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rack Obama: John Lewis fought for our highest ideals | Barack Obama | Opinion | The Guardian:
Barack Obama: John Lewis fought for our highest idealsBarack Obama
In a transcript of his remarks at the congressman’s funeral, the former president calls on Americans to follow Lewis’s lead at a time of crisis
Fri 31 Jul 2020 08.12 AESTLast modified on Fri 31 Jul 2020 08.34 AEST
Shares
154
Play Video
8:00 Obama attacks police brutality and voter suppression in powerful eulogy for John Lewis – video
Representative John Lewis, a legendary civil rights leader and member of Congress, died of cancer on 17 July. In a eulogy at his memorial on Thursday, Barack Obama spoke about Lewis’s legacy, especially the importance of continuing his fight to protect voting rights. This is an abridged version of his remarks.
James wrote to the believers: “Consider it pure joy, my brothers and sisters, whenever you face trials of many kinds, because you know that the testing of your faith produces perseverance. Let perseverance finish its work so that you may be mature and complete, lacking nothing.”
It is a great honor to be back in Ebenezer Baptist church, in the pulpit of its greatest pastor, Dr Martin Luther King Jr, to pay my respects to perhaps his finest disciple – an American whose faith was tested again and again to produce a man of pure joy and unbreakable perseverance – John Robert Lewis.
I’ve come here today because I, like so many Americans, owe a great debt to John Lewis and his forceful vision of freedom.
Now, this country is a constant work in progress. We were born with instructions: to form a more perfect union. Explicit in those words is the idea that we are imperfect; that what gives each new generation purpose is to take up the unfinished work of the last and carry it further than anyone might have thought possible.
FacebookTwitterPinterest John Lewis arrives to speak to the crowd at the Edmund Pettus Bridge crossing reenactment marking the 55th anniversary of Selma’s Bloody Sunday on 1 March 2020 in Selma, Alabama. Photograph: Joe Raedle/Getty Images
Advertisement
John Lewis – the first of the Freedom Riders, head of the Student Nonviolent Coordinating Committee, youngest speaker at the March on Washington, leader of the march from Selma to Montgomery, member of Congress representing the people of this state and this district for 33 years, mentor to young people, including me at the time, until his final day on this Earth – he not only embraced that responsibility, but he made it his life’s work.
Which isn’t bad for a boy from Troy. John was born into modest means – that means he was poor – in the heart of the Jim Crow south to parents who picked somebody else’s cotton. Apparently, he didn’t take to farm work – on days when he was supposed to help his brothers and sisters with their labor, he’d hide under the porch and make a break for the school bus when it showed up. His mother, Willie Mae Lewis, nurtured that curiosity in this shy, serious child. “Once you learn something,” she told her son, “once you get something inside your head, no one can take it away from you.”
As a boy, John listened through the door after bedtime as his father’s friends complained about the Klan. One Sunday as a teenager, he heard Dr King preach on the radio. As a college student in Tennessee, he signed up for Jim Lawson’s workshops on the tactic of nonviolent civil disobedience. John Lewis was getting something inside his head, an idea he couldn’t shake that took hold of him – that nonviolent resistance and civil disobedience were the means to change laws, but also change hearts, and change minds, and change nations, and change the world.
Obama hails John Lewis as founding father of ‘fuller, better’ US in eulogy
Read more
So he helped organize the Nashville campaign in 1960. He and other young men and women sat at a segregated lunch counter, well-dressed, straight-backed, refusing to let a milkshake poured on their heads, or a cigarette extinguished on their backs, or a foot aimed at their ribs, refused to let that dent their dignity and their sense of purpose. And after a few months, the Nashville campaign achieved the first successful desegregation of public facilities in any major city in the south.
Advertisement
John got a taste of jail for the first, second, third … well, several times. But he also got a taste of victory. And it consumed him with righteous purpose. And he took the battle deeper into the south.
John was only 20 years old. But he pushed all 20 of those years to the center of the table, betting everything that his example could challenge centuries of convention
That same year, just weeks after the supreme court ruled that segregation of interstate bus facilities was unconstitutional, John and Bernard Lafayette bought two tickets, climbed aboard a Greyhound, sat up front, and refused to move. This was months before the first official Freedom Rides. He was doing a test. The trip was unsanctioned. Few knew what they were up to. And at every stop, through the night, apparently the angry driver stormed out of the bus and into the bus station. And John and Bernard had no idea what he might come back with or who he might come back with. Nobody was there to protect them. There were no camera crews to record events. You know, sometimes, we read about this and kind of take it for granted. Or at least we act as if it was inevitable. Imagine the courage of two people Malia’s age, younger than my oldest daughter, on their own, to challenge an entire infrastructure of oppression.
John was only 20 years old. But he pushed all 20 of those years to the center of the table, betting everything, all of it, that his example could challenge centuries of convention, and generations of brutal violence, and countless daily indignities suffered by African Americans.
Like John the Baptist preparing the way, like those Old Testament prophets speaking truth to kings, John Lewis did not hesitate – he kept on getting onboard buses and sitting at lunch counters, got his mugshot taken again and again, marched again and again on a mission to change America.
FacebookTwitterPinterest A news conference in Montgomery, Alabama, in 1961. In the foreground is John Lewis. Others, left to right: James Farmer, the Rev Ralph Abernathy and the Rev Dr Martin Luther King Jr. Photograph: RWT/AP
Spoke to a quarter million people at the March on Washington when he was just 23.
Helped organize the Freedom Summer in Mississippi when he was just 24.
At the ripe old age of 25, John was asked to lead the march from Selma to Montgomery. He was warned that Governor Wallace had ordered troopers to use violence. But he and Hosea Williams and others led them across that bridge anyway. And we’ve all seen the film and the footage and the photographs, and President Clinton mentioned the trench coat, the knapsack, the book to read, the apple to eat, the toothbrush – apparently jails weren’t big on such creature comforts. And you look at those pictures and John looks so young and he’s small in stature. Looking every bit that shy, serious child that his mother had raised and yet, he is full of purpose. God’s put perseverance in him.
Advertisement
And we know what happened to the marchers that day. Their bones were cracked by billy clubs, their eyes and lungs choked with teargas. As they knelt to pray, which made their heads even easier targets, and John was struck in the skull. And he thought he was going to die, surrounded by the sight of young Americans gagging, and bleeding, and trampled, victims in their own country of state-sponsored violence.
And the thing is, I imagine initially that day, the troopers thought that they had won the battle. You can imagine the conversations they had afterwards. You can imagine them saying: “Yeah, we showed them.” They figured they’d turned the protesters back over the bridge; that they’d kept, that they’d preserved a system that denied the basic humanity of their fellow citizens. Except this time, there were some cameras there. This time, the world saw what happened, bore witness to Black Americans who were asking for nothing more than to be treated like other Americans. Who were not asking for special treatment, just the equal treatment promised to them a century before, and almost another century before that.
When John woke up, and checked himself out of the hospital, he would make sure the world saw a movement that was, in the words of Scripture, “hard pressed on every side, but not crushed; perplexed but not in despair; persecuted, but not abandoned; struck down, but not destroyed”. They returned to Brown chapel, a battered prophet, bandages around his head, and he said more marchers will come now. And the people came. And the troopers parted. And the marchers reached Montgomery. And their words reached the White House – and Lyndon Johnson, son of the south, said “We shall overcome”, and the Voting Rights Act was signed into law.
The life of John Lewis was, in so many ways, exceptional. It vindicated the faith in our founding, redeemed that faith; that most American of ideas; that idea that any of us ordinary people without rank or wealth or title or fame can somehow point out the imperfections of this nation, and come together, and challenge the status quo, and decide that it is in our power to remake this country that we love until it more closely aligns with our highest ideals. What a radical ideal. What a revolutionary notion. This idea that any of us, ordinary people, a young kid from Troy can stand up to the powers and principalities and say no this isn’t right, this isn’t true, this isn’t just. We can do better. On the battlefield of justice, Americans like John, Americans like the Reverends Lowery and CT Vivian, two other patriots that we lost this year, liberated all of us that many Americans came to take for granted.
America was built by people like them. America was built by John Lewises. He as much as anyone in our history brought this country a little bit closer to our highest ideals. And someday, when we do finish that long journey toward freedom; when we do form a more perfect union – whether it’s years from now, or decades, or even if it takes another two centuries – John Lewis will be a founding father of that fuller, fairer, better America.
He believed that in all of us, there exists the capacity for great courage, that in all of us there is a longing to do what’s right
Advertisement
And yet, as exceptional as John was, here’s the thing: John never believed that what he did was more than any citizen of this country can do. I mentioned in the statement the day John passed, the thing about John was just how gentle and humble he was. And despite this storied, remarkable career, he treated everyone with kindness and respect because it was innate to him – this idea that any of us can do what he did if we are willing to persevere.
He believed that in all of us, there exists the capacity for great courage, that in all of us there is a longing to do what’s right, that in all of us there is a willingness to love all people, and to extend to them their God-given rights to dignity and respect. So many of us lose that sense. It’s taught out of us. We start feeling as if, in fact, that we can’t afford to extend kindness or decency to other people. That we’re better off if we are above other people and looking down on them, and so often that’s encouraged in our culture. But John always saw the best in us. And he never gave up, and never stopped speaking out because he saw the best in us. He believed in us even when we didn’t believe in ourselves. As a congressman, he didn’t rest; he kept getting himself arrested. As an old man, he didn’t sit out any fight; he sat in, all night long, on the floor of the United States Capitol. I know his staff was stressed.
FacebookTwitterPinterest John Lewis and other members of Congress staging a sit-in on the floor of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in 2016, demanding that the Republican-led body vote on gun-control legislation following the Orlando nightclub massacre. Photograph: Handout/AFP/Getty Images
But the testing of his faith produced perseverance. He knew that the march is not yet over, that the race is not yet won, that we have not yet reached that blessed destination where we are judged by the content of our character. He knew from his own life that progress is fragile; that we have to be vigilant against the darker currents of this country’s history, of our own history, with their whirlpools of violence and hatred and despair that can always rise again.
