 밤새 공기놀이하듯 가지고 놀았다." 같은 문장들. 열 쪽에 걸쳐 총 316개의 각주가 달려 있는 소설 속에서 실제 그들의 음성이 들려오는 순간, 갑작스러운 충격이 절로 얼굴이 찌푸려진다. 고통을 잘 정련해 서술하는 방식에서 느껴지는 품위가 이 이야기의 섬세함을 빛나게 한다.
- 소설 MD 김효선 (2016.08.09)
이벤트

2월 특별선물! 책모양, 태블릿, 무선 이어폰 파우치 (이벤트 도서 포함, 국내서.외서 5만원 이상)

이 달의 적립금 혜택

이 시간, 알라딘 사은품 총집합!
책소개대산문학상, 현대문학상, 이상문학상 등 국내 주요 문학상을 연달아 수상하며 평단과 독자의 고른 호평을 받아온 작가 김숨의 아홉 번째 장편소설. 지난 30여 년간의 위안부 문제를 이슈화하는 동시에 그간 한국문학이 잘 다루지 않았던 위안부 문제를 본격적인 문학의 장으로 이끌어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는 작품이다.

'피해를 증언할 수 있는 할머니들이 아무도 남아 계시지 않는 시기가 올 것이므로 소설을 통해 그런 점에 경각심을 가지게 하고 싶고, 그것이 문학의 도리라 생각한다'며 집필 동기를 밝힌 작가는 300여 개에 이르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실제 증언들을 재구성하여 다큐멘터리에 가까울 정도로 치밀한 서사를 완성시켰다.

아울러 이 소설은 '일본군 위안부'라는 고통스러운 경험과 사건이 주는 충격과 함께 살아남았기 때문에 계속해서 살아갈 수밖에 없었던 그녀들의 '그 이후의 삶'까지도 조명한다. "인간으로서 기품과 위엄, 용기를 잃지 않은 피해자들을 볼 때마다 감탄하고는 한다"고 말하는 작가는 이 이야기를 통해 역사가 지워버린 과거를 복원해내며 다시는 반복되어서도, 잊혀서도 안 될 기억의 역사로 확고히 자리 잡게 한다.
목차
한 명
해설 기억의 역사, 역사의 기억 _박혜경
작가의 말

책속에서
P. 18
“군인 백 명을 상대할 자가 누구인가?”
“우리가 무슨 죄를 지었다고 군인 백 명을 상대합니까.”
작지만 야무지던 석순 언니가 따지고 들자, 중대장이 병사들을 시켜 석순 언니를 앞으로 끌어냈다.
“반항하면 어떻게 되는지 똑똑히 보여주겠다.”
군인들은 닭 껍질을 벗기듯 석순 언니의 몸에서 옷을 벗겼다. 석순 언니의 몸은 깡말라 사내아이의 몸 같았다. 겁에 질린 소녀들은 소리를 내지 않으려고 아랫입술을 깨물었다. 소녀들을 한 명 한 명 씹어먹을 듯 바라보는 중대장과 눈을 마주치지 않기 위해 그녀는 얼른 고개를 떨어뜨렸다. 막사 뒤에서 수십 개의 못을 동시에 박는 소리가 들려왔다. 소녀들은 자신들의 눈앞에서 곧 끔찍한 일이 벌어지리라는 걸 직감적으로 알았다.  접기
P. 38
위안소에 있을 때 그녀는 몸뚱이가 하나인 것이 가장 원망스러웠다. 하나인 몸뚱이를 두고 스무 명이, 서른 명이 진딧물처럼 달려들었다.
하나인 그 몸뚱이도 그녀 자신의 것이 아니었다.
그런데 자신의 것이 아니던 몸뚱이를 부려 그녀는 이제껏 살아왔다.
P. 44~45
사람들은 그녀가 어디 가서 무슨 일을 당하고 왔는지 모른다.
어쩌다 보니 남의 집 식모로만 떠돌다 혼기를 놓친 줄로만 안다. 신세를 지는 것도 아닌데, 혼자 사는 그녀를 짐스러워하고 못마땅해하는 여동생들에게조차 그녀는 차마 말하지 못했다. 남자라면 몸서리가 나서 싫다고. 소리 없는 총이 있으면 펑 쏴버리고 싶도록.
... 더보기
P. 87
군인들이 다녀갈 때마다 그녀는 식칼로 아래를 포 뜨는 것 같았다. 군인이 열 명쯤 다녀가고 나면 포를 하도 떠 아래가 하나도 남아 있지 않은 것 같았다.
아래는 무시로 바늘 들어갈 구멍도 없이 훌떡 뒤집어졌다.
소녀들은 자신들 몸에 다녀가는 군인들 명수로 일요일인지 알았다. 그곳에는 달력도 없어서 소녀들은 날짜도, 요일도 몰랐다. 모든 날들은, 모르는 날들이었다. 모르는 날들이 흘러가는 동안 소녀들은 폭삭 늙었다.  접기
P. 99
해방이 되고 소녀들은 뿔뿔이 흩어졌다. 더러는 일본 군인들을 따라가고, 더러는 중국에 남고, 더러는 국경을 넘다가 죽고. 하여간 죽는 게 여사였다.
누구누구가 살아서 돌아왔는지 궁금하면서도, 보고 싶어 죽겠어서 군자의 고향집까지 찾아갔으면서, 그녀는 혹시나 우연히 소녀들을 만날까봐 겁이 났다. 그래서 자신이 위안부였다는 사실을 사람들이 알게 될까봐 전전긍긍했다. 길을 가다가도 누가 자신을 유심히 쳐다보는 것 같으면 얼른 골목으로 숨어버렸다.  접기
더보기
추천글
한 개인의 내적인 삶, 그것은 그의 전부다. 죽지 않는 한, 죽어서 내면이 사라져버리지 않는 한, 인간의 내면은 그 어떤 무자비한 역사도 훼손시킬 수 없다. 끔찍한 고문을 당하고, 신체가 훼손되는 고통을 겪어도 그 고통이 각인된 인간의 내면은 남는다. 내면 때문에 인간은 죽는 순간까지 역사가 남긴 고통스러운 기억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이겠지만, 인간이 세계와 맞설 수 있는 힘 또한 개인의 고유 영역인 바로 그 내면으로부터 나오는 것이 아니겠는가? 기억은 오로지 개인만이 소유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무기다. 위안부 할머니들이 자신들의 존재를 지우고 부정하려는 역사 속에서 유일하게 자신의 것으로 지니고 있었던 것 역시 기억이다. 그 보이지 않던 기억이 어느 순간 육신의 입을 빌려 말하기 시작한다. 여기 ‘한 명’이 있다고, 죽지 않고 살아 있다고, ‘한 명’이 살아 있는 한, 위안부들의 역사는 아직도 끝나지 않은 것이라고……. - 박혜경 (문학평론가)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조선일보 
 - 조선일보 2016년 8월 5일자 '새로나온 책'
한겨레 신문 
 - 한겨레 신문 2016년 8월 4일자
줄거리
시간이 흘러 생존한 위안부 피해자가 단 한 명뿐인 어느 날을 시점으로 한 이 소설 『한 명』은 자신이 위안부였음을 밝히지 않고 살아온 어느 ‘한 명’의 위안부 할머니가 주인공이다. 80여 년 전 열세 살 소녀였던 그녀는 마을 강가에서 다슬기를 잡다 난데없이 나타난 사내들에게 잡혀 만주로 끌려간다. 그날 이후, 강제로 끌려온 다른 소녀들과 함께 일본군에 의해 육신을 난도당하는 성적 학대와 고문을 당한다.

생사를 넘나드는 참혹한 전쟁터에서 살아남은 그녀는 아픈 기억을 영원히 짊어진 채 고향으로 되돌아오지만 더 이상 그녀를 기다리는 삶은 존재하지 않는다. 끔찍한 트라우마는 그녀에게 수치감과 모욕감만을 남겼고, 이미 죽은 자로서 긴 세월 자기 자신의 정체성마저도 잊은 채 숨죽이고 살아가게 한다. 자신의 과거가 사람들에게 알려질까 두려워하며 형제들까지도 피해 홀로 힘겹게 살던 그녀는 조카의 부탁으로 재개발 예정 구역에 기거하며 이름도 없는 삶을 이어간다. 그러던 어느 날 티브이를 통해 공식적인 위안부 피해자가 한 명밖에 남지 않았음을 알게 된 그녀는 이제야말로 세상에 혼자 남는다는 두려움을 느끼며 지금껏 숨겨왔던 자신의 존재를 밝혀야겠다는 용단을 내린다. 마침내 닫혔던 세상 밖으로 한 걸음 나아갈 수 있는 용기를 얻은 것이다.

소설의 마지막, 그녀는 인공호흡기에 의지해 사경을 헤매는 마지막 위안부 생존자를 만나기 위해 버스에 오른다. 가는 길 위에서 그녀는 삼인칭으로만 존재해온 ‘한 명’에서 마침내 “풍길”이라는 열세 살 때 지녔던 제 이름을 찾게 된다. 그녀가 마지막 생존자를 만나러 가는 길은 그동안 자신을 놓아주지 않던 과거와의 만남이자 그 시절로 돌아가 위안소에서 희생된 그 모든 ‘한 명들’을 만나러 가는 길에 다름 아니다. 이것은 그녀가 비로소 이름을 지니게 되고 지금까지 존재해온 이유에 답하는 순간이자 진정한 새로운 좌표를 찾게 되는 순간이다.
접기
====
저자 및 역자소개
김숨 (지은이) 

1997년 대전일보 신춘문예로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소설집 『나는 나무를 만질 수 있을까』 『침대』 『간과 쓸개』 『국수』 『당신의 신』 『나는 염소가 처음이야』, 장편소설 『철』 『노란 개를 버리러』 『바느질하는 여자』 『L의 운동화』 『한 명』 『흐르는 편지』 『군인이 천사가 되기를 바란 적 있는가』 『떠도는 땅』 『듣기 시간』 『제비심장』 등이 있다. 현대문학상, 대산문학상, 이상문학상, 동리문학상, 김현문학패, 요산문학상, 동인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수상 : 2020년 동인문학상, 2020년 김현문학패, 2017년 동리문학상, 2015년 이상문학상, 2013년 대산문학상, 2013년 현대문학상
최근작 : <국수>,<아이와 칼>,<[큰글자도서] 떠도는 땅> … 총 82종 (모두보기)
김숨(지은이)의 말
위안부는 피해 당사자들에게는 물론, 한국 여성의 역사에 있어서도 가장 끔찍하고 황당한, 또한 치욕스러운 트라우마일 것이다. ‘트라우마에 대한 기억은 그 자체로 트라우마’라고 프리모 레비는 말했다. 1991년 8월 14일 김학순 할머니의 공개 증언을 시작으로, 피해자들의 증언이 지금까지 어어져오고 있다. 그 증언들이 아니었다면 나는 이 소설을 쓰지 못했을 것이다. (……)
그 와중에 한국과 일본 양 정부는 ‘사실 인정과 진정한 사과’라는 절차를 무시하고, 피해자들을 저 멀찍이 구경꾼의 자리에 위치시킨 채 일방적인 ‘2015년 일본군 위안부 합의’를 발표했다. 일본 정부는 ‘10억 엔 정도의 지원금을 출연할 테니, 소녀상을 철거하라’고 암묵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피해자 중 한 분인 훈 할머니 말씀처럼 “개나 고양이만도 못한” 시절을 살았음에도 불구하고 인간으로서 기품과 위엄, 용기를 잃지 않은 피해자들을 볼 때마다 나는 감탄하고는 한다.
내 할머니이기도 한 피해자들이 행복하시기를 기도하는 마음으로 이 부족한 소설을 세상에 내보낸다.

==== 
출판사 제공책소개

* 이 책의 저자 인세와 출판사 수익금의 일부는 (사)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나비기금’으로 기부됩니다.

끝나지 않은 일본군 위안부의 아픔
역사의 이름으로 파괴되고 훼손된 그 ‘한 명’으로부터 소설은 시작된다

<대산문학상> <현대문학상> <이상문학상> 등 국내 주요 문학상을 연달아 수상하며 평단과 독자의 고른 호평을 받아온 작가 김숨의 아홉 번째 장편소설 『한 명』이 출간되었다.
그동안 여성, 노인, 입양아, 철거민 등 사회적 약자와 소외된 계층을 집중적으로 탐구해온 작가는 인간 사회의 그림자와 분열의 조짐을 그 특유의 집중력 있는 세심하고 예리한 시선으로 천착해 매 작품마다 탄탄하고 독자적인 작품세계를 선보여왔다. 이번 새 장편 『한 명』은 지난 30여 년간의 ‘위안부’ 문제를 이슈화하는 동시에 그간 한국문학이 잘 다루지 않았던 ‘위안부’ 문제를 본격적인 문학의 장으로 이끌어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는 작품이다.

20만 명이 강제 동원되었고 그중 겨우 2만 명만이 살아 돌아온 위안부의 존재는 1991년 김학순 할머니의 증언을 시작으로 세상에 알려지기 시작했다. 지금까지 238명의 위안부 피해자가 공식적으로 등록이 되었으며 김학순 할머니의 증언은 반세기 동안 감춰져 있던 위안부 할머니들의 삶을 세상에 드러나게 한 촉매가 되었다. 그 뒤 전국의 위안부 생존자들이 침묵을 깨고 연달아 고백을 쏟아내면서 ‘위안부’ 문제는 한일 간의 청산할 쟁점으로 부상되었다. 일본군 위안부의 역사의 증언, 기억의 역사가 시작된 것이다. 그리고 2016년 현재, 그분들 중 40명만이 생존해 있을 뿐이다.

‘피해를 증언할 수 있는 할머니들이 아무도 남아 계시지 않는 시기가 올 것이므로 소설을 통해 그런 점에 경각심을 가지게 하고 싶고, 그것이 문학의 도리라 생각한다’며 집필 동기를 밝힌 작가는 300여 개에 이르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실제 증언들을 재구성하여 다큐멘터리에 가까울 정도로 치밀한 서사를 완성시켰다. 리얼리티를 극대화시킨 소설은 그 시대를 경험하지 못했던 독자들에게 역사의 잔혹성과 내상을 고스란히 실감하게 만든다.

아울러 이 소설은 ‘일본군 위안부’라는 고통스러운 경험과 사건이 주는 충격과 함께 살아남았기 때문에 계속해서 살아갈 수밖에 없었던 그녀들의 ‘그 이후의 삶’까지도 조명한다. “인간으로서 기품과 위엄, 용기를 잃지 않은 피해자들을 볼 때마다 감탄하고는 한다”고 말하는 작가는 이 이야기를 통해 역사가 지워버린 과거를 복원해내며 다시는 반복되어서도, 잊혀서도 안 될 기억의 역사로 확고히 자리 잡게 한다.

세상에 남은 한 명이 세상에 남은 또 다른 한 명을 만나러 가는 길,
“한 명이 ‘한 명들’이 될 때 기억은 역사가 된다” 접기
======



북플 bookple
이 책의 마니아가 남긴 글
친구가 남긴 글내가 남긴 글


 정부는 노동력 부족을 보충할 목적으로 조선인 약 70만명과 중국인 약 4만명을 일본 본토와 사할린 등지로 강제연행하여 광산 등지에서 혹사시켰기 때문에 다수의 희생자가 나왔다. 또 일본은 다수의 조선인 여성과 점령지 여성에게 군 관리하의 위안부생활을 강요했는데 그중에는 강제연행되거나 속임수로 끌려온 사람들도 많았다.(p528) <새로 쓴 일본사> 中



 중국인 포로들은 더욱 형편없는 보상을 받았고, 동남아시아로 끌려간 노무자들의 숫자는 추산조차 되지 않았다. 그리고 대부분의 위험지역에는 '근로보국대'로 징발된 한국인들이 있었다. 이 끔찍한 이야기에다 '위안부'라는 기묘한 이름으로 불리는 여성들의 이야기가 최근에 추가되었다. 이들은 일본군 위안소에서 강제로 일했다. 제국군대는 풍기문란을 막고 성병을 줄이기 위해 공개적으로 위안소를 설치하고 관리했다. 위안부의 모집은 보통 인신매매 중개인을 통해 이루어졌고, 규슈의 궁핍한 지역에서 가장 많은 여성이 차출되었다. 규정상 강제모집은 금지되어 있었다. 하지만 군인의 수가 늘어나고 전선이 확대되자 정상적인 공급원에만 의존할 수는 없게 되었다. 이때부터 직업적 매춘부보다는 감언이설에 속아서 지원했거나 강제로 끌려온 여성의 수가 많아졌다.(p972) <현대일본을 찾아서 2> 中 



 일본의 극우주의 역사책들은 과거 일본제국주의 시대의 '침략'을 '진출'로 정당화하고, 일본이 서구 제국주의 침략으로부터 아시아를 지키는 수호자의 역할을 맡았다는 주장을 펼친다. 지금까지도 계속되는 이러한 역사왜곡 안에는 이들이 저지른 참상은 은폐되고, 이러한 사관(史觀)으로 일본 중고등학교 역사가 집필되는 점은 우려할만한 지점이다. 그렇지만, 강제동원과 정신대 피해자, 위안부 피해자들의 용기있는 증언은 일본의 집요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참상을 역사의 수면 위로 올리는 계기가 되었고, 이를 역사 안에 포함하는 일본 역사서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물론, 일본 내에서 이를 부정하고 담지 않는 역사서가 아직은 훨씬 더 많지만. 

