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3-28

알라딘: 한국인의 에너지, 집단주의

알라딘: 한국인의 에너지, 집단주의
한국인의 에너지, 집단주의 - 현대화를 이끈 ‘나’와 ‘우리’의 변증법  | 역동적 한국인 총서 4
구자혁 (지은이)피어나2020-03-31



한국인의 에너지, 집단주의

아름다운 서재 18호(인문/사회/역사/과학/예술/청소년 분야 도서 2만원 이상)
정가
20,000원
판매가
18,000원 (10%, 2,000원 할인)
마일리지
1,000원(5%) + 멤버십(3~1%)
+ 5만원이상 구매시 2,000원
배송료
무료 
수령예상일
지금 택배로 주문하면 3월 30일 출고
(중구 서소문로 89-31 기준) 지역변경
Sales Point : 71 
 0.0 100자평(0)리뷰(0)
이 책 어때요?
전자책
16,000원 
카드/간편결제 할인무이자 할부소득공제 810원 
수량
1
 
장바구니 담기
바로구매
선물하기
보관함 +
중고 등록알림 신청중고로 팔기 


기본정보
406쪽153*225mm528gISBN : 9788998408282
주제 분류 
신간알리미 신청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국내도서 > 추천도서 > 외부/전문기관 추천도서 > 세종도서 학술 선정도서 > 2020년
시리즈역동적 한국인 총서 (총 6권 모두보기)
신간알리미 신청
 
전체선택
 
보관함 담기
 
장바구니 담기


한국인의 에너지, 실용주의

역동적 한국인의 탄생 - 한국인의 5가지 에너지를 분석한다

한국인의 에너지, 집단주의 - 현대화를 이끈 ‘나’와 ‘우리’의 변증법

한국인의 에너지, 가족주의 - 개인의 보호막과 지위상승의 발판인 가족

한국인의 에너지, 민족주의 - 종족에서 시민으로, 2019년 출판컨텐츠 창작지원사업 선정작
더보기
이벤트

인문/사회/역사/과학/예술/청소년 분야 도서 2만원 이상 구매 시, 아름다운 서재 18호

3월 특별선물! 슬리퍼, 데스크매트, 마우스패드(이벤트 도서 포함, 국내서.외서 5만원 이상)

이 달의 적립금 혜택

이 시간, 알라딘 사은품 총집합!
책소개역동적 한국인 총서 4권. 한 세기 동안의 한국 사회 현대화의 과정에서 한국인이 발전시킨 집단주의의 한국적 양상을 분석하고 그 전개를 역사적으로 추적한 연구서이다. ‘집단주의’를 한국인과 한국사회의 토착적 행위양식이자 사회적 삶의 지배적 규칙의 한 유형으로 보고 이를 한국적 현대화를 추동하고 견인해온 대중적인 집합행위와 운동 동학이라는 관점에서 요약하고 추적했다.

