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12-29

04 “北에 유기질 비료 공급해야"



“北에 유기질 비료 공급해야"



“北에 유기질 비료 공급해야"
[평화나눔센터 정책포럼] 김성훈 전 장관, “쿠바 유기농법, 北에 필요”

김한규 기자
2004.08.20 15:07:00

“北에 유기질 비료 공급해야"



북한은 극심한 식량난을 타개하는 방안으로, 유기농업을 통해 식량자급률을 95%까지 끌어올린 같은 사회주의 국가 쿠바의 사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쿠바도 북한처럼 미국으로부터 경제제재를 받는 상황이지만 오히려 부족한 화학비료를 유기질비료로 대체, 환경과 생산량,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았다는 지적이다.

아울러 쿠바 당국자들이 북한에 대한 유기농법 지원 용의를 밝히고 있는 시점에서, 남북한은 위기에 봉착한 북한의 식량 및 농업문제를 해결하는 방편으로, ‘북한에 유기질 비료(퇴비) 보내기 운동’을 추진해야 한다는 구체적인 방안도 제시됐다.

***김성훈 전 농림부장관, “쿠바, 유기농업으로 식량자급률 크게 올라” **

농림부 장관을 역임하고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공동대표를 맡고 있는 김성훈 중앙대 교수는 19일 “식량위기를 겪고 있는 북한은 유기농업의 세계적인 메카로 인정받고 있는 쿠바로부터 교훈을 얻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성훈 교수는 이날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평화나눔센터가 개최한 제7회 정책포럼에서 <쿠바는 어떻게 식량위기를 벗어났나-쿠바의 유기농업 성공이 북한에 주는 교훈>이라는 주제의 기조발표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김 교수에 따르면 쿠바는 유기농업 이전인 1990년에는 식량자급률이 43%에 불과했으나 1991년 유기농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이후 2002년에는 자급률이 95%로 크게 올랐다. 아울러 식생활 패턴이 유기농산물 중심으로 바뀜에 따라 쿠바 국민건강 수준도 크게 상승해 병원환자수도 30% 격감했으며 영아사망률도 세계 제2위로 크게 낮아졌다.

김 교수는 “총생산성도 초기 2년 기간에는 약간 떨어졌으나 1994년을 기점으로 상승하기 시작, 일반 관행농업 생산실적과 비슷해지고 1997년 이후부터는 오히려 더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며 “이는 유기농업은 생산성 감소로 이어진다는 고정관념이 틀렸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즉 한때는 70년대 범지구적으로 농약과 화학비료가 뒷받침한 종자혁명에 의한 관행농업을 '녹색혁명(Green Revolution)'이라고 불렀으나 쿠바의 사례를 보면 이 관행 농업은 인류의 건강과 환경생태계를 파괴한 '검은 혁명(Black Revolution)'일 뿐이며 유기농업이 진정한 '푸른 혁명(Blue Revolution)'이라는 설명이다.

***“쿠바, ‘치밀하고도 단순’한 유기농업 전략으로 성공”**

김 교수가 설명하는 쿠바의 유기농업 전략은 정말 ‘치밀하면서도 단순’하다. 1991년 유기농업을 선포하고 민관합동으로 사업을 추진한 쿠바가 이 사업에서 성공한 기술적 요인은 유기농법에 알맞은 분변토(지렁이가 내뱉은 비옥한 토양)를 찾기 위한 노력에서 그 예를 찾을 수 있다.

쿠바는 가장 이상적인 분변토를 찾기 위해 세계 각국의 지렁이를 다 모았으며 어떤 지렁이가 가장 많은 분변토를 생산하는지 찾아 이를 전국에 보급했다. 이제는 이 단계를 넘어 어느 먹이를 주면 어떤 성분의 분변토를 주는지까지 파악, 필요에 따라 다른 분변토를 생산해내기까지 한다.

또한 유기농업을 최대한 빨리 정착시키기 위해 모든 토양을 분변토로 채우는 것이 아니라 식물이 자라는 토양 부분에만 분변토를 채우고 고랑이나 두덕 등 직접 관련이 없는 땅은 그대로 둬 유기농업 정착 시간을 단축시켰다. 아울러 친환경적인 노력을 기울여 유기농지 주변에는 허브나 옥수수를 재배, 해충을 쫒고 바람을 막는 효과를 찾아냈다. 이에 대해 김 교수는 “소박하지만 과학적인 방법”이라고 평가했다.

***“지도자 결단 중요”-“북한 상황, 쿠바의 유기농 시작 배경과 비슷”**

쿠바의 유기농업이 성공하게 된 또다른 요인으로는 제도와 정책을 들 수 있다. 우선 들 수 있는 것이 국민교육을 토한 친자연적 마인드를 형성했다는 점이다. 김 교수에 따르면 쿠바는 유기 농업을 여성 중심으로 진행하고 있고 중학교 이상 학생들은 연간 45일 이상의 친자연적 영농체험활동을 하도록 했다.

김 교수는 또 “쿠바의 카스트로는 이미 1967년부터 대학 졸업생들에게 레이첼 카아슨 여사의 명저, <침묵의 봄(The Silent Spring)>을 선물했다”고 강조했다. <침묵의 봄>은 관행농업의 폐해를 지적한 선구자적 저서로 인정받고 있다.