 



 백지에 쓴 문장을 소리 내 읽던 그녀는, 모든 걸 다 말하고 싶은 충동에 휩싸인다. "말을 하고, 그리고 죽고 싶다."... "엄마가, 엄마가 가장 갖고 싶어.(p153)' <한 명> 中



 그녀는 울고 싶은데 울음이 안 나온다. 아귀처럼 입을 한껏 벌리고 목을 늘어뜨려도 눈물 한 방울 안 난다. 자매들이 죽었을 때도, 오빠가 죽었을 때도 그녀가 눈물 한 방울 흘리지 않았으니까, 친인척들은 흉을 보았다. 독해서 시집도 안 가고 평생 혼자 살더니만 울지도 않는다고. 그녀는 너무 지독하게 살아서 눈꺼풀을 쥐어뜯어도 눈물이 안 나는가 보다 했다. 평생에 걸쳐서 두고두고 울 걸 소싯적에 다 울어버려서 그런가 보다고.(p36) <한 명> 中



 위안부 피해자들은 자신들이 겪은 기가 막힌 이야기에 대해 말하고 싶었지만, 이야기할 수 없었다. 자신의 가족들에게도 털어놓을 수 없는 비밀을 안고 평생을 살아야했던 피해자들에게 이러한 현실은 2차 가해였으리라. 이러한 현실 속에서 이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함께 한 이들이 1990년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희(정의기억연대 전신)이었다. 피해자들의 목소리를 공론의 장으로 끌어낸 이들의 공은 어느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분명한 사실이다.



  이미 많은 위안부가 사망했고 살아남은 희생자들은 수치심을 느꼈기 때문에 이 문제는 1990년대 이전까지는 공론화되지 않았다. 1990년대에 오랫동안 침묵을 지키던 한국, 중국, 심지어 네덜란드 여성의 불만이 터져 나오자 위안부문제는 국제문제로 비화되었다. 일본정부가 (외양상으로는 비정부기구를 통해) 손해배상과 보상을 위한 기금마련에 나선 것을 보면 희생자들의 불만이 정당한 것임을 알 수 있다.(p973) <현대일본을 찾아서 2> 中



 최근 21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된 윤미향 이사장과 정의기억연대와 둘러싼 논란이 일고 있다. 이러한 의혹은 결국 법정에서 가려지겠지만, 그 전까지는 30년 동안 왜곡된 역사를 바로잡으려 한 이들의 노력을 생각해서라도 기다렸으면 하는 마음이 든다. 이들이 아니었으면, 피해자들의 목소리가 세상에 나올 수 있었을까. 병자호란(丙子胡亂) 당시 끌려간 이들이 목소리를 낼 수 없었기 때문에 우리 역사에 아픈 역사가 반복되었다면, 정의기억연대가 있어 공론화 되었기 때문에 우리는 반복하지 않겠다는 다짐을 하게 된다. 이러한 공(功)을 생각한다면, 정의기억연대와 이들의 목소리를 듣는 노력을 이제는 우리가 할 차례라 여겨진다.


 남자들은 걸핏하면 국가입네 민족입네 거창하게 얘기하지. 강제로 끌려가서 당한 우리만 죄인이고. 불문곡직하고 여자는 순결해야 한다는 게 남자들의 생각이야. 우리가 정신대로 끌려갈 때 조선 남자들은 뭘 했는고?(p99)... 왜정 때 위안부로 끌려갔던 조선 여자들이 십 수만 명이래. 위안부로 등록한 할머니 이백 몇 십 명을 뺀 수많은 할머니들은 한을 안고 소리 소문 없이 죽거나 외롭게 살아가것제. 그넘들이 끌어다가 쓰고 싶으면 쓰고 아프고 병들면 처분해 버리고... 정말 골병들었다.(p100) <나비의 노래> 中



PS. 이들이 저지른 회계부정이 있다면 엄중하게 판결해야 할 것이다. 다만, 회계부정이 있다면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를, 가족간 취업특혜가 있었다면 KT 채용비리와 비교하고 우리 사회에 미칠 파장과 정도를 따져 형평성있는 판결이 나와야 하지 않을까. 이런 판결이 나올 때까지 뒤늦게나마 정의기억연대 정기 후원을 시작한다...


 민주주의의 세 번째 차원은 민주적 담론이다. 진정한 집단적 행위는 상호작용을 요구한다... 만약 시민들이 그들이 말하는 좋은 생각들이 주의를 끌 수 있도록 하는 구조와 분위기 속에서 공동체에게 말할 수 없다면 민주주의는 진정한 형태의 자기-정부를 제공할 수 없다. 만일 공공의 담론이 검열 때문에 장애를 받는다면, 또는 각각의 편이 다른 편이 말하는 것을 단지 왜곡하거나 묵살하기 위해서 고함을 치거나 비방하는 시합으로 타락한다면 어떤 집단적 자기-정부도 없고, 어떤 종류의 집단적 사업이라는 것도 없으며 오직 수단만 다른 전쟁으로 간주되는 투표만 있게 된다.(p555) <자유주의적 평등> 中

겨울호랑이 2020-05-20 공감 (38) 댓글 (2)
img
♡ 일본군에 의해 짓밟혀진 꽃같았던 소녀들, 『한 명』 ♡


『하나, 책과 마주하다』

 
그녀는 한 명이 세상을 떠나기 전에, 여기 한 명이 더 있다는 걸 세상에 알려야 하는 게 아닌가 싶다.
 
오늘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이다. 이전에 이미 읽었던 책이지만 막상 책을 펼치니 다시금 눈물이 나는 건 어쩔 수 없다.
 
위안부였음을 밝히지 못하고 그렇게 살았던 '한 명'의 위안부 할머니가 소설 속 주인공이다.
열 세살이었던 소녀는 마을 강가에서 다슬기를 잡다 도망칠 새도 없이 갑자기 나타난 사내들에 의해 열차 위에 오르게 된다.
마을을 벗어나 본 적이 없는 어린 소녀는 하염없이 달리는 열차 속에서 오들오들 떨어야만 했고 내려보니 하얼빈 역이었다.
온통 일본군 천지였다. 그렇게 악몽이 시작된 것이다.
자신말고도 강제로 끌려온 어린 소녀들은 매일 매일 일본군에 의해 육신을 난도질당하는 고통을 느끼며 성적학대와 고문을 당하게 된다.
어린 여자아이들을 막사 앞에 모아놓고 군인 백 명을 상대할 자가 누구냐고 물었다.
그 때, 한 소녀가 당돌하게 대꾸하자 수 백개의 못이 박힌 나무판에 그 소녀를 굴려댔고 그녀는 결국 죽었다.
"그들은 석순 언니를 땅에 묻지 않고 변소에 버렸다. 그들은 죽은 소녀에게는 땅도 아깝고, 흙도 아깝다 했다."
이건 시작에 불과했다. 그 어린 소녀들에게 말이다.
그들은 소녀들의 자궁을 마음대로 들어내기도 했다. 소녀들이 임신하면 다시는 임신을 못하게, 태아와 함께.
그렇게 끔찍하고도 참혹한 곳에서 겨우 살아남았지만 아픈 기억은 절대 없어질 수 없을 뿐더러 수치감과 모욕감에 시달리며 자신의 정체성마저 잊어버린 채 숨죽이고 살아가게 된다. 자신의 과거가 들춰지는 게 무서워 가족마저 피해다니며 살았다.
그러던 어느 날 TV에서 공식적인 위안부 피해자가 단 한 명 남았다는 소식에 두 주먹 불끈 쥐고 용기를 내게 된다.
그녀는 그저 위안부의 한 명에 불과한 사람으로 그렇게 자신을 잊어버리며 살았는데, 이제는 열 세 살의 이름이었던 '풍길'로 돌아가 마지막 위안부 생존자를 만나기 위해 길을 나선다.
 
1991년, 김학순 할머니의 증언을 시작으로 위안부의 존재가 세상에 알려지기 시작했다.
할머니들은 다른 것도 아닌 오직 '사과'를 받기 위해 목소리를 내셨다. 하지만 그렇게 바랐던 '사과'도 못 받으시고 눈을 감으시고 계신다.
단순히 '아, 이런 일이 있었구나!'에 그쳐서는 안 된다. 진정성 있는 사과를 받아내기 위해선 끊임없이 우리가 관심을 가져야한다.
중학교 때, 강제징용과 위안부에 관한 숙제를 하면서 우연히 위안부 할머니들의 증언이 담긴 사이트를 들어가게 되었다.
어린 나이에 읽고선 정말 큰 충격을 받았었다. 그리고 꽤 오랫동안 우울감에 빠졌던 것 같다.
솔직히... 할머니들의 이야기를 다 읽지 못했다. 분명 더 잔인했던 부분들도 있었는데 그 때는 읽는 것만으로도 너무 무서워서 몇 줄 밖에 못 읽었었다.
단순히 나는 교과서에 나온 것으로만 알고 있었는데 그분들이 겪은 일들은 상상치도 못한 일이어서 읽는 내내 너무 힘들었다.
그분들은 그 끔찍한 시간들을 어떻게 보내셨을지 생각만해도 눈물이 난다.
시간은 계속 흘러간다. 야속하게도 시간은 흘러가기에 아픔을 겪으셨던 할머니들께서 하늘나라로 가셨다는 소식을 뉴스에서 볼 때면 참 마음이 아프다.
현재 생존하고 계시는 할머니들께서 꼭 사과를 받으시는 그 날이 하루빨리 오기를 진심으로 바란다.
일본에게 사과받는 그 날까지 오래 오래 건강하셨으면 좋겠다.
또한, 사과받지 못하시고 한 많게 돌아가신 할머니들께 진심으로 죄송하며, 다음 생에는 꽃길만 걷는 생을 보내시길 진심으로 기도해본다.
 

하나의책장 2019-08-15 공감 (9) 댓글 (0)
img
도대체 내가 무슨 말을 하며, 느낌이 어떤지를 뭐라고 표현할 수 있단 말인가.
munsun09 2019-02-23 공감 (43) 댓글 (0)
더보기
마니아 읽고 싶어요 (76) 읽고 있어요 (15) 읽었어요 (126) 

평점 분포
    9.4

구매자 (9)
전체 (18)
공감순 
     
도대체 내가 무슨 말을 하며, 느낌이 어떤지를 뭐라고 표현할 수 있단 말인가.  구매
munsun09 2019-02-23 공감 (43) 댓글 (0)
Thanks to
 
공감
     
긴 한숨과 울분으로 책을 덮을수가 없었어요. 그리고 지금 그네 정부의 행태를 보고 할말을 잃습니다. 이 책을 읽은후에도 그런 생각을 할수 있을까?하다가, 책을 읽었다면 허구라 생각하겠지요. 시위를 진짜 축제로 착각하는건 아닌지 걱정되는 당신이기에... 대신 우리가 기억하겠습니다.  구매
보슬비 2016-11-28 공감 (21) 댓글 (2)
Thanks to
 
공감
     
이 책에서 가장 무서운 부분은 각주를 가리키는 작은 숫자들이었다. 허구였다면 작가에게 꼭 이렇게까지 써야하냐고 묻고 싶었을 부분마다 번번이 각주가 달려 있었다. 그 말들이 그러니까 모두 실제로 살았던 뼈와 살을 가진 진짜 사람들의 입에서 나왔던 것이다. 읽기 힘들었지만, 멈출 수도 없었다.  구매
초록비 2020-11-01 공감 (7) 댓글 (0)
Thanks to
 
공감
     
`L의 운동화`를 읽고 팬이 되어 이 작품도 보았어요. 보통 책을 보면 한 번에 다 읽어내는데 가슴이 너무 먹먹해지고 아파서 그러지를 못했어요. 할머니들의 그 뼈아픈 시간들을 잊으려는 역사로 치부해버리려는 이들이 꼭 봤으면 좋겠어요.  구매
zooyi 2016-10-06 공감 (4) 댓글 (0)
Thanks to
 
공감
     
문장 하나하나마다 속이 울렁거렸다. 그럼에도 한문장 한문장 잊지 않고 싶다.. 할머니를 위해 할수있는 최소한인 것 같아서.  구매
esrsr 2017-04-28 공감 (3) 댓글 (0)
Thanks to
 
공감
더보기
마이리뷰
구매자 (8)
전체 (27)
리뷰쓰기
공감순 
     
한....명 새창으로 보기 구매
올 초 귀향을 보면서 아쉬웠던 것들이 소설 <한 명>으로 숨통이 트이는 기분.
근본적인 해결. 가해국의 잘못 인정과 진정한 사과가 없는 상황에.. 당국의 진실규명과 사과를 받아내려는 의지가 없는데 단순히 그들의 아픔을 굿으로 한풀이 해내려는 것이 아쉽고 또 아쉬웠었고.
그들의 모습을 너무 세게 표현하는것을 보고 과연 이렇게 까지 보여줄 필요가 있는 것인지 보면서도 보고나와서도 불편했었는데...
그러지 않아도
많은 것들을 구구절절히 보여주지 않아도
충분하다는 것을 보여주어 개인적으로 고마운 소설이 되었다.

한명이지만 한명이 아니고
한 명의 이야기지만 그 한 명의 이야기가 아님을..
작가의 상상력과 실제 그 분들의 실화가 대화속으로 서사속으로 녹아들어가 한 명이 됨을 보여주고 있다.

주위를 둘러보면 있을법한 모습이
담담해서 건조해서 간결해서
이것이 소설이 아니라 다큐였었나 할 정도로 일상적이어서 더 먹먹해진다.

L의 운동화. 한 명.
작가 김숨이 이야기하고자 하는 기억의 본질.
어떻게 기억해야 하는지까지..
잘 이해했는지 모르겠지만
최근의 나온 글들중 가장 공감하면서 읽었다.
이름없이 살던 한 명이 마지막 남은 한 명을 찾아 가면서 풍길이라는 자신을 이름을 찾아 한명을 찾아가면서 소설은 끝이 난다.
나비로 훨훨 날아가는 것 보다 두 발로.
이름을 가지고 스스로 찾아가는 그 한 걸음. 한 걸음..
한 걸음이 우리가 기억해야 할 한 걸음이다.

김 숨이라는 작가에 나의 개인적인 편애도 무시할 수는 없겠지만..
연달아 김숨의 사회참여적인 소설 두권을 읽으면서
기억이라는 것을 많이 생각하게 된다.
세월호를 겪으면서 가장 많이 이야기했던 부분이 잊혀진다는 것이었고 그래서 세월호 슬로건이 기억하자 0146 이었다. 잊지말자가 아니라 기억하자로..
욕하는것 보다 잊혀지는 것이 더 두렵다는 말이 생각난다.
어떤 일이든 잊혀지기 마련이지만
그래도 끝까지 잊지 않으려고 아니 기억하려고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누군가는 기억시키기 위해.. 또는 스스로 기억하기 위해 세월호 3년상을 치르는 동안 계속 순례를 할것이고
또는 그들과 함께 하지는 못하지만 자신의 자리에서 할 수 있는 일. 해야할 일을 하면서 기억하는 사람들이 있을 것이다.

우리는 기억해야만 하는 일들이 너무 많다.
언젠가 이 기억해야만 하는 일들이 기념하는 일들이 되는 날이 올거라 희망한다.
그리고 기대한다.