한국인은 그토록 낯설고 위협적이며 급속했던 압축적 현대화 속에서 다양한 유형의 집단, 집단화를 통해 ‘나’를 유지하며 세우고 때로는 과시하며, 동시에 불안과 소외, 상처로부터 위안을 받으려 하였다. 이 원초적 결합, 더 나은 ‘끼리’와 ‘무리’에 소속되려는 한국인의 열망이 한국인의 역동성을 개인 차원에 가두지 않고 집단적, 사회적, 국민적 결과로 이끌었다. 또한, 이 집단화의 경험은 한국 전통사회의 유산과 결합하여 자신과 자신이 속한 집단을 사회 전체와 시대를 대변하는 존재로 보이게끔 하려고 애쓰고, 집단의 힘과 위세로 목소리를 높여 정치화하는 경향으로 이어졌다.
목차
서문 … 5
Ⅰ. 서론: 한국사회의 역동성과 한국인의 집단주의 … 13
Ⅱ. 집단주의 이론과 한국인의 ‘우리’: 이론적 배경, 시각, 연구방법 … 37
1. ‘우리’, 집단주의의 한국적 모습, 그리고 그 속의 ‘나’ … 41
2. 집단주의 이론과 집단화 차원 … 60
(1) 집단주의, 서구 근대적 개인주의의 거울상 … 61
(2) 집단주의의 세 하위차원: 관계적 자기, 집합적 기능주의, 그리고 일반화한 타자 속의 자기 … 66
3. 집단주의의 한국적 양상 연구 … 82
(1) 국내 연구의 개관과 평가 … 82
(2) 본 연구의 대상, 성격, 방법 … 92
Ⅲ. 현대화의 맞이: 한국적 ‘우리’의 전통과 사회적 의의 … 99
1. 한국 집단주의의 원형적 형상: 조선 유교질서의 이념적 요소와 역동성 … 106
2. 조선사회의 사회동학과 한국적 ‘우리’의 원형적 유형들 … 121
(1) 관념/이익 단일체의 기본 동학과 사회적 얼개 … 121
(2) 사회적 신분 상승을 향한 유교적 동력의 중심, ‘가’와 ‘통’ 그리고 ‘보편/첨단 의 우리’ … 127
(3) 성별화된 집단적 기능주의/권위주의, 그리고 ‘향토적/연고적 우리’ … 134
(4) ‘서민으로서의 우리’와 대동(大同)을 향한 역동성 … 140
3. ‘현대’ 앞에 선 조선, 그 구심력과 원심력의 변증법 … 146
Ⅳ. 현대와의 조우, 그리고 타율적 현대화의 불씨(1880~1945) … 155
1. 새로운 보편성, 정당한 전체와 질서의 모색, 그리고 좌절 … 160
(1) 쇄국과 개항의 풍경 … 161
(2) 새로운 ‘나’와 ‘우리’를 향한 추구: 실학, 서학, 동학 … 167
(3) 신문명(新文明)과 기회의 유혹, 각자도생, 그리고 표류(漂流) … 178
2. 식민지하 현대화와 집단화의 구조적 얼개 … 189
(1) 일제 식민지배와 현대화의 특성 … 192
(2) 일제하 조선사회와 참여/사회통합의 구조 … 199
(3) 일본적 행정국가와 사회 합리화, 그리고 전통 속의 민중 … 207
3. 일제하 집단주의의 주요 양상과 그 발화(發火)적 원천들 … 218
(1) 총동원체제의 소용돌이와 ‘민족’을 둘러싼 집단화의 분기(分岐) … 219
(2) 출세(出世)·출신(出身)·저항: 현대화 지향 ‘청년’의 삼두마차 … 229
(3) ‘민족’으로 가는 마지막 비상구: 가족, 고향, 의리, 그리고 ‘진정한 나라’에 의 꿈 … 239
Ⅴ. 현대를 향한 질주와 그 집합적 수행자: 한국적 ‘우리’의 만개와 정립 (1945~1980) … 253
1. 자주적 현대화의 용광로, 그리고 폭력적 정치세계 … 259
(1) 신생 탈식민사회 조선: 민족을 향한 열망과 국가주의의 심화 … 261
(2) 해방된 인민대중의 사회 … 270
(3) 6.25전쟁과 이승만 정부하의 전쟁사회, 그리고 내집단(內集團)에의 강박 … 279
2. 현대화를 부과하는 국가와 집단주의의 대중 … 287
(1) 도시대중의 형성, 부상(浮上)하는 ‘우리’ 유형들, 그리고 앞서가는 집단 … 289
(2) 현대화와 국가능력, 합리적 엘리트, 그리고 대중 … 302
3. ‘근대화’로서의 산업화: 다차원적인 ‘우리’의 열망과 추구 … 310
(1) ‘보편적/첨단의 우리’와 상승 열망의 보편화, 그리고 벌열의 추구 … 311
(2) 성별화된(gendered) 우리: 가족적 기능주의와 여성의 오이코스적 역할, 그리 고 ‘공적 존재로서의 우리’ … 316
(3) ‘향토적/연고적 우리’: 가상화된 소속과 체면, 그리고 이익추구/승인을 위한 닫힌 우리 … 325
4. ‘근대화’의 불만-민주화: 저항과 참여로 되돌아선 ‘우리’의 속내 … 335
(1) 기업과 노동의 세계: ‘함께 잘살기’의 모순과 대항 집단화 … 335
(2) ‘서민으로서 우리’의 반격: 신중산층, 지역주의, 그리고 민주화 지도집단 … 346
Ⅵ. 결론: 한국 현대성과 ‘나’와 ‘우리’의 변증법, 그리고 새로운 의리를 향한 동경 … 361
참고 문헌 … 385
찾아보기 … 401