아울러 사회주의 국가인 쿠바는 과감하게 토지 소유는 국가로 하되 개별 이용을 허용, 다양한 형태의 토지제도를 설정, 국민의 의욕을 증대시켰다. 하지만 김 교수에 따르면 이러한 토지 제도는 당시 쿠바로서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기도 했다. 미국의 경제봉쇄로 농기계나 석유 등을 자유로이 수입하지 못해 자재난을 겪고 있던 쿠바는 토지의 규모화 대신 토지의 분산화를 통해 농기계보다는 인력에 의존하게 됐다.

쿠바는 또 기존에 연간 1백만톤의 화학비료, 2만톤의 화학농약, 그리고 석유를 원료로 하는 화학합성물질을 수입해 왔으나 구 소련과 동구 사회주의권의 몰락으로 이마저도 절대적으로 부족해졌다. 이러한 점들이 쿠바가 유기농업에 치중하게 되는 배경을 마련해준 셈이다. 쿠바와 마찬가지로 미국의 경제봉쇄와 구 소련 붕괴로 원조 및 수입이 자유롭지 못한 북한에게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김 교수는 역설했다.

김 교수는 이에 대해 “식량 및 농업문제와 환경생태계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려는 시대적 과제를 쿠바는 국가 비상사태를 계기로 삼아 과감히 근대 화학농법의 사슬을 벗어버리고 친환경 유기농법으로 도전했고 그 시도가 기적처럼 성공한 것”이라고 말했다.

***“北, 식량난 해소 위해 쿠바 유기농업 고려해야”**

김 교수는 이어 “쿠바와 사정이 비슷한 북한은 이러한 쿠바식 유기농업을 추진해 볼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북한도 쿠바처럼 미 경제봉쇄와 사회주의권 몰락으로 주체농법 등의 대규모 영농을 하기에는 농기계와 석유 등이 턱없이 부족하고 관행농법을 하기에도 화학비료 등이 충분치 않다는 설명이다. 김 교수는 또 “옥수수, 감자 등의 밭작물 위주인 북한은 쿠바도 밭작물 위주의 유기농업을 실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분명 교훈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주변 상황도 북한에게는 유리한 상황이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쿠바 유기농업대회에 참가하기 위해 쿠바를 방문했던 김 교수는 쿠바 농림부 차관과 행정처장 등 유기농 보급 책임자를 만나 북한 식량난 해결을 위해 지원 의사를 타진했는데 이들은 모두 지원 용의를 표명한 것이다.

이들은 그러나 “그 쪽의 의지 여하에 달려있다”는 말을 덧붙였다. 유기농을 하기 위해서는 초기에는 생산량이 줄어들 가능성도 있는데 당장 식량난으로 아사자가 생기고 있는 북한에서 어느 관료가 책임을 맡고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달 수 있겠냐는 것이다. 이와 관련 김 교수는 “이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지도자의 결단이 가장 중요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남한, 北에의 유기질 비료 공급 운동, 1석3조 효과”**

게다가 토양에 유기질 성분이 이미 고갈돼, 자연 순환이 이뤄지고 있지 못한 북한에게 있어서는 ‘순 순환’이 진행되기 위해서는 부습물이나 퇴비 등의 유기질 비료가 턱없이 모자란 상황이다.

이러한 고민의 일단은 김 교수가 캐나다 UBC 대학에서 머물던 2002~3년 동안 만났던 북한 농업과학원 및 평양 농과대학 대표 일행의 설명에서도 엿볼 수 있었다고 김 교수는 설명했다. 이들은 북한 농업을 친환경 농업분야로 전환할 것을 내심 고민하고 있었으나 이를 뒷받침할 유기농 자재와 기술 확보에 어려움이 있음을 내비친 것이다.

이에 김 교수는 "북한에 유기질 비료(퇴비) 공급 운동“을 제안했다. ”북한은 현재 상당수준의 미생물제제를 개발해 놓고 있으므로 우리가 유기질 비료를 제공하면 활로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김 교수는 또 “이 운동은 축산분뇨가 과잉방출됨으로 인해 산천오염 등의 환경오염과 가출질병이 만연되고 있는 우리에게도 이롭고 토질에 유기성분이 부족, 생산력 증대에 한계를 보이고 있는 북한에게도 이로운 것”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전국에서 넘쳐나는 산림 및 농업 부산물을 섞어 발효시켜 국제 규격의 유기질 비료를 만든다면 국내 유기농업도 지원하게 돼 1석 3조의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일부 정치인, 환경.농업 불감증”“농업 홀대, 큰 위기 봉착”**

김 교수는 “이러한 방안을 정부에 건의할 것”이라며 “국내 농정 예산의 일부분만 절약해도 이는 충분히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김 교수는 골프장 건설을 일자리 창출 등의 경제 활성화의 한 수단으로 생각하는 정부내 일부 관료들의 행태에 대해서는 “상당히 우려스런 모습”이라며 비판적인 모습을 보였다.

아울러 김 교수는 “일부 정치인들은 환경과 농업문제에 대해서는 불감증에 걸린 듯한 모습”이라고 지적하며 “농업을 홀대하면 에너지 파동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정말 큰 위기에 봉착할 수 있다”며 각성을 촉구하기도 했다.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