Advertisement
Bull Connor may be gone. But today we witness with our own eyes police officers kneeling on the necks of Black Americans. George Wallace may be gone. But we can witness our federal government sending agents to use teargas and batons against peaceful demonstrators. We may no longer have to guess the number of jellybeans in a jar in order to cast a ballot. But even as we sit here, there are those in power are doing their darnedest to discourage people from voting – by closing polling locations, and targeting minorities and students with restrictive ID laws, and attacking our voting rights with surgical precision, even undermining the postal service in the run-up to an election that is going to be dependent on mailed-in ballots so people don’t get sick.
John Lewis knew civil rights did not end with voting reform or Barack Obama
Peniel E Joseph
Read more
Now, I know this is a celebration of John’s life. There are some who might say we shouldn’t dwell on such things. But that’s why I’m talking about it. John Lewis devoted his time on this Earth fighting the very attacks on democracy and what’s best in America that we are seeing circulate right now.
He knew that every single one of us has a God-given power. And that the fate of this democracy depends on how we use it; that democracy isn’t automatic, it has to be nurtured, it has to be tended to, we have to work at it, it’s hard. And so he knew it depends on whether we summon a measure, just a measure, of John’s moral courage to question what’s right and what’s wrong and call things as they are. He said that as long as he had breath in his body, he would do everything he could to preserve this democracy. That as long as we have breath in our bodies, we have to continue his cause. If we want our children to grow up in a democracy – not just with elections, but a true democracy, a representative democracy, a big-hearted, tolerant, vibrant, inclusive America of perpetual self-creation – then we are going to have to be more like John. We don’t have to do all the things he had to do because he did them for us. But we have got to do something. As the Lord instructed Paul: “Do not be afraid, go on speaking; do not be silent, for I am with you, and no one will attack you to harm you, for I have many in this city who are my people.” Just everybody’s just got to come out and vote. We’ve got all those people in the city but we can’t do nothing.
FacebookTwitterPinterest Kelli McLester poses in front of a poster outside of the South View Cemetery where John Lewis is being buried in a private ceremony on Thursday in Atlanta, Georgia. Photograph: Jessica McGowan/Getty Images
Advertisement
Like John, we have got to keep getting into that good trouble. He knew that nonviolent protest is patriotic: a way to raise public awareness, put a spotlight on injustice, and make the powers that be uncomfortable.
Like John, we don’t have to choose between protest and politics. It is not an either-or situation, it is a both-and situation. We have to engage in protests where that is effective but we also have to translate our passion and our causes into laws and institutional practices. That’s why John ran for Congress thirty-four years ago.
Like John, we have got to fight even harder for the most powerful tool we have, which is the right to vote. The Voting Rights Act is one of the crowning achievements of our democracy. It’s why John crossed that bridge. It’s why he spilled his blood. And by the way, it was the result of Democratic and Republican efforts. President Bush, who spoke here earlier, and his father both signed its renewal when they were in office. President Clinton didn’t have to because it was the law when he arrived so instead he made a law that made it easier for people to register to vote.
But once the supreme court weakened the Voting Rights Act, some state legislatures unleashed a flood of laws designed specifically to make voting harder, especially, by the way, state legislatures where there is a lot of minority turnout and population growth. That’s not necessarily a mystery or an accident. It was an attack on what John fought for. It was an attack on our democratic freedoms. And we should treat it as such.
You want to honor John? Let’s honor him by revitalizing the law that he was willing to die for
If politicians want to honor John, and I’m so grateful for the legacy of work of all the congressional leaders who are here, but there’s a better way than a statement calling him a hero. You want to honor John? Let’s honor him by revitalizing the law that he was willing to die for. And by the way, naming it the John Lewis Voting Rights Act, that is a fine tribute. But John wouldn’t want us to stop there, trying to get back to where we already were. Once we pass the John Lewis Voting Rights Act, we should keep marching to make it even better.
By making sure every American is automatically registered to vote, including former inmates who’ve earned their second chance.
By adding polling places, and expanding early voting, and making election day a national holiday, so if you are someone who is working in a factory, or you are a single mom who has got to go to her job and doesn’t get time off, you can still cast your ballot.
By guaranteeing that every American citizen has equal representation in our government, including the American citizens who live in Washington DC and in Puerto Rico. They are Americans.
By ending some of the partisan gerrymandering– so that all voters have the power to choose their politicians, not the other way around.
Advertisement
And if all this takes eliminating the filibuster – another Jim Crow relic – in order to secure the God-given rights of every American, then that’s what we should do.
And yet, even if we do all this – even if every bogus voter suppression law was struck off the books today – we have got to be honest with ourselves that too many of us choose not to exercise the franchise; that too many of our citizens believe their vote won’t make a difference, or they buy into the cynicism that, by the way, is the central strategy of voter suppression – to make you discouraged, to stop believing in your own power.
So we are also going to have to remember what John said: “If you don’t do everything you can to change things, then they will remain the same. You only pass this way once. You have to give it all you have.” As long as young people are protesting in the streets, hoping real change takes hold, I’m hopeful but we cannot casually abandon them at the ballot box. Not when few elections have been as urgent, on so many levels, as this one. We cannot treat voting as an errand to run if we have some time. We have to treat it as the most important action we can take on behalf of democracy.
Like John, we have to give it all we have.
I was proud that John Lewis was a friend of mine. I met him when I was in law school. He came to speak and I went up and I said: “Mr Lewis, you are one of my heroes. What inspired me more than anything as a young man was to see what you and Reverend Lawson and Bob Moses and Diane Nash and others did.” And he got that kind of – “aw shucks, thank you very much”.
That’s where real courage comes from. Not from turning on each other, but by turning towards one another
The next time I saw him, I had been elected to the United States Senate. And I told him, “John, I am here because of you.” On inauguration day in 2009, he was one of the first people that I greeted and hugged on that stand. I told him, “This is your day too.”
He was a good and kind and gentle man. And he believed in us – even when we don’t believe in ourselves. It’s fitting that the last time John and I shared a public forum was on Zoom. I am pretty sure that neither he nor I set up the Zoom call because we didn’t know how to work it. It was a virtual town hall with a gathering of young activists who had been helping to lead this summer’s demonstrations in the wake of George Floyd’s death. And afterwards, I spoke to John privately, and he could not have been prouder to see this new generation of activists standing up for freedom and equality; a new generation that was intent on voting and protecting the right to vote; in some cases, a new generation running for political office.
FacebookTwitterPinterest Barack Obama, center, walks as he holds hands with Amelia Boynton Robinson and John Lewis as they walk across the Edmund Pettus Bridge in Selma, Alabama, for the 50th anniversary of Bloody Sunday, in 2015. Photograph: Jacquelyn Martin/AP
Advertisement
I told him, all those young people, John – of every race and every religion, from every background and gender and sexual orientation – John, those are your children. They learned from your example, even if they didn’t always know it. They had understood, through him, what American citizenship requires, even if they had only heard about his courage through the history books.
“By the thousands, faceless, anonymous, relentless young people, black and white…have taken our whole nation back to those great wells of democracy which were dug deep by the founding fathers in the formulation of the constitution and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Dr King said that in the 1960s. And it came true again this summer.
We see it outside our windows, in big cities and rural towns, in men and women, young and old, straight Americans and LGBTQ Americans, Blacks who long for equal treatment and whites who can no longer accept freedom for themselves while witnessing the subjugation of their fellow Americans. We see it in everybody doing the hard work of overcoming complacency, of overcoming our own fears and our own prejudices, our own hatreds. You see it in people trying to be better, truer versions of ourselves.
And that’s what John Lewis teaches us. That’s where real courage comes from. Not from turning on each other, but by turning towards one another. Not by sowing hatred and division, but by spreading love and truth. Not by avoiding our responsibilities to create a better America and a better world, but by embracing those responsibilities with joy and perseverance and discovering that in our beloved community, we do not walk alone.
What a gift John Lewis was. We are all so lucky to have had him walk with us for a while, and show us the way.
God bless you all. God bless America. God bless this gentle soul who pulled it closer to its promise.
Since you're here ...
… we have a small favour to ask. You've read 10 articles in the last nine months. And you’re not alone; millions are flocking to the Guardian for quality news every day. We believe everyone deserves access to factual information, and analysis that has authority and integrity. That’s why, unlike many others, we made a choice: to keep Guardian reporting open for all, regardless of where they live or what they can afford to pay.
As an open, independent news organisation we investigate, interrogate and expose the actions of those in power, without fear. With no shareholders or billionaire owner, our journalism is free from political and commercial bias – this makes us different. We can give a voice to the oppressed and neglected, and stand in solidarity with those who are calling for a fairer future. With your help we can make a difference.
We’re determined to provide journalism that helps each of us better understand the world, and take actions that challenge, unite, and inspire change – in times of crisis and beyond. Our work would not be possible without our readers, who now support our work from 180 countries around the world.
Every reader contribution, however big or small, is so valuable for our future. Support the Guardian from as little as $1 – and it only takes a minute. Thank you.
2020-07-31
A traditional Journey through Sound Vibration | Banyen Books & Sound
A traditional Journey through Sound Vibration | Banyen Books & Sound
Hwiemtun’s connection to the spirit world, passion for story-telling and love of sharing diverse traditions of indigenous knowledge, has made it possible for him to bridge many worlds. Through sharing the gifts of oral history, music and ceremony, Hwiemtun has become an intercultural teacher and guide, nurturing transformation among many. Spiritually, Hwiemtun is a sweat lodge keeper, following the Lakota teachings, and a follower of Buddhism and spent two years working with the Maitreya Project throughout North America and Asia. He believes that we are all related in one way or another and this helps in achieving knowledge once we learn this clearly.
이병철 shared a memory.
3 h ·
코얌톤은 북미 원주민 가운데 캐나다를 중심으로 하는 해안족인 코이챤 부족의 의례를 계승한 (옛 개념의 샤먼/주술사) 분인데 평원족으로 유명한 수우족의 대표적 주술사이자 위대한 전사였던 크레이지 호스의 맥을 이어 받은 그레이베어의제자이기도 하다. 또한 남미 원주민들의 전통문화와 의례를 깊게 연구한 드문 인물이다. 그래서 그를 스승으로 배우고 따르는 백인들도 많다. 해마다 독일 등 유럽에서도 캠프를 열고 있기도 하다.