접기
책속에서
P. 29
한국인은 흔히 희망과 기다림의 민족이라 불린다. 그렇다면 무엇이 우리를 그토록 분주하게 하고 숱한 좌절과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꿈을 추구하고 다시 일어나고 견디게 했을까?
P. 29
현대화를 향해 달려가는 한국인과 한국사회가 보유한 에너지의 강력함은 이들을 집단화, 전체화, 집단적 역능화(力能化)의 방향으로 이끌던 한국 집단주의 특유의 논리와 구조에서 나왔다고 할 수 있다. …한국적 ‘나’와 ‘우리’가 상호작용하는 변증법의 요체는 개인적 성취를 상상된 소속집단의 이득과 상승, 열망 속에서 이상화, 성화시키는 ... 더보기
P. 91
한국사회의 현대화는 무엇보다도 전 국민적 ‘따라잡기’와 개인으로든 집단으로든 그리고 민족으로든 ‘자기(自己) 세우기’, 그리고 그를 위한 ‘우리’의 구축과 주장, 향상(向上)의 열망에 지배된 대중 운동의 과정이었다. … 본질은… 경쟁의 집단화이며… 사회의 일극을 향한 벌열 형성, 추구라는 한국 집단주의의 핵심을 기본논리와 동학으로 하고 있다.  접기
P. 374~377
하지만 … 한국사회에서 집단, 한국인의 ‘우리’는 한국적 개인의 내밀함과 허물없는 자연적 상태에 대한 열망이 귀의하는 고향이기도 하고, 무엇보다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민족’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 잃어버린 낙원이자 동경의 대상이었다. …동포공동체의 꿈, ‘서민의 나라’의 꿈, 그리고 사회를 각 개인의 고향, ‘집’으로 만들려는 꿈… 이 꿈은 단지 개인의 합인 대중이 꾸는 꿈이 아닌 개개인이 자신을 순간 잊고 꾸는 집합적 꿈, 바로 ‘우리’를 만들고자 하는 ‘우리’가 꾸는 꿈이며, 이 꿈의 달콤함과 성스러움을 만끽하고자 했던 거족적 궐기의 순간이 한국 근현대사의 자랑스러워할 만한 족적(足跡)을 이루었다.  접기
P. 382~383
개인과 사회의 모순을 해결하는 더 나은, 더 높은 이상을 추구하는 이러한 강렬한 에너지 속에서 필자는 한국 현대성에 깊이 뿌리내리고 내재한 어떤 ‘동경(憧憬)’의 모습을 발견한다. …우리의 마음속에 한국 사회의 사회적 교직(交織)의 저지대에 깊이 자리 잡은 이런 동경이야말로 우리의 현대성, 우리의 사회를 더 나은 것으로 변모시켜나갈 힘이라고 믿는다.  접기
저자 및 역자소개
구자혁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서울대 법학사, 사회학 석사를 거쳐 미국 버지니아대학교(University of Virginia)에서 박사학위(Ph. D. in Sociology)를 취득하였다. 이후 성공회대학교 사회문화연구원 연구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경북대학교 사회학과 강사로 재직하고 있다. 2007년 오바마와 문국현의 온라인 지지자 정치참가 메커니즘을 분석한 학위논문 당시의 주요한 연구 주제는 집합행동과 커뮤니케이션 미디어, (뉴)미디어와 사회변동, 집합행동과 여론의 사회심리학 등이었다. 최근에는 한국 현대성에 특징적인 정치문화와 행위양식의 정치·사회사상적 요체와 사회적 조건을 요약하고 비교사회적 분석으로 검증하는 동시에 그 일반이론적 함의를 정교화하는 작업에 집중하고 있다.
저서로 『꿈의 사회학』(다산출판사, 2018, 공저), 『차별과 연대: 집단, 열광, 미디어의 사회심리학』(나경, 2014, 공저)이 있고 최근에는 「〈진격의 거인〉이 꾼 꿈과 그 발달 서사의 현대적 함의」, 「한국 정치적 현대성의 젠더화된 구조와 가내성(家內性)의 정치적 부상」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접기
최근작 : <역동적 한국인의 탄생>,<한국인의 에너지, 집단주의>,<꿈의 사회학> … 총 5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근대화 과정에서 한국인을 역동적인 존재로 변모시킨 강력한 에너지는 무엇일까?