- 그녀의 집이 아니지만, 그녀가 사는 집이다. 그녀가 태어난 집이 아니지만, 그녀가 죽음을 맞을 수도 있는 집이다.
그녀는 아침 저녁으로 양옥집을 제 몸뚱이처럼 쓸고 닦고 돌보지만, 자신이 살았던 흔적을 남기지 않기 위해 각별히 조심한다
그녀는 벽에 못 하나 박지 않는다 (196p)

그녀에게 바람이 있다면 남에게 무시당하지 않고 사는 것이다. 남에게 아무 폐도 끼치지 않고 조용히 살다가 죽는 것이다 (197p)

- 신에게 소원을 빈다면 그녀는 하나만 빌것이다. 고향 마을 강가로 자신을 데려다 달라고. 열 세살 그때로.
인간이 마침내 달나라에 가게 되었다는 뉴스를 들었을 때, 그녀는 속으로 비웃었다. 과학이 발달해 인간을 달나라에까지 보내게 되었을지는 몰라도, 그녀를 고향 마을 강가에 도로 데려다 놓을 수 없다는 생각이 들어서.
그녀의 고향 마을 강은 달보다 더 먼곳에서 흐르고 있었다 (210p)

- 그녀는 평택 조카가 `원망스럽지만 원망하고 싶지 않다.` `세상 그 누구도 원망하거나 증오하고 싶지 않다`.
그러나 그녀는 `자신에게 일어난 일들을 용서할 수 없다. `

그 한 마디를 들으면 용서가 되려나?
신도 대신해줄 수 없는 그 한마디를. (248p)


- 그녀는 그이를 만나러 가는 것이 금복언니를 만나러 가는 것이기도 하다는 생각이 든다. 해금을. 동숙언니를. 한옥 언니를, 후남 언니를. 기숙 언니를...
그녀는 마침내 그이를 만나러 가는 길이다. 그이를 만나는 게 평생을 벼르던 일 같다.... 그녀는 그 이가 자신과 다른 도시에 살고 있는 줄 알았다. 그 이가 입원한 병원 또한 다른 도시에 있는 줄 알았다. 그렇게 가까이에 그이가 살고 있으리라고는 전혀 생각을 못했던 탓에 허탈감마저 들었다. 그렇게나 만나고 싶어 했으면서도 막상 그이를 만날 생각을 하자 그녀는 두렵고 떨린다...

세상으로 눈길을 주면서 그녀는 새삼스레 깨닫는다.
`여전히 무섭다`는 걸.

`열 세살의 자신이 아직 만주 막사에 있다`는 걸.

- 접기
지금행복하자 2016-09-05 공감(28) 댓글(4)
Thanks to
 
공감
     
종이 위에 아프게 펼쳐진 과거의 상처 새창으로 보기
 

 

 

모든 과거는 역사로 기록되지 않는다. 과거의 일부분이 역사로 기록될 뿐이다. 더 정확히 말하자면, 숱한 과거 중에서 기억되는 과거만이 역사의 현장으로 등장하기 마련이다. 그러나 과거를 기억하려는 인간의 의지보다 강렬한 건 과거를 아예 잊어버리려는 망각의 욕망이다. 인간은 그들이 속한 환경과 처지에 따라 의식적으로, 무의식적으로 과거를 망각하거나 왜곡해왔으며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해방 후 70년이 지났건만 가혹 행위, 학살 등으로 점철된 위안부 문제는 그 실상이 오히려 망각이라는 편리한 도구에 편승, 한때 부끄러웠던 과거로까지 치부되고 있다. 위안부 문제는 단지 민족적 비극의 문제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강제로 연행된 사람들의 인권에 관한 문제이다. 그런 점에서 위안부 문제는 민족의 문제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존엄한 권리라는 보편적 층위에서 제기되어야 한다.

 

김숨의 《한 명》은 고난의 역사를 거쳐 오는 동안 무참하게 비틀리고 휘어진 한 개인의 이야기를 제시한다. 소설의 초반부에서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는 불치의 트라우마에 시달리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작가는 할머니의 감춰진 마음을 들여다보는 서술을 통해서 끔찍한 기억의 상흔을 보여준다.

 

입으로 가져가던 국숫발이 미끄러져 대접 속으로 떨어진다. 김치 서너 조각과 고추장으로 비벼 시뻘건 국숫발들은 그새 불고 있다. 국숫발들을 흩트리다 말고 슬그머니 젓가락을 놓는다. 국숫발을 뽑듯, 석순 언니의 몸에서 피가 쭉쭉 뿜어져 나오던 게 생각나 국수를 못 먹겠다. (19~20쪽)

 

할머니들의 정신적 상처는 인간역사의 부끄러운 상처일 뿐 아니라 개인의 인권이 조직의 힘으로 침해받은 상처다. 국가적인 아픔이기도 하나 그보다 피해자들인 여성에게 더할 수 없는 아픔이고 이제까지 겪어온 억울한 고통이기도 하다. 타인의 강압 때문에 몸과 마음이 유린당하는 것은 정신적인 살인을 당하는 것이라 할 정도로 그 아픔을 겪은 사람들의 상처는 그를 겪어보지 못한 이들은 절대로 이해할 수 없다. 다만 그 상처를 건드리지 않고 조금이라도 치유가 될 수 있도록 배려하는 일 정도를 할 수 있을 뿐이다. 다행스럽게도 작가에게는 곳곳에 산재한 망각과 왜곡의 욕망과 싸우면서 과거를 사심 없이 되돌아보는 진술의 힘과 이 진술을 한 편의 의미 있는 서사로 만들어내는 지혜가 있다.

 

 

 




 

 

독자들에게 《한 명》은 민족 수난이라는 구태의연한 플롯을 반복하는 무거운 소설로 읽힐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비판을 뒤로 돌리고 먼저 우리 스스로 해야 할 질문이 있다. 왜 우리나라에 위안부 피해의 참상을 사실적으로 재현한 작품이 많지 않은 것일까? 1982년에 발표된 윤정모의 《에미 이름은 조센삐였다》는 위안부 문제에 대한 역사적 진실성을 명징하게 다룬 소설이다. 윤정모 작가는 이 소설을 본격적으로 집필하기 전에 故 임종국 선생을 만난 적이 있는데, 그때 임종국 선생이 작가에게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지금 급선무는 위안부 문제를 외면한 친일파들의 반성을 촉구하는 것이 아니라 이 모든 위안부의 역사를 국민에게 널리 알리는 것입니다. 위안부 문제를 알리는 소설을 써주세요.”[주] 하지만 이 소설은 영화화되는 과정에서 선정적 작품으로 변질했다. 영화는 위안부 문제에 대한 역사적 평가만 외면한 채 일반인들의 호기심과 말초신경을 자극하려는 의도에서 성적인 장면만을 노출했다. 소설과 영화 모두 망각의 물결에 떠내려가면서 잊혀졌다.

 

할머니는 살아남기에 급급한 결과 자신이 역사의 피해자임을 자신도 알지 못하는 상태에 이른다. 할머니는 비록 평범한 일상을 보내고 있을지라도 불행의 상흔은 뚜렷하다. 그 흔적 중에서 가장 뼈아픈 것은 할머니에게 자아가 상실되어 있다는 점이다.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은 그 다친 몸만큼 마음이 황폐해질 뿐 아니라 고립감과 죄의식을 갖게 되며, 자존감이 약해진다.

 

자기 자신에 대해 생각하려 할 때마다 가장 먼저 치미는 감정은 수치심이다. 자신에 대해 생각하는 것은 그녀에게 모욕적이고 고통스러운 일이었다.

생각을 하지 않다 보니, 그리고 말을 하지 않다 보니, 그녀는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잊어버렸다.

자기 자신이 누군지 모르겠어서 쩔쩔매던 그녀의 손가락들에 다시 힘이 들어간다.

 

나도 피해자요.

 

그리고 또 뭐라고 써야 하나? 막막해하던 그녀는, 자신이 아무것도 잊지 않았다는 걸 절실히 깨닫는다.

 

(149~150쪽)

 

 

 

할머니의 사연은 팔자가 기구한 여자의 일생처럼 보일지라도 거기에는 많은 생각을 유발하는 함축이 있다. 할머니의 과거는 단지 불행한 생애 일부가 아니라 할머니 자신의 이야기로 인식되지 못하는 혼란이다. 할머니는 살아온 과거가 치욕적으로 느끼는 까닭에 그것을 현재의 자신 속으로 돌이켜 끌어들이는 과정을 힘겨워한다. 위안부 문제의 실상이 오랫동안 은폐되고 방치되온 탓에 할머니들은 저주스런 과거를 감추면서 숨어 살아야 했다. 가족에게조차 말할 수 없었던 치욕스런 기억은 ‘봉인된 고통’과도 같다. 할머니의 자아 정체성을 잃어버린 것은 당연한 일이다. 기억은 응집성 있는 서사적 질서를 부여함으로써 구성되어 역사라는 이름으로 표출된다. 할머니의 수치심은 야만의 세월이 힘없는 여성에게 초래한 비극이다. 할머니의 머리와 마음에서만 울리던 공허한 메아리를 김숨은 현실의 문제로 끄집어내어 독자들에게 들려준다. 그렇게 세상을 기피하며 살아온 할머니가 자신의 과거와 한 꺼풀씩 대면하는 과정이 종이 위에 아프게 펼쳐져 있다. 알려지지 않은 비극적 진실은 역사로 복원되어 생명을 얻게 되었다. 《한 명》이 할머니들의 슬픈 마음을 널리 전해주고, 아픔을 함께 느끼게 해주는 소설로 오래오래 기억되길 바란다.

 

 

 

[주] <위안부, 아직 끝나지 않은 지금 우리의 문제> 노컷뉴스, 2013년 11월 18일

 

 

- 접기
cyrus 2016-10-19 공감(26) 댓글(0)
Thanks to
 
공감
     
일본이 인간의 얼굴을 한 나라가 되길 원한다면 새창으로 보기
 일제 강점기는 일본의 국가주의에 힘없는 조선 땅과 조선 국민이 무참히 짓밟혔던 시기이다. 36년 동안 무수히 많은 수탈과 폭력·인권 유린이 자행되었고 조선인은 인간 이하의 취급을 받았다. 일제는 오로지 국가의 전승(戰勝)을 위해 개인을 철저히 도구화하였다. 여러 가지 끔찍한 일들이 벌어졌지만, 그 중에서도 우리가 인간으로서 도저히 참고 넘어갈 수 없는 일이 ‘위안부 강제 동원’일 것이다. 나는 인간으로서 안타까움을 넘어 분노한다. 더 이상 이런 국가적 폭력이 되풀이되지 않기를 바라면서.

 작품 속 ‘그녀(윤금실)’는 열세 살 어린 나이에 만주 위안소로 끌려갔다. 이유는 몰랐다. 동의 여부도 묻지 않았다. 그렇게 일본군 위안부라는 이름으로 끌려간 어린 여성은 무려 20만 명에 달했다. 그들은 아무 것도 모른 채 사랑하는 가족과 생이별을 해야 했다.

 열세 살에서 많아야 열여섯 살. 오늘날 태어났더라면 초등학교나 중학교를 다니고 있을 나이다. 몸과 마음이 채 다 자라지 않아 영양과 건강이 무엇보다 중요한 때다. 그런 나이에 끌려가 온갖 고초를 겪은 그들의 심정이 어땠을지 감히 짐작조차 하기 어렵다. 월경을 시작조차 않은 어린 여성도 있었으나 그런 것은 동원에 고려되지도 않았다. ‘소녀들의 몸에는 보통 하루에 15명 정도가 다녀갔다. 일요일에는 50명도 넘게 다녀갔다(87p).’ 누군가는 ‘불두덩에 대고 성냥을 그어댔다(44p).' 그렇게 십여 년을 보낸 뒤, 살아남은 이들은 광복을 맞아 조선 땅으로 돌아왔다. 그러나 그들은 잊혀졌다. 아니면 몸을 버리고 왔다며 손가락질 당하거나, 큰오빠가 죽었는데 울지도 않는다며 비난받아야 했다. 감정이 소진되어 눈물조차 나지 않는 것을 모른 채 말이다. 무슨 일이 있었다고 누구에게 털어 놓을 분위기는 절대 아니었다. 그래서 그들은 끌려가서 어떻게 살다 왔는지 밝힐 수조차 없었고, 홀로 엄청난 상처를 숨기고 살아야 했다. 잘못한 것도 없는데 항상 전전긍긍하면서 외롭게 살아야 했다. ‘그녀’ 역시 믿고 의지할 사람 하나 없이, 심지어 자식도 하나 없이 외롭게 한 많은 삶을 아흔 셋까지 살아왔다.

 그런 한 많은 그녀지만, 일상에서 아름다움을 경험할 때 신을 느낀다. ‘심지어 그녀는 신이 두렵기까지 하다(56p).’ 항상 움츠리고 살아온 그녀가 역설적으로 신을 가장 두려워한다. 정작 악한 이들이 가장 두려워해야 할 존재임에도 말이다. 또 그녀는 ‘신에게 얼굴이 있다면 늙지 않을 것 같다. 신의 얼굴이라서 늙지 않는 게 아니라, 더는 늙을 수 없을 만큼 늙은 얼굴이라서(24p)' 라고 생각하기도 한다. 아마 사람으로서 상상하지 못할 ‘인간의 끝’을 보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래서 그녀는 같은 인간으로서, 짐승 같았던 이들의 행동이 초래할지 모를 신의 처벌을 두려워하고 있는 것이다.

 ‘겨우 열세 살이던 자신을 하루아침에 만주에 데려다 놓은 것도 인간이었다(204p).' 물론 잔인한 일본 국가주의의 폭정 속에서도 사람답다고 말할 수 있는 이가 아주 없지는 않았다. 분선의 고향집으로 전보를 부쳐 주고 고향에서 온 전보를 가져다 준 야전 우체국 국장, 전투를 앞두고 울던 일본 군인……. 심지어 향숙은 일본 군인들을 동정하기도 한다.

 “일본 군인들도 우리처럼 부모형제하고 생이별하고, 목숨을 버리러 만주까지 왔대. 어제는 내가 엄마가 보고 싶다고 우니까 그러더라. 죽지 말라고…… 어떻게든 살아서 엄마가 있는 조선에 돌아가라고…….”(174p)

 작품 말미에서 한 생존자 할머니가 TV에 소개된다. 그녀는 지금까지 소설 ‘부활’ 만 여섯 번을 읽었다고 했다. 그녀는 책을 펼쳐 몇 페이지를 방송사 여자에게 읽어준다.

 “몇십만의 인간이 한곳에 모여 자그마한 땅을 불모지로 만드려고 갖은 애를 썼어도, 그 땅에 아무것도 자라지 못하게 온통 돌을 깔아 버렸어도, 그곳에서 싹트는 풀을 모두 뽑아 없앴어도, 검은 석탄과 석유로 그슬어놓았어도, 나무를 베어 쓰러뜨리고 동물과 새들을 모두 쫓아냈어도, 봄은 역시…… 찾아들었다. 따스한 태양의 입김은 뿌리째 뽑힌 곳이 아니라면 어디에서고 만물을 소생시켜…… 틈새에서도 푸른 봄빛의 싹이 돋고……”(191p)

 ‘누굴까? 누가 새끼 고양이를 양파망에서 꺼내 놓아주었을까?(205p)' 나는 고양이를 꺼내준 이가 누구인지 모른다. 다만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그가 인간이라는 것이다. 생명을 해치는 이가 있으면, 구하는 이도 있다. 망치는 인간이 있으면, 회복시키는 인간도 있다.

 일본 제국은 식민지 국가들에 극악무도한 행위를 저질렀다. 물론 한 나라에 역사적 과오가 아예 없기란 불가능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피해자가 있고, 기록이 남았다. 일본 제국을 계승한 현재의 일본이 ‘망치는 나라’를 벗어나 ‘회복시키는 나라’가 되고 싶다면, 대한민국과 위안부(성노예) 피해자분들께 진심으로 사과해야 한다. 국가적 폭력 안에서, 국가보다 존엄한 한 명 한 명의 인간이 무참히 착취당하지 않았던가. 피해자 할머니들이 살아 계시는 지금이 일본이 인간의 얼굴을 한 나라로 역사에 기록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다. 그 기회는 얼마 남지 않았다.


- 접기
베텔게우스 2018-08-01 공감(15) 댓글(0)
Thanks to
 
공감
     
여기, 한 명이 더 살아있다... 새창으로 보기
이것이 문학의 역할이다.

삶이 행복하지 못한 순간이 극도로 심각할 때,

문학 속에서 그 문제가 살아 나와야 한다.

 

그런데, 문제가 어느 정도 심각할 때는

유머를 통해 돌려 말할 수도 있지만,

너무도 심각할 때는 '고발' 자체가 문학이 될 수도 있다.

 

유태인은 '홀로코스트'를 고발하는 문학을

미국에서 뒷받침하는 힘을 입고,

이스라엘이라는 폭력국가의 배경으로 상업화해왔다.

 

한국이라는 나라는,

부끄럽게도 정부가 '위안부 문제'를 덮어 버리려 한다.

일본이 십억엔정도의 돈을 한국으로 부쳤고

친일파 정부는 '재단'을 만들어 그 돈을 받았다.

 

http://blog.naver.com/pinkwalking/220805752785

<손석희 앵커브리핑, 양보해다오, 사람이 울 차례다>

 

기레기들은 뉴스에서 보도하지도 않는 위안부 문제.

아마도 내년도 국정 교과서에서 '위안부는 창녀'라고 나와있는지도 모르겠다.

이렇게 밀어붙이는 걸 보면...

 

다시 살라고 하면 못 살 것 같은 그 시절이,

그런데 여자에게는 사는 것처럼 살았던 시절이었단다.

 

이웃집 여자가 자정 넘도록 재봉틀을 돌리고

새벽 다섯 시면 일어나 도시락을 여섯 개나 싸야 했다던 시절을 회고하며 하는 소리를 들은 그녀.

'또 한 명'의 할머니는

자신의 과거를 돌아본다.

다시 살라고 하면 못 살 것 같은 그 시절의 비교...

 

만주 위안소에서 소녀들은 닭이나 염소같은 가축이나 마찬가지였다.

 

이 소설을 틈틈이 e-book으로 읽었다.

줄거리도 없고, 감동도 없는,

하염없는 아픔만이 그득한 책이어서 그만 보고도 싶었지만,

보아야만 할 것 같았다.

그들이 덮으려고 하는 문제를 덮어서는 안 되겠기에.

 

곧 철거반원을 데리고 들이닥칠지 모르는

일본 대사관 앞 소녀상의 눈물을 생각하면서...

 

어릴 때 그녀는

인간에게 두려운 게 어둠이나 가뭄, 홍수같은 천재지변인 줄 알았다.

열세 살 이후로 인간에게 가장 두려운 게 인간임을 알게 되었다.

 

열세 살..

그 어린 것들을 이십만이나 데려갔단다.

그리고 이만명이 돌아왔다 한다.

 

그러나 이만명이 돌아왔다 해도 그들은 제대로 배우지도 못했고,

국가가 자신들을 위해 어떤 일을 하고 있는지도 몰랐다.

이제 다들 돌아가시고,

언젠가는 마지막 한 명이 남게 되리라.

 

나도 피해자요.

 

이렇게 말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

피해자가 도리어 부끄러워 숨어야 하는 나라는 나라가 아니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日本軍 慰安婦 問題 解決을 爲한 定期 水曜示威)

 

1991년 광복절 전야 김학순 할머니의 증언 이후,

1992년 1월 일본 총리가 방한하는 것을 계기로 만들어진 수요시위는

26년째 이어지고 있으나,

문제 해결은 커녕, 문제의 골만 더 깊어가고 있다.

 

이 책을 널리 읽혀야 한다.

이 책을 널리 가르쳐야 한다.

친일파들이 국가의 기강을 흔들면서 '건국절' 운운하는 데는,

이승만 일파와 박정희 독재의 행태를 미화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고,

동시에 이전의 친일 행각을 감추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김숨 작가에게 감사를...

 

http://tvpot.daum.net/mypot/View.do?clipid=74000499&playlistid=5166214

 

<고 김학순 할머니 인터뷰>

- 접기
글샘 2016-09-18 공감(13) 댓글(0)
Thanks to
 
공감
     
[마이리뷰] 한 명 새창으로 보기
오직 나 홀몸이니
거칠 것도 없고
그 모진 삶 속에서
하느님이 오늘까지 살려둔 것.
죽어버리면 그만일 나 같은 여자의 비참한 일생에 무슨 관심이 있으랴......
왜 나는 남과 같이 떳떳하게 세상을 못 살아왔는지.

내가 피해자요.

그 여자를 따라 위안부였던 여자들이 하나둘 고백을 하기 시작했다. 나도 피해자요, 나도 피해자요, 나도 피해자요, 나도 피해자요, 나도 피해자요......
(143~144쪽)

그녀는 티브이 받침대 서랍을 열고, 그 안에 넣어두었던 백지를 꺼낸다. 반으로 접힌 백지를 펼치자 또박또박 힘을 주어 쓴 글자들이, 억눌려 있던 스프링처럼 튕겨 오른다.
나도 피해자요.
그 한 문장을 쓰기까지 70년이 넘게 걸렸다.
(236쪽)

그녀는 평택 조카가 원망스럽지만 원망하고 싶지 않다.세상 그 누구도 원망하거나 증오하고 싶지 않다.
그러나 그녀는 자신에게 일어난 일들을 용서할 수 없다.

그 한 마디를 들으면 용서가 되려나?
신도 대신해줄 수 없는 그 한 마디를.
(248쪽)

결코 쉽게 읽혀지지 않은 소설이었다.
읽으면서 몇 번을 읽기를 중단했었는지 모르겠다.
‘한 명‘이 기억하는 역사는 결코 묻혀서는 안될 모두가 기억해야할 과거이거늘,왜 애써 묻으려고 무마하는 자들이 있는 것인지!!
몰라서 하는 소리이고,행동들이라면 김숨의 ‘한 명‘을 읽어보라 권하고 싶다.

숨 고르기가 힘든 장면들 속에서 우리는 더욱더 비장해야함을 깨닫게 된다.이젠 후손들인 우리가 더 오랫동안 기억하여 대신 소리내줘야할 그 비장함을 말이다.

누군가가 시도했어야할 주제였음에도 불구하고,
결코 쉽게 다가서기 힘든,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할머님들의 이야기를,
그것도 하나의 소설로 써냈다는 것,
이것으로도 충분히 ‘김숨‘이란 작가의 이름은
다시 한 번 더 강렬하게,
그래서 더한 고맙게 기억될 것이다.

(이렇게나 좋은 소설을 읽게 해 준 00비님께도 감사하게 생각한다.)

====
교보문고
===
책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소설 > 한국소설 > 한국소설일반
이 책의 주제어
#한국현대소설
여기 한 명이 더 살아 있다.
대산문학상, 현대문학상, 이상문학상 수상작가 김숨의 아홉 번째 장편소설 『한 명』. 그동안 사회적 약자와 소외된 계층을 집중적으로 탐구해온 저자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실제 증언을 재구성하여 완성해낸 작품이다. 지난 30여 년간의 ‘위안부’ 문제를 이슈화하는 동시에 그간 한국문학이 잘 다루지 않았던 ‘위안부’ 문제를 본격적인 문학의 장으로 이끌어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는 소설이다.

1991년 김학순 할머니의 증언을 시작으로 세상에 알려지기 시작한 위안부의 존재. 20만 명이 강제 동원되었고 그중 겨우 2만 명만이 살아 돌아왔고 2016년 현재, 그분들 중 40명만이 생존해 있을 뿐이다. 시간이 흘러 생존한 위안부 피해자가 단 한 명뿐인 어느 날을 시점으로 한 이 소설 작품은 자신이 위안부였음을 밝히지 않고 살아온 어느 ‘한 명’의 위안부 할머니를 주인공으로 하고 있다.

80여 년 전 열세 살 소녀였던 그녀는 마을 강가에서 다슬기를 잡다 난데없이 나타난 사내들에게 잡혀 만주로 끌려간다. 그날 이후, 강제로 끌려온 다른 소녀들과 함께 일본군에 의해 육신을 난도당하는 성적 학대와 고문을 당한다. 새 고무신도 주고 흰 쌀밥도 배불리 먹여준다고, 간호사를 시켜준다고, 야마다공장에 실을 풀러, 돈을 많이 준다고 해서 따라간 데가 지옥일 줄 소녀들은 까맣게 몰랐다.

생사를 넘나드는 참혹한 전쟁터에서 살아남은 그녀는 아픈 기억을 영원히 짊어진 채 고향으로 되돌아오지만 더 이상 그녀를 기다리는 삶은 존재하지 않는다. 끔찍한 트라우마는 그녀에게 수치감과 모욕감만을 남겼고, 이미 죽은 자로서 긴 세월 자기 자신의 정체성마저도 잊은 채 숨죽이고 살아가게 한다. 그러던 어느 날 티브이를 통해 공식적인 위안부 피해자가 한 명밖에 남지 않았음을 알게 된 그녀는 이제야말로 세상에 혼자 남는다는 두려움을 느끼며 지금껏 숨겨왔던 자신의 존재를 밝혀야겠다고 결심하고, 인공호흡기에 의지해 사경을 헤매는 마지막 위안부 생존자를 만나기 위해 버스에 오르는데…….
북소믈리에 한마디!
실제로 일어났던, 그래서 누구나 믿을 수밖에 없는 역사의 한 부분을 극대화시킨 소설은 그 시대를 경험하지 못했던 독자들에게 역사의 잔혹성과 내상을 고스란히 실감하게 만든다. ‘일본군 위안부’라는 고통스러운 경험과 사건이 주는 충격과 함께 살아남았기 때문에 계속해서 살아갈 수밖에 없었던 그녀들의 그 이후의 삶까지도 조명한 이 작품을 통해 저자는 역사가 지워버린 과거를 복원해내며 다시는 반복되어서도, 잊혀서도 안 될 기억의 역사로 확고히 자리 잡게 한다.
저자소개
김숨
저자 : 김숨작가 정보 관심작가 등록
현대문학가>소설가
저자 김숨은 1974년 울산 출생. 1997년 『대전일보』, 1998년 『문학동네』 등단. 소설집 『투견』 『침대』 『간과 쓸개』 『국수』. 장편소설 『백치들』 『철』 『나의 아름다운 죄인들... 더보기
김숨의 다른 작품
국수
국수
12,600원
아이와 칼(양장본 HardCover)
아이와 칼(양장본 HardCover)
11,700원
제비심장
제비심장
12,600원
기억하는 소설
기억하는 소설
14,400원
이전 상품다음 상품
작가의 말
위안부는 피해 당사자들에게는 물론, 한국 여성의 역사에 있어서도 가장 끔찍하고 황당한, 또한 치욕스러운 트라우마일 것이다. ‘트라우마에 대한 기억은 그 자체로 트라우마’라고 프리모 레비는 말했다. 1991년 8월 14일 김학순 할머니의 공개 증언을 시작으로, 피해자들의 증언이 지금까지 어어져오고 있다. 그 증언들이 아니었다면 나는 이 소설을 쓰지 못했을 것이다. (……) 그 와중에 한국과 일본 양 정부는 ‘사실 인정과 진정한 사과’라는 절차를 무시하고, 피해자들을 저 멀찍이 구경꾼의 자리에 위치시킨 채 일방적인 ‘2015년 일본군 위안부 합의’를 발표했다. 일본 정부는 ‘10억 엔 정도의 지원금을 출연할 테니, 소녀상을 철거하라’고 암묵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피해자 중 한 분인 훈 할머니 말씀처럼 “개나 고양이만도 못한” 시절을 살았음에도 불구하고 인간으로서 기품과 위엄, 용기를 잃지 않은 피해자들을 볼 때마다 나는 감탄하고는 한다. 내 할머니이기도 한 피해자들이 행복하시기를 기도하는 마음으로 이 부족한 소설을 세상에 내보낸다.
목차
한 명 009
해설 기억의 역사, 역사의 기억 박혜경 269
작가의 말 285
책 속으로
“군인 백 명을 상대할 자가 누구인가?”
“우리가 무슨 죄를 지었다고 군인 백 명을 상대합니까.”
작지만 야무지던 석순 언니가 따지고 들자, 중대장이 병사들을 시켜 석순 언니를 앞으로 끌어냈다.
“반항하면 어떻게 되는지 똑똑히 보여주겠다.”
군인들은 닭 껍질을 벗기듯 석순 언니의 몸에서 옷을 벗겼다. 석순 언니의 몸은 깡말라 사내아이의 몸 같았다. 겁에 질린 소녀들은 소리를 내지 않으려고 아랫입술을 깨물었다. 소녀들을 한 명 한 명 씹어먹을 듯 바라보는 중대장과 눈을 마주치지 않기 위해 그녀는 얼른 고개를 떨어뜨렸다. 막사 뒤에서 수십 개의 못을 동시에 박는 소리가 들려왔다. 소녀들은 자신들의 눈앞에서 곧 끔찍한 일이 벌어지리라는 걸 직감적으로 알았다. (18쪽)

위안소에 있을 때 그녀는 몸뚱이가 하나인 것이 가장 원망스러웠다. 하나인 몸뚱이를 두고 스무 명이, 서른 명이 진딧물처럼 달려들었다.
하나인 그 몸뚱이도 그녀 자신의 것이 아니었다.
그런데 자신의 것이 아니던 몸뚱이를 부려 그녀는 이제껏 살아왔다. (38쪽)

사람들은 그녀가 어디 가서 무슨 일을 당하고 왔는지 모른다.
어쩌다 보니 남의 집 식모로만 떠돌다 혼기를 놓친 줄로만 안다. 신세를 지는 것도 아닌데, 혼자 사는 그녀를 짐스러워하고 못마땅해하는 여동생들에게조차 그녀는 차마 말하지 못했다. 남자라면 몸서리가 나서 싫다고. 소리 없는 총이 있으면 펑 쏴버리고 싶도록.
그녀는 누가 시집가라는 소리만 하면 두드려 패고 싶었다. (44-45쪽)

군인들이 다녀갈 때마다 그녀는 식칼로 아래를 포 뜨는 것 같았다. 군인이 열 명쯤 다녀가고 나면 포를 하도 떠 아래가 하나도 남아 있지 않은 것 같았다.
아래는 무시로 바늘 들어갈 구멍도 없이 훌떡 뒤집어졌다.
소녀들은 자신들 몸에 다녀가는 군인들 명수로 일요일인지 알았다. 그곳에는 달력도 없어서 소녀들은 날짜도, 요일도 몰랐다. 모든 날들은, 모르는 날들이었다. 모르는 날들이 흘러가는 동안 소녀들은 폭삭 늙었다. (87쪽)

해방이 되고 소녀들은 뿔뿔이 흩어졌다. 더러는 일본 군인들을 따라가고, 더러는 중국에 남고, 더러는 국경을 넘다가 죽고. 하여간 죽는 게 여사였다.
누구누구가 살아서 돌아왔는지 궁금하면서도, 보고 싶어 죽겠어서 군자의 고향집까지 찾아갔으면서, 그녀는 혹시나 우연히 소녀들을 만날까봐 겁이 났다. 그래서 자신이 위안부였다는 사실을 사람들이 알게 될까봐 전전긍긍했다. 길을 가다가도 누가 자신을 유심히 쳐다보는 것 같으면 얼른 골목으로 숨어버렸다. (99쪽) 닫기
출판사 서평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실제 증언을 재구성하여 완성해낸
《대산문학상》 《현대문학상》 《이상문학상》 수상작가 김숨의 아홉 번째 장편소설

* 이 책의 저자 인세와 출판사 수익금의 일부는 (사)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나비기금’으로 기부됩니다.

끝나지 않은 일본군 위안부의 아픔
역사의 이름으로 파괴되고 훼손된 그 ‘한 명’으로부터 소설은 시작된다

▲ 이 책에 대하여

《대산문학상》 《현대문학상》 《이상문학상》 등 국내 주요 문학상을 연달아 수상하며 평단과 독자의 고른 호평을 받아온 작가 김숨의 아홉 번째 장편소설 『한 명』이 출간되었다.
그동안 여성, 노인, 입양아, 철거민 등 사회적 약자와 소외된 계층을 집중적으로 탐구해온 작가는 인간 사회의 그림자와 분열의 조짐을 그 특유의 집중력 있는 세심하고 예리한 시선으로 천착해 매 작품마다 탄탄하고 독자적인 작품세계를 선보여왔다. 이번 새 장편 『한 명』은 지난 30여 년간의 ‘위안부’ 문제를 이슈화하는 동시에 그간 한국문학이 잘 다루지 않았던 ‘위안부’ 문제를 본격적인 문학의 장으로 이끌어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는 작품이다.

20만 명이 강제 동원되었고 그중 겨우 2만 명만이 살아 돌아온 위안부의 존재는 1991년 김학순 할머니의 증언을 시작으로 세상에 알려지기 시작했다. 지금까지 238명의 위안부 피해자가 공식적으로 등록이 되었으며 김학순 할머니의 증언은 반세기 동안 감춰져 있던 위안부 할머니들의 삶을 세상에 드러나게 한 촉매가 되었다. 그 뒤 전국의 위안부 생존자들이 침묵을 깨고 연달아 고백을 쏟아내면서 ‘위안부’ 문제는 한일 간의 청산할 쟁점으로 부상되었다. 일본군 위안부의 역사의 증언, 기억의 역사가 시작된 것이다. 그리고 2016년 현재, 그분들 중 40명만이 생존해 있을 뿐이다.

‘피해를 증언할 수 있는 할머니들이 아무도 남아 계시지 않는 시기가 올 것이므로 소설을 통해 그런 점에 경각심을 가지게 하고 싶고, 그것이 문학의 도리라 생각한다’며 집필 동기를 밝힌 작가는 300여 개에 이르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실제 증언들을 재구성하여 다큐멘터리에 가까울 정도로 치밀한 서사를 완성시켰다. 리얼리티를 극대화시킨 소설은 그 시대를 경험하지 못했던 독자들에게 역사의 잔혹성과 내상을 고스란히 실감하게 만든다.

아울러 이 소설은 ‘일본군 위안부’라는 고통스러운 경험과 사건이 주는 충격과 함께 살아남았기 때문에 계속해서 살아갈 수밖에 없었던 그녀들의 ‘그 이후의 삶’까지도 조명한다. “인간으로서 기품과 위엄, 용기를 잃지 않은 피해자들을 볼 때마다 감탄하고는 한다”고 말하는 작가는 이 이야기를 통해 역사가 지워버린 과거를 복원해내며 다시는 반복되어서도, 잊혀서도 안 될 기억의 역사로 확고히 자리 잡게 한다.

세상에 남은 한 명이 세상에 남은 또 다른 한 명을 만나러 가는 길,
“한 명이 ‘한 명들’이 될 때 기억은 역사가 된다”

▲ 소설의 줄거리

시간이 흘러 생존한 위안부 피해자가 단 한 명뿐인 어느 날을 시점으로 한 이 소설 『한 명』은 자신이 위안부였음을 밝히지 않고 살아온 어느 ‘한 명’의 위안부 할머니가 주인공이다. 80여 년 전 열세 살 소녀였던 그녀는 마을 강가에서 다슬기를 잡다 난데없이 나타난 사내들에게 잡혀 만주로 끌려간다. 그날 이후, 강제로 끌려온 다른 소녀들과 함께 일본군에 의해 육신을 난도당하는 성적 학대와 고문을 당한다.

생사를 넘나드는 참혹한 전쟁터에서 살아남은 그녀는 아픈 기억을 영원히 짊어진 채 고향으로 되돌아오지만 더 이상 그녀를 기다리는 삶은 존재하지 않는다. 끔찍한 트라우마는 그녀에게 수치감과 모욕감만을 남겼고, 이미 죽은 자로서 긴 세월 자기 자신의 정체성마저도 잊은 채 숨죽이고 살아가게 한다. 자신의 과거가 사람들에게 알려질까 두려워하며 형제들까지도 피해 홀로 힘겹게 살던 그녀는 조카의 부탁으로 재개발 예정 구역에 기거하며 이름도 없는 삶을 이어간다. 그러던 어느 날 티브이를 통해 공식적인 위안부 피해자가 한 명밖에 남지 않았음을 알게 된 그녀는 이제야말로 세상에 혼자 남는다는 두려움을 느끼며 지금껏 숨겨왔던 자신의 존재를 밝혀야겠다는 용단을 내린다. 마침내 닫혔던 세상 밖으로 한 걸음 나아갈 수 있는 용기를 얻은 것이다.

소설의 마지막, 그녀는 인공호흡기에 의지해 사경을 헤매는 마지막 위안부 생존자를 만나기 위해 버스에 오른다. 가는 길 위에서 그녀는 삼인칭으로만 존재해온 ‘한 명’에서 마침내 “풍길”이라는 열세 살 때 지녔던 제 이름을 찾게 된다. 그녀가 마지막 생존자를 만나러 가는 길은 그동안 자신을 놓아주지 않던 과거와의 만남이자 그 시절로 돌아가 위안소에서 희생된 그 모든 ‘한 명들’을 만나러 가는 길에 다름 아니다. 이것은 그녀가 비로소 이름을 지니게 되고 지금까지 존재해온 이유에 답하는 순간이자 진정한 새로운 좌표를 찾게 되는 순간이다.

▲ 해설 중에서

한 개인의 내적인 삶, 그것은 그의 전부다. 죽지 않는 한, 죽어서 내면이 사라져버리지 않는 한, 인간의 내면은 그 어떤 무자비한 역사도 훼손시킬 수 없다. 끔찍한 고문을 당하고, 신체가 훼손되는 고통을 겪어도 그 고통이 각인된 인간의 내면은 남는다. 내면 때문에 인간은 죽는 순간까지 역사가 남긴 고통스러운 기억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이겠지만, 인간이 세계와 맞설 수 있는 힘 또한 개인의 고유 영역인 바로 그 내면으로부터 나오는 것이 아니겠는가? 기억은 오로지 개인만이 소유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무기다. 위안부 할머니들이 자신들의 존재를 지우고 부정하려는 역사 속에서 유일하게 자신의 것으로 지니고 있었던 것 역시 기억이다. 그 보이지 않던 기억이 어느 순간 육신의 입을 빌려 말하기 시작한다. 여기 ‘한 명’이 있다고, 죽지 않고 살아 있다고, ‘한 명’이 살아 있는 한, 위안부들의 역사는 아직도 끝나지 않은 것이라고…….
― 박혜경(문학평론가)

책속으로 추가
누렇게 바랜 신문지 쪼가리 한 귀퉁이에는 강인한 인상의 여자 얼굴이 증명사진보다 조금 크게, 흑백으로 인쇄되어 있다.
그녀의 두 눈 초점이 여자의 얼굴에 모아진다. 김학순, 그 여자다. 수십 년 전 티브이 속에서 울던 여자.
김학순…… 그 여자가 어느 날 저녁에 티브이에 나와 막 울었다. 밥을 먹던 그녀도 밥알을 입에 문 채 울었다. 그 여자가 우는 것을 보니까 덩달아 그렇게 눈물이 났다.
그녀는 날짜도 잊히지 않는다. 1991년 8월 14일이었다. 늘 그렇듯 혼자 티브이를 보다가 자신과 똑같은 일을 당한 사람이 살아 있다는 것을 알고 얼마나 놀랐는지 모른다. (141쪽)

그녀도 따라서 고백하고 싶었다. 나도 피해자요, 하고. 그때마다 그녀는 가제손수건으로 스스로의 입을 틀어막았다.
‘나도 피해자다…… 나도 만주 하얼빈까지 끌려가 그 짓을 당했다…… 열세 살에 끌려가 그 짓을…… 애기였을 때 끌려가…….’
자매들을 만날 때마다 그 말이 목구멍을 타고 치밀어 올랐지만 꾹 삼켰다. (145쪽)

새삼스레 이 세상에 달랑 나 혼자라는 생각이 들면서 그녀는 딸이 하나 있었으면 싶다.
부산에서 식모살이를 할 때 그녀를 쫓아다니던 총각이 있었다. 남자라면 몸서리가 쳐졌지만 자식을 낳을 수 있으면 그 남자와 살림이라는 걸 차려 남들처럼 살아보려고 산부인과에서 진찰을 받아보았다. 산부인과에서는 그녀에게 다른 소리는 하지 않고 자궁이 한쪽으로 돌아가서 애를 낳기 어려울 거라고 했다. 자신이 만주라는 데를 다녀왔다는 말을 차마 할 수 없어서 그녀는 총각 모르게 부산을 떠나왔다. (174쪽)

그녀는 늘 그렇듯 일어나자마자 티브이를 튼다. 다행히 한 명에 대한 소식은 없다. 한 명은 아직 살아 있다. 담요를 개키던 그녀는 깊은 숨을 토한다. 그이가 먼저 세상을 떠나든, 자신이 먼저 세상을 떠나든, 그 어딘가에 살아 있을지 모르는 어떤 이가 먼저 세상을 떠나든, 한 명도 살아 있지 않은 날이 머지 않았다는 걸 깨달아서다. (217쪽)

그녀는 한 명이 세상을 떠나기 전에, 여기 한 명이 더 있다는 걸 세상에 알려야 하는 게 아닌가 싶다.
증언이라는 걸 하고 싶은 마음도 생긴다. 그러나 그녀는 그것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모르겠다. 자신이 왜 이러나 싶기도 하다. 여태 아무 소리도 못하고 있다가, 이리 숨겨놓고 저리 숨겨놓고 있다가. 이렇게 늙어가지고. 죽을 때가 돼가지고. (234쪽) 닫기
상품정보
회원리뷰 (5)
스토리K (5)
교환/반품/품절
Klover 리뷰 (17)
구매 후 Klover 리뷰 작성 시, 리워드를 제공합니다. 안내리뷰쓰기
 9.8 /10
좋아요잘읽혀요정독해요기발해요유용해요기타
구매
전체
도움순
최신순
ss**0419 2016-08-26 14:40:35 총 4 중4 구매 정독해요
떨리는 손, 믿을 수 없는 활자, 미어지는 가슴.
댓글
좋아요
1
za**w79 2021-08-03 13:36:35 총 4 중4 구매 정독해요
나라의 힘이 약해 온갖 모진 고생을 하셨던 위안부 할머니들의 인생이 고스란히 담긴 이야기입니다. 두번 다시는 이런 비극이 일어나지 않기를 바랍니다.
댓글
좋아요
0
cl**er4m1 2020-07-14 23:44:15 총 4 중4 구매 정독해요
읽는 동안. 읽고 난 뒤. 마음이 아파서 마지막 페이지로 가는 시간이 힘들었지만 잘 읽었습니다.
댓글
좋아요
0
ah**w85 2020-03-21 20:44:12 총 4 중4 구매 잘읽혀요
좋습니다.
댓글
좋아요
0
mj**ver7 2019-05-27 09:25:32 총 4 중3 구매 유용해요
고등학생 추천이므로 중학생은 나중에 읽혀주심이 필요할 것 같아요
댓글
좋아요
0
처음 페이지로 이동이전 페이지로 이동  1  | 2  | 3  | 4  다음 페이지로 이동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북로그 리뷰 (5) 전체보기 쓰러가기
북로그 리뷰는 본인 인증 후 작성 가능합니다.
책이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내용은 비공개 처리 될 수 있습니다.
※ 북로그 리뷰 리워드 제공 2021. 4. 1 종료
한 명이 되기 전에 js**55 | 2020-07-19 | 추천: 0 | 5점 만점에 5점
 다슬기를 줍다가 일본군에게 끌려가 위안부로 7~8년을 지내고 만주 땅에서 고향으로 돌아오는데 5~6년, 고향에 왔으나 반기는 사람 없고 누구에게도 나서지 못하고 말하지 못하고 평생을 숨어 지냈다. 열 세살에 끌려가서 그 후 인생은 그의 것이 아니었다. 살아도 산 것이 아니었다.
나물을 캐다가, 부모님 심부름을 가다가, 비단 공장에서 일하는 줄 알고 따라가거나, 굶어 죽어가는 식구들을 위해 입 하나 덜겠다고 나선 어린 소녀들은 200만명이었는데 돌아온 소녀들은 2만 명이 될까말까.
 
위안부 할머니가 딱 한 명 남었다고 가정하고 쓴 소설인데 점점 그렇게 한 명이 되어가니 조급한 마음이 된다. 
김숨의 소설은 싫다. 아픈 곳을 긁는 게 있다. 
이 소설도.
그늘진 곳에서 햇빛으로 나오기 위해서는 일본의 진정어린 사죄가 있어야 하는데 멀고도 험하구나.
한 명으로 가기 전에  닫기
[소설] 일본군에 의해 짓밟혀진 꽃같았던 소녀들, 『한 명』 au**rahana | 2019-08-15 | 추천: 0 | 5점 만점에 5점
♡ 일본군에 의해 짓밟혀진 꽃같았던 소녀들, 『한 명』 ♡             <p align="left" style="text-align: left;"> 『하나, 책과 마주하다』 </p> <div class="autosourcing-stub-extra-saved"> </div> <div class="autosourcing-stub-ext... 더보기
역사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qu**tz2 | 2019-01-05 | 추천: 0 | 5점 만점에 5점
또 한 분이 세상을 떠나셨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남은 시간이 얼마나 될까. 과연 모든 이들이 떠난 후에도 우리는 이 비극을 향한 관심의 끈을 놓지 않을 수 있을까. 나와는 전혀 상관없는 문제 같지만 아니다. 역사로부터 자유로운 존재는 아무도 없다. 더구나 나는 여성으로 태어났다. 전쟁은 모두에게 비극일 테지만, 아이와 여성에게는 그 정도가 더욱 심했다. 머리로 아무리 이해해 보려 해도 불가능할 일들, 가슴으로는 도무지 받아들일 수 없는 일들이 지난 날 행해졌다. 단지 시대를 달리 하여 태어났을 뿐, 그 시절에 태어났더라면 나 또한 그들과 같은 비극을 겪고야 말았을 것이다. <한 명>은 소설이다. 하지만 동시에 현실이기도 했다. 여전히 해결이 요원한 바로 그 문제에 관한 엄염한 현실. 읽는 내내 마음이 불편했다. 겉으로 자신의 아픔을 드러낸 이들과 여전히 침묵 속에서 살아가는 이들 모두가, 결코 짊어져선 아니 되며 짊어질 수도 없을 너무나 무거운 짐에 짓눌려 있는 것만 같이 느껴졌다.


 


세상에 진실을 기억하는 이가 단 한 명만 존재하는 시대가 언젠가는 우리에게도 도래할 것이다. 저들은 그 한 명마저도 소멸하기를 두 손 모아 간절히 기도할 것이다. 여든은 이미 넘겼고 아흔, 어쩌면 세 자리 숫자의 버거운 나이를 지녔을 수도 있는 한 인물은 고귀한 투쟁에 나선다. 자신이 사라지고 나면 아무도 자신을 대신해 역사를 증언해줄 수 없음을 잘 알아서다.
주인공은 그 한 인물을 예의주시한다. 브라운관에 등장한 인물이 끊임없이 내뱉는 언어에는 자신의 경험이 담겨 있다. 나도 똑같은 일을 겪었는데, 그는 아직 용기가 생기지 않는다. 자신에게 있었던 일을 공개하는 순간 주변 사람 모두로부터 외면당했다, 보상금을 노리고 달려들었다는 비난을 들었다 등의 이야기 때문만은 결코 아니다. 어디서부터 어떻게 말을 꺼내야 할지, 그는 알지 못한다. 분명 과거에 벌어진 일이지만 마치 지금도 계속되고 있는 것 마냥 기억은 생생하다. 자신의 모든 것을 무너뜨린 그 일을 잊는다는 건 불가능했다.
시선은 끊임없이 과거와 현재를 오갔다. 단 한 번의 결혼도 않고 홀로 지낸 시간이 길어서였던지, 현실의 그는 계속해서 예전 일을 떠올린다. 고양이가 그에게 물어다 바치는 까치로부터, 이웃집 영감이 무슨 이유에선가 망태기에 잡아들이는 새끼고양이에게서 그는 과거와의 연결고리를 발견한다. 굳이 눈을 감지 않아도 그는 당시에 속할 수 있었다. 돈을 벌 수 있다는 말을 철썩같이 믿었던 사람, 막무가내로 끌려온 사람 모두에게 그 시절은 비극이었다. 처음에는 모든 것을 이해치 못했다. 아니, 지금도 어찌 그와 같은 일이 자행됐는지는 설명할 길이 없다. 그는 자신이 속했던 곳이 지옥이라 여겼다. 세상 어디에도 이와 같은 덴 없으리라 여겼지만 불행하게도 위안부는 도처에 널려 있었다. 함께였던 소녀들은 다른 위안부로, 때론 죽음으로써 뿔뿔이 흩어졌다. 입에 담기 치욕스러운 일들의 연속이었지만 몇몇은 끝끝내 살아남아야 한다며 서로를 다독이기도 했다. 차마 부모보다 먼저 죽을 순 없으므로, 살아서 엄마 있는 조선 땅으로 돌아가야 한다며.
일본의 패망 이후에도 슬픔은 끝나지 않았다. 겨우겨우 내 나라로 돌아왔지만 어디에도 하소연 할 길이 없었다. 입 하나라도 더 덜고자 안간힘 쓰기 바빴던 가난, 그는 불청객이었다. 환영 받지 못하는 존재였으므로 그는 떠나야 했고, 이후 줄곧 외톨이와도 같은 생활을 했다. 일은 했지만 돈을 벌지는 못했다. 먹고 자는 게 가능하다는 사실만으로도 감지덕지였다. 그마저도 나이가 듦에 따라 버거워졌다. 조카 명의의 양옥집에 거주하게 되었지만, 조카의 선의에 의한 건 아니었다. 동사무소 직원이, 전기검침원이 등장할 적이면 불안에 떨었으나 그래도 그는 양옥집을 제 집으로 여기며 살았다. 남편으로부터 타락한 존재라는 식의 비난을 받고, 모두의 손가락질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채 살아왔다는 증언을 쏟아대는 동지(!)들에 비하면 자신은 운이 좋은 편이라고 믿었을 것도 같다. 하지만, 마음 한 구석에는 죄책감이 존재했다. 인공호흡기에 의지한 상태임에도 생의 끈을 부여잡고자 안간힘을 쓰는 단 한 명에게 무슨 말이라도 건네야 한다는 사명감을 차마 내려놓을 수가 없었다.


 


여전히 무섭다.


 


이 말 뜻을 오롯이 이해하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책의 말미 ‘참고 자료’에 등장하는 이름이 참으로 여럿이었다. 1924년생, 1923년생, 1919년생. 다들 그 즈음 태어났고, 대부분이 현재는 고인(故人)이 되셨다. 그들 또한 무서웠을 테지만 역사의 증인으로 나서 주셨다.
모두가 사라졌다며 누군가는 만세를 부를 때 아직 존재하는 한 명을 떠올려야겠다. 당신은 혼자가 아니라고, 당신과 우리가 함께하고 있다고. 역사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닫기
[소설] 일본군에 의해 짓밟혀진 꽃같았던 소녀들, 『한 명』 au**rahana | 2016-11-11 | 추천: 0 | 5점 만점에 5점
♡ 일본군에 의해 짓밟혀진 꽃같았던 소녀들, 『한 명』 ♡

ϻ
 
 


 
 
『하나, 책과 마주하다』
 
책을 조심스레 열었다. 리니님의 리뷰를 이미 읽었던지라 마음을 가다듬고 보는데도 너무 마음이 아팠다.
감수성이 약한 나는 몇 장 넘기지도 못해 초입부터 눈물이 났다. 여자로서 그 치욕스러운 순간들을 평생 어떻게 잊을 수 있으리.
 
