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서는 안 되는 일제시대의 진실 [9]-2 물적 유산
1961년 이승기 박사의 비날론 개발을 기념하는 북한의 우표.
그럼 일제의 식민지 지배가 이 땅에 남긴 유산이 무엇인지 차근히 따져 보도록 합시다. 유산이라 함은 우선 물적인 것으로 공장 등의 생산시설과 철도 등의 사회간접자본을 들 수 있습니다. 그 다음에는 보이지 않은 것들로서 숙련이나 기업가능력 등의 인적 자본을 들 수 있습니다. 이외에 사유재산제도와 같은 제도적 유산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우선 물적 유산과 관련해서는 남한과 북한의 사정이 크게 달랐음을 지적할 필요가 있습니다. 일제는 북한에 지금까지 알려진 것 이상의 풍부한 물적 유산을 남겼습니다. 1930년대 후반부터 추진한 군수공업화의 결과였지요. 해방 후 1946년 현재 북한에서는 대략 800개 이상의 대규모 공장이 가동 중이었습니다. 제철·제련·전기·화학 등, 당시로선 세계 첨단 수준의 공장들이 있었습니다. 특히 1939년 이후 일본에서 건너온 전기·화학공업의 대규모 공장은 종업원 수가 3,000 또는 6,000을 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만, 지금까지 알려진 것만 해도 200개가 넘습니다. 그 외에 북한에 깔린 철도망은 1인당 철도길이에서 일본보다 높은 수준이었습니다. 1인당 발전량도 북한은 일본을 능가하는 수준이었습니다.
『대한민국 이야기』
[목차]
해방 후 이들 첨단 공업시설의 일부는 철거되어 점령군 소련의 전리품으로 넘어갔지만, 거의 대부분은 북한정부에 정상 인계되었습니다. 그 상당 부분이 한국전쟁 과정에서 미국군의 폭격으로 파괴외었다고 합니다만, 드러난 건물이나 저장시설이야 그러했지, 분리 가능한 핵심 설비를 폭격의 대상으로 방치해 둘 정도로 북한의 지도부가 어리석었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흔히들 북한이 1960년대까지 남한보다 경제적으로 앞섰다고 이야기합니다. 제가 말씀드리고 싶은 점은 그렇게 된 것은 그들이 선전하는 대로 사회주의 생산력의 덕분이 아니라 어디까지나 북한이 일제로부터 받은 물적 유산이 풍부했기 때문이라는 점입니다. 나중에 다시 언급할 기회가 있겠습니다만, 1950년 김일성이 한국전쟁을 도발할 수 있었던 것도 개인화기나 화약에 관한 한, 북한은 이미 자체 생산능력을 확보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에 비하자면 남한에는 군수산업이라고 할 만한 것은 아무것도 없었습니다. 그러한 남북한의 경제구조와 경제력의 차이가 김일성으로 하여금 한국전쟁을 도발하도록 유혹했다고 볼 수 있는 겁니다.
반면에 남한이 일제로부터 물려받은 물적 유산은 빈약하였습니다. 남한은 쌀농사 중심의 농업지대였습니다. 잘 아시는 대로 남한에서 가장 큰 산업은 수출 쌀농사였습니다. 공업시설이라곤 양조장·정미소와 같은 식품가공업이나 인쇄업·도자기업 따위가 주종을 이루었을 뿐입니다. 그 밖에 서울, 부산, 대구와 같은 도시에 면방직·견직 산업으로 몇 개 큰 공장이 있었던 것이 고작이었습니다. 1934년부터 도시를 중심으로 산업전기가 보급되자 서울 부근에 중소 기계공업이 조금 발달합니다만, 대개 공장제수공업의 수준을 넘지 못했습니다. 그나마 이들 남한의 공업시설은 해방 후의 혼란기에 많이 훼손되었으며, 남았던 것도 한국전쟁 과정에서 60% 이상 파괴되고 말았습니다.
----------------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