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4-08

『경제사학』 - 식민지기 조선의 소득불평등, 1933-1940: 소득세 자료에 의한 접근

『경제사학』 - 식민지기 조선의 소득불평등, 1933-1940: 소득세 자료에 의한 접근

vol. :55 
저자 :김낙년 
발행연월 :2013-12 
식민지기 조선의 소득불평등, 1933-1940: 소득세 자료에 의한 접근,  김낙년

<국문초록>
본고는 소득세 자료 등을 이용하여 식민지기의 소득집중도를 추계하였고이를 해방 후의 추계 결과와 연결함으로써 장기에 걸쳐 일관된 지표를 제시하였다이를 통해 다음의 사실을 밝혔다첫째식민지기의 소득집중도는 매우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해방 전후에 급락한 후 안정적으로 추이하다가 1990년대 중엽 이후 다시 급등하는 U자형을 보였다다만 전전에 소득집중도가 특히 높았던 것은 다른 나라도 마찬가지였기 때문에 조선만의 현상은 아니다둘째해방 전후에 소득집중도가 급락한 것은 식민지지배 체제의 붕괴와 함께 일본인이 철수하였고농지개혁으로 조선인 내부의 경지소유 불평등이 해소되었기 때문이다미국이나 일본에서도 이 시기 소득집중도의 급락이 나타났지만 그 이유는 달랐다셋째고소득자의 도별 분포를 보면특히 서울을 포함한 경기지역으로 집중되어 있는데이러한 지역별 편중은 최상위 소득층으로 갈수록 더욱 심해졌다.

핵심주제어소득집중도불평등소득세, Pareto 보간
경제학문헌목록 주제분류: J3, N3, I3


[abstract]
Income Inequality in Colonial Korea, 1933-1940:
Evidence from Income Tax Statistics
Kim, Nak Nyeon

This paper estimates the income concentration during colonial period using income tax statistics and constructs long-term series of income concentration from the colonial period to recent year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income concentration in Korea shows a U-shaped pattern. It was very high during colonial period but dropped sharply after liberalization. It stayed low until the mid-1990s but rose rapidly afterwards. The high income concentration during colonial period was not unique to Korea since it was true of in other countries. Second, unlike the U.S. and Japan, the sharp drop in income concentration after liberalization was due to the factors such as collapse of colonial system, withdrawal of Japanese from Korea, and land reform which improved the distribution of landownership. Third, the top income earners were concentrated in Gyeonggi province including Seoul. This kind of geographic concentration was higher for the higher fractiles in top income groups.

Keywords: income concentration, inequality, income tax statistics, Pareto interpolation
JEL Classification: J3, N3, I3


이 게시물을
첨부 (1)
ABA-KNN(249~280).PDF

No comments: