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한국인의 에너지, 가족주의
김동춘 (지은이)피어나2020-10-20
다음
종이책의
미리보기
입니다.
Sales Point : 31
책소개
한국의 근대는 가족과 가족주의의 탄생사였다. 전통적 씨족/친족 가족주의가 새로운 옷을 입고 현대적 핵가족의 가족주의로 탄생, 강화되었다. 가족주의는 차별받던 여성과 하층민의 인정투쟁이었다. 가족주의는 문화적 현상이라기보다는 정치경제적 현상이자, 한국식 근대의 집약체다.
『한국인의 에너지, 집단주의』는 위기와 기회의 시기를 지나며 한국인들이 생존하고 자기를 보호하기 위해, 그리고 계층상승이나 지유를 유지하기 위한 에너지로서 가족주의를 고찰한다. 모든 사회의 근원적 작동의 원리는 바로 가족에서 출발하지만, 특히나 1987년 민주화 이후에도 공적 조직운영이나 공적 의사결정 과정에서 한국사회의 가족, 연고주의적인 행태가 강하게 작동하게 한 한국의 가족주의는 과연 어떤 과정을 거치며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
한국의 근대는 서구와 달리 자주적이고 독립적인 ‘개인’, 독자적 의무와 책임을 한 몸에 지닌 ‘개인’의 탄생사가 아니라, 가족이라는 유기적 단위 속의 개인, 즉 ‘가족 개인’의 탄생사로 보고, 가족주의를 통해 한국 근대의 특수성과 보편성을 살펴보고 정리했다.
한국 가족주의를 ‘보호적 가족주의’와 ‘지위유지(상승)적 가족주의’로 구분하고, 가족주의가 상속을 통해 지위를 유지하고, 자녀 교육으로 지위를 상승하는 발판이자 지렛대로 삼아 생존의 단위로서 가족에 엄청난 열정과 기대를 쏟는 행동으로 분석한다. 또한, 근대 이전에 차별받던 여성과 상민(常民)층의 ‘인정투쟁’이기도 했다는 점을 발견한다.
목차
서문 … 5
Ⅰ. 머리말: 왜 가족주의인가? … 13
1. 한국사회 역동성의 동력, 가족주의 … 15
2. 가족주의의 그늘 … 20
3. 가족주의를 이해해야 할 필요성 … 25
Ⅱ. 가족과 가족주의의 개념, 이론 및 접근방법 … 27
1. 가족, 가족주의의 개념 … 29
(1) 가족이란 무엇인가? … 29
(2) 가족주의란 무엇인가? … 37
2. 가족주의 강화의 메커니즘 … 50
Ⅲ. 한국 근대 가족과 가족주의의 형성 … 67
1. ‘근대 가족’의 탄생 … 69
(1) 한국 ‘전통사회’의 가족과 가족관계 … 69
(2) 한국 가족의 변화, ‘전통’의 ‘현대’적 변형과 재탄생 … 82
2. 가족주의 강화 (1): 식민지적 근대, 분단, 전쟁과 보호적 가족주의 … 102
(1) (씨족/친족) ‘가족’ 거부와 탈출(exit) … 102
(2) ‘가족’ 회귀: 보호와 지위추구의 그릇으로서 가족 … 117
3. 가족주의 강화 (2): 인정투쟁으로서 가족주의 … 139
4. 가족주의 강화 (3): 제도적 가족주의(familialism) … 150
Ⅳ. 한국 가족주의의 표출 양상과 역동성 … 161
1. 가족지위 상승 전략의 입시열 … 163
2. 기복(祈福) 신앙… 181
3. 소유권 절대주의와 재산 지위 세습 … 192
4. 기업가족주의 … 204
Ⅴ. 한국 가족주의의 특징: 비교론적 관점에서 … 211
1. 한국의 가족, 개인, 그리고 공공성 … 213
(1) 개인의 탄생? ‘가족 개인’으로서 한국인 … 213
(2) 전통가족주의와 현대가족주의 … 218
(3) 한국 가족주의의 앙면성: 공공성 부재와 역동성의 기반 … 223
2. 동아시아와 한국의 가족주의 … 229
3. 가족주의는 한국과 동아시아만의 특수한 현상인가? … 246
Ⅵ. 맺음말 … 255
1. 근현대 한국 가족주의 강화의 메커니즘 … 257
2. ‘가족’의 해체, 가족주의의 해체? … 267
3. 가족주의를 넘어서 … 274
참고 문헌 … 283
찾아보기 … 299
접기
책속에서
첫문장
수년 전에 개봉하여 크게 히트한 영화 「국제시장」(윤제균 감독, 2014)은 가족 이야기로 많은 한국 사람의 눈물을 자아냈다.