자세히 묘사하여 쓰는 것도 못하겠다. 마음이 아파서.
나는 지금부터 어린 소녀들에게 씻기지 못할 치욕스러운 순간을 안겨준 그들을 '무식한 나쁜 놈들'이라 말하겠다.
무식한 나쁜 놈들은 어린 여자아이들을 막사 앞에 모아놓고 군인 백 명을 상대할 자가 누구냐고 물었다.
그 때, 한 소녀가 당돌하게 대꾸하자 수 백개의 못이 박힌 나무판에 그 소녀를 굴려댔고 그녀는 결국 죽었다.
그들은 석순 언니를 땅에 묻지 않고 변소에 버렸다.
그들은 죽은 소녀에게는 땅도 아깝고, 흙도 아깝다 했다.
이건 시작에 불과했다. 그 어린 소녀들에게 말이다.
13살, 어린 나이에 강가에서 다슬기를 잡으며 놀던 어린 소녀는 사내들에게 붙잡혀 열차 위에 오르게된다.
마을을 벗어나 본 적이 없는 어린 소녀는 하염없이 달리는 열차 속에서 오들오들 떨어야만 했고 내려보니 하얼빈 역이었다.
온통 일본군 천지였다. 그렇게 악몽이 시작된 것이다.
가축이나 마찬가지여서, 그들은 소녀들의 자궁을 마음대로 들어내기도 했다. 소녀들이 임신하면 다시는 임신을 못하게, 태아와 함께.
소녀의 몸에 애가 들어서면 갯값도 못 받았다.
 
단순히 '아, 이런 일이 있었구나!'에 그쳐서는 안 된다. 진정성있는 사과를 받아내기 위해 끊임없이 우리가 관심을 가져야한다.
무지하고 무능한 현 청와대 그녀가 자꾸만 위안부에 대한 사과를 받으려고 노력하기는커녕 한일정보보호협정을 가지고 나라를 들쑤시는데
걔는 여자가 아닌가보다. 그렇게 헛되이 나이나 먹고서 아직까지도 지가 공주인 줄 아나보다.
위안부에 끌려가셨던 할머니들의 증언을 보고 듣고있자면 마음이 아린다.
책 속 구절들을 다 옮기고싶지만 차마 못하겠다. 더하면 더했지 덜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 나쁘고 무식한 놈들이!
시간은 자꾸만 흘러간다. 진정성있는 사과를 요청한 할머니들께서 자꾸만 하늘나라고 가시는데…… 하루빨리 사과를 받아내야한다.
아무것도 몰랐던 꽃같았던 하늘로 간 어린 소녀들을 위해 꼭, 꼭 사과를 받아내야만 한다.
[ 희움 http://www.joinheeum.com/ ]
 
 
 
여자로 태어나고 싶다…… 꼭 한 번 다시 여자로 태어나고 싶다
닫기
한 명 ia**2 | 2016-09-23 | 추천: 0 | 5점 만점에 5점 구매
한 명
김 숨 지음
현대문학
 
 절대 올 것 같지 않게 뜨겁게 무덥던 여름은 추석에 의해 밀려나고 선들선들한 가을 속에 잠겨들고 가을 속에서 만난 책은 대산문학상, 현대문학상, 이상문학상 등 국내 주요 문학상을 연달아 수상하며 평단과 독자의 고른 호평을 받아온 작가 김숨의 『백치들』, 『철』, 『나의 아름다운 죄인들』, 『물』, 『노란 개를 버리러』, 『여인들과 진화하는 책들』, 『바느질하는 여자』, 『L의 운동화』에 이은 아홉 번째 장편소설이다. 작년에 「뿌리 이야기」로 이상문학상을 수상하면서, 문외한인 나에게 제대로 각인된 작가이기도 해서, 이한열의 이야기를 다룬 『L의 운동화』에 이어 이번에도 구입하여 읽게 되었다.
지난 30여 년간의 위안부(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47385&cid=46623&categoryId=46623) 문제를 이슈화하는 동시에 그간 한국문학이 잘 다루지 않았던 위안부 문제를 본격적인 문학의 장으로 이끌어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는 작품으로 평가되고있다. 생존해 계시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가 단 한 분 만 남은 그 어느 날을 시점으로 가상한 상황에세 펼쳐지는 이야기이다. 육신의 소멸에 저항하는 기억을 간직하고 홀로 남은 위안부 할머니……. 때로는 분노하며, 가끔은 울컥하면서 읽게 된다. 그러나 정작 이런 처참한 삶을 살아온 위안부 할머니를 직접 접하게 된다면 나 역시 다른 이들과 그닥 다르지 않은 편견에 빠질지도 모르겠다. 아니, 그 분들의 자녀로 태어나 정말 원치않는 질병에 시달린다면, 어머니의 매독균으로 오십 대에 정신질환을 앓게 되는 아들이라면, 이런 대응을 할 수 밖에 없을 듯도 싶다. 그러기에 어처구니 없는 방법으로 종군 위안부 문제를 처리한 한일 양국의 처사에 더더욱 분노하게 된다. '피해를 증언할 수 있는 할머니들이 아무도 남아 계시지 않는 시기가 올 것이므로 소설을 통해 그런 점에 경각심을 가지게 하고 싶고, 그것이 문학의 도리라 생각한다'며 집필 동기를 밝힌 작가는 300여 개에 이르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실제 증언들을 재구성하여 다큐멘터리에 가까울 정도로 치밀한 서사를 완성시켰다. 밭 매다가, 목화 따다가, 물동이 이고 동네 우물가에 물 길러 갔다가, 냇가에서 빨래해 오다가, 학교에 가다가, 집에서 아버지 병간호 하다가 억지로 끌려온 소녀들의 이야기이다. 열세 살 어린 나이에 미쳐 생리도 시작하기 전에 끌려갔다가 일본군에 의해 육신을 난도 당하며 짐승만도 못한 삶을 살았다. 구사일생으로 살아 고향을 찾아 돌아와서 평생을 종군 위안부였다는 진실을 밝히지 않은 채, 조용하고 낙없는 시간을 살다가 마지막에 홀로 남은 할머니이다. 소설 속에서 자신의 이름을 계속해서 제대로 설명을 하지 않고 있다가, 마지막에 이르러 비로소 이름을 밝혀주는데, 248쪽에 언급된 '애순'인지, 253쪽에 언급된 '풍길'인지 확신할 수 없다. 아울러 이 소설은 '일본군 위안부'라는 고통스러운 경험에 따른 극복할 수없는 트라우마와 비극적인 사건이 주는 충격과 함께, 어쩔 수 없이 살아남았기 때문에 계속해서 살아갈 수밖에 없었던 가엾은 영혼 들의 '그 이후의 삶'까지도 조명한다. "인간으로서 기품과 위엄, 용기를 잃지 않은 피해자들을 볼 때마다 감탄하고는 한다"고 말하는 작가는 이 이야기를 통해 역사가 지워버린 과거를 복원해내며 다시는 반복되어서도, 잊혀서도 안 될 기억의 역사로 확고히 자리 잡게 한다.
2016.9.22.(목)  두뽀사리~ 닫기
===
가을이 오기 전 읽을만한 책, 김숨의 『한 명』 / 현대문학
프로필
여의물
2018. 8. 20. 7:00

 이웃추가본문 기타 기능
김숨의 『한 명』을 읽고 나서
가을이 오기 전 읽을만한 책

한 명
저자 김숨

출판 현대문학

발매 2016.08.05.

상세보기







한낮의 태양이 내리쬐기도 전,
열세 살 그녀는 흔들리는 군용트럭 짐 칸에 떨어졌다. 무엇이 그녀를 그곳으로 인도했는지 모른 채 죽은 듯 꼬물거리는 다슬기를 한 손에 쥐고 있었다. 한 사람의 생애가 손아귀의 다슬기처럼 그려진다. 살아 있으되 죽은 듯 고요하고, 실체는 있지만 죽었다. 소설을 읽으며 이처럼 깊이 감정이입한 적이 있는가 스스로에게 물어본다. 소설 『한 명』의 시작과 끝에서 한결같이 등장하는 다슬기는 그녀 자신의 모습이다. 삶과 죽음의 징검다리를 건너며 소설은 모두 허구라 한 번 훑고 지나가면 그만이라는 생각은 온 데 간 데 없다.



한숨을 내쉰 것이 몇 번째일까.
내게서 이렇게 깊은 한숨이 연이어 터져 나올 수 있다는 사실이 놀랍다. 몇 해 전 가슴이 답답해오고, 구역질이 나며, 하늘이 노오랗게 바랬던 적이 있었다. 결국 입원을 했고 오랜 시간 요양해야 한다는 결과를 통보받았다. 불행 중 다행으로 다시 하늘을 보았기에 별일 아닌 듯 넘어갔는데 지금 다시 그때의 감정이 떠오른다. 가슴에 못이 박힌 듯 꽉 조여오고, 숨을 쉬어도 가슴팍 아래로 내려가지 않는다. 그저 한 번이라도 편하게 숨 쉬고 싶다는 바람이 얼마나 절박하게 와닿았던가.



한 얼이란, 
거대한 정신. 하늘에 계신 절대자를 가리키기도 하지만 하나 된 정신이기도 하다. 하루를 살기도 벅찬 무지랭이가 하늘을 생각한다는 것이 언감생심 우습다. 그래도 주어진 생명이라 모질게도 살아간다. 마치 내가 짊어진 것이 세상의 모두 인양 그렇게 살아가는 것이 평범한 우리의 삶이다. 그러나 더 이상 사는 것이 무의미해지면 우리는 두 손 모아 절대자를 찾는다. 제발 이번 한 번만 도와달라고... 죽음보다 더한 고통에서 벗어나게 해달라고...



『한 명』은 하나이다.
둘이 아니라 하나이다. 하나밖에 없어서 하나이다. 혼자 있다가 둘이 되면 반갑고, 셋이 되면 즐거워진다. 반대로 여럿이 있다가 홀로 남게 되면 우울해진다. 내가 무슨 죄를 지어서 혼자 남게 되었을까? 아무리 묻고 또 물어도 알 수가 없다. 나는 그저 평범한 사람일 뿐인데 내 삶은 그토록 처절했는지 누구도 대답해주지 않는다. 내 숨마저 마음대로 쉬지 못하는 어˙처˙구˙니˙없는 삶은 누구의 것인가.









몇 번을 다시 읽어도 답을 못 내기는 마찬가지다. 작가의 장난에 놀아난 기분이다. 해답도 없는 문제를 내는 신의 비웃음처럼 책 속에 답은 없었다. 무슨 말이 하고 싶었을까. 왜 내게 이런 말을 하는 것일까. 나는 평범하게 살고 싶었는데 나의 삶에 돌을 던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앉아서 읽고, 엎드려서 읽고, 지하철에서 읽고, 사무실에서 읽어도 그녀는 늘 같은 얼굴에 내 곁에 있었다. 어루만지면 닿을 것 같은 거리에서.



소설 『한 명』은 실제 같은 소설이다. 너무도 생생하게 살아있어 이것이 소설이라 믿기지 않을 만큼 사실 같다. 우리와 같은 목숨을 쥐고 태어났지만, 어둠의 저편에서 살아가야 했던 사람들의 이야기다. 어느 하나라도 원하지 않았던 아수라 같은 삶을 살아야만 했던 그녀들의 이야기다. 그리고 그곳에서 벗어나 비로소 태양을 보았을 때, 사람들은 없었다. 분명 그녀는 돌아왔는데 나라도 없고, 가족도 없고, 이웃도 없었다. 오로지 한 명만 남아있었다.



지구라는 거대 행성에 홀로 남겨진 한 명은 누구를 원망하지도 않았다. 오히려 숨기기에 급급했다. 하지만 한 명이 20만 명에서 비롯되었다는 이야기를 들었을 때, 그녀는 속으로 울부짖었다. 인두겁을 쓰고 어찌 그럴 수 있는가. 엄연히 있었던 일을 수십억 인구는 모르고 있었다. 마치 화성에서 일어난 일인 양 아무런 상관없는 일이다. 자신이 이렇게 버젓이 살아있는데 세상은 태연하게 돌아간다는 것을 생각하면 기가 막히고 코가 막힐 일이다.








아마도 작가 김 숨은 이런 이야기를 하고 싶었나 보다. "당신이 아무리 부정해도 이것은 사실이고, 우리의 일입니다. 더 이상 부정하지 마십시오. 당신이 부모님을 공경하고 자식을 사랑하는 만큼 한 명의 '그녀'를 잊지 말아야 합니다." 그리고 보니 유태인의 지혜와 용기를 다룬 이야기가 생각난다. 세계 경제를 주무르는 그들은 어떻게 해서 소수인 자신들이 일어설 수 있었는지 말하고 있었다. 



그것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는데 첫 번째는 자신들만의 경전을 만들어 대대손손 물려가며 익히고 따른다는 사실이다. 부모가 자식에게, 사회가 후손에게 물려주는 가르침은 그들을 거대한 힘의 근원으로 만들고 있었다. 두 번째는 역사를 제대로 가르치는 것이다. 자신들이 어떻게 살아왔고 지금에 이르렀는지 철저히 가르친다. 심지어 아우슈비츠에서 죽어간 유대인 살육의 현장을 보여줄 때, 아이들은 고통에 몸부림치며 다시는 이런 역사를 반복하지 않아야겠다고 다짐한다. 



죽음의 역사일지언정 그것을 인정하고 미래를 위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찾는 것이다. 내가 있기까지 부모가 있고 조부모가 있고 또 그의 부모가 있는 것처럼 우리는 나를 있게 한 역사를 기억해야 한다. 하지만 현실의 나는 얼마나 기억하고 있을까? 손바닥으로 태양을 가릴 수 있다고 착각하고, 눈만 가리면 온몸을 숨길 수 있다고 믿어 의심치 않는다. 장님이 코끼리 만지 듯 엇나간 세상을 진실인 양 이것만이 최고라고 부르짖는다. 








계층의 갈등, 노소의 갈등, 이념의 갈등. 모든 갈등의 중심에는 나 만 아니면 된다는 이기적인 습관이 자리한다. 나와 너가 만나 우리를 만드는 것이 아니다. 오로지 나만 존재한다는 생각은 비극의 역사를 반복해서 겪게 만든다. 그런 후에라도 무엇이 옳고 그른지 알게 된다면 감사하겠지만 우리는 그렇지 못했다.



『한 명』은 지나간 역사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미래 세대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우리가 애써 부인하고 싶었던 치욕의 역사일망정 그것을 진심으로 품에 안았을 때 역사는 바르게 흘러갈 것이다. 그리고 우리의 미래는 더 이상 이런 아픔을 겪지 않기 위해 가일층 노력해 나갈 것이다. 



한 명이 두 명이 되어야만 한다. 



위안부의 역사는 더 이상 감추어서는 안된다. 열세 살, 미처 피기도 전에 녹아내린 꽃잎이 되어서는 안된다. 모가지 채 떨어지는 동백꽃이 아름답게만 보이지 않는 것은 그 고통이 오롯이 전달되기 때문이다. 내가 살아온 삶이건만 믿어지지가 않는 건, 믿을 수 없는 일이 일어났기 때문이다. 더 이상 사람이기를 거부한 이들의 광기에 수많은 소녀의 영혼은 갈기갈기 찢어졌다. 그리고 지금 그 마지막 『한 명』이 빛을 잃어간다. 이대로 두어서는 안된다. 한 명이 아니라 두 명이 되도록 우리의 가슴을 열어야 한다.








작가 김 숨은 '작가의 말'을 통해 현재 우리나라 위안부 상황을 설명하고 있다. "1930년부터 1945년까지 20만 명에 달하는 여성이 일본군 위안부로 동원되었고, 그중 2만 명만이 살아 돌아왔다. 끝끝내 돌아오지 못한 나머지 여성들은 죽거나, 언어도 물도 낯선 땅에 버려졌다.(······) 그 20만 명 중에는 심지어 열한 살짜리도 있었다. 평균 나이는 열 예닐곱 살이었고, 대부분 가난한 부모 밑에서 태어나 초등교육조차 제대로 받지 못했다." 이들이 내 할머니며 어머니며 누이이다. 내가 당한 일이 아니기에, 모른 척 하거나 세월의 뒤안에 숨어버린다면 역사는 다시 반복될 것이다.



