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yung Hee Rho
ooertsndpShg89ag699ca761th9c975h1193ht083471tui9578gfuuuihl0 ·
울산대학교는 1970년에 공과대학으로 출발했고 지금도 의대와 공대가 중심이다 보니, 인문대의 경우 솔직히 지역의 유일한 종합대로서 없으면 안될 것 같아 있는 듯한....그냥 있으니까 있는 그런 존재이다.
그런데 그런 것 치고는 의외로(?) 도서관의 인문학 특히 한국학과 일본/중국학 등 동아시아학 컬렉션이 괜찮아 처음 이곳에 왔을 때부터 좀 놀랐던 기억이 있다. 생각 외로 필요한 연구서들이 거의 다 있어서.(내가 문헌을 많이 쓰는 편이라 내게 필요한게 어지간히 있음 진짜 괜찮은 거다 ㅎㅎ)
이를 테면 일제시대 총독부 자료들이나 1960~80년대 초창기 연구서들, 그리고 국공사립 도서관과 박물관/문화재단/연구소 등에서 제작한 비매품 자료, 영인본, 연구보고서 등 이런 것도 있을까 싶은 것들이 검색하면 거의 있어 때로 놀람을 넘어 당황하기도 하고, 어느 순간부터는 그런 자료가 있는 게 너무 당연해 다른 곳에 그게 없는 걸 이해하지 못하기도 하고.
무엇보다 그 책들은 이용자가 거의 없다 보니 그냥 다 내 책이나 마찬가지였다. 어떤 책들은 수년 간 내 연구실에 계속 비치된 경우도 있고.(‘예약’ 들어오면 바로 반납하는데, 지금까지 예약 들어온 경우가 진짜 잘 없다 ㅋㅋㅋ)
이번에 도서관 장서 폐기 사건을 겪으며 폐기 목록에 오른 수십 만권에 이르는 ㅠㅠㅠ 책들의 목록을 검토하면서, 한편으로 ‘와~~~ 이런 책도 있었구나!’ 감탄하는 마음도 적지 않았는데....
최근 어떻게 그런 장서를 갖출 수 있었는지 그 비밀 중 하나를 알게 되었다.
* 노경희, [책을 말하다①] 중앙도서관의 한국학 장서 ‘옥재(玉宰)문고‘(경상일보, 2024.01.19.)
그간 내가 빌린 책들 중 상당수는 ‘옥재문고‘ 소장서라 한 경우가 많아 늘 그 문고가 궁금했다. 마침 이번에 지역 신문 <경상일보>에 인문대학 교원들이 중앙도서관에 소장된 책들과 그 장서를 둘러싼 이야기를 소개하는 코너를 만들어 릴레이 연재를 하게 되었고 어찌어찌 내가 첫회를 맡았다.
그래서 ‘옥재문고’를 조사하기로 마음 먹고는 도서관 팀장님을 여러 번 찾아가 엄청 괴롭히며 ㅋㅋ 수십 년 전 손으로 쓴 서류들을 다 뒤진 끝에 이 옥재문고가 1986년에 큰 기부를 받아 마련한 기금으로 국문과/사학과/철학과 교수들이 운영위원회를 만들어 책을 추천하고 전문 서점상을 통해 구입한, 교원들의 엄격한 도서 선정과 전문 고서상들의 적극적인 탐서 작업이 맞물려 이루어낸 특별한 문고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장서수 자체는 1500책 정도의 큰 규모는 아니지만, 책들 하나하나가 엄선된 것으로 일제강점기 서적부터 1970~1980년대 국학자들의 저술 초판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야말로 한 권도 허투로 들어온 것이 없었다. 2024년인 오늘날에는 1970년대 책들도 이미 반세기 전의 것이라 구하기 쉽지 않은 상황임을 생각할 때, 이 장서들의 가치는 앞으로 더욱 커질 것이다.
나로서는 이번 <훈민정음> 발표를 준비하면서 초창기 연구자들의 저술을 거의 초판으로, 예를 들어 일제 시대 오구라 신페이 같은 일본인 학자들의 저술도 초판본으로 전부 빌려 볼 수 있어 큰 도움을 받았다.
김윤경의 <조선문학급어학사>(조선기념도서출판관, 1938)은 해방 이후 재판본이 흔하게 보일 뿐 이 ‘조선기념도서출판관 ’ 초판본은 찾기 어렵다(그런데 이걸 난 대출까지 해서 연구실에 비치한ㅋㅋㅋㅋ) ‘초판’이 중요한 것은 처음 그 책이 탄생할 당시의 형태를 보여 주기 때문에 당시의 시대상을 아울러 상상하게 하기 때문이다.