코얌튼과의 인연으로 그의 센터에 머물면서 그의 지도로 남미의 비전 의식을 체험할 수 있었던 것은 내 생애에서 결코 잊으질 수 없는 특별한 체험의 하나였다는 생각이 지금도 생생하게 떠오른다.
언제 또다시 만날 수 있을까.
2 years ago
See your memories
이병철
31ti ieimSJpuoglsthyn 2sfsah0ore1do8 ·
-코얌튼Hwiemtun과 함께 한 날들/
코이찬벨리를 떠나며,
이번 캐나다 여행에서 내가 만나야할 가장 중심적 인물은 코얌튼Hwiemtun이다. 법화님으로부터 인디언 전통 지혜를 전수 받은 교사로 일컬어지는 코얌튼에 대한 이야기를 전해 들은 뒤로 언젠가 꼭 만나고 싶었던 사람이었기 때문이다.
한국으로 초청하는 것을 생각해 보았지만 여의치 않는 문제들이 있어 내가 그를 직접 방문하기로 한 것이다.
코얌튼 Hwiemtun(인디언의 이름으로 story teller, 지혜를 전하는 사람이란 의미)은 근래 인디언 영적 지도자로 유명했던 그레이 베어의 제자이다. 이번 캐나다 선댄스를 주관한 수우족 다코다부족 추장인 워킹베어와 함께 그레이 베어에게서 특별한 수련을 통해 인디언 영적 전통을 전수 받았다.
그는 일찌기 4개 지파에서 선택받아 트레드셔널 티쳐(Traditional Teacher/몸과 마음과 자연에 대한 전통적 지혜를 현대적 의미의 가르침으로 전하는 교사)로 훈련 받았다. 그는 이러한 전통 지혜와 함께 남미의 치유법을 익히고 티벹 불교의 가르침도 받아 드렸다.
인자(仁者)도 자신의 고향에선 인정 받기 어렵다는 말과는 달리 그는 자기 고향에 살면서도 존중 받고있다.
그의 주된 활동은 인디언 전통 지식을 가르치는 교사로서 청년학생들에게 인디언의 문화와 전통을 이어갈 수 있게 하는 일과 사람들의 치유를 돕는 일이다. 독일 등 유럽에도 그를 따르는 이들이 많다.
그는 올해로 회갑이다. 법화님과는 십 수년 전에 법화님이 티베트 성물 세계 순회전시회의 실무자로 있을 때 캐나다의 전시회에서 만난 인연을 지금도 이어 오고 있다. 이번에 여기 우리와 만난 이들도 모두 코얌튼을 영적 스승으로 모시고 함께 수행하고 있는 사람들이다.
그런 인연이 닿아 그의 인도로 특별한 의식을 체험하게 되었다. 내가 꼭 경험해보고 싶었던 의례였다. 깊고 놀라운 체험이었다. 고마운 인연이다.
코얌튼은 몸과 마음이 모두 강하고 부드러운 사람이다. 그는 힘이 있고 지혜롭고 또한 친절하다. 티베트 불교에서 말하는 자비행의 보살, 그 전사와 같다. 나를 위해서도 특별히 배려한다.
그와 아름다운 그의 부인 베서니Bethany의 배려로 벤쿠버아일랜드에 있는 동안은 줄곧 그의 기도실을 숙소로 이용했다. 법화님에게 에코빌리지에서도 와서 묵으라고 했지만 내겐 이곳이 더 편안했다. 덕분에 충분한 휴식과 평화를 누렸다.
호얌튼은 자신이 직접 만든 인디언 드럼을 나에게 선물로 주었다. 과분하여 나는 당신께 드릴 것이 없다고 했더니 자기의 마음이라고 한다.
그러면서 북을 치며 그 전날 밤의 의식에서 나를 위해 특별히 불러주었다는 노래, 창조주 와카탕카에게 축복을 기원하는 인디언 전통노래를 그의 아내 베서니와 합창으로 나에게 다시 들려 주었다.
녹음해서 가져왔다. 영적 선물이다. 다만 감사할 뿐이다.
코얌튼에게 생각해왔던 것을 제안했다.
여름방학을 이용해서 한국 십대 청소년들과 인디언 청소년이 함께 하는 생태체험캠프에 대한 제안이었다.
십일 정도 코얌튼이 운영하고 있는 생태체험캠프에 십여명의 한국 청소년들과 같은 수의 인디언 원주민 청소년이 함께 서로 교류하면서 원주민의 문화와 지혜와 영성을 이해하고 야생 체험을 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제안이었다. 이를 통해서 한국 청소년들은 덤으로 원주민 친구도 사귀고 생활영어도 익힐 수 있을 것이라 싶다. 이 제안에 호얌튼도 흔쾌히 동의한다. 그에게라면 충분히 안심하고 맡낄 수 있겠다. 그의 법인 ‘Sacred sidar center’와 구체적인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시기는 내년 8월초에 시작하는 것으로 하고 기간은 오가는 기간을 포함하여 보름 정도의 일정으로 해서 10일간의 합동 캠프와 나머지 기간은 자연탐방 및 출입국 일정으로 하면 될 것 같다.
코얌튼에게 여름 시즌은 정신없이 바쁜 시기이다.(매년 이 기간 중에 이 지역 뿐아니라 독일과 오스트리아에서도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그럼에도 흔쾌히 수락해 준 것에 감사한다.
문득 드는 생각이 호얌튼이 그동안 내가 생태영성순례를 통해 찾고자 하던 바로 그 ‘신령한 짐승’의 전형이 아닐까 싶은 거였다.
땅, 대지에 굳건히 발을 딛고 있으면서 가슴에 하늘을 품고 소통하는 짐승, 그가 곧 그런 존재라는 생각이 들었다. 생태영성적 인간의 모습이 그러하리라. 오늘, 여기서의 마지막 날, 그를 따라 숲속의 비포장길을 한 시간 넘게 달려 다른 부족의 어린이 학교를 방문하여 그곳 원주민 학생들에게 피리와 북소리. 연주를 들려 주고 왔다. 그곳이 마침 West coast trail이 시작하는 부근이었다. 코얌튼이 내게 마지막 선물로 그곳의 원시 대자연의 한 부분을 경험할 수 있게 해 준 것이라 싶다.
오늘, 떠나기 전날, 페북을 통해 코얌튼과 아름답고 친절한 그의 부인 베서니에게 다시 감사를 표한다.
하이치카 시엠 huy’ch’qa siem
고맙습니다라는 이곳 인디언 말이다.
하이치카 시엠, 코얌튼, 나의 형제여.
언제 우리 다시 또 만날 수 있기를.
+19
이병철
돌아와서 순천의 사랑어린학교를 통해 지난 해에 이 캠프를 진행했다. 고마운 일이다. 앞으로도 이런 형태의 만남과 교류가 지속적으로 이어갈 수 있으면 좋겠다. 그곳의 형제들이 그리운 날이다
COMMUNITY
Sacred Cedar CentreDuncan, British Columbia, CAhttps://youthpassageways.org/partners/sacred-cedar-centre/
Sacred Cedar Centre is a gathering place for all indigenous and non indigenous youth and elders.
My name is Hwiemtun, English name Fred Roland.
I work with people from around the world teaching about Indigenous ways of life, from surviving in the wilderness to spiritual connection to the earth. I have been traveling to indigenous and non indigenous communities world wide for the past 30 years learning and sharing our culture. I work with people from all walks of life who want to learn, and have been doing this work mostly from word of mouth and just recently thorough media. The space I have built on the property is about 80% recycled material and a few small donations to get things going. We just need the basics to learn and it has been going well, children and adults enjoy the learning space.
Organizational Information
Modalities
Community Based
Areas of Work
Education
Global Citizenship
Intergenerational
Preservation of Indigenous Knowledge/Culture
Service Learning
Skill-Building
Spirituality
Genders served
Coed offerings
Cultural population
First Nations
Multi-Cultural
Religious/spiritual orientation
Indigenous Traditional
Age range
All ages
A traditional Journey through Sound Vibration
with Sweat Lodge Keeper, Hwiemtun / Fred Roland
Wednesday, October 26, 2016
6:30pm to 8:00pm
6:30pm to 8:00pm
at:
Banyen Books & Sound
3608 West 4th Ave.
3608 West 4th Ave.
cost:
Free
“We all come from the earth vibration since time immemorial, and now are remembering who we are. Nothing is new, it is old memory.”
Join Hwiemtun – Sweat lodge Keeper, intercultural teacher and global traveler – for an experiential presentation on traditional music and energy as our healing direction for the future.
Born and raised in Khowutzun (the ‘Warm Land’) by a Coast Salish mother and Hawaiian lineage father, Hwiemtun (Fred Roland) received many teachings of his Coast Salish culture. Through spending many years with elders of his territory, Hwiemtun learned the cultural and spiritual traditions of his ancestors. During the last 20 years, he has journeyed around the world to explore and share ways of being with elders and healers of many indigenous tribes. Visiting tribes such as the Makushi, Wapashani, Shipibo, and Yanamamo of South America; the Kajikhastani and Hungarian tribes of eastern Europe; and the Humung, Tai Muang, (Thailand) Ainu (Japan) just to name a few, Hwiemtun also visited the elder monks of India, Nepal and Lhasa, Tibet. His journeys were also spent travelling within North America connecting with the Lakota, Cree, Blackfoot, and many tribes within British Columbia. The journeys to date continue into Australia with elders of Uluru and also the Mayan in Belize for the opening of the new Mayan Calendar 2012.
Join Hwiemtun – Sweat lodge Keeper, intercultural teacher and global traveler – for an experiential presentation on traditional music and energy as our healing direction for the future.
Born and raised in Khowutzun (the ‘Warm Land’) by a Coast Salish mother and Hawaiian lineage father, Hwiemtun (Fred Roland) received many teachings of his Coast Salish culture. Through spending many years with elders of his territory, Hwiemtun learned the cultural and spiritual traditions of his ancestors. During the last 20 years, he has journeyed around the world to explore and share ways of being with elders and healers of many indigenous tribes. Visiting tribes such as the Makushi, Wapashani, Shipibo, and Yanamamo of South America; the Kajikhastani and Hungarian tribes of eastern Europe; and the Humung, Tai Muang, (Thailand) Ainu (Japan) just to name a few, Hwiemtun also visited the elder monks of India, Nepal and Lhasa, Tibet. His journeys were also spent travelling within North America connecting with the Lakota, Cree, Blackfoot, and many tribes within British Columbia. The journeys to date continue into Australia with elders of Uluru and also the Mayan in Belize for the opening of the new Mayan Calendar 2012.
