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9-18

알라딘: 탈정치 시대의 정치 | 현대중국의 중국의 사상과 이론 3 왕후이

알라딘: 탈정치 시대의 정치

탈정치 시대의 정치  | 현대중국의 중국의 사상과 이론 3
왕후이 (지은이),성근제,김진공,이현정 (옮긴이)돌베개2014-08-11

책소개

왕후이는 중국이 붕괴하지 않고 위기를 돌파할 수 있었던 힘을 ‘독립된 주권’, 다시 말해 국가의 자주성에서 찾고 있다. 그에 의하면, ‘단기 20세기’(1914~1991, 에릭 홉스봄이 창안한 개념으로 제1차 세계대전에서 소련의 해체까지를 포괄한다)의 종결로 여겨지는 동구권의 몰락과 소련의 해체는 이들 국가의 불완전한 주권 구조에서 기인한다.

동구권 국가는 소련의 영향 아래에서 정치경제적으로 종속되어 있었다. 공산당이 관료화되면서 당과 대중이 유리되었고, 결핍경제(shortage economy)가 지속되고 민중의 생활이 어려워지자 체제 붕괴는 불가피했다. 한편 1990년대 후반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국가들은 심각한 금융 위기에 직면했다.

20세기 중반 이후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며 경제 기적을 이룬 ‘아시아의 용들’이 글로벌 자본으로부터 구조 조정을 강제당한 것이다. 왕후이는 이들의 경제 발전을 냉전 시대 패권국가인 미국과의 종속적인 관계와 분리하여 생각할 수 없다고 분석한다. 미국과 신자유주의의 글로벌 자본이 동아시아 국가의 정치경제적 주권 구조를 잠식하고 있었는데 그러한 패권구조에 문제가 발생하자, 단일 국가적 차원에서 위기를 버텨낼 수 없었다는 것이다.

이에 비해 중국은 토지개혁을 기반으로 하는 혁명의 전통 속에서 비교적 자주적이고 독립적인 국민경제를 유지했다. 1950년대 소련으로부터 경제 건설에 필요한 자본과 기술을 원조받은 적이 있지만, 이후 중소 논쟁을 통해 소련과 독자적인 노선을 걸으며 소련의 간섭과 영향으로부터 자유로워졌다. 대약진과 문화대혁명 등의 혁명 과정에서 실패와 오류가 있었음에도, 신중국은 이로써 경제 건설에 필요한 초기 조건을 마련하고 자립적 경제체의 기초를 만들 수 있었다.


목차
옮긴이의 말 중국 그리고 세계 정치의 길을 묻는다

중국 굴기의 경험과 그것이 직면한 도전
중국, 60년 동안의 경험ㅣ중국은 왜 무너지지 않았는가: 독립적 주권과 이론 논쟁ㅣ농민의 능동성ㅣ 중국의 개혁에서 국가의 역할ㅣ주권 구조와 국가 역할의 변화ㅣ‘정당의 국가화’의 패러독스ㅣ금융 위기와 1990년대의 종결, 그리고 새로운 정치

탈정치화된 정치, 패권(헤게모니)의 다층적 구성, 그리고 1960년대의 소멸
중국, 그리고 1960년대의 종결ㅣ탈정치화된 정치와 당-국체제ㅣ탈정치화된 정치와 현대 사회ㅣ패권(헤게모니)의 삼중 구성과 탈정치화의 정치 이데올로기

충칭 사건: 밀실정치와 신자유주의의 권토중래
충칭 사건, 너무나 극적이고 미스테리한ㅣ밀실정치의 논리ㅣ또 한 차례 신자유주의적 개혁을 추진하기 위한 정치적 전제ㅣ‘문혁’과 ‘각성’이라는 수사의 등장과 정치적 허무주의ㅣ중국은 공개정치를 지향하는 정치적 변혁을 이루어야 한다

세계 정치의 대표성 위기와 포스트 정당정치
세계 정치의 대표성 위기ㅣ20세기 중국의 대표성 정치원리에 대한 재구성ㅣ군중노선과 ‘포스트 정당정치’의 조건ㅣ새로운 보편성을 창조해야 한다

후기 ‘중국의 길’이 지닌 특수성과 보편성

======
저자 및 역자소개
왕후이 (汪暉)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1959년 장쑤성 양저우 출생. 이른바 중국 ‘신좌파’의 이론적 리더로 알려진 저명한 학자다. 현재 칭화대학 중문학과 교수이자, 같은 대학 인문·사회과학고등연구소 소장으로 재직 중이며,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제12기 전국정치협상회의 사회과학계 위원으로 활동했다. 고등학교 졸업 후 1년 6개월 정도를 임시직 노동자로 일하다가 1978년 양저우사범대학에 입학했고, 난징대학에서 석사학위를, 베이징의 중국사회과학원에서 루쉰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중국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하버드대학, 워싱턴대학, 홍콩중문대학, 베를린 고등연구소... 더보기
최근작 : <단기 20세기>,<1919와 1949>,<근대세계의 형성> … 총 13종 (모두보기)