작년부터 도서관 특히 ‘대학도서관’이란 무엇이며, 앞으로 어떻게 될지에 대해 고민한 시간들이 너무 많았는데, 여전히 내게 도서관의 ‘미래’에 대해 뭐라 답을 할 능력은 없다. 그러나 적어도 도서관의 ‘과거’에 대해서 만큼은 제대로 기록할 의무가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누구에게나 청춘이 있는 것처럼 우리의 도서관들에도 빛나는 시간들이 있었다는 걸 후세의 사람들이 알 수 있도록.
“이제는 낡은 서류철의 묶음으로만 남아 만지면 부스러질 것 같은, 1980~1990년대 손으로 또박또박 쓴 구입 희망 도서 목록과 서점상들의 납품서 목록, 서적 구입 기안서, 매매 당시의 수기 영수증들을 살피고 있노라면, 오늘날 인문학의 처지와는 사뭇 다른, 이제 막 성장하는 지역 사립대 도서관의 넘쳐나는 패기와, 이제는 퇴임하거나 돌아가신 원로 선생님들의 소장학자 시절의 열정이 절로 느껴지며 미소가 떠오른다. 그러나 한편에서 쓸쓸함과 안타까움이 아울러 드는 건 그저 시대가 달라졌기 때문만은 분명 아닐 것이다.”
#울산대학교 #대학도서관 #옥재문고
+5
All reactions:220You, Jong-wook Hong, Sunghoon Yoon and 217 others
Kyung Hee Rho
https://www.ks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990060
KSILBO.CO.KR
[책을 말하다①]중앙도서관의 한국학 장서 ‘옥재(玉宰)문고’ - 경상일보[책을 말하다①]중앙도서관의 한국학 장서 ‘옥재(玉宰)문고’ - 경상일보
====
[책을 말하다①]중앙도서관의 한국학 장서 ‘옥재(玉宰)문고’
기자명 경상일보
승인 2024.01.19
경상일보-울산대 인문대학 공동기획
병원 원장이던 이강현씨 거액 기부로
초창기 한국학자들의 저술 초판본 등
인문대 교수들이 선정한 1420권 구입
국어학사(史) 초기 장서도 고루 갖춰▲ 노경희 울산대학교 인문대학 교수 국어국문학
‘책을 말하다’는 울산대학교 인문대학 교원들이 울산대 중앙도서관에 소장된 책들과 그 장서를 둘러싼 이야기를 소개하는 코너로, 대학도서관의 가치와 역할을 세상에 알리기 위해 기획됐다. 편집자 주
울산대학교 중앙도서관은 1970년 ‘울산공과대학’의 개교와 동시에 설치된 공학관 2층의 ‘도서실’에서 출발했다. 1974년 뒷산 기슭에 독립 건물을 마련하면서 ‘도서관’으로 개칭됐고, 1976년 6월에 ‘울산공과대학 중앙도서관’이라는 정식 명칭이 확정됐다. 이후 늘어나는 장서와 학생들의 수요에 맞춰, 드디어 1991년 9월4일 학교 진입로 좌측에 5층의 현 아산도서관(본관)이 들어섰다.
아산도서관이 완공된 이후 1992년부터 장서 구입 예산이 획기적으로 증액되면서, 1996년에 이르기까지 5년간 약 53억원의 장서구입비가 배정됐다. 양적 팽창만이 아니라 질적인 가치를 높이기 위해 체계적인 도서 구입 계획도 세워졌다. 외국의 양서를 구입하기 위해 학회나 연구년을 맞아 외국에 가는 교수들에게 도서구입비를 지원해 현지에서 양서를 구입해 오게 했으며, 도서관장과 직원이 해외에 나가 현지의 교수들과 함께 서점들을 다니며 책들을 수입하기도 했다. 1991년까지 20만권이 채 되지 못한 장서수는 1996년에 50만권을 훌쩍 넘었으니 5년 만에 2배 이상의 장서를 확보한 것이다.
이후에도 꾸준히 장서가 확충돼 2005년에는 80만권이 등록됐고, 늘어나는 장서를 보관하기 위해 2006년 2월 본관 바로 옆에 신관이 개관되면서, 본관은 ‘과학예술자료관’으로 신관은 ‘인문사회자료관’으로 분할 운영됐다. 그리고 2012년에 드디어 ‘장서 100만권’을 등록하면서, 지역의 사립대학교로서는 상당한 규모의 장서를 소유한 대학도서관의 위상을 확립했다.
이렇게 100만 장서를 확충하기까지에는 학교 측의 노력만 있지 않았다. 울산대 도서관의 발전을 위해 기꺼이 평생을 모은 귀한 서적들이나 서적 구입 자금을 기부한 기증자들의 도움 역시 큰 역할을 했다. 도서관에서는 이들의 공적을 기려 기증자문고를 만들었으니, 노일문고·옥재문고·평리문고·하곡문고·정정길문고 등이 그것이다.