1991년 8월 14일 김학순 할머니의 공개 증언을 시작으로 정부에 등록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는 238명에 이른다. 죽지 못해 살아온 모진 목숨이다. 아니 살아오면서 수만 번 죽기를 반복했을 것이다. 하반신이 마비되고, 쇠못에 찔려도 그녀는 밤낮으로 핏빛 광기에 물든 일본군을 받아야 했다. 그 지옥을 어찌 잊을 수 있을까. 온몸에 각인된 그 고통을 잊는다는 것은 곧 죽음일 뿐이다. 하지만 그보다 더한 고통은 민족의 무관심이었다. 지옥에서 살아돌아왔더니 더한 지옥이 기다리고 있을 줄 누가 알았겠는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우리의 인식은 역사의 일 부분일 뿐이었다. 가해자는 득의양양해 허리를 곧추세웠지만 피해자는 숨을 곳을 찾아 어둠 속을 헤매었다. 지난 일이라 터부시해서는 안 된다. 이제라도 모두가 하나 되어 제대로 된 역사를 만들어 나가야 한다. 소설 『한 명』을 읽으며 역사에 대한 인식을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 모두 알고 있었다고 생각했지만 사실이 아니었다. 속없는 빈 강정만 들여다보았던 자신은 반성하며 마지막 책장을 덮는다. =
===

[비평] 외면하지 않을 용기…김숨 ‘한 명’
입력 2021.07.25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241673


김숨의 <한 명>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정면으로 다루고 있는 소설이다. 역사적 사건을 소재로 해도 가공의 방식을 거칠 수밖에 없는 것이 문학작품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작품에서 작가 김숨은 말 그대로 역사를 똑바로 응시하는 방법을 선택한다. 각종 자료집이나 방송 등에서 공개된 일본군 위안부 희생자 여성들의 증언으로 소설의 뼈대를 삼고 있다는 점이 이것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주인공은 피해자 등록도 거부한 채 자신의 과거를 혼자서만 간직하고 있는 인물이지만, 그가 경험했던 고통과 상처들은 개인의 기억 안에 머물지 않게 된다. 소설 속에 빼곡하게 인용된 희생자들의 목소리는 고통스러운 과거의 일들을 되살리고 반복하면서 지금 우리의 현실로 그려낸다.

독자들로서는 <한 명>을 읽어가는 동안 필연적으로 여러 궁금증을 떨쳐낼 수 없게 된다. 직접적인 증언과 작가가 만들어 낸 이야기들이 어째서 구별 없이 하나로 되어 있는지, 그래서 어디까지를 소설로 봐야 하며 또 실제의 역사와는 또 어떻게 다른지……. 사전적 의미에서 소설과 같은 서사 양식은 실제 작가와 분리되어 있는 서술구조를 가지고 있다. 작가의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하고 있거나 또는 보편적으로 알려진 역사적 사실을 근거로 한 작품을 읽을 때조차 앞선 질문과 같이 우리의 생각은 언제나 소설의 범주를 넘는 사고로 확장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한 명>을 통해 우리가 품게 되는 궁금증들은 소설의 가치를 묻는 가장 근본적인 질문과 다르지 않아 보인다.

소설은 외부의 다른 존재나 가치들과 교류하는 대화 양식이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은 내용적인 완결 여부와 상관없이 언제나 외부를 향해 열려 있는 구조를 말한다. 따라서 독백으로만 이루어진 작품이 있다고 하더라도 소설은 작가의 서사 안으로 또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게 된다. 주체의 사유를 중심으로 해왔던 현대철학에 타자(他者)를 끌어들인 철학자 레비나스는 이처럼 타자와 만나고, 타자와 더불어 사고하면서, 나와 다른 타자의 질문에 응답할 의무를 느껴야만 하는 상황을 ‘윤리’라고 부른다. 이를 활용해서 말해보자면,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를 필연적으로 포함하게 되는 소설이야말로 ‘윤리적 구조’로 만들어져 있다고 할 수 있다.

작품에 인용한, 위안부 피해자 증언의 출처가 표기된 각주. 소설에는 이런 각주가 모두 316번 등장한다.
작품에 인용한, 위안부 피해자 증언의 출처가 표기된 각주. 소설에는 이런 각주가 모두 316번 등장한다.
김숨의 <한 명>을 읽으면서 떠올릴 수밖에 없었던 질문들이 결국 우리 내면의 윤리적 감각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 각주가 달린 문장들을 만날 때마다 소설 뒤편으로 돌아가 그 문장을 증언한 희생자들의 이름을 확인하게 되는 316번의 행위들이나, “고향 마을 강에서 다슬기를 잡”(27쪽)다가 난데없이 끌려간 주인공이 70년도 더 지난 세월 동안 여전히 손 안에서 생생하게 느끼고 있는 ‘다슬기’의 감각을 고스란히 건네받는 등 <한 명>을 읽는 모든 순간들은 우리에게 윤리적 질문을 촉발시킨다.

놀라운 것은 “혹여나 신이 볼까봐 남의 집 마당에 떨어진 모과 한 알 몰래 줍지 않”고 “신이 들을까봐 속말로라도 다른 이에게 저주를 퍼붓지 않는”(56쪽) 주인공의 모습이다. 소설은 과거와 현재로 시간적 배경이 분명하게 나뉘어 있다. 회상 속 과거의 시간 속에서 주인공은 일방적으로 가해지는 폭력 앞에 노출된 존재이다. 그 고통의 기억을 생생하게 마주하고 있는 주인공은 돈벌이 수단으로만 여겨지는 이웃의 강아지나 동네를 떠도는 주인 없는 고양이, 심지어는 재개발을 앞두고 아무도 살지 않는 동네의 빈집에 이르기까지 작고 연약한 것들에 언제나 시선을 집중한다. 당시에는 물론이고 지금에 이르기까지 ‘국가’의 책임과 보상은 차치하고서라도 윤리적 고려의 대상조차 되어보지 못했던 주인공-희생자는 이같은 행동을 통해 자신의 존엄성을 스스로 회복한다.

일본군 위안부 희생자 여성들이 과거의 고통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해오고 있는 동안 우리는 어째서 그렇게나 무감각할 수 있었던 것일까. 최대한의 이윤을 예측하고 또 그것을 획득하기 위해 나아가고자 하는 경제적 행위 속에서 과거의 시간은 고려의 대상이 아니다. 도래할 이익을 위해서라면 역사적 사건조차 얼마든지 대차대조표 속의 항목으로 처리될 수 있을 뿐이다. 우리는 사실 희생자들의 고통을 외면했던 것이 아니라, 그들의 고통을 계산 가능한 것으로 만들기 위해서 노력해왔다고 할 수 있다. 더 나은 ‘미래’를 위해서.

“양파망에 넣어지는 순간 새끼 고양이는 늙은이의 것이 되었다.
밭 매다가, 목화 따다가, 물동이 이고 동네 우물가에 물 길러 갔다가, 냇가에서 빨래해 오다가, 학교에 가다가 집에서 아버지 병간호 하다가 억지로 끌려온 소녀들이 하하나 옥상이나 오바상이나 오토상이라고 부르던 일본인 업주의 것이 되었듯.
맨 처음에 인간은 땅도 그런 식으로 차지했을까? 밤나무나 감나무 같은 나무들도? 개나 염소나 돼지 같은 가축도?”(<한 명>77~78쪽. 실제 작품에는 이 인용된 단락 안에 6개의 각주가 달려있다.)

인용된 소설의 한 부분은 작가의 문제의식이 가장 날카롭게 담겨 있는 부분이다. 윤리적 질문과 더불어 <한 명>은 전쟁과 위안부 문제의 원인을 명확히 지적하고 있다. “소녀들”의 일상이 한 순간에 파괴된 이유는 이익을 추구하고자 했던 “일본인 업주”의 계산 안으로 들어갔기 때문이다. 식민의 경험과 이후 한‧일간의 역사적 전개 속에서 위안부 문제 역시 이와 같은 ‘계산’으로만 다루어져 왔다는, 감추고 싶었던 진실이 드러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한 명’은 어떤 방식의 계산으로도 처리되는 것이 불가능한 윤리적 가능성의 끝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제목이 왔다’(258쪽)는 표현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작가에게 ‘한 명’은 이 작품을 쓰게 만든 필연적인 계기이다. 우리가 윤리적 책임을 외면하지 않는 ‘한 명’이 된다면 위안부 희생자들의 고통과 기억을 이어받아 새로운 역사를 써나갈 수 있게 될 것이다.

남승원/ 문학평론가·서울여대 초빙교수
kbs가 손수 골랐습니다. 네이버에서도 보세요.
유동엽
유동엽 기자 imhere@kbs.co.kr

유동엽 기자의 기사 모음

===
소개
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
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는 ‘위안부’ 문제에 관한 체계적인 조사와 연구를 수행하고, 국민의 이해를 돕기 위한 교육과 홍보를 진행하기 위해 2018년 8월 한국여성인권진흥원에 개소하였습니다.

본 연구소는 ‘위안부’ 문제에 관한 지속적인 조사와 연구, 관련 자료 수집·정리 등을 통해 위안소가 운영되었던 실태를 알리고, 더욱 많은 이들이 '위안부' 문제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아카이브814 운영, 연구서 및 자료집 발간, 학술 행사 개최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연구소는 앞으로도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꾸준히 교육하고 널리 홍보함으로써 ‘위안부’ 문제에 관한 일반 대중의 인식 향상과 여성인권 및 평화의식 확산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
웹진 <결>
웹진 <결>은 ‘위안부’ 문제에 관한 연구자의 활동을 장려하고, 국민들의 관심을 모으고, 일반 대중의 이해를 높이고자 연구소가 발행하는 웹진입니다.

 
Webzine Identity : 단단한 기틀을 마련하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연구소 BI
디자인 : 슬로워크
 

일본군‘위안부’ 문제는 식민지 지배, 전쟁, 성, 인권, 폭력, 국제범죄 등 다양한 이슈와 연결되어 있어 한마디로 요약하기 어렵습니다. 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 웹진의 명칭 ‘결’은 이렇듯 다양하고 복잡한 ‘위안부’ 문제의 결을 촘촘히 살피고 펼쳐보자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결의 사전적 의미: 나무, 돌 살갗 따위에서 조직의 굳고 무른 부분이 모여 일정하게 켜를 지으면서 짜인 바탕의 상태나 무늬를 뜻함.

웹진 〈결〉은 사실과 관점이 촘촘히 교차하는 과정을 통해 ‘위안부’ 문제를 더욱 깊이 이해하고 탐구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이러한 의미를 점점 짙어지는 결이 그려진 세 개의 동그라미로 표현했습니다. 세 개의 동그라미는 각각 웹진 〈결〉의 가치인 ‘일본군‘위안부’ 문제의 복잡함을 이해하기’, ‘치밀하고 깊이 있게 사유하기’, ‘내 문제로 받아들이기’를 상징합니다.

연구소는 웹진 <결>을 통해 일반 대중들이 접근하기 어려운 ‘위안부’ 관련 자료를 전문 연구자가 직접 해석해주는 ‘자료해제’, 전문가들의 고민과 사유를 엿볼 수 있는 ‘좌담’과 ‘논평’, ‘위안부’ 문제에 관한 각계각층의 이야기를 소개하는 ‘에세이’와 ‘인터뷰’ 등 다양한 범주의 콘텐츠를 정기적으로 발행하고 있습니다. 웹진 <결>의 글들이 ‘위안부’ 문제에 관한 관심의 확장과 깊이있는 이해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외부 필자가 작성한 웹진 <결>의 콘텐츠 내용은 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웹진 <결> 019년 논평

왜 구술 증언록은 소설로 다시 쓰여야 했는가 - 김숨의 『한 명』을 중심으로
글 소영현연세대 젠더연구소 전문연구원

게시일2019.10.20 최종수정일2021.11.25

이 글은 『구보학보』(2019)에 실린 『목격-증언하는 자리와 공진하는 ‘위안부’의 몸』과 2019년 예테보리 국제도서전 프로그램 북에 실린 “When Literature Inquires the Gender of Labor”의 일부를 요약하고, 지난 8월 22일 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 콜로키엄(목격-증언의 자리와 공진하는 ‘위안부’의 몸 : 김숨의 소설을 중심으로)에서의 논의 내용을 참조하여 수정한 글이다. 유익한 질문을 해주신 토론자 권김현영 선생님과 콜로키엄에 참여했던 분들께 다시 한번 감사드린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현재화는 어떻게 가능한가 
2015년 한일 ‘불가역적’ 합의 이후 지난 몇 년간 일본군‘위안부’에 대한 문화적 재현물은 크게 증가했다. 김숨의 ‘위안부’ 서사인 『한 명』(현대문학, 2016)과 『흐르는 편지』(현대문학, 2018)와 함께 『군인이 천사가 되기를 바란 적 있는가』(현대문학, 2018)와 『숭고함은 나를 들여다보는 거야』(현대문학, 2018)도 그러한 흐름과 무관하지 않은 출간물이다. 일본군‘위안부’에 대한 문화적 재현물의 관심은 대체로 전시 성폭력이라는 트라우마적 사건 자체에 집중하며 본격화되었다. 사건이 삶에 드리운 영향은 대체로 지워진 채로 다루어졌고, 일본군‘위안부’는 소녀나 할머니로 등장하거나[1] 분절된 시간을 단절적으로 사는 존재로 다루어졌다. 단 한 명의 일본군‘위안부’ 생존자가 남은 상황을 가정하는 소설 『한 명』과 중국의 위안소 풍경을 당대의 시간 속에서 다룬 소설 『흐르는 편지』에서도 일본군‘위안부’는 분절적인 시간을 사는 존재로 등장한다. 끌려간 소녀들 열에 아홉은 살아 돌아오지 못했고, 돌아온 그녀들은 식모살이를 하거나 병들거나 망가진 몸으로 외롭고 고독한 삶을 살아야 했다. 

일본군‘위안부’에 대한 관심이 점차 운동가로서의 면모에 집중하거나 조력자로 시선을 돌리는 식 혹은 담론 자체를 논평하는 식으로 다양해지고 있다. 이에 비하면 김숨의 소설은 소재적 차원에서 트라우마적 사건 자체에 여전히 집중하는 편이다. 김숨 소설의 성취와 한계는 소설의 재현이 보여주는 표면적 특질에서 연유하기도 한다. ‘위안부’의 표상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평가는 문화적 재현물의 차원에서 정당하지만, 문학적 재현물이라는 차원에서 좀 더 섬세하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문화적 재현물에 대한 일반적인 평가와 갈라지는 지점, 즉 김숨의 ‘위안부’ 서사가 갖는 문학적 의의를 검토함으로써 그 차이에 대한 부족한 논의를 보충하고자 한다. 재현의 원리와 재현된 표상을 구분하면서, 소녀와 할머니로 다루어진 표상에 대한 평가에서 나아가, 왜 김숨 소설이 소녀와 할머니를 등장시키는지, 그 효과가 무엇인지를 문학적 논의 지평 위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향후 일본군‘위안부’ ‘문제’에 대한 문학적 성취의 진전을 위해 반드시 검토되어야 할 지점이다.  

재현물은 언제나 시대가 허용하는 재현의 한계 안에서만 구현된다. 문학적 재현물은 시대적 한계 인식의 리트머스인 것이다. 따라서 문화적 재현물의 성취 여부를 따져보기 위해서는 일본군‘위안부’를 어떻게 다루었는가에서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어떻게 다루고자 했느냐는 질문으로 시야를 확장해야 한다. 누락되기 쉽지만, 최근의 문화적 재현물은 표상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일본군‘위안부’의 문제를 바라보는 방법론적 차원의 관심을 공유한다. ‘위안부’ 문제를 현재화하려는 시도로 압축되는 방법론에 대한 공통의 관심은 시대의 인식적 한계의 최저선을 보여주려는 시도로써 다루어져야 한다.   

‘위안부’ 문제를 현재화하려는 방법론적 시도가 좀 더 뚜렷하게 드러나 있는 『한 명』을 중심으로 보자면 김숨 소설의 의미는 ‘위안부’의 문학적 재현을 재개했다는 사실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페미니즘 리부트 이후 새롭게 열린 한국문학의 논의 지평과 만나면서, 역사적 트라우마를 현재화하려는 김숨의 방법론적 고민은 트라우마적 폭력과 고통의 재현의 불/가능성론에 회피 없이 대결하는 방식으로 깊어지고 있다.       

 

『한 명』 표지 ©현대문학『한 명』 표지 ©현대문학
 

소설로 쓴 구술 증언록 
개별 희생자로서의 ‘위안부’뿐 아니라 ‘위안부’를 둘러싼 ‘문제’ 자체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느냐는 질문 앞에서 김숨은 1991년 8월 14일 김학순에서 시작된 일본군‘위안부’의 증언(“내가 피해자요”)을 각주 형식으로 소설 안의 말로 옮기고 그 말을 이어받은 수많은 다른 증언들(“나도 피해자요”)을 소설의 형식으로 구성해낸다. 김숨은 트라우마적 사건의 현재적 지속성, 그 분절 없는 고통의 감각에 좀 더 충실하면서, 민족과 젠더 그리고 인권 문제가 복합적으로 뒤얽혀 있는 ‘위안부’ 서사를 통해 시민-작가로서의 윤리를 실천한다.   