Hwiemtun’s connection to the spirit world, passion for story-telling and love of sharing diverse traditions of indigenous knowledge, has made it possible for him to bridge many worlds. Through sharing the gifts of oral history, music and ceremony, Hwiemtun has become an intercultural teacher and guide, nurturing transformation among many. Spiritually, Hwiemtun is a sweat lodge keeper, following the Lakota teachings, and a follower of Buddhism and spent two years working with the Maitreya Project throughout North America and Asia. He believes that we are all related in one way or another and this helps in achieving knowledge once we learn this clearly.
---
이병철 shared a memory.
3 h ·
코얌톤은 북미 원주민 가운데 캐나다를 중심으로 하는 해안족인 코이챤 부족의 의례를 계승한 (옛 개념의 샤먼/주술사) 분인데 평원족으로 유명한 수우족의 대표적 주술사이자 위대한 전사였던 크레이지 호스의 맥을 이어 받은 그레이베어의제자이기도 하다. 또한 남미 원주민들의 전통문화와 의례를 깊게 연구한 드문 인물이다. 그래서 그를 스승으로 배우고 따르는 백인들도 많다. 해마다 독일 등 유럽에서도 캠프를 열고 있기도 하다.
코얌튼과의 인연으로 그의 센터에 머물면서 그의 지도로 남미의 비전 의식을 체험할 수 있었던 것은 내 생애에서 결코 잊으질 수 없는 특별한 체험의 하나였다는 생각이 지금도 생생하게 떠오른다.
언제 또다시 만날 수 있을까.
2 years ago
See your memories
이병철
31ti ieimSJpuoglsthyn 2sfsah0ore1do8 ·
-코얌튼Hwiemtun과 함께 한 날들/
코이찬벨리를 떠나며,
이번 캐나다 여행에서 내가 만나야할 가장 중심적 인물은 코얌튼Hwiemtun이다. 법화님으로부터 인디언 전통 지혜를 전수 받은 교사로 일컬어지는 코얌튼에 대한 이야기를 전해 들은 뒤로 언젠가 꼭 만나고 싶었던 사람이었기 때문이다.
한국으로 초청하는 것을 생각해 보았지만 여의치 않는 문제들이 있어 내가 그를 직접 방문하기로 한 것이다.
코얌튼 Hwiemtun(인디언의 이름으로 story teller, 지혜를 전하는 사람이란 의미)은 근래 인디언 영적 지도자로 유명했던 그레이 베어의 제자이다. 이번 캐나다 선댄스를 주관한 수우족 다코다부족 추장인 워킹베어와 함께 그레이 베어에게서 특별한 수련을 통해 인디언 영적 전통을 전수 받았다.
그는 일찌기 4개 지파에서 선택받아 트레드셔널 티쳐(Traditional Teacher/몸과 마음과 자연에 대한 전통적 지혜를 현대적 의미의 가르침으로 전하는 교사)로 훈련 받았다. 그는 이러한 전통 지혜와 함께 남미의 치유법을 익히고 티벹 불교의 가르침도 받아 드렸다.
인자(仁者)도 자신의 고향에선 인정 받기 어렵다는 말과는 달리 그는 자기 고향에 살면서도 존중 받고있다.
그의 주된 활동은 인디언 전통 지식을 가르치는 교사로서 청년학생들에게 인디언의 문화와 전통을 이어갈 수 있게 하는 일과 사람들의 치유를 돕는 일이다. 독일 등 유럽에도 그를 따르는 이들이 많다.
그는 올해로 회갑이다. 법화님과는 십 수년 전에 법화님이 티베트 성물 세계 순회전시회의 실무자로 있을 때 캐나다의 전시회에서 만난 인연을 지금도 이어 오고 있다. 이번에 여기 우리와 만난 이들도 모두 코얌튼을 영적 스승으로 모시고 함께 수행하고 있는 사람들이다.
그런 인연이 닿아 그의 인도로 특별한 의식을 체험하게 되었다. 내가 꼭 경험해보고 싶었던 의례였다. 깊고 놀라운 체험이었다. 고마운 인연이다.
코얌튼은 몸과 마음이 모두 강하고 부드러운 사람이다. 그는 힘이 있고 지혜롭고 또한 친절하다. 티베트 불교에서 말하는 자비행의 보살, 그 전사와 같다. 나를 위해서도 특별히 배려한다.
그와 아름다운 그의 부인 베서니Bethany의 배려로 벤쿠버아일랜드에 있는 동안은 줄곧 그의 기도실을 숙소로 이용했다. 법화님에게 에코빌리지에서도 와서 묵으라고 했지만 내겐 이곳이 더 편안했다. 덕분에 충분한 휴식과 평화를 누렸다.
호얌튼은 자신이 직접 만든 인디언 드럼을 나에게 선물로 주었다. 과분하여 나는 당신께 드릴 것이 없다고 했더니 자기의 마음이라고 한다.
그러면서 북을 치며 그 전날 밤의 의식에서 나를 위해 특별히 불러주었다는 노래, 창조주 와카탕카에게 축복을 기원하는 인디언 전통노래를 그의 아내 베서니와 합창으로 나에게 다시 들려 주었다.
녹음해서 가져왔다. 영적 선물이다. 다만 감사할 뿐이다.
코얌튼에게 생각해왔던 것을 제안했다.
여름방학을 이용해서 한국 십대 청소년들과 인디언 청소년이 함께 하는 생태체험캠프에 대한 제안이었다.
십일 정도 코얌튼이 운영하고 있는 생태체험캠프에 십여명의 한국 청소년들과 같은 수의 인디언 원주민 청소년이 함께 서로 교류하면서 원주민의 문화와 지혜와 영성을 이해하고 야생 체험을 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제안이었다. 이를 통해서 한국 청소년들은 덤으로 원주민 친구도 사귀고 생활영어도 익힐 수 있을 것이라 싶다. 이 제안에 호얌튼도 흔쾌히 동의한다. 그에게라면 충분히 안심하고 맡낄 수 있겠다. 그의 법인 ‘Sacred sidar center’와 구체적인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시기는 내년 8월초에 시작하는 것으로 하고 기간은 오가는 기간을 포함하여 보름 정도의 일정으로 해서 10일간의 합동 캠프와 나머지 기간은 자연탐방 및 출입국 일정으로 하면 될 것 같다.
코얌튼에게 여름 시즌은 정신없이 바쁜 시기이다.(매년 이 기간 중에 이 지역 뿐아니라 독일과 오스트리아에서도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그럼에도 흔쾌히 수락해 준 것에 감사한다.
문득 드는 생각이 호얌튼이 그동안 내가 생태영성순례를 통해 찾고자 하던 바로 그 ‘신령한 짐승’의 전형이 아닐까 싶은 거였다.
땅, 대지에 굳건히 발을 딛고 있으면서 가슴에 하늘을 품고 소통하는 짐승, 그가 곧 그런 존재라는 생각이 들었다. 생태영성적 인간의 모습이 그러하리라. 오늘, 여기서의 마지막 날, 그를 따라 숲속의 비포장길을 한 시간 넘게 달려 다른 부족의 어린이 학교를 방문하여 그곳 원주민 학생들에게 피리와 북소리. 연주를 들려 주고 왔다. 그곳이 마침 West coast trail이 시작하는 부근이었다. 코얌튼이 내게 마지막 선물로 그곳의 원시 대자연의 한 부분을 경험할 수 있게 해 준 것이라 싶다.
오늘, 떠나기 전날, 페북을 통해 코얌튼과 아름답고 친절한 그의 부인 베서니에게 다시 감사를 표한다.
하이치카 시엠 huy’ch’qa siem
고맙습니다라는 이곳 인디언 말이다.
하이치카 시엠, 코얌튼, 나의 형제여.
언제 우리 다시 또 만날 수 있기를.
+19
이병철
돌아와서 순천의 사랑어린학교를 통해 지난 해에 이 캠프를 진행했다. 고마운 일이다. 앞으로도 이런 형태의 만남과 교류가 지속적으로 이어갈 수 있으면 좋겠다. 그곳의 형제들이 그리운 날이다
----
COMMUNITY
Sacred Cedar CentreDuncan, British Columbia, CAhttps://youthpassageways.org/partners/sacred-cedar-centre/
Sacred Cedar Centre is a gathering place for all indigenous and non indigenous youth and elders.
My name is Hwiemtun, English name Fred Roland.
I work with people from around the world teaching about Indigenous ways of life, from surviving in the wilderness to spiritual connection to the earth. I have been traveling to indigenous and non indigenous communities world wide for the past 30 years learning and sharing our culture. I work with people from all walks of life who want to learn, and have been doing this work mostly from word of mouth and just recently thorough media. The space I have built on the property is about 80% recycled material and a few small donations to get things going. We just need the basics to learn and it has been going well, children and adults enjoy the learning space.
Organizational Information
Modalities
Community Based
Areas of Work
Education
Global Citizenship
Intergenerational
Preservation of Indigenous Knowledge/Culture
Service Learning
Skill-Building
Spirituality
Genders served
Coed offerings
Cultural population
First Nations
Multi-Cultural
Religious/spiritual orientation
Indigenous Traditional
Age range
All ages
[내가 모르는 한국말] 엄배덤배
[내가 모르는 한국말] 엄배덤배
---
- 오늘 페친의 글에서 나옴
---
1] 보통 사전에는 없고
---
2] ▲ 엄배덤배 / 엠베덤베 / 엄베딤배
이 말의 본디 뜻은 사전에서 [부] 엄벙덤벙, 곧 ‘무슨 영문인지도 모르고 덤벙거리는 꼴’이라고 설명하고 있지만 실제로 이 지방에서는 이 본래의 뜻과는 좀 다르게 ‘엎친 데 덮친. 이중으로 겹쳐서. 많이 자꾸자꾸. 중복되게. 설장가상으로.’ 등의 뜻으로 보통 쓰인다. 그리하여 예전에 먹을 것이 귀했던 시절, 이른 봄 아이들이 논두렁에 ‘올비 / 올비이’(올방개 : 사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논이나 연못에서 자라는데 식용함.)를 캐러 가며 그때 부르는 노래가 있는데 곧 ‘올비야 나오너라. 엄베덤베 나오너라. 업고 지고(많이) 나오너라!’ 이렇게 아이들 노래 속에서도 ‘엄베덤베(많이. 자꾸자꾸)’란 말이 나온다.
