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3-27

알라딘: 지식인의 오만과 편견

알라딘: 지식인의 오만과 편견

지식인의 오만과 편견 - <세카이世界>와 한반도 
한상일 (지은이)기파랑(기파랑에크리)2008-05-30



지식인의 오만과 편견























 미리보기
정가
17,000원
판매가
15,300원 (10%, 1,700원 할인)
마일리지
850원(5%) + 멤버십(3~1%)
+ 5만원이상 구매시 2,000원
세액절감액
690원 (도서구입비 소득공제 대상 및 조건 충족 시)
배송료
무료
수령예상일
지금 택배로 주문하면 3월 31일 출고 
최근 1주 96.2%(중구 중림동 기준) 지역변경
Sales Point : 25
 0.0100자평(0)리뷰(0)
이 책 어때요?
카드/간편결제 할인무이자 할부
수량
1

장바구니 담기
바로구매
선물하기
보관함 +
전자책 출간알림 신청중고 등록알림 신청중고로 팔기


기본정보
양장본384쪽152*223mm (A5신)691gISBN : 9788991965379
주제 분류
신간알림 신청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한국정치사정/정치사 > 한국정치사정/정치사-일반
국내도서 > 추천도서 > 외부/전문기관 추천도서 > 문화체육관광부 추천도서 > 2008년 > 우수교양도서
이벤트

이벤트 도서 구매 시, 계간 창작과비평 2020 봄호 창비 타블로이드

3월 특별 선물! 긴목/발목양말, 변색머그(이벤트 도서 포함, 국내서.외서 5만원 이상)

이 시간, 알라딘 굿즈 총집합!
책소개1972년부터 1988년까지 장장 16년에 걸쳐 《세카이》에 연재됐던 '한국으로부터의 통신'을 엮었다. <한국으로부터의 통신>은 TK생이란 필명의 필자가 당시 한국 내부의 비공식 자료들을 토대로 한국의 폭압적 정치상황을 외부에 폭로하는 형식으로 연재한 일종의 기획물이었다.

2003년 9월호에는 오까모또 아쓰시 편집장과 지명관 교수의 대담이 실렸다. 이 자리에서 지명관 교수는 “72년 11월부터 88년 3월호까지 '한국으로부터의 통신'을 썼다”라고 말하면서 자신이 TK생이란 필명의 실제인물임을 밝혔다.

《세카이》는 1946년 창간한 월간지로 일본 정론지이자 진보적 지식인들의 공론장이다. 전전戰前 일본의 군국주의적 가치를 부인하고 자유, 민주, 양심, 인권을 중심 가치로 내세워 전후 일본의 정신사를 주도한 필진, 여론을 선도한 영향력, 이와나미 출판사라는 상징자본이 결합해 지적(知的) 나침반 구실을 해왔다.

무엇보다도, 한반도 문제에 대해 늘 민감하게 반응했다. 특히, 냉전 분위기가 지속되던 1970~1980년대에는 지속적으로 북한 김일성을 인터뷰하고 기획기사를 게재하는가 하면, 정기적으로 북한방문기를 싣는 등 과감한 시도를 계속해왔고, 다른 한편으로는 한국의 정치적 상황에도 예민한 관심을 표명해 왔다.

이러한 좌경 성향과 반한·친북 정서는 독특한 이념적 배경에서 비롯되었다. 일본은 2차 세계대전을 치르면서 수많은 인적·물적 희생을 감수해야 했고, 1차 대전 전승국으로서의 자존심은 무참하게 짓밟혔다. 따라서 전후 일본의 진보적 지식인들이 전쟁의 원인과 폐해의 책임을 국가주의, 식민주의에 돌렸고, 군부를 핵으로 한 우익세력을 비판했다.

전체 다섯 장으로 구성해 제1장에서는 《세카이》창간호인 1946년 1월호부터 부터 1989년 12월호까지(1호~529호)의 한국관계 기사의 전체적 내용을 분석했다. 제2장은 1950년대 이후 북한을 방문한 진보 진영의 지식인 및 정치인들이 기록한 방문기를 분석했다.