《한국인의 에너지, 집단주의》는 한 세기 동안의 한국 사회 현대화의 과정에서 한국인이 발전시킨 집단주의의 한국적 양상을 분석하고 그 전개를 역사적으로 추적한 연구서이다. ‘집단주의’를 한국인과 한국사회의 토착적 행위양식이자 사회적 삶의 지배적 규칙의 한 유형으로 보고 이를 한국적 현대화를 추동하고 견인해온 대중적인 집합행위와 운동 동학이라는 관점에서 요약하고 추적했다.
한국인은 그토록 낯설고 위협적이며 급속했던 압축적 현대화 속에서 다양한 유형의 집단, 집단화를 통해 ‘나’를 유지하며 세우고 때로는 과시하며, 동시에 불안과 소외, 상처로부터 위안을 받으려 하였다. 이 원초적 결합, 더 나은 ‘끼리’와 ‘무리’에 소속되려는 한국인의 열망이 한국인의 역동성을 개인 차원에 가두지 않고 집단적, 사회적, 국민적 결과로 이끌었다. 또한, 이 집단화의 경험은 한국 전통사회의 유산과 결합하여 자신과 자신이 속한 집단을 사회 전체와 시대를 대변하는 존재로 보이게끔 하려고 애쓰고, 집단의 힘과 위세로 목소리를 높여 정치화하는 경향으로 이어졌다.
이 책은 이런 집단화의 열망과 경향이 역사적으로 빚어낸 한국인의 다양한 ‘우리’와 각각의 논리를 재구성하여 제시한다. 여기서 분석한 한국적인 ‘우리’는 현대화 속에서 많은 한국인들이 나와 남, 나와 집단, 나와 전체의 모순을 승화, 해소하고자 했던 노력과 기대가 응축된 것이다. 특히, 책에서는 한국 현대화의 역동적이고 모순적인 진전을 한국적 ‘나’와 한국적 ‘우리’가 빚어내는 변증법적 상호 작용으로 보여주고자 하였다.
좋든 싫든 우리는 가족, 집단, 민족, 전체, 대의 등 한국의 사회적 삶에서 핵심어로 등장하는 ‘우리’의 말과 논리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와 우리 사회의 ‘인간다움’을 성취하는 일은 ‘우리다움’의 문제와 결코 분리할 수 없다. 이 책은 한국사회와 한국인에게 작용하는 이처럼 강력하고 지속적인 역사적, 사회적 힘을 정직하게 인정하고 받아들이며, 또 그것을 향후 여러 사회적 실천과 제도화의 노력에서 신중하고 섬세하게 활용할 것을 촉구하기 위한 지적 노력이기도 하다.

역동적 한국인 총서는 지난 100년(1880~1980) 동안 근대적 한국인이 출현하고 자리 잡은 과정을 분석한 학술서 시리즈이다. ‘고요한 아침의 나라’ 한국에서 어떻게 정반대의 ‘다이나믹 코리안’이라는 역동적 한국인이 탄생했는지 평등주의, 민족주의, 가족주의, 집단주의, 실용주의 등 5가지의 사고와 행위양식에서 그 에너지를 찾아낸다. 5가지 주제를 다룬 5권의 책 외에 총론과 결론 등 모두 7권이다. 《한국인의 에너지, 집단주의》는 역동적 한국인 총서 4권으로 출간되었다. 접기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