---
[국어학자들이 1차로 선정한 말모이 100선]
의미: 얼기설기
예문: 엄배덤배 돼 있어서 잘 모르겠네.
---
얼기설기
[부사]
1. 가는 것이 이리저리 뒤섞이어 얽힌 모양.
2. 엉성하고 조잡한 모양.
3. 관계나 일, 감정 따위가 복잡하게 얽힌 모양.
---
결론: 네가지 의미?
1] 엄벙덤벙
2] 자꾸 자꾸
3] 엉성한
4] 얽히고 섥힌
1930 봉천 조선인 예수교 교회
1930 봉천 조선인 예수교 교회
5 h
·
[한인 교회들 폐쇄로 예배를 드리지 못함, 1930년]
1930년 6월 말 현재 만주(동만주, 남만주)에 한인 개신교회는 172개, 교역자는 764명, 교인수는 10,328명, 학교 206개, 학생수 9,438명이었다. 이 가운데 아래 봉천교회가 가장 큰 교회였다.
그런데 1930년에 중국 정부는 공산주의자들의 활동을 우려하여 교회들을 일시 폐쇄했다. 집회를 통해 공산당 선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 조치였다.
시베리아에서는 공산 정권이 기독교를 박해하면서, 한인 교회들은 제대로 집회를 할 수 없거나, 한인 목회자들이 현지를 떠나야 했다.
1955년 이전 한국 교회가 편안하게 예배 드린 경우는 그리 많지 않다.
--이훈구, <滿州와 朝鮮人> (평양, 숭실전문대학 경제학교실, 1931).
Sung Deuk Oak [쪽 팔려서] ⚘ 내가 환경미화원으로 간 이유
(2) Facebook
Sung Deuk Oak
tYetstteolSprodaaynauehs ualtetiorS rSo1e0:n2d2 ·
[쪽 팔려서]
⚘ 내가 환경미화원으로 간 이유
페친들이 왜 환경미화원으로 갔는지 사연을 올려달라는 열화와 같은 성원이 있어 적어본다. 마음에 걸리는 분이 계시면 패스하시라.
영화 ''친구''에 보면 이런 대사가 나온다. 교도소에 면회를 간 상택이가 준오(유오성)에게 ''준오야, 동수 니가 죽였나? 와 죽였노?' 그때 준호가 이런 말을 던진다. '쪽 팔려서''...,
내가 창원에서 담임목사를 하다가 사표를 던지고 환경미화원으로 간 이유는...,
''쪽 팔려서...,''
이게 교회인가?
이게 기독교인가?
아내에게 말하기를 목사라는 이름을 걸고 한발짝도 못가겠다. 자연인으로 돌아가자. 그리고 차라리 바닥에서 예수 이름에 걸맞게 향기롭게 살자. 그까이껏 목사 안 하면 어떤노.
저급한 기독교...,
구실도 제대로 못하는 목사와 중직자들...,
쪽팔려서 목사 못하겠더라.
그래서 사표를 던졌다. 전세금 5천만원 준다길래 중고등부 장학금으로 돌리라고 다시 교회에 반납하고 처자식 데리고 스스로 길바닥으로 뛰처나왔다. 그때 큰딸 대학 들어갈 때였고 둘째가 고2였다.
첫째, 은혜로 구원 받았다고 하면서 공로를 조장해서 헌금 끌어 모아 겨우 땅 사고 건물 짓는데 혈안된 목사들.., 요한복음에서 믿는 것이 하나님 일이라고 했는데 믿는 것을 가르치지 않고 십일조 해라 헌금해라 봉사해라 전도해라.
교회마다 믿는 것을 가르쳐야 하는데 공로 쌓는 법부터 가르치더라. 불교에 가면 탑이 있다. 공덕을 쌓으라고 탑을 쌓는다. 기와장 하나하나에 시주한 사람의 이름을 새긴다. 교회도 그러더라. 한국 교회는 불교식 기독교더라. 은혜로 사는 법을 가르치지 않고 믿으라 믿으라 하지 않고, 쌓으라 쌓으라 해라 해라를 먼저 가르치더라.
100프로 예수님의 십자가의 은혜로 구원 받는 믿음을 가르쳤으면 십자가를 자랑하고 십자가를 드러내야 하는데, 교회마다 공로를 쌓은 목사 장로 권사 집사들이 자기 이름부터 드러내더라.
당회에서 제직회에서 공동의회에서 십자가가 드러나지 않고 공로를 쌓은 직분자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공로 기득권으로 세력화 시키고 당파 만들고 저급하게 싸우는 모습을 늘 목격을 했다. 은혜와 자비와 용납이 가장 없는 곳이 당회더라. 당회는 가장 저급한 인본주의 힘이 작용하는 곳이더라.
한국교회가 부흥해서 모은 헌금 땅 사고 예배당 건축한다고 다 써서 선교도 구제도 코로나 때 헌신도 못하더라. 성도들 헌금은 다 땅 속에 묻어놨더라. 한 달달트 받은 사람처럼. 한국교회는 한 달란트 받은 자들인가? 거기에다가 대출 받아 건축해서 이자 갚기 급급하고..., 선교는 선교대로 못하고 구제는 구제대로 못하고..., 선교비 줄이는 교회가 제정신인가?
서울서문교회에서 유럽개혁주의 신학자들이 10년 동안 한국 기독교를 연구하여 발표하는 포럼이 있었다. 그때 유럽 개혁주의 신학자들이 한국 기독교 95프로는 샤마니즘 기독교라고 단언했다.
쉽게 말하면 성경적 기독교가 아니라 불교식 기독교라는 뜻이다.
내가 섬기던 잠실중앙교회 정ㅇㅇ목사님께서 주일 대예배 시간에 울면서 교회를 떠나겠다고 보내달라고 긴청을 하더라. 중직자들과 교인들에게 제자 훈련을 시켜보니 담임목사의 제자는 되는데, 예수님의 제자는 절대 안 되더라고 하면서 개척하러 나갔다.
한국교회는 하나님이 신이 아니라 돈이 신이더라. 돈 많은 사람이 직분 쉽게 받고 돈없는 성도는 직분받기 어려운 곳이 교회더라. 직분받을 때는 돈 얼마씩 내놓으라고 하더라.
초대교회는 자기 재물을 제 것이라 하지않고 팔아서 사도들의 발 앞에 두고 가난한 자들에게 구제하니 핍절한 자가 없었다. 아니니아와 삽비라는 자기 물건을 팔아 조금 떼먹었다고 성령을 속인 죄로 그자리에서 저주받아 죽었다.
한국교회 목사 장로 권사 성도 중에 자기 물건을 제 것이라고 하지않고 팔아 가난한 자에게 나누어 줄 사람 몇 명이나 될까?
개혁주의자들은 온갖 세미나 포럼 집회 북콘서트하면서 개혁하자 개혁하자 하면서, 자기 사례금 자기 돈은 개혁하자고 안 하더라. 돈이 생기면 하나님께서 까마귀를 통해 물어 줬다고 하면서, 사탄 마귀가 준 돈까지 낼름낼름 받더라. 거절하는 법이 없더라. 나는 지금까지 내가 섬기는교회 성도에게 봉투받은 적 한 번도 없었다.
교단 국내 전도부에서 개척교회 목회자 부부 세미나에 강의를 부탁하더라. 나는 교회도 작은데 왜 강의를 부탁하느냐 물었더니 김 목사님처럼 개척한 목사는 하나도 없습니다. 그러더라. 개척교회 목사들은 입만 열면 돈돈돈 후원받을 생각밖에 안 하고 돈만 밝힌다고 나보고 꼭 강의를 해 달란다. 그래서 강의 시간 첫 마디가 개척하니 힘듭니까? 행복합니까? 물었더니 힘들다고 다들 대답하더라. 그래서 내가 그랬다. 개척 엉터리로 하셨군요. 하나님만 섬기는 개척을 하셔야지 하나님과 재물을 겸하여 개척하니 힘들 수 밖에요. 나는 개척할때 어머니가 유산으로 물려준 재산을 형제들에게 돌려주고 교회후원 개인후원 가족후원 모두 단절하고 땡전 한푼 없이 개척했다. 개척해서 3무 교회를 선언했다. 헌금하지 마라. 봉사하지 마라. 전도하지 마라. 전도하면 뭐하노. 니 수준이 낮아 시험 들어 다시 떠날낀데...,
개척해서 주일점심 남은 걸로 일주일을 먹으면서 버텼다. 무슨 정글의 법칙도 아니고...,
목사는 말은 은혜로 시작해서 돈으로 귀결되더라. 하나님과 필적할 만큼 가장 강력한 힘이 돈이더라.
개혁주의자들도 앉으면 입에서 튀어 나오는 말이 돈돈돈 하더라.
이스라엘 백성들이 요단강을 건너 가나안에 입성할때 가나안 족족들은 간담이 녹고 정신을 잃었다고 했다.
안디옥 교회는 주위 불신자들에게서 비로소 그리스도인이라 일컬음을 받았다.
개독교라고 듣는 판국에 우리끼리 아멘 할렐루야 하면서 고상함을 떨면 진짜 기독교가 고상한 걸까?
내가 담임목사 직을 버리고 환경미화원으로 간 이유를 적으려면 책 한 권도 더 나온다.
살아계신 하나님의 자녀들이 모인 교회들과 지도자들이 천박하기 짝이 없어서 쪽팔려서 환경미화원으로 갔다.
예수님은 패하고 흥함을 위해 비방받는 표적이 되셨다. 패함이 먼저이다. 그리고 다시 세워야한다. 한국 기독교는 완전 무너뜨려야 한다. 그리고 다시 세워야 한다.