▲ ‘옥재문고’의 한국학 저서들.
‘평리문고’는 시인이자 문학평론가인 전 동덕여대 조병무 교수가 평생 모은 책 8632권을 기증한 것으로, 문예지 처음부터 끝까지의 전권을 비롯해 창작과 평론집 등 국문학 서적들이 주를 이룬다. ‘하곡문고’는 부산에서 동국서원을 운영하며 향토사학과 서지학을 연구한 이진환 선생의 장서 중 조선과 중국의 고전적 1861권을 기증한 것이다. ‘노일문고’는 일어일문학과 노성환 교수와 그 지인인 일본인 교수들의 기증서를 모아 만든 것으로 지금은 일본에서도 구하기 힘든 일본 학술서들이 적지 않다.
울산대 총장을 지냈던 현 정정길 이사장의 이름을 따서 만든 ‘정정길문고’는 사회학 저서들이 다수를 이룬다. 이외에 따로 분류되지 않았지만, 울산 산업국가연구소 소장이었던 최해광씨의 장서 2388권 등 울산대의 발전을 기원하는 기증자들의 손길로 귀중서들이 도서관에 들어올 수 있었다. 덕분에 ‘공과대학’으로 출발했던 울산대 도서관은 훌륭한 인문사회학 장서를 갖추게 됐다.
‘옥재문고’는 ‘한국학’ 주제에 특화된 책들이다. 당시 산부인과 병원 원장이었던 이강현 씨가 1986년 9월 도서관에 거액을 기부했고 이로써 마련된 자금으로 한국학 서적들을 구입했다. 첫 해에는 기금 중 일부로 일괄 구입하고 나머지 기금은 금융 기관에 예치해 매년 그 이자로 국어국문학과와 사학과, 철학과 교수들이 관련 도서를 선정하고 전문 서점상을 통해 구입했다. 이강현 기증자는 이후에도 추가로 서적 구입비를 기부하는 등 문고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1986년부터 옥재문고는 한국학 주제별로 1000권에 이르는 책을 구입했는데, 2000년대 들어와서부터 더 이상 기금의 이자만으로는 비용이 충분치 않아 한동안 중지됐다가, 2003년에 남은 기금 전액으로 책을 구입하면서 서적 구입은 마무리됐다. 현재 옥재문고의 장서는 1420책에 이른다.
▲ ‘옥재문고’ 관련 서류철.
옥재문고는 인문대학 교수들로 구성된 운영위원회에서 구입 도서를 선정했고, 이후 전문 서점상들이 널리 학술서들을 구해 와 충실한 장서를 구축할 수 있었다. 대학 교원들의 엄격한 도서 선정과 전문 고서상들의 적극적인 탐서 작업이 맞물려 이루어낸 특별한 문고이다.
옥재문고의 장서를 보면 일제강점기 서적부터 1970~1980년대 국학자들의 저술 초판들이 주를 이룬다. 2024년인 지금에 이르러서는 1970년대로부터도 이미 반세기가 훌쩍 지난 터라 그 시절 책들조차 구하기 쉽지 않은 상황임을 생각할 때, 울산대 중앙도서관이 지닌 한국학 자료의 충실함에는 ‘옥재문고’가 큰 기여를 했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어학 분야의 경우 울산이 자랑하는 한글학자 외솔 최현배의 <고친 한글갈>(정음문화사, 1982) 초판, 김윤경의 <조선문학급어학사>(조선기념도서출판관, 1938) 초판 등 초창기 국어학자들의 저술 초판본, 일제강점기 경성제대 조선어 교수였던 오구라 신페이의 <조선어학사>(동경 刀江書院, 1964) 초판본 등 우리 국어학사의 초기 연구 성과에 해당하는 장서를 고루 갖추고 있다.
이제는 낡은 서류철의 묶음으로만 남아 만지면 부스러질 것 같은, 1980~1990년대 손으로 또박또박 쓴 구입 희망 도서 목록과 서점상들의 납품서 목록, 서적 구입 기안서, 매매 당시의 수기 영수증들을 살피고 있노라면, 오늘날 인문학의 처지와는 사뭇 다른, 이제 막 성장하는 지역 사립대 도서관의 넘쳐나는 패기와, 이제는 퇴임하거나 돌아가신 원로 선생님들의 소장학자 시절의 열정이 절로 느껴지며 미소가 떠오른다. 그러나 한편에서 쓸쓸함과 안타까움이 아울러 드는 건 그저 시대가 달라졌기 때문만은 분명 아닐 것이다.
노경희 울산대학교 인문대학 교수 국어국문학
====
Byoung Gil Lee
이런 종이책을 PDF화하는 것도 필요할 듯 합니다.