제3장은 1972년부터 《세카이》에 등장한 김일성 회견기를, 제4장은 박정희 시대를 중심으로 연재된 '한국으로부터의 통신'의 내용을 짚었다. 제5장은 2002년 후반기 이후 일본사회의 ‘북한 때리기’ 열풍 이후, 오랫동안 북한을 옹호했던 《세카이》의 자기변명인 '조선 문제에 관한 본지의 보도에 관하여'란 사고社告에 대한 분석이다
목차
책을 내면서
프롤로그 - 나와 <세카이>

1장_오만과 편견: <세카이>의 남.북한관, 1946~1989
1. <세카이>와 남.북한 기사
2. 1940년대 - 식민 통치의 긍정
3. 1950년대 - '어두운 한국'
4. 1960년대 - 반한친북反韓親北
5. 1970년대 - '한국 타도'
6. 1980년대 - 한국의 반체제 세력과 연대
7. 오만과 편견의 회로

2장_북한 방문기
1. 방문기의 의도
2. <조선 평화의 여행>
3. '극락정토極樂淨土'
4. '위대한 수령' 김일성
5. 풍요와 자유
6. 허상의 지상낙원

4장_김일성 회견기
1. 김일성과 <세카이>
2. 미노베 료키치 회견기
3. 미도리가와 도루 및 니시가와 쥰 회견기
4. 기도 마다이치 및 우쓰노미야 도쿠아 회견기
5. 야스에 료스케 회견기
6. <세카이> : 북한의 대변지

4장_<한국으로부터의 통신>과 TK생
1. <세카이>와 <한국으로부터의 통신>
2. '광인'과 '광인 국가'
3. '부패 집단'과 '겨울공화국'
4. 반공反共과 반일反日
5. 민중혁명
6. 박정희 시대의 재평가
7. '근거 없는 거짓 이야기'

5장_진실과 책임
1. '사고社告'
2. 새로운 내셔널리즘의 태동
3. 북한의 일본인 납치
4. <세카이>에 대한 비판과 입장
5. <한국으로부터의 통신>
6. '반한친북' 논조
7. <세카이>의 책임

에필로그-희망의 길
후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접기
책속에서
1960년대의 <세카이>가 가장 역점을 두고 다루었던 주제는 한일국교정상화와 반대 투쟁이다. 1961년 제6차 회담이 시작되자 <세카이>는 이를 집중적으로 다루기 시작했다. 국교정상화가 조인된 1965년에는 이 문제를 세 차례의 특집, 좌담회, 자료, 성명서, 공동제의 등을 포함하여 49편의 논문과 기사를 게재했다. 이는 <세카이>가 창간된 후 동일 주제를 가장 많이, 그리고 집중적으로 취급했던 사례에 속한다.
1951년 10월 20일 연합군 총사령부의 주선으로 시작된 한일회담은 우여곡절 끝에 1965년 6월 22일 국교 정상화 조약이 체결됐다. 14년에 걸친 협상이었다.
4.19혁명으로 들어선 민주당 정권은 이승만 정권과 달리 초기부터 일본과의 교섭에 적극적인 태도를 취했다. 일본 정부 또한 적극적이었다. 1961년 말 타결을 목표로 교섭이 추진됐으나, 5.16쿠데타로 교섭은 중단됐다. 그러나 박정희 정권도 출범부터 한일국교정상화를 위한 교섭에 적극적으로 임했다. (70쪽, '4. 1960년대-반한친북反韓親北' 중에서)  접기
추천글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조선일보
 - 조선일보 Books 북Zine 2008년 5월 31일자
저자 및 역자소개
한상일 (지은이)
저자파일

최고의 작품 투표

신간알림 신청
고려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클레어몬트대학원대학에서 일본정치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스탠퍼드대학교, 도검대학교,도시샤대학교,프린스턴대학교 등에서 연구 활동을 계속했다. 그동안 『일본제국주의의 한 연구: 대륙낭인과 대륙팽창』, 『이토 히로부미와 대한제국』 등 일본근현대정치사를 천착한 연구 저술이 있다. 정년을 맞을 때까지 국민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강의했다.
최근작 : <일본공부 반세기의 회고>,<쇼와 유신>,<이토 히로부미와 대한제국> … 총 15종 (모두보기)
출판사 제공 책소개
진보 지식인의 허위의식을 폭로하다!

《세카이》 좌경 성향의 근본적인 원인
1946년 창간된 이래 현재도 출간되고 있는 월간지 《세카이》는 일본 최고의 정론지이자 진보적 지식인들의 공론장이다.
전전戰前 일본의 군국주의적 가치를 철저히 부인하고 자유, 민주, 양심, 인권을 중심 가치로 내세운 《세카이》는 전후戰後 일본의 정신사를 주도한 화려한 필진, 여론을 선도한 영향력, 그리고 이와나미 출판사라는 상징자본이 결합되어 한 시대의 지적(知的) 나침반 구실을 해왔다.
그러나 《세카이》가 한국 독자의 이목을 끄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한반도 문제에 대해 늘 민감하게 반응했다는 점이다. 특히, 냉전 분위기가 지속되던 1970~1980년대에는 지속적으로 북한 김일성을 인터뷰하고 기획기사를 게재하는가 하면, 정기적으로 북한방문기를 싣는 등 다른 매체들이 흉내조차 낼 수 없었던 과감한 시도를 계속해왔고, 다른 한편으로는 한국의 정치적 상황에도 집요하리만치 예민한 관심을 표명해 왔다.

이러한 《세카이》의 좌경 성향과 반한·친북 정서는 독특한 이념적 배경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일본은 2차 세계대전을 치르면서 수많은 인적·물적 희생을 감수해야 했고, 1차 대전 전승국으로서의 자존심은 무참하게 짓밟혔다. 따라서 전후 일본의 진보적 지식인들이 전쟁의 원인과 폐해의 책임을 국가주의, 식민주의에 돌린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었고, 군부를 핵으로 한 우익세력에 비판의 화살을 돌린 것 역시 납득할 만한 일이었다.
사실, 한국에 대한 일본지식인들의 은밀한 혐오감, 특히 샌프란시스코 조약에서 전승국의 지위를 주장한 이승만 대통령에 대한 반감 등은 반한친북의 선험적 인식론이 형성되는 기초가 되기에 충분했다.

TK생과 [한국으로부터의 통신]
1972년부터 1988년까지 장장 16년에 걸쳐 《세카이》에 연재됐던 '한국으로부터의 통신'은 국내외적으로 커다란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한국으로부터의 통신>은 TK생이란 필명의 필자가 당시 한국 내부의 비공식 자료들을 토대로 한국의 폭압적 정치상황을 외부에 폭로하는 형식으로 연재한 일종의 기획물이었다.
《세카이》2003년 9월호에는 오까모또 아쓰시 편집장과 지명관 교수의 대담이 실렸다. 이 자리에서 지명관 교수는 “72년 11월부터 88년 3월호까지 '한국으로부터의 통신'을 썼다”라고 말하면서 자신이 TK생이란 필명의 실제인물임을 밝혔다.

이 대담에서 지명관 교수는 《세카이》의 전폭적인 지원과 일본인 지식인들의 한국 민주화에 대한 관심을 언급하면서 “일본이 한국의 아픔에 그렇게 공감을 가지고 참여한 적이 있었을까, 새삼 놀랍다. 때로는 일반적인 언론이라는 상식을 넘어서 일본의 매체도 한국의 민주화를 열망했는데, 이것은 역사적인 의미를 가진다”라고 소회를 밝혔다. 오카모토 편집장 역시 한국 민주화운동을 ‘국제적 네트워크를 지닌 전 세계 공동프로젝트’로 평가했다.

올해(2008년) 2월, 지명관 교수는 《한국으로부터의 통신》을 출간했다. 지 교수는 이책을 그동안 《세카이》에 기고했던 칼럼을 당시 한국과 일본의 언론 보도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재구성했다. 책이 출간되자 여러 언론에서 내용을 소개했고, 일반의 반응도 지 교수와 오까모또 편집장의 생각에 동조하는 편이었다. 그러나 조금 자세히 들여다보면,《세카이》와 '한국으로부터의 통신'을 둘러싼 정황은 그리 간단치 않다.