재건축하려면 낡은 건물을 무너뜨리고 기초를 다지고 그 위에 새 건물을 지어야한다. 하나님은 돈 위에 선 한국 기독교를 무너뜨려서 다시 세울 것이다.
새로운 시대를 바라보며 다시 뛰자.
아~ 쪽팔려...,
[퍼 온 글]
Sung Deuk Oak
tYetstteolSprodaaynauehs ualtetiorS rSo1e0:n2d2 ·
[쪽 팔려서]
⚘ 내가 환경미화원으로 간 이유
페친들이 왜 환경미화원으로 갔는지 사연을 올려달라는 열화와 같은 성원이 있어 적어본다. 마음에 걸리는 분이 계시면 패스하시라.
영화 ''친구''에 보면 이런 대사가 나온다. 교도소에 면회를 간 상택이가 준오(유오성)에게 ''준오야, 동수 니가 죽였나? 와 죽였노?' 그때 준호가 이런 말을 던진다. '쪽 팔려서''...,
내가 창원에서 담임목사를 하다가 사표를 던지고 환경미화원으로 간 이유는...,
''쪽 팔려서...,''
이게 교회인가?
이게 기독교인가?
아내에게 말하기를 목사라는 이름을 걸고 한발짝도 못가겠다. 자연인으로 돌아가자. 그리고 차라리 바닥에서 예수 이름에 걸맞게 향기롭게 살자. 그까이껏 목사 안 하면 어떤노.
저급한 기독교...,
구실도 제대로 못하는 목사와 중직자들...,
쪽팔려서 목사 못하겠더라.
그래서 사표를 던졌다. 전세금 5천만원 준다길래 중고등부 장학금으로 돌리라고 다시 교회에 반납하고 처자식 데리고 스스로 길바닥으로 뛰처나왔다. 그때 큰딸 대학 들어갈 때였고 둘째가 고2였다.
첫째, 은혜로 구원 받았다고 하면서 공로를 조장해서 헌금 끌어 모아 겨우 땅 사고 건물 짓는데 혈안된 목사들.., 요한복음에서 믿는 것이 하나님 일이라고 했는데 믿는 것을 가르치지 않고 십일조 해라 헌금해라 봉사해라 전도해라.
교회마다 믿는 것을 가르쳐야 하는데 공로 쌓는 법부터 가르치더라. 불교에 가면 탑이 있다. 공덕을 쌓으라고 탑을 쌓는다. 기와장 하나하나에 시주한 사람의 이름을 새긴다. 교회도 그러더라. 한국 교회는 불교식 기독교더라. 은혜로 사는 법을 가르치지 않고 믿으라 믿으라 하지 않고, 쌓으라 쌓으라 해라 해라를 먼저 가르치더라.
100프로 예수님의 십자가의 은혜로 구원 받는 믿음을 가르쳤으면 십자가를 자랑하고 십자가를 드러내야 하는데, 교회마다 공로를 쌓은 목사 장로 권사 집사들이 자기 이름부터 드러내더라.
당회에서 제직회에서 공동의회에서 십자가가 드러나지 않고 공로를 쌓은 직분자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공로 기득권으로 세력화 시키고 당파 만들고 저급하게 싸우는 모습을 늘 목격을 했다. 은혜와 자비와 용납이 가장 없는 곳이 당회더라. 당회는 가장 저급한 인본주의 힘이 작용하는 곳이더라.
한국교회가 부흥해서 모은 헌금 땅 사고 예배당 건축한다고 다 써서 선교도 구제도 코로나 때 헌신도 못하더라. 성도들 헌금은 다 땅 속에 묻어놨더라. 한 달달트 받은 사람처럼. 한국교회는 한 달란트 받은 자들인가? 거기에다가 대출 받아 건축해서 이자 갚기 급급하고..., 선교는 선교대로 못하고 구제는 구제대로 못하고..., 선교비 줄이는 교회가 제정신인가?
서울서문교회에서 유럽개혁주의 신학자들이 10년 동안 한국 기독교를 연구하여 발표하는 포럼이 있었다. 그때 유럽 개혁주의 신학자들이 한국 기독교 95프로는 샤마니즘 기독교라고 단언했다.
쉽게 말하면 성경적 기독교가 아니라 불교식 기독교라는 뜻이다.
내가 섬기던 잠실중앙교회 정ㅇㅇ목사님께서 주일 대예배 시간에 울면서 교회를 떠나겠다고 보내달라고 긴청을 하더라. 중직자들과 교인들에게 제자 훈련을 시켜보니 담임목사의 제자는 되는데, 예수님의 제자는 절대 안 되더라고 하면서 개척하러 나갔다.
한국교회는 하나님이 신이 아니라 돈이 신이더라. 돈 많은 사람이 직분 쉽게 받고 돈없는 성도는 직분받기 어려운 곳이 교회더라. 직분받을 때는 돈 얼마씩 내놓으라고 하더라.
초대교회는 자기 재물을 제 것이라 하지않고 팔아서 사도들의 발 앞에 두고 가난한 자들에게 구제하니 핍절한 자가 없었다. 아니니아와 삽비라는 자기 물건을 팔아 조금 떼먹었다고 성령을 속인 죄로 그자리에서 저주받아 죽었다.
한국교회 목사 장로 권사 성도 중에 자기 물건을 제 것이라고 하지않고 팔아 가난한 자에게 나누어 줄 사람 몇 명이나 될까?
개혁주의자들은 온갖 세미나 포럼 집회 북콘서트하면서 개혁하자 개혁하자 하면서, 자기 사례금 자기 돈은 개혁하자고 안 하더라. 돈이 생기면 하나님께서 까마귀를 통해 물어 줬다고 하면서, 사탄 마귀가 준 돈까지 낼름낼름 받더라. 거절하는 법이 없더라. 나는 지금까지 내가 섬기는교회 성도에게 봉투받은 적 한 번도 없었다.
교단 국내 전도부에서 개척교회 목회자 부부 세미나에 강의를 부탁하더라. 나는 교회도 작은데 왜 강의를 부탁하느냐 물었더니 김 목사님처럼 개척한 목사는 하나도 없습니다. 그러더라. 개척교회 목사들은 입만 열면 돈돈돈 후원받을 생각밖에 안 하고 돈만 밝힌다고 나보고 꼭 강의를 해 달란다. 그래서 강의 시간 첫 마디가 개척하니 힘듭니까? 행복합니까? 물었더니 힘들다고 다들 대답하더라. 그래서 내가 그랬다. 개척 엉터리로 하셨군요. 하나님만 섬기는 개척을 하셔야지 하나님과 재물을 겸하여 개척하니 힘들 수 밖에요. 나는 개척할때 어머니가 유산으로 물려준 재산을 형제들에게 돌려주고 교회후원 개인후원 가족후원 모두 단절하고 땡전 한푼 없이 개척했다. 개척해서 3무 교회를 선언했다. 헌금하지 마라. 봉사하지 마라. 전도하지 마라. 전도하면 뭐하노. 니 수준이 낮아 시험 들어 다시 떠날낀데...,
개척해서 주일점심 남은 걸로 일주일을 먹으면서 버텼다. 무슨 정글의 법칙도 아니고...,
목사는 말은 은혜로 시작해서 돈으로 귀결되더라. 하나님과 필적할 만큼 가장 강력한 힘이 돈이더라.
개혁주의자들도 앉으면 입에서 튀어 나오는 말이 돈돈돈 하더라.
이스라엘 백성들이 요단강을 건너 가나안에 입성할때 가나안 족족들은 간담이 녹고 정신을 잃었다고 했다.
안디옥 교회는 주위 불신자들에게서 비로소 그리스도인이라 일컬음을 받았다.
개독교라고 듣는 판국에 우리끼리 아멘 할렐루야 하면서 고상함을 떨면 진짜 기독교가 고상한 걸까?
내가 담임목사 직을 버리고 환경미화원으로 간 이유를 적으려면 책 한 권도 더 나온다.
살아계신 하나님의 자녀들이 모인 교회들과 지도자들이 천박하기 짝이 없어서 쪽팔려서 환경미화원으로 갔다.
예수님은 패하고 흥함을 위해 비방받는 표적이 되셨다. 패함이 먼저이다. 그리고 다시 세워야한다. 한국 기독교는 완전 무너뜨려야 한다. 그리고 다시 세워야 한다.
재건축하려면 낡은 건물을 무너뜨리고 기초를 다지고 그 위에 새 건물을 지어야한다. 하나님은 돈 위에 선 한국 기독교를 무너뜨려서 다시 세울 것이다.
새로운 시대를 바라보며 다시 뛰자.
아~ 쪽팔려...,
[퍼 온 글]
통일뉴스 모바일 사이트, 평화통일운동가 김낙중 선생 29일 별세, 향년 89세
통일뉴스 모바일 사이트, 평화통일운동가 김낙중 선생 29일 별세, 향년 89세
평화통일운동가 김낙중 선생 29일 별세, 향년 89세
기사승인 2020.07.29
▲ 2008년 통일뉴스 주최 21세기 민족주의포럼에서 주제발표를 한 김낙중 선생 [통일뉴스 자료사진]
한평생 민족의 분단을 아파하며 통일을 위해 몸부림치던 김낙중 전 민중당 공동대표가 29일 12시 50분경 별세했다. 향년 89세.
고 김낙중 선생은 1931년 경기도 파주에서 태어나 전쟁 후 분단이 고착화되던 1955년 25살의 나이에 스스로 성안한 '통일독립청년고려공동체수립안'을 허리에 두르고 임진강을 건너면서 자신의 운명을 민족의 통일에 바쳤다.
남북을 오가며 신념을 버리지 않고 1964년 군법회의 사형선고, 1973년 간첩예비죄, 1992년 국가보안법 위반 구속까지 4차례 18년 수형생활을 하면서 통일운동에 매진했고, 인생의 말년까지 '평화통일시민연대' 상임고문으로 활동하면서 통일의 의지를 끝까지 포기하지 않았다.