김숨의 ‘위안부’ 서사는 ‘위안부’를 대상화하는 재현 방식을 피하면서도 갖가지 폭력이 새겨진 신체를 통해 제국과 전쟁의 폭력성을 가시화한다. ‘위안부’의 몸, 폭력과 억압이 새겨진 소녀의 몸, 현재형으로 남아 있는 허기와 고통, 헤어날 수 없는 죽은 이들에 대한 꿈과 살아 돌아온 이들의 피할 수 없는 수치심과 죄의식을 전한다. “만주 위안소 이름을 모르지만, 자기 피와 아편을 먹고 죽은 기숙 언니의 이빨이 석류알처럼 반짝이던” 것을, “삿쿠에 엉겨 있던 분비물에서 나던 시큼하고 비릿하던 냄새”와 “검은깨를 뿌린 듯 주먹밥에 촘촘 박혀 있던 바구미의 개수까지”(『한 명』, 151쪽), 고통의 생생한 감각을 독자에게 고스란히 전한다.  

*** 

『한 명』이 ‘증언에 나서지 않았던’ ‘위안부’ 피해자를 내세운 ‘위안부’ 서사라는 사실은 좀 더 강조될 필요가 있다. 실제 ‘위안부’ 피해자의 구술 증언록의 말들은 소설 내에서 증언이 이루어지기 이전 기억의 형식으로 불려 온다. 작가는 공적인 발화가 이루어지기 전, 증언 이전의 침묵을 들여다보고 그 침묵이 말을 찾지 못한 ‘증언 이전의 증언’임을 독자에게 전한다. 그리하여 피해 생존자를 만나러 나선 (그녀는 자신이 일본군‘위안부’ 생존자라는 것을 “자신과 똑같은 일을 당한 사람”이자 “살아 있”는 사람(『한 명』, 143쪽)인 ‘다른’ 생존자에게 알리고자 한다. 그것은 곧 자신이 일본군‘위안부’였음을 밝히는 증언이 될 터인데) 장면으로 마무리되는 소설 전체가 그 자체로 하나의 구술 증언록을 이루게 된다.

증언의 기록은 구술된 목소리를 문자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증언자의 목소리가 기록자의 문자로 변환되는 바로 그 과정은 증언의 기록에 기록자의 관점과 입장이 새겨진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이미 일본군‘위안부’의 증언 채록 과정은 증언자의 사투리가 표준어 문자로 기록되거나 입말이 문어체로 기록되는 변형 혹은 정반대로 ‘~했다’ 체의 기록이 점차 입말을 살리는 쪽으로 바뀌었다[2]. 이러한 변화는 단지 표현의 변화만이 아니라, 증언자의 ‘교차적이고 중층적인’ 역사성에 대한 이해의 깊이를 보여준다. 여기에는 채록의 방법론에 대한 고민의 흔적이 새겨져 있는 것이다.[3] 

『한 명』은 역사적 진실에 접근하려는 재현적 시도를 넘어 ‘위안부’ 할머니들의 증언을 ‘문학적으로’ 재구성한다는 것의 의미, 즉 발화 주체의 위치 설정에 대한 고민을 담고 있다. 따지자면 그 고민은『한 명』에서 시작된 것이 아닌데, 『한 명』을 출간하던 시기에 발표된 단편소설 「녹음기와 두 여자」(2016)에서 소설 내 채록자로 등장하는 조윤주가 ‘위안부’의 증언과 채록에 대해 갖게 되는 태도에서 방법론을 둘러싼 좀 더 직접적 고민의 흔적을 확인할 수 있다.   

증언을 하는 그녀의 기억만큼이나, 증언을 받아 기록하는 내 기억도 중요하다. 나는 녹음기로 녹음할 수 없는 모든 것들을 기억해야 한다. 그녀의 옷차림을, 안색을, 표정의 미묘한 변화를, 눈동자의 흔들림을, 시선에 담긴 감정을, 몸짓 하나하나를. 손으로 아무리 밀어도 꿈쩍 않는 바위덩어리 같은 침묵을. 
기억해두었다가 녹취를 글로 풀 때 함께 풀어 넣어야 한다. 괄호 속 설명으로든, 말줄임표로든, 느낌표로든, 행간으로든, 각주로든.

(「녹음기와 두 여자」, 69쪽.)  

 

그녀는 어쩌면 매순간 증언을 하고 있는지 모른다. 눈빛으로, 표정으로, 그 어떤 기척으로, 침묵으로……. 탄식, 비명, 흐느낌, 발광, 침묵도 증언의 한 방식이므로.

(「녹음기와 두 여자」, 75쪽.) 

 

글자를 읽거나 쓸 줄 모르는 사람의 기억은 그렇지 않은 사람의 기억과 어떻게 다른가. 자기 자신을 잊고 과거의 경험을 모두 지운 사람의 기억은 어떻게 복원될 수 있는가. 녹음기에는 기록되지 않는 것들, 목소리 사이를 채웠던 몸짓, 표정, 침묵은 과연 복원될 수 있는가. 증언과 채록이 이루어진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녹음기와 두 여자」는 이러한 질문과 성찰 속에서 증언자와 채록자의 자리가 선명하게 구분될 수 없으며 모두가 증언자-채록자가 될 수밖에 없음을 확인한다. “증언자를 인터뷰하면서 증언자가 되어간다.”(「녹음기와 두 여자」, 72쪽) 그러나 증언과 구술이 갖는 특성에 대한 이러한 환기는 해석자에 의한 증언의 변형과 왜곡 가능성에 대한 경계가 아니다. 어떤 증언에도 그것으로 다 소진되지 않는 증언자의 삶이 남는다는 사실의 확인이다.  

「녹음기와 두 여자」에서 다섯 번에 이르는 방문마다 한마디도 하지 않으며 침묵으로 일관한 정 할머니가 유일하게 했던 “다 잊었다”(76쪽)는 말은 채록자에게 “다 기억하고 있다”(76쪽)는 말로 들린다. 다 잊었다면 그렇게 말하지 못할 것이며, 사실 “기억하는 것이 망각하는 것”이고 “역으로 기억하지 않는 것이 기억하는 것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좀 더 나아가 수치스러운 기억, 소름 끼치는 기억을 기억하지 않기 위해 자기 자신을 잊은 것인지도 모른다고 추측한다. 그러니까 어쩌면 정 할머니는 “그녀 자신이 기억하고 있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을 기억하고 있는지도 모른다”(76쪽)고 조심스럽게 확신한다.  

물론 이것이 다는 아니다. 다변이었던 문 할머니의 부음을 알리는 아들의 전화로 채록자에게 증언의 의미는 다시 되새겨진다. 함경도 출신 혈혈단신으로 알고 있던 문 할머니로부터 의붓아들에 대한 이야기를 전해들은 바 없으나, 아들은 할머니가 자신의 얘기를 채록자에게 여러 번 했었다는 얘기를 전한다. 자신이 믿고 의지할 수 있는 채록자를 기다렸다는 아들의 말은 할머니의 말을 믿지 못했던 채록자를 혼란에 빠뜨린다. 퍼즐 조각들처럼 흩어져 있는 기억들을 잇고 이어 하나의 거대한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육하원칙과 기승전결에 집착”했던 당시의 자신에게 문 할머니의 기억은 논리적이지 못한 데다 일관성이 없는 말들로 들렸고, 결국 할머니의 녹취된 구술은 증언록에 실리지 못했다. 매번 내용이 조금씩 달라지던, “아무에게도, 친정어머니에게도 못했다면서 들려주었던” 반복된 이야기들은 끝내 녹음기에 저장된 채로 미완의 증언 원고로 남겨졌을 뿐이다. 

 

텅 빈 도로에 서늘한 정적이 감돈다.
……내가 다 얘기해줄게, 내가 다 얘기해줄게, 내가 다…….
이중창을 부르듯 문 할머니의 목소리에 정 할머니의 목소리가 겹쳐 도로 위를 떠돈다.

(「녹음기와 두 여자」, 98쪽, 강조: 김숨)

다섯 번의 만남 동안 침묵으로 증언을 완강히 거부한 할머니와 “내가 다 얘기해줄게” “하나도 안 잊었어”(94쪽)[4].라는 말을 증언 사이에 추임새처럼 넣으며 매번 기억을 각색한 할머니, 채록자가 맡았던 두 구술자 사이에서 침묵과 증언은 다른 것이 아니다. 녹음기 앞에서의 침묵은 질문들에 '대답하지 않음'으로서의 침묵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차마 말로 할 수 없는 기억들을 말로 하지 않는 사이에, 무엇을 말하지 않기 위해 다른 무엇을 말하는 사이에, 말들 사이에 남겨진 공백으로서의 침묵은, 어쩌면 구술이 “침묵을 덮는 과정”에 다름 아닐 수 있음을 환기한다.[5] 

증언이 침묵과 말들 사이에 놓인 어떤 것이자 침묵들과 목소리들을 겹쳐 듣는 채록자의 자리에서나 사후적이고 구성적으로만 가능할 뿐이라면, 녹음기에 아무것도 남기지 않는 할머니의 일관된 침묵은 증언인가 아닌가. 채록자의 녹음기에만 남겨져 있으며 증언 원고로 완성되지 못한 할머니의 말들은 또 구술 증언인가 아닌가. 발화 주체의 위치설정을 둘러싼 성찰이기도 한 이러한 인식은 결국 증언자나 증언의 말을 대상화할 수 없으며, 채록이란 ‘이미 언제나’ 구술 혹은 침묵에 연루되어 있다는 인식의 수긍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대신 말하는’ 행위를 거부하는 자리가 바로 증언의 영역이라는 도미야마 이치로의 지적처럼[6], 「녹음기와 두 여자」를 통해 김숨은 채록자 혹은 작가의 자리가 대상화도, 대신 말하는 방식도 아닌 채로, 죽은 자들과 침묵을 강요당한 이들에게 목소리를 내어주는 방식 속에서 확보된다는 사실에 이르게 된다. 이 목격-증인의 자리에 대한 인식이 바로 기억되지 않는 기억의 귀환을 시작하고자 하는 김숨 소설의 출발지이다. 

 

 

침묵을 증언하고 기억을 복수화하는,
귀환의 서사
물론 그 증언이 현재의 삶을 잠식한 과거 경험의 무시무시한 폭력성으로 포착된다는 사실은 중요하다. 「녹음기와 두 여자」에서 침묵으로 일관하면서 완강하게 증언을 거부한 정 할머니를 두고 짚었던 작가의 말처럼, “그녀가 위안부 시절 일들을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위안부 시절 일들이 그녀를 기억하고 있는 것”으로, 그러니까 여기서 “기억의 주체는, 그녀가 아니라 위안부 시절 경험들”(「녹음기와 두 여자」, 77쪽)이다. 그리하여 김숨 소설은 ‘대신 말하는’ 행위를 거부하고 침묵의 한가운데를 통과하면서 침묵으로 남겨진 참혹한 경험에 소설의 공간을 내어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한 명』은 여성으로서 겪은 전쟁의 기록, 전쟁을 겪으면서 폭행이나 질병으로 죽은 이들, 전쟁이 끝나자 버려지거나 학살당한 이들, 수효를 확인할 수 없으며 생사를 확인할 수 없고 그리하여 망각도 애도도 할 수 없는 이들과 그 삶을 서사 안쪽으로 불러오게 되는 것이다.  

 

그 한마디를 평생 기다렸다는 이가 그녀는 아무래도 군자 같다.
침묵하던 그이는 갑자기 블라우스 단추를 끄르기 시작했다. 벗지 않고는 말을 할 수 없다(미주 6)면서. 맨몸뚱이를 보여주지 않고서는. 
그이는 블라우스 안에 입은 속옷마저 훌렁 벗더니 배 한복판에 녹슨 지퍼처럼 박힌 수술 자국을 보여주었다. 
“애기만 긁어냈으면 내가 애기 낳고 살잖아. 그런데 애기보까지 싹 들어냈지 뭐야. 나는 그것도 모르고 애기 낳으려고 별 지랄을 다 했잖아. 절에 가 공양도 하고, 삼신령께 빌기도 하고 그랬잖아, 굿도 하고.”(미주 7)

그곳에서 열여섯 살이던 군자가 애를 가져 배가 불러오자 그들은 말했다.
저년 나이도 어리고 인물도 곱고 더 써먹어야겠으니, 저년 자궁을 들어내라.(미주 8)

 

미주 6) 김영숙(1927년생, 북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슬픈 귀향 1부-북녘 할머니의 증언」. 이토 다카시, 뉴스타파 『목격자들』 제공 
미주 7) 김복동(1927년생),『강제로 끌려간 조선인 군위안부들 2』
미주 8) 리경생(1927년생, 북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슬픈 귀향 1부-북녘 할머니의 증언> 『한 명』 14~5쪽, 259쪽)
-『한 명』의 미주 중 
 

‘위안부’의 증언을 인용하는 방식은 증언을 토대로 만들어졌다는 영화 <귀향>(조정래, 2016)을 연상시킨다. 그러나 영화 <귀향>과는 달리 소설 내에서 미주의 형식으로 출처를 표시할 뿐 아니라 글자 모양을 달리하는 방식으로 증언의 말에 새겨져 있는 본래의 자리를 지우지 않는다. 증언들을 소설적으로 재구성하지만 이어붙인 자리를 표식처럼 남겨둔다. 소설 내부에 인용 흔적을 남겨놓는 증언의 재구성 방식은 소설 내부에 구술 증언의 목소리‘들’의 자리를 마련한다. 

플래시백 기법으로 과거와 현재를 인과관계로 연결 지어버리는 방식이나 ‘위안부’ 문제의 해결을 영혼의 애도로 해소될 수 있다고 여기는 인식은, 인간의 삶에 대한 이해를 단순화하고 무엇보다 역사적 트라우마를 개인의 불운으로 다룰 위험이 있다. 그런데 바로 여기서 영상 재현물과 언어 재현물의 차별적 지점은 뚜렷해진다고 해야 하는데, 한 사람의 목소리로 발화됨으로써 증언의 복수성이 지워지는 <귀향>의 방식과 달리, 『한 명』에서 목소리‘들’은 한 인물의 전쟁 기억으로 축소되지 않으며 반대로 각기 다른 기억이 미주를 통해 화합될 수 없는 불규칙적 단층을 이뤄 복수성을 획득하게 된다.  

물론 허윤의 지적처럼 “300여 개의 각주는 잔인한 성폭력과 끔찍한 트라우마를 묘사하면서 이것이 ‘진짜’임을 증명하는 ‘팩트’로 사용”된다[7]. 이 섹슈얼리티 재현의 폭력성을 전면적으로 외면할 수 없는 것은 분명하다. 그런데도 기억의 복수화의 효과로 『한 명』은 트라우마적 기억으로 인해 과거로 이끌려 들어가는 시간 속에서 기록으로만 남은 존재들, 기록에도 남지 못한 존재들, 어딘가로 사라진 존재들[8]을 복원하는 구조를 만들어낸다. 집단 트라우마에 대한 논의 가능성을 열어주면서 가시화되지 않은 피해와 복원될 수 없는 폭력으로 우리의 시선을 이끈다. 생존자를 중심으로 ‘위안부’ 피해를 복원한다는 오해를 가로지르며 국가폭력이자 젠더 폭력의 피해를 폭로하고 폭력에 희생된 여성들의 귀환 자리를 마련해주는 매개자를 통해, 그녀들의 삶의 비극성과 귀환을 불가능하게 하는 현재적 문제에 집중하게 한다.[9] 그렇게 김숨의 소설로 완성된 증언록은 돌아오지 못한 여성들의 자리를 마련하면서 지금 이곳에 ‘위안부’의 자리를 마련하는 귀환의 서사가 된다. 

 

2019 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 제2차 콜로키움 포스터2019 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 제2차 콜로키움 포스터
2019년 8월 22일, 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에서 해당 주제로 콜로키엄이 열렸다.2019년 8월 22일, 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에서 해당 주제로 콜로키엄이 열렸다.
 

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 제 2차 콜로키움 [목격-증언의 자리와 공진하는 '위안부'의 몸] 후기

 

각주
^ 이에 대한 상세한 논의는 허윤의 「일본군 '위안부' 재현과 진성성의 곤경-소녀와 할머니 표상을 중심으로」(『여성과역사』, 2018)에서 확인할 수 있다. 
^ 고혜정·서은경·신영숙·여순주·조최혜란,
^ 양현아,
^ 김숨,
^ 정지영,
^ 冨山一郞(임성모 옮김), 『전장의 기억』, 이산, 2002, 94~96쪽
^ 허윤,
^ 정진성,
^ 권명아,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