《세카이》에 '한국으로부터의 통신'이 연재되었던 시기는 한국에서 경제적 자립과 정치적 민주화란 근대화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과정과 궤적을 같이한다. 물론 이 시기는 한국이 세계역사상 유래 없는 고도성장을 이룩한 기간이기도 했다. 그런데 《세카이》에 포진했던 일본의 진보지식인들은 이런 복합적인 근대화 과정의 한쪽 측면만을 과도하게 부각시키며 한국에 대해 유래 없는 비난의 화살을 쏘아댔다. 특히 '한국으로부터의 통신'의 연재는 이웃나라에 대한 우호적 관심의 차원을 뛰어넘는 내정간섭 수준의 기획이었다. 지식인들이 가져야할 최소한의 덕목인 ‘사실의 확인’과 ‘실증적 태도’가 결여되었던 것은 물론이고, 자기기만에 가까운 ‘선험적인 인식론’에 매몰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사실’에서 ‘선험’으로
진보적 지식인을 자처했던 《세카이》의 필자들은 남북한에 대해 의견을 개진할 때 최소한 ‘사실’에 근거했어야 마땅했다. 이것은 인접국을 객관적인 하나의 국가로 바라보는 최소한의 예의일 것이다. 그러나 《세카이》는 구체적 사실 이전에 ‘반한친북’의 대칭적 남북한관에 고착돼 있었다. ‘북한-선(善)’, ‘남한-악(惡)’이라는 그들의 단순 논리는 실체나 경험에 전혀 근거하지 않은 판단이었다.
이와 같은 《세카이》의 선험적인 인식론은 <한국으로부터의 통신>에도 그대로 관철되고 있다. 즉, ‘반한친북’의 대칭적 남북한관으로 인해, 한국에 대한 가치판단은 결국 ‘반한친북’이란 결론을 도출하기 위한 알리바이에 불과했다. 다시 말해 한국의 근대화 과정과 연관된 한국 사회의 제반 문제의 공과 사에 대한 균형 있는 판단과 평가, 그리고 그를 위한 사실의 확인과 객관적 검증과 같은 일련의 작업은 《세카이》의 진보적 지식인들에게는 선험적으로 배제되었던 것이다.

그렇다면 《세카이》와 <한국으로부터의 통신>에 대한 세간의 호의적인 평가 또한 일본의 진보적 지식인들의 선입견과 상응되는 것은 아닐까? 특히, 《세카이》는 '한국으로부터의 통신'의 연재가 시작된 이후 한국의 진보적 지식인과의 접합면을 크게 확대했다. 문익환 목사를 비롯해서 이영희, 백낙청, 황석영, 고은처럼 《세카이》에 글을 실었거나 대담·포럼 등을 통해 《세카이》와 행보를 같이한 한국의 진보적 지식인들의 면면도 대단히 화려하다. 그런데 문제는 이들이 활동이 《세카이》의 반한친북이란 선험적 인식론의 알리바이로 이용당한 것은 아닌가 하는 점이다.

‘허위의식’과 ‘자기기만’의 회로回路
《세카이》란 일본 최고의 집단지성이 왜 한반도의 상황에 대해서만은 이러한 선험적인 선입견에 매몰될 수밖에 없었을까 하는 문제제기가 바로 이 책의 출발점이다. 필자는 이런 의문의 해답을 찾고자 《세카이》 창간호부터 최신호에 이르는 방대한 양의 기사들을 실증적으로 추적했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인접 자료들을 《세카이》의 내용과 교직시키면서 일본의 진보적 지식인의 의식세계를 파헤쳤다.
결국, 필자는 남북한을 흑백논리로 재단한 《세카이》의 편향된 시각이 진보적 지식인의 ‘허위의식’에서 표출된 배리현상임을 밝혀낸다. 그리고 언젠가 허버트 리드Sir Herbert Read경이 지식인의 허위의식을 경고하면서 지적한 바과 같이, 《세카이》의 편향된 시각은 “자신의 감정을 만족시키기 위한 감정적 선입감sentimental prejudice”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지적한다. 그리고 그런 위선적 태도야말로 지식인의 ‘허위의식’과 ‘자기기만’의 회로回路임을 명철하게 분석한다.

책의 구성
이 책은 다섯 장으로 구성돼 있다. 제1장에서는 《세카이》창간호인 1946년 1월호부터 부터 1989년 12월호까지(1호~529호)의 한국관계 기사의 전체적 내용을 분석했다. 제2장은 1950년대 이후 북한을 방문한 진보 진영의 지식인 및 정치인들이 기록한 방문기를 분석했다. 제3장은 1972년부터 《세카이》에 등장한 김일성 회견기를, 제4장은 박정희 시대를 중심으로 연재된 '한국으로부터의 통신'의 내용을 짚어보았다. 제5장은 2002년 후반기 이후 일본사회의 ‘북한 때리기’ 열풍 이후, 오랫동안 북한을 옹호했던 《세카이》의 자기변명인 '조선 문제에 관한 본지의 보도에 관하여'란 사고社告에 대한 분석이다. 접기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