2005년 맏딸 김선주는 아버지의 일대기를 가족의 시선으로 쓴 『탐루』에서 "임진강을 건너기 전에 이미 ‘탐루(探淚, 눈물을 찾는다)’라고 쓴 등불을 대낮에 켜들고 포연이 가시지 않은 부산 광복동 거리거리를 헤매고 다니며 외쳤던" 아버지의 순수한 열정과 어머니가 겪을 수 밖에 없었던 고통을 '암울한 우리 현실을 향한 통곡'으로 기록함으로써 고인의 일생을 고단했던 가족사를 넘어 지난한 분단극복의 역사로 그리기도 했다.
유족으로 부인 김남기씨와 아들 선혁(고려대 교수), 딸 선주, 선결씨 그리고 며느리와 사위가 있다.
빈소는 일산장례식장(3호선 마두역)에 마련됐고 장례는 유족의 뜻에 따라 가족장으로 치르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발인은 31일 오전 9시. 장지는 파주 법흥리 선영이다.
< 김낙중 선생 약력>
-1931. 파주출생
-1952.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입학
-1954. '탐루(探淚)'라고 쓴 등불을 들고 평화통일을 주장하며 단독 시위
-1955. 북한의 평화통일 의지를 알아보려 월북, 미제간첩으로 몰려 기소
-1956. 남한으로 귀환, 간첩 및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기소(징역 1년, 집행유예 2년)
-1957.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2학년 편입, 이후 대학원 진학
-1962. 반공법 및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기소(3년 6개월 형)
-1968. 고려대 노동문제연구소 연구원 및 정경대학 강사
-1973. 고려대 '민우지(民友紙)사건'으로 국가보안법 위반 등의 혐의로 기소(7년형)
-1990. 민중당 공동대표
-1992. 국가보안법 위반등의 혐의로 기소(무기징역형)
-1993. 국제사면위원회 양심수 선정
-1998. 김대중 정부 출범 후 광복절 특별사면 형집행정지로 출소
평화통일운동가 김낙중 선생 29일 별세, 향년 89세
기사승인 2020.07.29
▲ 2008년 통일뉴스 주최 21세기 민족주의포럼에서 주제발표를 한 김낙중 선생 [통일뉴스 자료사진]
한평생 민족의 분단을 아파하며 통일을 위해 몸부림치던 김낙중 전 민중당 공동대표가 29일 12시 50분경 별세했다. 향년 89세.
고 김낙중 선생은 1931년 경기도 파주에서 태어나 전쟁 후 분단이 고착화되던 1955년 25살의 나이에 스스로 성안한 '통일독립청년고려공동체수립안'을 허리에 두르고 임진강을 건너면서 자신의 운명을 민족의 통일에 바쳤다.
남북을 오가며 신념을 버리지 않고 1964년 군법회의 사형선고, 1973년 간첩예비죄, 1992년 국가보안법 위반 구속까지 4차례 18년 수형생활을 하면서 통일운동에 매진했고, 인생의 말년까지 '평화통일시민연대' 상임고문으로 활동하면서 통일의 의지를 끝까지 포기하지 않았다.
2005년 맏딸 김선주는 아버지의 일대기를 가족의 시선으로 쓴 『탐루』에서 "임진강을 건너기 전에 이미 ‘탐루(探淚, 눈물을 찾는다)’라고 쓴 등불을 대낮에 켜들고 포연이 가시지 않은 부산 광복동 거리거리를 헤매고 다니며 외쳤던" 아버지의 순수한 열정과 어머니가 겪을 수 밖에 없었던 고통을 '암울한 우리 현실을 향한 통곡'으로 기록함으로써 고인의 일생을 고단했던 가족사를 넘어 지난한 분단극복의 역사로 그리기도 했다.
유족으로 부인 김남기씨와 아들 선혁(고려대 교수), 딸 선주, 선결씨 그리고 며느리와 사위가 있다.
빈소는 일산장례식장(3호선 마두역)에 마련됐고 장례는 유족의 뜻에 따라 가족장으로 치르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발인은 31일 오전 9시. 장지는 파주 법흥리 선영이다.
< 김낙중 선생 약력>
-1931. 파주출생
-1952.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입학
-1954. '탐루(探淚)'라고 쓴 등불을 들고 평화통일을 주장하며 단독 시위
-1955. 북한의 평화통일 의지를 알아보려 월북, 미제간첩으로 몰려 기소
-1956. 남한으로 귀환, 간첩 및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기소(징역 1년, 집행유예 2년)
-1957.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2학년 편입, 이후 대학원 진학
-1962. 반공법 및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기소(3년 6개월 형)
-1968. 고려대 노동문제연구소 연구원 및 정경대학 강사
-1973. 고려대 '민우지(民友紙)사건'으로 국가보안법 위반 등의 혐의로 기소(7년형)
-1990. 민중당 공동대표
-1992. 국가보안법 위반등의 혐의로 기소(무기징역형)
-1993. 국제사면위원회 양심수 선정
-1998. 김대중 정부 출범 후 광복절 특별사면 형집행정지로 출소
(추가-30일 17:38)
중국은 서류를 불태웠고...미국은 두보의 시를 읊었다
NORTH KOREA: Only Christianity
2,047 views•Jun 1, 2019
75
7
SHARE
SAVE
Voice of the Martyrs USA
23.2K subscribers
“Only Christianity can cut the root of our communism.”
—Kim Il Sung, founder of North Korea
Why is the government of Kim’s grandson, Kim Jong Un, so threatened by the gospel of Jesus Christ? Why do Christians in North Korea face such fierce persecution? Dr. Eric Foley, co-founder and leader of VOM-Korea, answers those questions, and helps us pray for North Korea and VOM’s work to get Bibles and gospel radio broadcasts to people there.
Dr. Foley will talk about the difference made by President Donald Trump’s meeting in Vietnam with Kim, and why the current leader of North Korea can never actually be the President there, because that title is held eternally by his grandfather.
We’ll discuss how the North Korean government preserved and publicized the story of a Christian martyr, Cha Deoksun. You can watch the video the regime created about her life, and death, here.
Dr. Foley will also provide an update on VOM-sponsored Bible balloon launches into North Korea, which delivered 30,000 Bibles last year. Surveys show this Bible work is making a difference: today eight percent of North Koreans have actually seen a Bible—a dramatic increase from even a few years ago.
To learn more about Christians in North Korea, order a copy of Dr. Foley’s book, These Are The Generations (affiliate link). You can also learn about the history of the church and persecution in North Korea by reading Restricted Nations: North Korea, written by VOM Radio host, Todd Nettleton.
2,047 views•Jun 1, 2019
75
7
SHARE
SAVE
Voice of the Martyrs USA
23.2K subscribers
“Only Christianity can cut the root of our communism.”
—Kim Il Sung, founder of North Korea
Why is the government of Kim’s grandson, Kim Jong Un, so threatened by the gospel of Jesus Christ? Why do Christians in North Korea face such fierce persecution? Dr. Eric Foley, co-founder and leader of VOM-Korea, answers those questions, and helps us pray for North Korea and VOM’s work to get Bibles and gospel radio broadcasts to people there.
Dr. Foley will talk about the difference made by President Donald Trump’s meeting in Vietnam with Kim, and why the current leader of North Korea can never actually be the President there, because that title is held eternally by his grandfather.
We’ll discuss how the North Korean government preserved and publicized the story of a Christian martyr, Cha Deoksun. You can watch the video the regime created about her life, and death, here.
Dr. Foley will also provide an update on VOM-sponsored Bible balloon launches into North Korea, which delivered 30,000 Bibles last year. Surveys show this Bible work is making a difference: today eight percent of North Koreans have actually seen a Bible—a dramatic increase from even a few years ago.
To learn more about Christians in North Korea, order a copy of Dr. Foley’s book, These Are The Generations (affiliate link). You can also learn about the history of the church and persecution in North Korea by reading Restricted Nations: North Korea, written by VOM Radio host, Todd Nettleton.
중국은 서류를 불태웠고...미국은 두보의 시를 읊었다
중국은 서류를 불태웠고...미국은 두보의 시를 읊었다
중국은 서류를 불태웠고...미국은 두보의 시를 읊었다
본문듣기 설정
기사입력2020.07.30. 오후 6:56
총영사관 폐쇄 미국과 중국은 이렇게 달랐다
“지난 3년간 이렇게 활력 넘치는 청두(成都)에서 미국 총영사로 일해 큰 영광이었습니다. 지난 3년간 총영사로 있으면서 청두는 이미 저와 제 가족에게 ‘제2의 고향’이 됐습니다. 결코 청두를 잊을 수 없을 것입니다.”
미국 휴스턴 주재 중국 총영사관 폐쇄에 대한 보복으로 폐쇄 조치를 당한 청두 주재 미국 총영사관의 짐 멀리낙스(Jim Mullinax) 총영사는 총영사관 폐쇄 다음날인 지난 28일 중국판 트위터인 웨이보(微博)에 올린 동영상을 통해 중국인들에게 유창한 중국어로 이렇게 마지막 작별 인사를 했다.
◇성조기 하강식 이어 두보 시로 작별 인사…”대국 품격 보여줬다”
원본보기쓰촨성 청두에 있는 두보초당을 배경으로 중국인들에게 작별 인사를 하고 있는 짐 멀리낙스 청두 주재 미국 총영사. /유쿠 캡처
그는 30년 전인 1990년 쓰촨사범대학으로 유학을 오면서 중국과 첫 인연을 맺은 이야기로 시작해서 지난 3년간 총영사로서 해온 주요 교류 활동을 간단하게 소개했다. 말미에는 중국 당나라 시인 두보(杜甫)의 시 ‘춘야희우(春夜喜雨)’의 한 구절로 청두에 대한 그리움을 전했다. 멀리낙스 총영사가 가장 좋아한다는 이 시의 마지막 구절은 ‘효간홍습처/화중금관성(曉看紅濕處/花重錦官城)’이다. ‘새벽에 붉게 젖은 곳을 보니 금관성(청두의 옛 이름)에 꽃들이 활짝 피었네’라는 내용이다. 멀리낙스 총영사가 이 작별 동영상을 찍은 곳도 청두에 있는 두보초당이었다. 그는 린제웨이(林傑偉)라는 중국 이름도 갖고 있다.