성근제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1968년생. 연세대 중어중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연구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서울시립대 중국어문화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논문으로 「중국은 어디로 가는가」, 「문화대혁명은 어떻게 재현되는가」, 「모택동과 신중국 역사 재평가의 정치성」 등이 있으며, 중국 사회주의, 문화대혁명, 소수민족 문제 등에 주로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최근작 : <도시로 읽는 현대중국 1> … 총 4종 (모두보기)


김진공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1967년 서울 출생. 2001년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에서 중국의 문화대혁명 시기 문예를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인하대학교 국제어문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인간 루쉰 (상, 하)』, 『백년의 급진』, 『프티부르주아 사회주의 선언』, 『탈정치 시대의 정치』(공역), 『베이징 컨센서스』(공역)를 번역 출간하였다.
최근작 : <중국현대문학론 (워크북 포함)> … 총 9종 (모두보기)


이현정 (옮긴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시카고대학에서 중국현대문학을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시립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 교수이다. 옮긴 책으로 『가족이 아닌 사람』, 『생사의 장』, 『이미지와 사회:시각문화로 읽는 현대 중국』(공역), 『탈정치 시대의 정치』(공역) 등이 있다.


=====

출판사 제공 책소개

현대사의 역경과 위기 속에서
숱한 붕괴론의 예견을 무너뜨리며
중국이 붕괴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중국의 ‘신좌파’ 이론가 왕후이가 그린 사상의 궤적
중국 그리고 세계 정치가 직면한 위기와 한계를 진단하고,
‘정치’ 본래의 역할을 복원하기 위한 사유의 투쟁

중국은 왜 붕괴하지 않았는가: ‘중국의 길’이 지닌 특수성
왕후이는 중국이 붕괴하지 않고 위기를 돌파할 수 있었던 힘을 ‘독립된 주권’, 다시 말해 국가의 자주성에서 찾고 있다. 그에 의하면, ‘단기 20세기’(1914~1991, 에릭 홉스봄이 창안한 개념으로 제1차 세계대전에서 소련의 해체까지를 포괄한다)의 종결로 여겨지는 동구권의 몰락과 소련의 해체는 이들 국가의 불완전한 주권 구조에서 기인한다. 동구권 국가는 소련의 영향 아래에서 정치경제적으로 종속되어 있었다. 공산당이 관료화되면서 당과 대중이 유리되었고, 결핍경제(shortage economy)가 지속되고 민중의 생활이 어려워지자 체제 붕괴는 불가피했다. 한편 1990년대 후반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국가들은 심각한 금융 위기에 직면했다. 20세기 중반 이후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며 경제 기적을 이룬 ‘아시아의 용들’이 글로벌 자본으로부터 구조 조정을 강제당한 것이다. 왕후이는 이들의 경제 발전을 냉전 시대 패권국가인 미국과의 종속적인 관계와 분리하여 생각할 수 없다고 분석한다. 미국과 신자유주의의 글로벌 자본이 동아시아 국가의 정치경제적 주권 구조를 잠식하고 있었는데 그러한 패권구조에 문제가 발생하자, 단일 국가적 차원에서 위기를 버텨낼 수 없었다는 것이다.
이에 비해 중국은 토지개혁을 기반으로 하는 혁명의 전통 속에서 비교적 자주적이고 독립적인 국민경제를 유지했다. 1950년대 소련으로부터 경제 건설에 필요한 자본과 기술을 원조받은 적이 있지만, 이후 중소 논쟁을 통해 소련과 독자적인 노선을 걸으며 소련의 간섭과 영향으로부터 자유로워졌다. 대약진과 문화대혁명 등의 혁명 과정에서 실패와 오류가 있었음에도, 신중국은 이로써 경제 건설에 필요한 초기 조건을 마련하고 자립적 경제체의 기초를 만들 수 있었다.

탈정치화된 정치 그리고 대의제 민주주의의 허구성
중국 공산당은 인민의 생활과 요구를 정치에 직접적으로 반영한다는 ‘인민민주’를 가장 중요한 원칙으로 삼았다. 공산당은 노동자와 농민의 계급적 주체성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에, 노동자-농민을 위한 일이 당의 노선이 되었고, 이 노선은 국가 정책으로 이어졌다. 이른바 ‘당-국체제’이다. 인민 대중과 당이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기에, 노동자-농민의 요구가 국가 정책으로 채택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사회주의 국가 중국에서도 당-국체제가 관료화되고(당-국체제에서 국-당체제로의 변화), 이론투쟁은 권력투쟁을 중심으로 하는 정치투쟁으로 비화하면서, 정치가 탈정치화되기 시작했다. 또한 개혁개방 이후 자본 활동이 활발해지자 재계급화가 진행되면서 평등의 정치도 위기를 맞고 있다. 왕후이는 이러한 현대 정치를 ‘탈정치화된 정치’라는 말로 요약한다.
인민의 의사를 엘리트 정치인이 대리하는 대의제 민주주의는 인민과 정당이 유리될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의회의 대리인들은 인민의 요구와 의사를 반영하기보다는 시장의 이해관계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 “민주주의가 시장경제의 기초 위에 세워진 의회제에 불과하게 된 것이다.”(76쪽) 그래서 지금 민주공화국을 표방하는 나라들은 사실상 소수의 정치 엘리트와 자본가에 의해 운영되는 ‘과두제’ 국가로 변질되고 있다. 접기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