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반도체 인력 빼내기가 한국 뿐만 아니라 대만에서도 치열하게 벌어지고... | Facebook
"연봉은 두 배, 성공보수 또한 많았어요"
삼성전자에서 중국 업체로 이직한 50대 기술자는 이렇게 털어놓는다. 한때 일본 대기업의 기술을 빨아들였던 한국 기업이 이제는 중국 기업에 기술을 빼앗기는 처지다.
미국의 규제에 막혀 반도체 기술을 갈망하는 중국. 한국, 대만에서 기술자를 끌어들여 첨단 반도체 국산화를 서두르고 있다.
출입국 관리
한국 검찰은 2023년 5월 삼성 전 상무를 체포했다. 전 상무는 삼성 반도체 공장 도면 정보를 무단으로 빼돌려 중국 자금으로 공장을 건설하려 한 혐의를 받고 있으며, 200여 명의 한국인 기술자를 채용하고 부지까지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기술 유출은 빙산의 일각이다. 한국 검찰청에 따르면 산업기술보호법 위반으로 인지된 건수는 22년 33건으로 전년의 2배가 넘는다. 장비 및 소재 업체들의 이직도 끊이지 않고 있다.
미중 반도체 갈등이 격화되는 가운데 인재는 국가 안보의 요충지다. 한국 정부는 반도체, 배터리,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 등 12개 산업 분야에서 기술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출입국을 관리하기 시작했다. 중국 기업으로의 이직과 기술 유출을 막기 위해서다.
중국이 눈독을 들이는 것은 한국뿐만이 아니다.
대만 법무부 조사국은 22년 반도체 관련 인력을 빼돌리려 했다는 혐의로 대만 내 중국 관련 기업 8곳을 수색했다. 중국은 대만을 자국의 일부로 간주하고 통일을 위해 무력행사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대만이 중국에 대항할 수 있는 수단은 반도체 제조 기술이다.
대만의 첨단 반도체는 세계 IT(정보기술) 공급망의 생명줄이다. 위기가 닥치면 미국 등 세계가 가만히 있지 않는다. 이것이 중국의 공격을 주저하게 만드는 '실리콘 방패'가 된다.
대만 당국은 지난 12월 5일 22년 신설한 '경제 스파이죄'의 1차 대상 기술로 첨단 반도체 등 5개 분야 22개 품목을 지정했다. 중국 등의 스파이 행위를 막기 위해 핵심 기술을 빼돌리는 행위에 최고 12년의 징역형을 부과한다.
지적재산권 보호에 정통한 타이베이대학의 천훙량(陳彦良) 교수는 중국의 움직임에 대해 "예전에는 반도체 공장 팀을 통째로 빼내는 방식이 눈에 띄었지만, 최근에는 대만에 채용 목적의 위장회사를 두고 필요한 기술자를 개별적으로 스카우트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고 말했다. 물밑 움직임으로 전모를 파악하기 어렵다"고 경계했다.
영토 쟁탈전이 국력을 결정지었던 것은 과거의 이야기다. 이제는 연구 인력과 기업가 등 '지식'을 둘러싼 경쟁이 국가 간 새로운 전쟁이 되고 있다.
사우디의 도박
이 전쟁에 중동의 맹주 사우디아라비아가 뛰어들었다. 오일머니의 향방에 불안해하는 이 나라는 혁신국가로 전환을 꾀하며 전 세계 인재를 끌어모으고 있다. 집적지로 초대형 빌딩형 도시 '더 라인(THE LINE)'을 건설하기 시작했다.
높이 500m, 길이 170km에 달하는 거대한 구조물로 사막을 가로질러 산간지역에서 바다까지 솟아 있다. 부지면적은 도쿄의 2% 정도. 그곳에 900만 명을 모이게 하겠다는 파격적인 구상이다. 무함마드 왕세자는 인구 3220만 명의 사우디에 "새로운 문명의 창조가 될 것"이라고 호소한다. 전체 계획의 총 공사비는 5000억 달러(약 70조엔)에 달한다.
사우디 국내 대학 관계자는 "벌써부터 이주에 긍정적인 연구자들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다음 영입 대상은 해외 인재들이다. 사우디는 22년부터 미국, 유럽, 도쿄를 포함한 아시아 주요 도시를 돌며 행사를 열고 투자를 호소했다.
화석연료 다음으로 두뇌 인재라는 자원이 국가의 흥망성쇠를 좌우한다. 새로운 국가 간 경쟁에서 뒤처지면 살아남을 수 없다.