미중 양국이 휴스턴과 청두에 있는 양국 총영사관을 폐쇄하는 과정에서 보여준 외교관들의 모습이 대조적이었다는 평가가 중국 국내외에서 나오고 있다. 청두 주재 총영사관은 총영사관 성조기 하강식 장면과 총영사의 작별 동영상 등을 웨이보에 차례로 올리며 아쉬움 속에서도 따뜻한 작별 인사를 전해 대국의 품격을 보여준 데 비해, 휴스턴 주재 중국 총영사관은 인사는커녕, 마당에서 각종 문건을 잔뜩 불태운 뒤 인사조차 없이 야반도주하듯 총영사관을 떠났다는 것이다.
원본보기지난 27일 청두 주재 미 총영사관 폐쇄 당시 열린 미국 성조기 하강식. /주중미국대사관 트위터 캡처
주중미국대사관은 청두 주재 총영사관이 폐쇄된 지난 27일 오전 “1985년 이래 청두 총영사관은 미국민과 쓰촨, 충칭, 구이저우, 윈난, 티베트 지역 중국인의 상호이해를 촉진하기 위해 노력해왔다고 자부한다. 우리는 영원히 여러분을 그리워할 것”이라는 내용을 담은 39초 짜리 동영상을 웨이보에 올렸다. 이어 조지 H. W. 부시 전 미국 대통령이 참석했던 총영사관 개관식 사진 등을 게재했고, 오후 늦게는 총영사관 미국 성조기 하강식을 담은 48초 짜리 동영상을 내보냈다.
몰래 문건 불태운 중 총영사관, 문까지 잠그고 떠나반면, 휴스턴 중국 총영사관은 폐쇄 통보를 받은 직후인 지난 21일 마당에서 문건을 대거 불태워 휴스턴시 소방당국이 출동하는 일이 벌어졌다. 폐쇄 당일인 지난 24일에는 총영사관 출입문을 잠궈 놓고 떠나, 미 연방 관리들이 열쇠수리공을 불러 자물쇠를 부수고 들어가야 했다.
원본보기미국 정부로부터 폐쇄 요구를 받은 직후인 지난 21일 미국 휴스턴 주재 중국 총영사관 마당에서 중국 측이 문건을 불태우는 장면. /미 CNBC 방송 캡처
중국 유명 인터넷 소설가이자 스포츠평론가인 먀오훙(妙紅)은 웨이보에 올린 글에서 “멀리낙스 총영사가 두보의 시를 남긴 것은 중미 관계가 암흑으로 치닫는 상황에서, 이 시 한 수로 미래의 청사진을 그려보겠다는 뜻일 것”이라며 “미국 영사관은 허겁지겁 문건을 태우지 않고 떠났고, 중국 관리들은 문을 부수지 않고 정문으로 들어갈 수 있었다”고 썼다.
한 중국 네티즌도 웨이보 글에서 “이런 것이 대국의 풍모”라며 “휴스턴 중국 총영사관처럼 몰래 문건 불태우고, 문을 걸어 잠궈 인수인계를 거부한 채,제대로 된 의식도 없이 국기를 내리자마자 후다닥 도망가지 않았다”고 했다.
[최유식 중국전문기자]
▶ 유용원 군사전문기자의 밀리터리시크릿 '밀톡'
▶ 과학이 이렇게 재밌을수가~ '사이언스카페'
▶ TOP7의 비하인드 스토리 '트롯맨 열전' 받으세요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세계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구독
메인에서 바로 보는 언론사 편집뉴스 지금 바로 구독해보세요!
중국은 서류를 불태웠고...미국은 두보의 시를 읊었다
본문듣기 설정
기사입력2020.07.30. 오후 6:56
총영사관 폐쇄 미국과 중국은 이렇게 달랐다
“지난 3년간 이렇게 활력 넘치는 청두(成都)에서 미국 총영사로 일해 큰 영광이었습니다. 지난 3년간 총영사로 있으면서 청두는 이미 저와 제 가족에게 ‘제2의 고향’이 됐습니다. 결코 청두를 잊을 수 없을 것입니다.”
미국 휴스턴 주재 중국 총영사관 폐쇄에 대한 보복으로 폐쇄 조치를 당한 청두 주재 미국 총영사관의 짐 멀리낙스(Jim Mullinax) 총영사는 총영사관 폐쇄 다음날인 지난 28일 중국판 트위터인 웨이보(微博)에 올린 동영상을 통해 중국인들에게 유창한 중국어로 이렇게 마지막 작별 인사를 했다.
◇성조기 하강식 이어 두보 시로 작별 인사…”대국 품격 보여줬다”
원본보기쓰촨성 청두에 있는 두보초당을 배경으로 중국인들에게 작별 인사를 하고 있는 짐 멀리낙스 청두 주재 미국 총영사. /유쿠 캡처
그는 30년 전인 1990년 쓰촨사범대학으로 유학을 오면서 중국과 첫 인연을 맺은 이야기로 시작해서 지난 3년간 총영사로서 해온 주요 교류 활동을 간단하게 소개했다. 말미에는 중국 당나라 시인 두보(杜甫)의 시 ‘춘야희우(春夜喜雨)’의 한 구절로 청두에 대한 그리움을 전했다. 멀리낙스 총영사가 가장 좋아한다는 이 시의 마지막 구절은 ‘효간홍습처/화중금관성(曉看紅濕處/花重錦官城)’이다. ‘새벽에 붉게 젖은 곳을 보니 금관성(청두의 옛 이름)에 꽃들이 활짝 피었네’라는 내용이다. 멀리낙스 총영사가 이 작별 동영상을 찍은 곳도 청두에 있는 두보초당이었다. 그는 린제웨이(林傑偉)라는 중국 이름도 갖고 있다.
미중 양국이 휴스턴과 청두에 있는 양국 총영사관을 폐쇄하는 과정에서 보여준 외교관들의 모습이 대조적이었다는 평가가 중국 국내외에서 나오고 있다. 청두 주재 총영사관은 총영사관 성조기 하강식 장면과 총영사의 작별 동영상 등을 웨이보에 차례로 올리며 아쉬움 속에서도 따뜻한 작별 인사를 전해 대국의 품격을 보여준 데 비해, 휴스턴 주재 중국 총영사관은 인사는커녕, 마당에서 각종 문건을 잔뜩 불태운 뒤 인사조차 없이 야반도주하듯 총영사관을 떠났다는 것이다.
원본보기지난 27일 청두 주재 미 총영사관 폐쇄 당시 열린 미국 성조기 하강식. /주중미국대사관 트위터 캡처
주중미국대사관은 청두 주재 총영사관이 폐쇄된 지난 27일 오전 “1985년 이래 청두 총영사관은 미국민과 쓰촨, 충칭, 구이저우, 윈난, 티베트 지역 중국인의 상호이해를 촉진하기 위해 노력해왔다고 자부한다. 우리는 영원히 여러분을 그리워할 것”이라는 내용을 담은 39초 짜리 동영상을 웨이보에 올렸다. 이어 조지 H. W. 부시 전 미국 대통령이 참석했던 총영사관 개관식 사진 등을 게재했고, 오후 늦게는 총영사관 미국 성조기 하강식을 담은 48초 짜리 동영상을 내보냈다.
몰래 문건 불태운 중 총영사관, 문까지 잠그고 떠나반면, 휴스턴 중국 총영사관은 폐쇄 통보를 받은 직후인 지난 21일 마당에서 문건을 대거 불태워 휴스턴시 소방당국이 출동하는 일이 벌어졌다. 폐쇄 당일인 지난 24일에는 총영사관 출입문을 잠궈 놓고 떠나, 미 연방 관리들이 열쇠수리공을 불러 자물쇠를 부수고 들어가야 했다.
원본보기미국 정부로부터 폐쇄 요구를 받은 직후인 지난 21일 미국 휴스턴 주재 중국 총영사관 마당에서 중국 측이 문건을 불태우는 장면. /미 CNBC 방송 캡처
중국 유명 인터넷 소설가이자 스포츠평론가인 먀오훙(妙紅)은 웨이보에 올린 글에서 “멀리낙스 총영사가 두보의 시를 남긴 것은 중미 관계가 암흑으로 치닫는 상황에서, 이 시 한 수로 미래의 청사진을 그려보겠다는 뜻일 것”이라며 “미국 영사관은 허겁지겁 문건을 태우지 않고 떠났고, 중국 관리들은 문을 부수지 않고 정문으로 들어갈 수 있었다”고 썼다.
한 중국 네티즌도 웨이보 글에서 “이런 것이 대국의 풍모”라며 “휴스턴 중국 총영사관처럼 몰래 문건 불태우고, 문을 걸어 잠궈 인수인계를 거부한 채,제대로 된 의식도 없이 국기를 내리자마자 후다닥 도망가지 않았다”고 했다.
[최유식 중국전문기자]
▶ 유용원 군사전문기자의 밀리터리시크릿 '밀톡'
▶ 과학이 이렇게 재밌을수가~ '사이언스카페'
▶ TOP7의 비하인드 스토리 '트롯맨 열전' 받으세요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세계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구독
메인에서 바로 보는 언론사 편집뉴스 지금 바로 구독해보세요!
이 기사의 댓글 정책은 조선일보가 결정합니다.
전체 댓글
141
내 댓글
댓글 상세 현황
- 현재 댓글124
- 작성자 삭제17
- 규정 미준수0
- 누가 댓글을 썼을까요?접기88%남자12%여자2%10대7%20대14%30대35%40대30%50대13%60대↑
클린봇이 악성댓글을 감지합니다.
설정- rfwa****옵션 열기땅이 넓다고, 힘이 세다고, 경제가 앞섰다고,. 대국이 되지 않습니다. 대국이라함은, 넓은 아량과 포용력을 갖춘 사람들이 그 대국을 위해 일하고, 그들이 다수를 점하고, 시민들 역시 그런 사람들을 지지할때 만들어지는겁니다. 작금의 중국요?.. 결코 대국일수 없습니다. 힘자랑, 지나친 국수주의, 타국문화 무시, 타국역사 무시, 자국에 대한 간섭은 내정간섭, 자기들이 하는 타국역사와 영토에 대한 침범은 자기권리.. 이게 무슨 대국입니까? 미국역시 트럼프덕에 그 균형을 잃고 있지만, 수십년간 저런사람들이 주류였기에 아직 대국입니다.2020.07.30. 19:19
Subscribe to:
Posts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