Kyung Hee Rho
이병길 저작권 만료된 책들 중 상당수는 이제 국립중앙도서관이나 국회도서관, 대학도서관 등에 전자판으로 있어서 맘만 먹으면 대부분 구해요 ㅎㅎ 그러다 보니 이제는 실물책을 보기 힘들어 표지나 광고면, 내지, 장정 형태 등을 살피기 어렵게 된 거죠ㅠㅠ
김미옥
아, 저는 대학도서관에서 파기하는 책들 목록을 보고 얻은 적이 있습니다. 대단합니다. 옥재문고!
6
Kyung Hee Rho
김미옥 앗! 미오기샘이당! ㅎㅎ 파기 도서 목록들 보고 있으면 홧병나요ㅠㅠㅠㅠㅠㅠ
3
Anna Kim
안타깝네요. 개인의 서가도 사정이 크게 다르지는 않은지라 더욱 실감이 되는.
Kyung Hee Rho
Anna Kim ‘개인’의 서가는 어쩔 수 없으니 도서관이 필요한게 아닌가 싶은데, 요즘 세상이 그렇지 않네요ㅠㅠ 사실 저희 학교는 지금 하두 소문이 나서 오히려 책을 처분하는데 조심스러운 처지고 ㅋㅋㅋ 지금 이 순간에도 소리소문 없이 사라지고 있는 대학도서관 책들이 엄청나답니다ㅠ
Anna Kim
노경희 전자화, 의 물결을 잠재우기가…ㅠㅠ 학과가 통째로 없어지는데 실물 종이책의 존엄도 풍전등화지요.
8 h
Like
Reply
Bong-Kyu Lee
흥미롭게 잘 읽었습니다. 고맙습니다
7 h
Like
Reply
Kyung Hee Rho
Bong-Kyu Lee 잘 읽어 주셔서 제가 더 감사합니다^^
6 h
Like
Reply
깡성호
울산대 출신으로서 공감합니다. 학부생이긴 했지만 사학과 대학원 진학을 목표로 삼으면서 이것저것 1차 문헌 자료들을 살펴본 적이 있는데. 의외로 울산대 도서관만큼 구비한 대학 도서관이 없는 것 같더라고요. 예를 들어, 저는 학부 4학년 때 검찰청이 70년대에 발행한 <좌익사건실록>을 막 빌려보고 했는데. 이 자료를 갖고 있는 도서관이 거의 없는 것 같습니다…
6
7 h
Like
Reply
Kyung Hee Rho
깡성호 1990년대에 100만 장서를 모은다고(지금 처지 생각하면 격세지감이ㅠㅠ) 학교에서 엄청 지원하고 당시 교수님들도 열정에 넘쳐 적극적으로 자료를 수집하다 보니....하긴 그 시절에 학교에서 매년 수억 씩 책 사라고 지원하면(요즘 가치로 환산하면 ㅎㄷㄷ) 저 같음 진짜 신나서 엄청나게 샀을 듯요 ㅎㅎ
그나저나 선생님이 사용하신 <좌익사건실록>이 이번 파동에 무사히 살아 남았는지....나중에 한번 확인해 봐야 겠네요ㅠㅠㅠㅠ
2
6 h
Like
Reply
Nho-von Blumröder Yookyung Anna
소위 핸드폰을 태어날 때 입에 물고 태어난 세대들은 책을 옆집 살던 증조조부모 사진 보듯 하더이다. 내용은 고사하고 책의 질감과 그 짜릿함을 알 길이없더이다. 도서관의 책들은 인스타에 올릴 사진 뒷배경일 뿐이고. 나쁘다 좋다 생각조차 하게 되면 꼰대가 되어버리고. 과연 30년 뒤에 50년 뒤에 도서관이라는 단어가 존재하게 될지 궁금합니다. 울산대학교 한 번 방문하고 싶군요.
5 h
Like
Reply
김희숙
아.. 누구에게나 청춘이 있었듯이.
뭉클한 옥재문고.
그쵸... 이런 기록 참 소중하네요...…
See more
4 h
Like
Reply
양수성
아.. 조선기념도서출판관.. 관련 실물자료는 처음 보네요.... 좋습니다. ^^
2 h
Like
Reply
Jinkwan Jung
교수님의 글을 읽어보니 울산대 도서관에 가서 언급된 인문학 관련 연구서를 꼬옥 찾아보고 싶네요 ㅎㅎ
최근 저희집 책정리 한다고 오래된 책을 거의 다 버렸는데 이것이 잘한일인가? 갑자기 의문이 생깁니다 ㅎㅎ
28 m
Like
Reply
김무웅
옥재문고!! 정말 아름다운 이야기네요!!
저랑 동갑인 울산대학교 도서관의 역사를 잘 알게 됐습니다. 소중한 가치를 잘 기록하고 보존해나가야겠습니다!! 노교수님이 수고가 많으시네요!!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