"연봉은 두 배, 성공보수 또한 많았어요"
삼성전자에서 중국 업체로 이직한 50대 기술자는 이렇게 털어놓는다. 한때 일본 대기업의 기술을 빨아들였던 한국 기업이 이제는 중국 기업에 기술을 빼앗기는 처지다.
미국의 규제에 막혀 반도체 기술을 갈망하는 중국. 한국, 대만에서 기술자를 끌어들여 첨단 반도체 국산화를 서두르고 있다.
출입국 관리
한국 검찰은 2023년 5월 삼성 전 상무를 체포했다. 전 상무는 삼성 반도체 공장 도면 정보를 무단으로 빼돌려 중국 자금으로 공장을 건설하려 한 혐의를 받고 있으며, 200여 명의 한국인 기술자를 채용하고 부지까지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기술 유출은 빙산의 일각이다. 한국 검찰청에 따르면 산업기술보호법 위반으로 인지된 건수는 22년 33건으로 전년의 2배가 넘는다. 장비 및 소재 업체들의 이직도 끊이지 않고 있다.
미중 반도체 갈등이 격화되는 가운데 인재는 국가 안보의 요충지다. 한국 정부는 반도체, 배터리,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 등 12개 산업 분야에서 기술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출입국을 관리하기 시작했다. 중국 기업으로의 이직과 기술 유출을 막기 위해서다.
중국이 눈독을 들이는 것은 한국뿐만이 아니다.
대만 법무부 조사국은 22년 반도체 관련 인력을 빼돌리려 했다는 혐의로 대만 내 중국 관련 기업 8곳을 수색했다. 중국은 대만을 자국의 일부로 간주하고 통일을 위해 무력행사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대만이 중국에 대항할 수 있는 수단은 반도체 제조 기술이다.
대만의 첨단 반도체는 세계 IT(정보기술) 공급망의 생명줄이다. 위기가 닥치면 미국 등 세계가 가만히 있지 않는다. 이것이 중국의 공격을 주저하게 만드는 '실리콘 방패'가 된다.
대만 당국은 지난 12월 5일 22년 신설한 '경제 스파이죄'의 1차 대상 기술로 첨단 반도체 등 5개 분야 22개 품목을 지정했다. 중국 등의 스파이 행위를 막기 위해 핵심 기술을 빼돌리는 행위에 최고 12년의 징역형을 부과한다.
지적재산권 보호에 정통한 타이베이대학의 천훙량(陳彦良) 교수는 중국의 움직임에 대해 "예전에는 반도체 공장 팀을 통째로 빼내는 방식이 눈에 띄었지만, 최근에는 대만에 채용 목적의 위장회사를 두고 필요한 기술자를 개별적으로 스카우트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고 말했다. 물밑 움직임으로 전모를 파악하기 어렵다"고 경계했다.
영토 쟁탈전이 국력을 결정지었던 것은 과거의 이야기다. 이제는 연구 인력과 기업가 등 '지식'을 둘러싼 경쟁이 국가 간 새로운 전쟁이 되고 있다.
사우디의 도박
이 전쟁에 중동의 맹주 사우디아라비아가 뛰어들었다. 오일머니의 향방에 불안해하는 이 나라는 혁신국가로 전환을 꾀하며 전 세계 인재를 끌어모으고 있다. 집적지로 초대형 빌딩형 도시 '더 라인(THE LINE)'을 건설하기 시작했다.
높이 500m, 길이 170km에 달하는 거대한 구조물로 사막을 가로질러 산간지역에서 바다까지 솟아 있다. 부지면적은 도쿄의 2% 정도. 그곳에 900만 명을 모이게 하겠다는 파격적인 구상이다. 무함마드 왕세자는 인구 3220만 명의 사우디에 "새로운 문명의 창조가 될 것"이라고 호소한다. 전체 계획의 총 공사비는 5000억 달러(약 70조엔)에 달한다.
사우디 국내 대학 관계자는 "벌써부터 이주에 긍정적인 연구자들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다음 영입 대상은 해외 인재들이다. 사우디는 22년부터 미국, 유럽, 도쿄를 포함한 아시아 주요 도시를 돌며 행사를 열고 투자를 호소했다.
화석연료 다음으로 두뇌 인재라는 자원이 국가의 흥망성쇠를 좌우한다. 새로운 국가 간 경쟁에서 뒤처지면 살아남을 수 없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