필자는 한국 가족주의를 ‘보호적 가족주의’와 ‘지위유지(상승)적 가족주의’로 구분하였다. 가족주의는 상속을 통한 지위유지, 자녀 교육을 통한 지위 상승의 받침, 지렛대이자 생존의 단위로서 가족에 엄청난 열정과 기대를 쏟는 행동이며, 근대 이전에 차별받던 여성과 상민(常民) 층의 ‘인정투쟁’이기도 했다는 점을 발견했다. 즉 한국의 근대는 서구와 달리 자주적이고 독립적인 ‘개인’, 독자적 의무와 책임을 한 몸에 지닌 ‘개인’의 탄생사가 아니라, 가족이라는 유기적 단위 속의 개인, 즉 ‘가족 개인’의 탄생사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가족주의를 통해 우리는 한국 근대의 특수성과 보편성을 볼 수 있다. 접기
P. 260 한국의 현대 가족주의 혹은 신가족주의는 유교적 가부장주의 혈연적 가족 관념이 일제 강점기 이후 근대국가의 수립,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확산 과정에서 새롭게 구축된 것이다. 동아시아 근대화 과정의 특수성, 제국주의에 의한 식민지화와 전쟁, 개발독재, 급속한 도시화와 압축 산업화 등이 보호 방어, 재생산의 단위로서 가족적 유대나 응집이 필요했고, 지위의 유지와 상승을 위해 가족 동원을 객관적으로 요청했기 때문에 한국에서 근대라는 시기는 개인을 탄생시킨 것이 아니라 ‘가족 개인’을 탄생시켰다. 이 ‘가족 개인’은 계급, 직업집단 결속 등의 사회적 응집을 대신해 나타난 것이었다. 접기
저자 및 역자소개
김동춘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을 졸업하고 같은 대학 사회학과에서 「한국 노동자의 사회적 고립」이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비판적 사회학자로 학계와 시민운동 진영에서 활동하면서 『역사비평』 편집위원, 『경제와 사회』 편집위원장, 참여연대 정책위원장, 참여사회연구소 소장을 역임했고,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상임위원으로 활동했다. 현재 성공회대학교 명예교수다. 제20회 단재상과 제15회 송건호 언론상을 수상했다.
지은 책으로는 『반공자유주의』, 『대한민국은 왜?』, 『한국인의 에너지, 가족주의』, 『사회학자 시대에 응답하다』, 『이... 더보기
최근작 : <권력과 사상통제>,<결정적 순간>,<쿠오바디스 대한민국> … 총 75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역동적 한국인 총서는 지난 100년(1880~1980) 동안 근대적 한국인이 출현하고 자리 잡은 과정을 분석한 학술서 시리즈이다.
‘고요한 아침의 나라’ 한국에서 어떻게 정반대의 ‘다이나믹 코리안’이라는 역동적 한국인이 탄생했는지
평등주의, 민족주의, 가족주의, 집단주의, 실용주의 등 5가지의 사고와 행위양식에서
그 에너지를 찾아낸다. 5가지 주제를 다룬 5권의 책 외에 총론과 결론 등 모두 7권이다. 『한국인의 에너지, 가족주의』는 역동적 한국인 총서 5권으로 출간되었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